KR102121575B1 -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Google Patents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1575B1 KR102121575B1 KR1020190063282A KR20190063282A KR102121575B1 KR 102121575 B1 KR102121575 B1 KR 102121575B1 KR 1020190063282 A KR1020190063282 A KR 1020190063282A KR 20190063282 A KR20190063282 A KR 20190063282A KR 102121575 B1 KR102121575 B1 KR 102121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here
- screen
- frame
- gea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21—Frameless fly screens; Tension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고정하기 위해 방충망 또는 방진망(M)에 걸리는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창틀의 내부에 보강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는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누름틀의 내부 공간에 유연한 형상의 누름틀연결부재(130)가 마련되어 상기 누름틀 양단이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재(100); 중심에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결합하는 망결합부(151)가 마련되고 구형으로 마련된 이동구슬(15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와 일부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중심으로 상하 동일하게 마련되고,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프레임(F, F')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내측에 마련된 내측측면구(111)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에서 수직 연장되어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연장구(112)로 구성되는 내측누름틀(110);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평행하게 외측에 마련된 외측측면구(121) 및 상기 외측측면구(121)에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내측누름틀(110)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측연장구(122)로 구성되는 외측누름틀(120);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외측측면구(1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탄성이 마련되는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는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누름틀의 내부 공간에 유연한 형상의 누름틀연결부재(130)가 마련되어 상기 누름틀 양단이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재(100); 중심에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결합하는 망결합부(151)가 마련되고 구형으로 마련된 이동구슬(15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와 일부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중심으로 상하 동일하게 마련되고,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프레임(F, F')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내측에 마련된 내측측면구(111)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에서 수직 연장되어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연장구(112)로 구성되는 내측누름틀(110);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평행하게 외측에 마련된 외측측면구(121) 및 상기 외측측면구(121)에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내측누름틀(110)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측연장구(122)로 구성되는 외측누름틀(120);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외측측면구(1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탄성이 마련되는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고정하기 위해 방충망 또는 방진망(M)에 걸리는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창틀의 내부에 보강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이나 발전소 등에서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매연, 건설 현장과 같은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날림 먼지, 소각 시 발생하는 연기 등으로 인해 미세먼지와 황사 등의 대기 오염이 심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시계 방해로 인한 각종 사고의 위험이 커질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각종 질병을 일으킬 위험이 높아졌다. 대기 오염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주택 등의 건축물에 설치된 방충망 또는 방진망(M)에 방충망 또는 방진망(M)에 필터 역할을 보강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빌라 등 주거용 건축물은 창호가 설치되며, 창호에는 빗물, 먼지, 곤충이나 벌레를 차단하기 위하여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인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은 방충망 또는 방진망(M)프레임(F, F')에 존재하는 요철 수용홈에 오형가스켓을 끼워 고정시켜 사용하였으나, 이는 외부침입, 추락사고, 미세한 날벌레 유입, 빗물 유입 등으로 문제가 있다. 또한, 두꺼운 직경의 스테인레스 강선을 직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에 억지끼움시켜 고정하였으나 이는 최근 자연환경에서 야기되는 여러 문제 즉, 미세날벌레, 미세먼지, 빗물유입 등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도를 채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방충망 또는 방진망(M)프레임(F, F')은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 방음성, 내풍압성, 내결로성 및 난연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PVC(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사용되어 왔다. PVC 수지를 이용한 창틀은 생산성과 압출 시 형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강도적인 물성 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붉은색 동그라미에 나타난 바와 같이, PVC 수지 창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종래의 보강재로 파이프 형태의 철 구조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철 구조물을 사용한 프로파일은 단열성이 매우 취약함에 따라 내부 환경의 열손실 문제가 심각하며, 중량이 크고 소개 특성상 시공 및 가공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914811호에서는 창호 제품의 경량화 및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재는 접착제를 매개로 내부공간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것이고 내주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상기 보강재를 적층한 후 가열 가압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형성해야 하는 추가단계가 필요하므로 제조 단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내주면을 따라 끼움 결합되어 내부공간 자체는 추가적인 보강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이를 결합하는 프레임(F, F') 사이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보강재 없이도 강도 및 텐션이 증가된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목적은 내부 구조를 통해 보강재를 대신할 수 있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이를 결합하는 프레임(F, F') 사이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 중량은 최소한으로 하고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을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으로 보강재를 적층하거나 경화하는 단계를 실시하지 않도록 시공 및 가공이 간단한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는,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프레임(F, F’)의 내부 공간에 유연한 형상의 누름틀연결부재(130)가 마련되어 상기 누름틀 양단이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재(100);
중심에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결합하는 망결합부(151)가 마련되고 구형으로 마련된 이동구슬(15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와 일부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중심으로 상하 동일하게 마련되고,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프레임(F, F')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내측에 마련된 내측측면구(111)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에서 수직 연장되어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연장구(112)로 구성되는 내측누름틀(110);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평행하게 외측에 마련된 외측측면구(121) 및 상기 외측측면구(121)에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내측누름틀(110)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측연장구(122)로 구성되는 외측누름틀(120);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외측측면구(1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탄성이 마련되는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방진망과 이를 결합하는 프레임(F, F') 사이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보강재 없이도 강도가 증가된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구조를 통해 보강재를 대신할 수 있는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이를 결합하는 프레임(F, F') 사이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 중량은 최소한으로 하고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보강재를 적층하거나 경화하는 단계를 실시하지 않도록 시공 및 가공이 간단한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가 결합된 프레임(F, F’)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프레임(F, F')이 결합되도록 슬라이드부재(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슬라이드부재(100)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누름틀연결부재(130)를 달리하여 설치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드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슬라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40) 및 이동구슬(150)을 자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슬라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40) 및 이동구슬(150)을 자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서 누름틀연결부재(130)를 달리하여 설치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드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서 내측누름틀(110) 및 외측누름틀(120)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서 수치를 한정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서 B-B’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슬라이드부재(100)와 연결된 외부공기차단부재(200)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련되는 미세조절부재(300)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미세조절부재(300)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미세조절부재(300)의 스프링구(315) 및 기어스토퍼구(316)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서 프레임(F, F')의 평면사진이다.
도 17은 도 1에서 프레임(F, F')의 정면 사진이다.
도 18은 슬라이드부재(100)를 제조하여 촬영한 단면 사진이다.
도 19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3개의 서로 다른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을 촬영한 사진으로 텐션이 작용하지 않아 주름지거나 구겨진 모습(붉은색 동그라미)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프레임(F, F')이 결합되도록 슬라이드부재(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슬라이드부재(100)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누름틀연결부재(130)를 달리하여 설치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드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슬라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40) 및 이동구슬(150)을 자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슬라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40) 및 이동구슬(150)을 자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서 누름틀연결부재(130)를 달리하여 설치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드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서 내측누름틀(110) 및 외측누름틀(120)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서 수치를 한정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서 B-B’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슬라이드부재(100)와 연결된 외부공기차단부재(200)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련되는 미세조절부재(300)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미세조절부재(300)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미세조절부재(300)의 스프링구(315) 및 기어스토퍼구(316)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서 프레임(F, F')의 평면사진이다.
도 17은 도 1에서 프레임(F, F')의 정면 사진이다.
도 18은 슬라이드부재(100)를 제조하여 촬영한 단면 사진이다.
도 19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3개의 서로 다른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을 촬영한 사진으로 텐션이 작용하지 않아 주름지거나 구겨진 모습(붉은색 동그라미)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는 크게 슬라이드부재(100), 외부공기차단부재(200) 및 미세조절부재(3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의 내부 공간에 유연한 형상의 누름틀연결부재(130)가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F, F') 양단이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마련된다. 즉, 도 2와 같이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상기 이동구슬(150)의 양측에 연결되는 경우 장력에 의해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100)가 압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누름틀 양단이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누름틀(110), 외측누름틀(120) 및 누름틀연결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누름틀(110)은 내측측면구(111) 및 외측연장구(112)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측면구(111)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평면도에서 확인할 때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기준으로 내측에 마련된다. 상기 외측연장구(112)는 상기 내측측면구(111)에서 수직 연장되어 하우징의 가장 외측에 마련된다. 상기 외측연장구(112)는 상기 내측측면구(111)가 받는 압력을 상기 내측측면구(111)의 수직 방향으로 분산시키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의 외측에 각각 마련되어 하우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누름틀(120)은 외측측면구(121) 및 내측연장구(122)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측면구(121)는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평면도에서 확인할 때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기준으로 외측에 마련된다. 상기 내측연장구(122)는 상기 외측측면구(121)에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내측누름틀(110) 보다 내측에 마련된다. 상기 내측연장구(122)는 상기 외측연장구(112)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측면구(121)가 받는 압력을 상기 외측측면구(121)의 수직 방향으로 분산시키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외측연장구(112)의 내측에 각각 마련되어 하우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외측연장구(112)와 내측연장구(122)는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어 상기 내측측면구(111) 및 외측측면구(121) 양단에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압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외측연장구(112)와 내측연장구(122)는 연결된 경우 양단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연결된 부분의 내부에서 부러지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으나, 상기 외측연장구(112)와 내측연장구(122)가 분리되어 있어 양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는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외측측면구(1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탄성이 마련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는 상단연결구(131), 하단연결구(133) 및 이음연결구(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연결구(131)은 상기 누름틀 부재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압력을 상단으로 분산시키도록 볼록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하단연결구(133)은 상기 누름틀 부재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압력을 하단으로 분산시키도록 오목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이음연결구(132)는 상기 상단연결구(131)과 하단연결구(133)을 연결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는 보다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에서 상기 상단연결구(131) 및 하단연결구(133)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프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연결구(131) 및 하단연결구(133)이 뾰족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은 상기 내측측면구(111) 및 외측측면구(121) 양단에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음연결구(132)가 압축되면서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외측측면구(121)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가이드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와 일부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하단가이드구(141), 구슬가이드구(142) 및 망가이드구(14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은 상기 외측측면구(121)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의 삽입 및 이동을 위한 공간을 마련한다. 도 16은 상기 슬라이드부재(100)가 삽입되는 프레임(F, F')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프레임(F, F')에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고, 상기 이동구슬(150)이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에 삽입된 후 상기 이동구슬(150)이 상기 프레임(F, F')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의 중공형 공간이 너무 좁게 되면 상기 이동구슬(150)의 삽입이 어렵고,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의 공간이 너무 넓게 되면 상기 이동구슬(150)의 삽입은 용이하나 상기 이동구슬(150)이 이동하면서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에서 빠져나와버릴 수 있으므로 상기 하단가이드구(141) 내부 공간의 너비는 상기 이동구슬(150)의 2.0 내지 2.2배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슬가이드구(142)는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이동구슬(150)의 구형상에 따라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에 의해 삽입된 상기 이동구슬(150)은 방충망 또는 방진망(M)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구슬가이드구(142)의 오목부에 의해 걸림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구슬가이드구(142)는 구슬걸림구(144)를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슬걸림구(144)는, 도 6에 나타나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시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가이드오목구(143)와 망가이드구(145) 사이에 일부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구슬(150)이 상기 구슬걸림구(144)에 걸린 경우 상기 가이드오목구(143)와 상기 이동구슬(150) 사이에 일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이 이동될 때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망가이드구(145)는 상기 구슬가이드구(142)에 연장되어 상기 이동구슬(150)과 연결된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보호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망가이드구(145)는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망가이드구(145)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00)가 상기 프레임(F, F')에 삽입되는 부분까지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F, F')에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이동구슬(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구슬(150)은 중심에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결합하는 망결합부(151)가 마련되고 구형으로 마련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구슬(150)은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망결합부(151)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구슬(150)은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의 너비에 절반 가량 크기의 너비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중심으로 상하 동일하게 마련되고, 쌍으로 마련되어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좌우 양측에서 잡아주거나 상하 양측에서 잡아주도록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상기 프레임(F, F')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F, F')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망 텐션 보강제에 결합하는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은 일반적인 형태가 아닌, 미세먼지 차단용 가시광선 투과성 다층구조로 마련된 필터로서,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되어 형성된 필라멘트사로 편직 또는 제직된 대전성 메쉬 기재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를 정전기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망결합부(151)에 결합되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은 나노 섬유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형태 보다 가벼우며, 대전성 메쉬가 육각 이상의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쉽게 휘어질 수 있어 일반적인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에 비해 강도가 증가될 필요가 있으므로 보강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외부 보강재 대신 일체형의 망 텐션 보강제를 마련하여 무게는 최소한으로 하면서 강도는 증가된 장문 프레임(F, F')을 제조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외부 보강재를 철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프레임(F, F')으로 결합하여 설치할 때 철재를 잘라주어야 하는 외부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경우 내부보강재가 마련되어 있어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이 결합하였을 때 실내 측과 실외 측 골고루 무게가 분산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프레임(F, F')을 이용한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은,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쭈그러지거나 프레임(F, F') 틈새에 공간이 생겨 방충망 또는 방진망(M)으로서의 역할이 미미하다. 본 발명의 경우 망 텐션 보강제에 의해 탄성이 발생하여 와충 및 원상 회복이 빠르고 텐션을 증가하여 휨 현상을 막을 수 있고 보강재를 자르는 추가 공정을 줄일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공기차단부재(200)는 상기 프레임(F, F')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F, F')과 방충망 또는 방진망(M) 사이 공간을 차단한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공기차단부재(200)는 모헤어걸림구(210) 및 프레임개폐구(220)로 구성된다.
상기 모헤어걸림구(210)는 상기 프레임(F, F')과 방충망 또는 방진망(M) 사이 공간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하는 모헤어를 삽입한다.
상기 프레임개폐구(220)는 상기 프레임(F, F')과 상기 외부공기차단부재(200) 사이 공간을 개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개폐구(220)는 개폐손잡이구(221), 개폐걸림구(222) 및 개폐구구슬(23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손잡이구(221)는 손잡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개폐구(220)를 미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개폐걸림구(222)는 상기 프레임개폐구(220)를 상기 프레임(F, F') 일측에 걸리도록 걸림구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구구슬(230)은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상기 외부공기차단부재(200)를 연결하도록 중심에 결합부가 마련되고 구형으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조절부재(300)는 상기 프레임(F, F')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의 이동을 미세조절한다. 상기 미세조절부재(30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절누름틀(310), 롤링가이드구(320) 및 립씰구(3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조절누름틀(310)은 다수개의 기어구가 연결된 누름틀을 이용하여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롤링 회전을 조절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누름틀(310)은 누름구(312), 제1기어구(311), 제2기어구(313), 스프링구(315) 및 기어스토퍼구(316)로 구성된다.
상기 제1기어구(311)는 상기 기어구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기어구(311)는 상기 제2기어구(313)와 비교할 때 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어 상기 제1기어구(311)의 회전 횟수보다 상기 제2기어구(313)의 회전 횟수가 더 증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기어구(313)는 상기 제1기어구(311)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구(311)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된다. 상기 제2기어구(313)가 상기 제1기어구(311)가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심재(314)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2심재(314)는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 롤링시 심재를 공유하여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상기 제2심재(314)를 중심으로 롤링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누름구(312)는 상기 제1기어구(311)의 중심에 마련되어 누름 방향으로 상기 제1기어구(311)가 꺼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기어구(311)가 눌러진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기어구(311)와 연결된 상기 제2기어구(313)를 누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기어스토퍼구(316)는 상기 누름구(312)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기어구(31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2기어구(313)의 요철에 끼움삽입된다. 다만, 상기 누름구(312)가 눌러지면서 제1기어구(311) 및 제2기어구(313)가 회전할 때는 상기 기어스토퍼구(316)가 결속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구(315)는 상기 기어스토퍼구(316)가 상기 제2기어구(313)의 요철에 끼움삽입을 유지하도록 상기 누름구(312)의 압력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조절누름틀(310)을 이용하여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텐션을 미세 조절하는 방법을 아래에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누름구(312)를 누르면서 회전을 하면 상기 제1기어구(311)가 함께 눌러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기어구(313)가 상기 제1기어구(311)와 함께 눌러지면서 상기 제1기어구(311)의 회전 방향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기어구(313)와 결속하고 있던 상기 기어스토퍼구(316)는 상기 제2기어구(313)의 눌림에 의해 결속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제2기어구(31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심재(314)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심재(314)를 중심으로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회전하게 되고 텐션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롤링가이드구(320)는 상기 조절누름틀(310)에 의해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롤링되기 전에 롤링을 위한 이동 방향을 가이드한다. 상기 롤링가이드구(320)는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롤링되기 전에 롤링 시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당김을 유지하고 롤링 방향을 가이드한다.
다음으로, 상기 립씰구(330)는 외부 공기를 차단한다. 상기 립씰구(330)는 상기 롤링가이드구(320) 사이 공간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방진망과 이를 결합하는 프레임(F, F') 사이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보강재 없이도 강도가 증가된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구조를 통해 보강재를 대신할 수 있는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이를 결합하는 프레임(F, F') 사이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 중량은 최소한으로 하고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보강재를 적층하거나 경화하는 단계를 실시하지 않도록 시공 및 가공이 간단한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프레임(F, F') 제조하기 위한 망 텐션 보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F’. 프레임
M. 방충망 또는 방진망
100. 슬라이드부재
110. 내측누름틀
111. 내측측면구
112. 외측연장구
120. 외측누름틀
121. 외측측면구
122. 내측연장구
130. 누름틀연결부재
131. 상단연결구
132. 이음연결구
133. 하단연결구
140. 가이드부재
141. 하단가이드구
142. 구슬가이드구
143. 가이드오목구
144. 구슬걸림구
145. 망가이드구
150. 이동구슬
151. 망결합부
200. 외부공기차단부재
210. 모헤어걸림구
220. 프레임개폐구
221. 개폐손잡이구
222. 개폐걸림구
230. 개폐구구슬
300. 미세조절부재
310. 조절누름틀
311. 제1기어구
312. 누름구
313. 제2기어구
314. 제2심재
315. 스프링구
316. 기어스토퍼구
320. 롤링가이드구
330. 립씰구
M. 방충망 또는 방진망
100. 슬라이드부재
110. 내측누름틀
111. 내측측면구
112. 외측연장구
120. 외측누름틀
121. 외측측면구
122. 내측연장구
130. 누름틀연결부재
131. 상단연결구
132. 이음연결구
133. 하단연결구
140. 가이드부재
141. 하단가이드구
142. 구슬가이드구
143. 가이드오목구
144. 구슬걸림구
145. 망가이드구
150. 이동구슬
151. 망결합부
200. 외부공기차단부재
210. 모헤어걸림구
220. 프레임개폐구
221. 개폐손잡이구
222. 개폐걸림구
230. 개폐구구슬
300. 미세조절부재
310. 조절누름틀
311. 제1기어구
312. 누름구
313. 제2기어구
314. 제2심재
315. 스프링구
316. 기어스토퍼구
320. 롤링가이드구
330. 립씰구
Claims (5)
-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F, F')의 내부 공간에 유연한 형상의 누름틀연결부재(130)가 마련되어 누름틀 양단이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재(100);
중심에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결합하는 망결합부(151)가 마련되고 구형으로 마련된 이동구슬(15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와 일부 연결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중심으로 상하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F, F')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내측에 마련된 내측측면구(111)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에서 수직 연장되어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연장구(112)로 구성되는 내측누름틀(110);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압력에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평행하게 외측에 마련된 외측측면구(121) 및 상기 외측측면구(121)에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내측누름틀(110)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측연장구(122)로 구성되는 외측누름틀(120); 및
상기 내측측면구(111)와 외측측면구(1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에 유연하게 지탱하도록 탄성이 마련되는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로 구성되며,
상기 누름틀연결부재(130)는,
상기 누름틀 부재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압력을 상단으로 분산시키도록 볼록형상으로 마련된 상단연결구(131);
상기 누름틀 부재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압력을 하단으로 분산시키도록 오목형상으로 마련된 하단연결구(133); 및
상기 상단연결구(131)과 하단연결구(133)을 연결하는 이음연결구(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외측측면구(121)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구슬(150)의 삽입 및 이동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 하단가이드구(141);
상기 하단가이드구(141)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이동구슬(150)의 구형상에 따라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구슬가이드구(142); 및
상기 구슬가이드구(142)에 연장되어 상기 이동구슬(150)과 연결된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을 보호하는 망가이드구(1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가이드구(142)는,
상기 이동구슬(150)의 이동시 마찰을 줄이도록 가이드오목구(143)과 망가이드구(145) 사이에 일부 볼록부가 형성되는 구슬걸림구(144);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F, F')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F, F')과 방충망 또는 방진망(M) 사이 공간을 차단하는 외부공기차단부재(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공기차단부재(200)는,
상기 프레임(F, F')과 방충망 또는 방진망(M) 사이 공간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하는 모헤어를 삽입하는 모헤어걸림구(210); 및
상기 프레임(F, F')과 상기 외부공기차단부재(200)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프레임개폐구(220);로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개폐구(220)는,
손잡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개폐구(220)를 미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개폐손잡이구(221);
상기 프레임개폐구(220)를 상기 프레임(F, F') 일측에 걸리도록 걸림구가 마련된 개폐걸림구(222); 및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과 상기 외부공기차단부재(200)를 연결하도록 중심에 결합부가 마련되고 구형으로 마련된 개폐구구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F, F')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100)의 이동을 미세조절하는 미세조절부재(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세조절부재(300)는,
다수개의 기어구가 연결된 누름틀을 이용하여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의 롤링 회전을 조절하는 조절누름틀(310);
상기 조절누름틀(310)에 의해 상기 방충망 또는 방진망(M)이 롤링되기 전에 롤링을 위한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롤링가이드구(320); 및
외부 공기를 차단하는 립씰구(330);로 구성하되,
상기 조절누름틀(310)은,
상기 기어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제1기어구(311);
상기 제1기어구(311)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구(311)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는 제2기어구(313);
상기 제1기어구(311)의 중심에 마련되어 누름 방향으로 상기 제1기어구(311)가 꺼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기어구(311)가 눌러진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기어구(311)와 연결된 상기 제2기어구(313)를 누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누름구(312);
상기 누름구(312)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기어구(31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2기어구(313)의 요철에 끼움삽입되는 기어스토퍼구(316); 및
상기 기어스토퍼구(316)가 상기 제2기어구(313)의 요철에 끼움삽입을 유지하도록 상기 누름구(312)의 압력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유지하는 스프링구(3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282A KR102121575B1 (ko) | 2019-05-29 | 2019-05-29 |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282A KR102121575B1 (ko) | 2019-05-29 | 2019-05-29 |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1575B1 true KR102121575B1 (ko) | 2020-06-18 |
Family
ID=7114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3282A KR102121575B1 (ko) | 2019-05-29 | 2019-05-29 |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5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114852A1 (de) | 2021-06-09 | 2022-12-15 | Mhz Hachtel Gmbh & Co. Kg | Seitenführung eines Abdeckelement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0691Y2 (ja) * | 1989-03-20 | 1996-09-18 |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 シャッタの座板装置 |
JP2565373B2 (ja) * | 1988-05-20 | 1996-12-18 | セイキ販売株式会社 |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
JP2001207756A (ja) * | 2000-01-26 | 2001-08-03 | Sanwa Shutter Corp | 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構造 |
KR101853499B1 (ko) * | 2011-04-06 | 2018-04-30 |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시트 셔터 |
KR101914811B1 (ko) | 2014-01-06 | 2018-11-02 | (주)엘지하우시스 |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
-
2019
- 2019-05-29 KR KR1020190063282A patent/KR1021215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5373B2 (ja) * | 1988-05-20 | 1996-12-18 | セイキ販売株式会社 |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
JP2510691Y2 (ja) * | 1989-03-20 | 1996-09-18 |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 シャッタの座板装置 |
JP2001207756A (ja) * | 2000-01-26 | 2001-08-03 | Sanwa Shutter Corp | 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構造 |
KR101853499B1 (ko) * | 2011-04-06 | 2018-04-30 |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시트 셔터 |
KR101914811B1 (ko) | 2014-01-06 | 2018-11-02 | (주)엘지하우시스 |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114852A1 (de) | 2021-06-09 | 2022-12-15 | Mhz Hachtel Gmbh & Co. Kg | Seitenführung eines Abdeckelemen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404905B2 (en) |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US8205386B2 (en) | Dual panel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f light through architectural structures | |
KR100814449B1 (ko) |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 |
CN104818936B (zh) | 密封装置 | |
KR102121575B1 (ko) | 방충망 또는 방진망용 망 텐션 보강제 | |
KR20180026867A (ko) | 이중 방충망 창호 | |
KR101615721B1 (ko) | 이중 방충망 창호 | |
JP2008138476A (ja) | 換気装置付き玄関扉ならびに換気パネル | |
JP4460887B2 (ja) | 自然換気装置 | |
KR102121572B1 (ko) | 방충망 또는 방진망 프레임 이탈 방지 장치 | |
WO2018176826A1 (zh) | 屏幕装置及其纱网结构 | |
JP2022132397A (ja) | 開口部建材 | |
KR102333444B1 (ko) | 전방향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초미세먼지 방진나노필터가 구비된 방충창호 | |
JP3747441B2 (ja) | 猫間障子 | |
JP4227586B2 (ja) | ガラス障子 | |
CN206651686U (zh) | 便更换式窗帘 | |
JP2015113652A (ja) | ドアおよび採光ユニット | |
TWM583887U (zh) | 通風門之防水構造 | |
CN208456434U (zh) | 一种隔音降噪型百叶窗 | |
TWM540913U (zh) | 閘門之擋板密合裝置 | |
CN220101139U (zh) | 一种单帘无机防火卷帘 | |
KR20200090994A (ko) | 롤타입의 미세먼지 필터링 클린창 | |
CN105937356A (zh) | 可遥控密封的防火门 | |
KR200329042Y1 (ko) | 휘날리지 않는 암막 블라인드 | |
JP3174281U (ja) | パンチング型スライド式折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