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517B1 -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517B1
KR102118517B1 KR1020180150864A KR20180150864A KR102118517B1 KR 102118517 B1 KR102118517 B1 KR 102118517B1 KR 1020180150864 A KR1020180150864 A KR 1020180150864A KR 20180150864 A KR20180150864 A KR 20180150864A KR 102118517 B1 KR102118517 B1 KR 10211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qp
ddsq
double
plc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수
칼페쉬 투마두 파틸
라가밴드 라오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21Cyclic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ring containing silicon, but no carbon in th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22Organic complexes
    • B01J31/2204Organic complexes the liga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complexing atoms
    • B01J31/2208Oxygen, e.g. acetylacetonates
    • B01J31/2226Anionic ligands, i.e. the overall ligand carries at least one formal negativ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01L51/009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40Organosilicon compounds, e.g. TIPS pentac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8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VIII as the central metal
    • B01J2531/82Metals of the platinum group
    • B01J2531/824Pall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9530978-pat00031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고,
R2
Figure 112018119530978-pat00032
,
Figure 112018119530978-pat00033
또는
Figure 112018119530978-pat00034
임).

Description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DOUBLE-DECKER SILSESQUIOXANE DERIVATIVE AND SYNTHESIZ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소재는 경량성, 유연성 및 대량 생산성 등을 강점으로 하여 범용소재로서 커다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소재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능동기능의 설계 및 기존 고분자의 물성적 한계로서 열적, 광학적, 기계적, 전기적 특성 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실리카(SiO2)와 같은 무기소재는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지만 유연성이 없고 성형성이 나쁘며 유기 관능기 부재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화가 불가능하다.
이에, 적절한 구조설계를 통하여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성화된 구조를 갖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신기술로써 주목받고 있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의 제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유기, 무기 단량체 또는 고분자들 서로 간의 상용성에 문제가 없어야 하며,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충족시키는 물질로서, 실록산 결합(Si-O-Si)으로 이루어진 실록산 소재들이 내열성 재료, 내후성 재료, 내충격성 재료, 포장재, 봉입재, 절연성 재료, 윤활제, 박리제, 가스 차단성 코팅제, 그리고 유연 기판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실록산 소재 중에서 (RSiO1.5)n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인 실세스퀴옥세인(silsesquioxane)은 완전히 무기 소재인 실리카와 달리 한 개의 실리콘 원소 당 한 개의 유기 관능기가 있어 이를 통하여 기능설계가 가능하며 다른 세 개의 실록산 연결기를 통하여 분자량과 가교밀도를 제어함으로서 다양한 유기용매 용해도를 설계하는 등 실리카에 비해 다양한 장점들을 가진다.
상기 실세스퀴옥세인은 규칙성의 사다리형 구조(ladder structure)외에 6, 8, 10, 12량체와 같은 바구니 구조(cage structure) 및 저분자량의 불규칙적 구조(random, branched structure)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사다리형 구조(ladder structure)의 실세스퀴옥세인은 2가지 유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하나는 선형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세인이고 다른 하나는 2개의 사다리 모양의 고리로 구성되는 더블-데크(double-decker silsesquioxane, DDSQ) 실세스퀴옥세인이다.
Kojima, Y.; Usuki, A.; Kawasumi, M.; Okada, A.; Fukushima, Y.; Kurauchi, T.; Kamigaito, O. J. Mater. Res. 1993, 8, 1185. Krishnan, S. G. P.; He, C.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5, 43, 2483. Chang, Y. T.; Shu, C. F.; Leu, C. M.; Wei, K. H.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3, 41, 3726. Phillips, S. H.; Haddad, T. S.; Tomczak, S. J. Cur. Opi. Sol. Sta. Mater. Sci. 2004, 8, 21. Kudo, H.; Yamamoto, M.; Nishikubo, T.; Moriya, O. Macromolecules 2006, 39, 1759. Hong, B.; Thoms, T. P. S.; Murfee, H. J.; Lebrun, M. J. Inorg. Chem. 1997, 36, 6146. Isayev, I. S.; Kennedy, J. P.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4, 42, 4337. Ni, Y.; Zheng, S. Chem. Mater. 2004, 16, 5141.
본 발명은 새로운 더블-데크(double-decker silsesquioxane, DDSQ)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제안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고,
R2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2
,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3
또는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4
임).
또한, 상기 R1은 메틸 또는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제안한다.
또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제안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5
.
또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제안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6
.
또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제안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7
.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a)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비닐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vinyl double decker silsesquioxanes, V.DDSQ)을 합성하는 단계;
(b) 하기 화학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광발광 화합물(photoluminescence compound)을 합성하는 단계; 및
(c)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에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비닐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과 하기 화학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광발광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8
,
[화학식 6]
Figure 112018119530978-pat00009
,
[화학식 7]
Figure 112018119530978-pat00010
,
[화학식 8]
Figure 112018119530978-pat00011
,
[화학식 9]
Figure 112018119530978-pat00012
.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고,
R2
Figure 112018119530978-pat00013
,
Figure 112018119530978-pat00014
또는
Figure 112018119530978-pat00015
임).
나아가,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발광층에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는 다양한 파장에서 우수한 발광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약 600 ℃의 고온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열 안정성을 나타내어 OLED 등 발광 소자의 발광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원 실시예에서 디비닐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V.DDSQ)과 브롬 치환된 광활성 화합물(PLC) 간의 헥 커플링 반응(heck coupling reaction)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합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디비닐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V.DDSQ)과 브롬 치환된 광활성 화합물(PLC) 간의 반응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원 실시예에서 옥타페닐디시클로옥타실세스퀴옥세인 테트라소듐 시라놀레이트(octaphenyldicyclooctasilsesquioxane tetrasodium silanolate, DDSQ-4ONa)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원 실시예에서 DDSQ-4ONa로부터 디비닐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di-vinyl double-decker silsesquioxane, V.DDSQ)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V.DDSQ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3c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V.DDSQ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3d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V.DDSQ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이다.
도 4a는 본원 실시예에서 1- 브로모피렌 (1-bromopyrene, PLC-1)을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PLC-1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4c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PLC-1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5a는 본원 실시예에서 2-(4-브로모페닐)나프탈렌 (2-(4-bromophenyl)naphthalene, PLC-2)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PLC-2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5c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PLC-2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6a는 본원 실시예에서 9-브로모-10-(나프탈렌-1-일)안트라센( 9-bromo-10-(naphthalene-1-yl) anthracene, PLC-3)을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PLC-3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6c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PLC-3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7a는 본원 실시예에서 V.DDSQ를 PLC-1과 반응시켜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DSQP-1)을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1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7c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1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7d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1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이다.
도 8a는 본원 실시예에서 V.DDSQ를 PLC-2와 반응시켜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DSQP-2)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2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8c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2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8d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2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이다.
도 9a는 본원 실시예에서 V.DDSQ를 PLC-3과 반응시켜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DSQP-3)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3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9c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3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9d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DSQP-3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된 V.DDSQ, DSQP-1, DSQP-2 및 DSQP-3 각각에 대한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DSQP-1, DSQP-2 및 DSQP-3의 PL 발광 스펙트럼이다.
도 12는 DSQP-1, DSQP-2, DSQP-3, PLC-1, PLC-2 및 PLC-3에 대한 열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결과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하의 용어 및 어구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알킬"은 노말(normal), 2급(secondary), 3급(tertiary) 또는 사이클릭 탄소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면, 알킬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즉, C1-C20 알킬),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즉, C1-C10 알킬),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즉, C1-C6 알킬)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킬기의 예는 메틸(Me, -CH3), 에틸(Et, -CH2CH3), 1-프로필(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i-Pr, i-프로필, -CH(CH3)2), 1-부틸(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i-Bu, i-부틸, -CH2CH(CH3)2), 2-부틸(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t-Bu, t-부틸, -C(CH3)3), 1-펜틸(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CH(CH3)CH2CH2CH3), 3-펜틸(-CH(CH2CH3)2), 2-메틸-2-부틸(-C(CH3)2CH2CH3), 3-메틸-2-부틸(-CH(CH3)CH(CH3)2), 3-메틸-1-부틸(-CH2CH2CH(CH3)2), 2-메틸-1-부틸(-CH2CH(CH3)CH2CH3), 1-헥실(-CH2CH2CH2CH2CH2CH3), 2-헥실(-CH(CH3)CH2CH2CH2CH3), 3-헥실(-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C(CH3)2CH2CH2CH3), 3-메틸-2-펜틸(-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CH(CH3)CH2CH(CH3)2), 3-메틸-3-펜틸(-C(CH3)(CH2CH3)2), 2-메틸-3-펜틸(-CH(CH2CH3)CH(CH3)2), 2,3-디메틸-2-부틸(-C(CH3)2CH(CH3)2), 3,3-디메틸-2-부틸(-CH(CH3)C(CH3)3, 및 옥틸(-(CH2)7CH3)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알킬 등에 관하여 "치환된"이라는 용어, 예를 들면, "치환된 알킬" 등은 각각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비(非)수소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등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치환기는 -X, -R, -O-, =O, -OR, -SR, -S-, -NR2, -N+R3, =NR, -CX3, -CN, -OCN, -SCN, -N=C=O, -NCS, -NO, -NO2, =N2, -N3, -NHC(=O)R, -C(=O)R, -C(=O)NRR -S(=O)2O-, -S(=O)2OH, -S(=O)2R, -OS(=O)2OR, -S(=O)2NR, -S(=O)R, -OP(=O)(OR)2, -N(=O)(OR)2, -N(=O)(O-)2, -N(=O)(OH)2, -N(O)(OR)(O-), -C(=O)R, -C(=O)X, -C(S)R, -C(O)OR, -C(O)O-, -C(O)O-, -C(O)SR, -C(S)SR, -C(O)NRR, -C(S)NRR, -C(=NR)NRR(여기서, 각 X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F, Cl, Br, 또는 I이고, R은 독립적으로 H, 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 또는 보호기나 전구약물 부분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옥타페닐디시클로옥타실세스퀴옥세인 테트라소듐 시라놀레이트 (DDSQ-4ONa)의 합성 단계, 상기 DDSQ-4ONa로부터 디비닐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V.DDSQ)의 합성 단계, 브롬 치환된 광활성 화합물(PLC)의 합성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헥 커플링 반응(heck coupling reaction)을 통해 상기 V.DDSQ과 상기 브롬 치환된 광발광 화합물(PLC)을 반응시켜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인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광발광 화합물(DSQP)를 얻었다.
참고로, 상기 헥 커플링 반응의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 1b를 참조하면, 헥 커플링 반응에서 촉매 사이클은 팔라듐 촉매 주위에서 일련의 변환을 수반한다. 이 반응은 팔라듐(II) 전구체, 일반적으로 팔라듐(II)아세테이트 (Pd(OAc)2)로부터 일반적으로 인시츄(in-situ)로 제조되는 팔라듐(0) 화합물에 의해 수행된다. 처음에 팔라듐(II)아세테이트는 트리페닐포스핀에 의해 환원되어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단계 A에서 산화 첨가(oxidative addition)를 따르고, 여기서 팔라듐은 아릴-브로마이드 결합에 자신을 삽입하고 알켄과 팔라듐 π-복합체를 형성한다. 단계 B에서, 알켄은 syn-addition에 의해 팔라듐-탄소 결합으로 삽입되고, 비틀림 변형(torsional strain)으로 인해 트랜스 이성질체를 전환시킨다. 단계 C에서 베타-하이드라이드 제거(beta-hydride elimination)가 일어나 팔라듐-알켄 π-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는 다음 단계에서 파괴되어 커플링 생성물을 형성한다. 팔라듐(0) 화합물은 단계 D에서 염기에 의한 팔라듐(II) 화합물의 환원 제거(reductive elimination)에 의해 재생된다.
이하, DDSQ-4ONa, V.DDSQ 및 브롬 치환된 광활성 화합물(PLC)의 합성 및 상기 V.DDSQ 및 PLC의 반응을 통한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DSQP)의 합성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옥타페닐디시클로옥타실세스퀴옥세인 테트라소듐 시라놀레이트 (octaphenyldicyclooctasilsesquioxane tetrasodium silanolate , DDSQ-4ONa)의 합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타페닐디시클로옥타실세스퀴옥세인 테트라소듐 시라놀레이트(DDSQ-4ONa)는 문헌에 보고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합성하였다. 전형적으로,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 (25.0g, 0.126mol, 1.0 당량), 이소프로필 알콜 (120㎖), 탈이온수 (2.6g, 0.138mol, 1.26 당량) 및 수산화 나트륨 (3.33g, 0.83mol, 0.66 당량)를 콘덴서 및 자기 교반기가 구비된 플라스크에 넣었다. 4시간 동안 환류한 후. 추가 15시간 동안 반응 시스템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모든 용매 및 다른 휘발성 화합물을 로터리 증발을 통해 제거하고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진공 하에 60 ℃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8.5 g, 수율 98 %).
(2) 디비닐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di-vinyl double-decker silsesquioxane, V.DDSQ)의 합성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DDSQ-4ONa (15.0g, 12.96 mmol, 1.0 당량),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mL), 트리에틸아민 (6.0mL, 38.87 mmol, 3.0 당량)을 깨끗하고 건조된 2목 플라스크 (250mL)에 넣고 온도를 -10 ℃로 유지시킨 후, 반응 플라스크에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메틸비닐디클로로실란 (2) (5.1 mL, 38.87 mmol, 3.0 당량)을 적가한 후, 반응 시스템을 0 ℃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하고,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반응을 지속시켰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염(NaCl) 및 미반응 염을 제거하고, 여과물 용매를 로터리 증발로 제거하여 백색 고상 조생성물crude product을 수득하고, 조생성물을 메탄올 (50 mL)에 분산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는 공정을 3 회 반복하고, 헥산과 디클로로메탄이 2 : 3의 비율인 혼합용매를 이용해 백색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백색 결정성 분말(6.02 g, 수율 4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7.63-7.11 (m,40H), 6.17(dd, J = 19.9, 15.1 Hz, 2H), 6.01 (dd, J = 15.2, 3.9 Hz, 2H), 5.94 (dd, J = 20.0, 4.1 Hz, 2H), 0.38 (s, 6H).; 13C NMR(100MHz, CDCl3): δ135.04, 133.85, 131.77, 130.84, 130.15, 127.48, -1.34.; IR(neat)ν max: 3069, 2957, 1595, 1428, 1263, 1080, 807, 694, 480cm-1.
(3-1) 1- 브로모피렌 (1-bromopyrene, PLC-1)의 합성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수(dry) DMF(20 mL)에 용해된 N-브로모숙신아미드N-bromosuccinamide (4) (0.92 g, 5.19 mmol, 1.05 당량)의 용액을, 무수(dry) DMF(30 mL)에 용해된 피린pyrene (3) (1.0 g, 4.9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혼합물을 물(50 mL)에 붓고 디클로로메탄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잘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담황색 고체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1-브로모피렌, PLC-1을 담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융점: 103-104 ℃ [문헌상 융점: 102-104 ℃])
1H NMR (400 MHz, CDCl3) : δ 8.36-8.23(m, 1H), 8.19-7.93(m, 6H), 7.93-7.80(m, 2H).; 13C NMR(100MHz, CDCl3): δ131.10, 130.90, 130.53, 129.95, 129.55, 128.90, 128.46, 127.63, 127.26, 127.02, 126.43, 126.24, 125.76, 125.33, 123.94, 119.87.
(3-2) 2-(4-브로모페닐)나프탈렌(2-(4-bromophenyl)naphthalene, PLC-2)의 합성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소 분위기 하에서, 1,4-디브로모벤젠 (6) (2.0 g, 8.48 mmol, 1.0 당량), 2-나프틸보론산 (5) (1.45 g, 8.48 mmol, 1.0 당량) Pd(PPh3)4 (0.34 g, 0.30 mmol, 0.03 당량), 2M K2CO3 용액 (15 mL) 및 무수 THF (15 mL)를 건조된 플라스크 (100 m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교반 하에 환류 시켰다. 반응 진행은 10% 디클로로메탄 포함 헥산을 사용하여 TLC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유기 용매를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얻어진 조 백색 고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2.10 g , 65 %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7.99-7.94(m, 1H), 7.91-7.79(m, 3H), 7.66(dd, J = 8.5, 1.8 Hz, 1H), 7.60-7.52 (m, 4H), 7.52-7.44 (m, 2H).;13C NMR(100MHz, CDCl3): δ140.06, 137.32, 133.66, 132.77, 131.99, 129.01, 128.66, 128.45, 128.23, 127.71, 127.43, 126.51, 126.36, 125.75, 125.17, 121.69.
(3-3) 9-브로모-10-(나프탈렌-1-일)안트라센( 9-bromo-10-(naphthalene-1-yl) anthracene, PLC-3)의 합성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소 분위기 하에서 9,10-디브로모안트라센 (8) (3.36 g, 10.0 mmol, 1.0 당량), 1-나프틸 보론산 (1.72 g, 10.0 mmol, 1.0 당량), Pd(PPh3)4 (0.58 g, 0.50 mmol, 0.05 당량), 물 (15 mL) 및 무수 톨루엔 (45 mL)에 용해된 K2CO3 (4.14 g, 30.0 mmol, 3.0 당량)을 건조된 플라스크 (200 m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교반 하에 환류시켰다. 반응 진행은 10% 디클로로메탄 포함 헥산을 사용하여 TLC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 (100 mL) 및 물 (10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유기 용매를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얻어진 조 백색 고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2.38 g, 62 % 수율)을 수득 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7.92(dd, J = 8.2, 2.4 Hz, 4H), 7.57 (t, J = 7.6 Hz, 2H), 7.51-7.35 (m, 7H), 7.26 (ddd, J = 8.3, 6.8, 1.3 Hz, 2H).; 13C NMR(100MHz, CDCl3): δ138.52, 133.59, 132.92, 128.20, 127.94, 126.62, 126.03, 125.86, 125.43.
(4-1) DSQP-1의 합성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된 플라스크(100mL)에 V.DDSQ (1.0g, 0.83mmol, 1.0 당량), 1-브로모 피린(PLC-1), (1.41g, 4.98mmol, 6.0 당량), 아세트산 팔라듐 (II) (0.019g, 0.083mmol, 0.1 당량) 및 트리페닐포스핀 (0.044g, 0.17mmol, 0.2 당량)을 첨가한 후, 무수 톨루엔 (20 mL) 및 트리에틸아민 (1.0mL)을 첨가하고 격렬하게 교반하고 플라스크를 질소로 30분 동안 퍼징하였다. 반응은 100 ℃에서 수행되었고, 반응 진행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TLC에 의해 모니터링 되었다. 38시간 후에 출발물질(V.DDSQ)은 사라졌으며 Rf=0.46에서 새로운 스팟을 얻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불용성 고체(즉, 트리페닐포스핀과 아세트산 팔라듐(II)의 복합체)를 제거하였다. 여액을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하고 메탄올(10 mL)에 적가하고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디클로로메탄 : 헥산 (1 : 3)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1.10 g, 수율 78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8.16-7.86(m,18H),7.64-7.17(m,40H),6.65(dd,J = 19.1, 6.4 Hz, 2H), 6.51 (t, J = 7.7 Hz, 2H), 0.50 (d, J = 6.0 Hz, 6H).; 13C NMR(100MHz, CDCl3): δ144.30, 134.84, 134.07, 132.00, 129.12, 128.40, 127.94, 127.49, 127.18, 125.26, -0.66.; IR(neat)ν max: 3043, 1593, 1427, 1260, 1077, 837, 694, 486cm-1.
(4-2) DSQP-2의 합성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된 플라스크(100mL)에 V.DDSQ (1.0g, 0.83mmol, 1.0 당량), 2-(4-브로 모페닐)나프탈렌 (PLC-2), (1.4g, 4.98mmol, 6.0 당량), 아세트산 팔라듐(II) (0.019 g, 0.083 mmol, 0.1 당량), 트리 페닐 포스 핀 (0.044 g, 0.17 mmol, 0.2 당량)을 첨가하고, 무수 톨루엔 (20 mL) 및 트리에틸아민 (1.0 mL)을 첨가하고 격렬히 교반한 후에 이 플라스크를 질소로 30분 동안 퍼징하였다. 반응은 100 ℃에서 수행되었고, 반응 진행은 일정한 간격으로 TLC에 의해 모니터링 되었다. 48시간 후. 출발물질(V.DDSQ)은 사라졌으며 Rf=0.35에서 새로운 스팟이 얻어졌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불용성 고체(즉, 트리페닐포스핀과 아세트산 팔라듐(II)의 복합체)를 제거하였다. 여액을 로타리 증발기로 농축시키고 메탄올(10 mL)에 적가하고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디클로로메탄 : 헥산 (1 : 4)을 사용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1.24 g, 수율 85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3 (d, J = 6.3 Hz, 2H), 7.89 (dt, J = 22.3, 6.8 Hz, 6H), 7.73 (t, J = 7.9 Hz, 2H), 7.59 (dd, J = 19.7, 7.7 Hz, 12H), 7.51-7.05 (m, 40H), 6.94 (q, J = 10.1, 8.8 Hz, 2H), 6.56-6.39 (m, 2H), 0.45 (d, J = 11.4 Hz, 6H).; 13C NMR(100MHz, CDCl3): δ142.34, 133.05, 131.00, 129.31, 126.32, 124.06, 122.63, -1.03.; IR(neat)ν max: 3072, 1595, 1500, 1430, 1262, 1080, 814, 696, 484cm-1.
(4-3) DSQP-3의 합성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된 플라스크 (100mL)에 V.DDSQ (1.0g, 0.83mmol, 1.0 당량), 9-브로모-10-(나프탈렌-1-일)안트라센 (PLC-3) (1.9g, 4.98mmol , 6.0 당량), 아세트산 팔라듐 (II) (0.019 g, 0.083 mmol, 0.1 당량), 트리페닐포스핀 (0.044 g, 0.17 mmol, 0.2 당량)을 첨가한 후, 무수 톨루엔 (20 mL) 트리에틸아민 (1.0 mL)을 첨가하고 격렬히 교반한 후에 이 플라스크를 질소로 30분 동안 퍼징하였다. 반응은 100 ℃에서 수행되었고, 반응 진행은 일정한 간격으로 TLC에 의해 모니터링 되었다. 40 시간 후. 출발물질(V.DDSQ)은 사라졌으며 Rf=0.25에서 새로운 스팟이 얻어졌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불용성 고체(즉, 트리페닐포스핀과 아세트산 팔라듐(II)의 복합체)를 제거하였다. 여액을 로타리 증발기로 농축시키고 메탄올(10 mL)에 적가하고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디클로로메탄 : 헥산 (1 : 2)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0.98 g, 수율 73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8.51(dd,J = 13.1, 9.3 Hz, 2H), 8.27-7.87 (m, 14H), 7.79-7.62 (m, 14H), 7.62-7.27 (m, 40H), 6.58-6.41 (m, 4H), 0.67 (d, J = 7.0 Hz, 6H).; 13C NMR(100MHz, CDCl3): δ143.40, 134.09, 132.05, 130.47, 127.71, 125.08, 124.87, 123.64, 122.69, -0.39.; IR(neat)ν max: 3071, 1594, 1430, 1262, 1077, 800, 695, 482cm-1.
상기 DSQP-1의 1H NMR 스펙트럼은 피렌, 7.8-8.2, 페닐, 7.14-7.60, C-C 이중 결합, 6.5-6.7 및 메틸, 0.48 ppm(도 7b)에 대한 신호를 나타내었다. 양성자의 적분 신호(integral signal)는 DSQP-1 구조식의 계산된 값과 정확히 동일하다. V.DDSQ의 비닐 양성자는 5.8-6.3에서 6.5-6.7로, 그리고 메틸 양성자는 0.38에서 0.48ppm으로 시프트 되며 이는 부착된 π-공액 방향족 피렌으로 인한 것이며 연속적인 커플링이 발생함을 나타내며 6.65ppm에서 양성자의 계산된 커플링 상수(J) 값은 19.1 및 6.4이며 생성물이 트랜스 이성질체임을 나타낸다. 또한, 생성물은 IR 분석(도 7d)으로부터 확인하였으며, V.DDSQ는 2957 cm-1에서 밴드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DSQP-1에서 비닐 C-H 신장이 사라졌음을 나타내며, 그리고 모든 유사한 신장 값은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연속적인 커플링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13C NMR 결과는 모든 탄소가 DSQP-1 구조와 정확히 일치함을 보여준다 (도 7c). DSQP-2 및 DSQP-3의 1H NMR, 13C NMR 및 IR 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발견되었으며, 적분 신호 또한 이들 화합물 구조의 계산된 값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실험예>
(1) 자외선 흡수 분석(UV absorption analysis)
비닐 DDSQ, DSQP-1, DSQP-2 및 DSQP-3의 농도가 0.1㎍/mL인 디클로로메탄 용액에서 UV 흡수 스펙트럼을 얻었다(도 10). 비닐 DDSQ는 200-400nm의 UV광을 스캐닝할 때 흡수를 나타내지 않지만(흑색선), 광발광 화합물을 DDSQ 부분에 결합시킨 후 스펙트럼은 DSQP-1, 2, 3 화합물의 공액 방향족 영향의 π-π* 효과로 인한 특성적인 흡수를 나타낸다. DSQP-1 UV 흡수 (적색선)는 243, 254 및 342 nm에서 3개의 최대값을 나타내지만 DSQP-2 (녹색선)는 245 ~ 350nm에서 넓은 흡수를 나타낸다. DSQP-3(청색선)은 또한 354nm에서 또 다른 최대값과 함께 240-300nm의 넓은 흡수 형태를 나타낸다. 이는 DSQP-1, 2, 3 화합물이 다양하고 넓은 여기 주파수에서 광 발광 활성을 돕는 π-π*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2) 광발광 분석(Photoluminescence analysis)
다른 여기 파장에서 측정된 고체 상태 PL 스펙트럼은 청색에서 하늘색까지의 밴드갭을 보여준다. 미세 결정성 분말을 PL 분석을 위해 취하였다. UV 스펙트럼에 따르면, DSQP-1은 240, 273 및 342 nm에서 뚜렷한 최대값을 나타내어 PL 분석을 위한 여기에 사용해 서로 다른 강도로 520 nm에서 하늘색 발광을 얻었다(도 11a). 해당 발광은 DDSQ 잔기에 부착된 방향족 피렌 화합물의 π-공액으로 인해 발생한다.
반면, 265, 295 및 325 nm에서의 여기에서 측정된 DSQP-2의 PL 스펙트럼은 410 내지 420 nm에서 청색 발광을 나타낸다. 이 효과는 벤젠과 DDSQ 잔기에 부착된 나프탈렌 벤젠 유도체의 결합으로 인한 것이다(도 11b).
유사하게, DSQP-3의 PL 스펙트럼은 271, 295, 343 nm로 여기할 때 510 nm에서 다른 강도로 하늘색 발광을 보였다. 안트라센 나프탈렌 유도체는 발광 활성을 위해 더 많은 π-π* 전자 밀집을 가지는 공액 방향족 화합물이다 (도 11c).
PL 결과는 DDSQ 결합된 PLC 화합물이 DDSQ 잔기에 부착된 PLC-1, PLC-2 및 PLC-3의 광 발광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광 발광 방출을 위한 넓은 여기 범위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은 OLED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3)열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TGA) analysis)
열중량 분석(TGA, 가열 속도 10 ℃/분, N2)을 통해 광 발광 화합물 (PLC)과 광 발광 화합물의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DSQP) 사이의 열적 특성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12). PLC-1, PLC-2, PLC-3의 5 % 중량 손실에 해당하는 분해 온도는 각각 240, 211 및 205 ℃이었고 280-340 ℃까지 점진적인 분해가 관찰되었다. 한편, 이들 PLC 화합물을 DSQP-1, DSQP-2 및 DSQP-3로 DDSQ 부분에 커플링 시킨 결과, 5 %에서의 중량 손실시의 분해 온도는 450, 420, 400 ℃이었고, 분해는 600-800 ℃에서 60 %까지 천천히 계속되었다. 따라서, PLC 화합물은 DDSQ 잔기를 가짐에 따라 주요 특성에 영항을 받지 않으면서 열 안정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를 발광층에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화학식 1]
    Figure 112019135684168-pat00068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메틸이고,
    R2
    Figure 112019135684168-pat00069
    ,
    Figure 112019135684168-pat00070
    또는
    Figure 112019135684168-pat00071
    임).
KR1020180150864A 2018-11-29 2018-11-29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1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64A KR102118517B1 (ko) 2018-11-29 2018-11-29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64A KR102118517B1 (ko) 2018-11-29 2018-11-29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517B1 true KR102118517B1 (ko) 2020-06-03

Family

ID=7108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64A KR102118517B1 (ko) 2018-11-29 2018-11-29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20656A (zh) * 2024-07-03 2024-08-02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基于芘基团修饰硅氧烷的多刺激响应发光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262A (ko) * 2016-11-15 2018-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262A (ko) * 2016-11-15 2018-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ng, Y. T.; Shu, C. F.; Leu, C. M.; Wei, K. H.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3, 41, 3726.
Hong, B.; Thoms, T. P. S.; Murfee, H. J.; Lebrun, M. J. Inorg. Chem. 1997, 36, 6146.
Isayev, I. S.; Kennedy, J. P.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4, 42, 4337.
Kojima, Y.; Usuki, A.; Kawasumi, M.; Okada, A.; Fukushima, Y.; Kurauchi, T.; Kamigaito, O. J. Mater. Res. 1993, 8, 1185.
Krishnan, S. G. P.; He, C.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5, 43, 2483.
Kudo, H.; Yamamoto, M.; Nishikubo, T.; Moriya, O. Macromolecules 2006, 39, 1759.
New J. Chem., 2017, 41, 3290-3296. *
Ni, Y.; Zheng, S. Chem. Mater. 2004, 16, 5141.
Phillips, S. H.; Haddad, T. S.; Tomczak, S. J. Cur. Opi. Sol. Sta. Mater. Sci. 2004, 8, 21.
Polymer, 2017, 109, 254-26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20656A (zh) * 2024-07-03 2024-08-02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基于芘基团修饰硅氧烷的多刺激响应发光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324B1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TWI549927B (zh) 新穎的螺聯茀化合物
CN104447582B (zh) 四苯基吡嗪小分子衍生物、四苯基吡嗪聚合物以及聚集诱导发光材料
EP3663368B1 (en) Ink composit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566961B1 (ko) 방향고리에 의해서 치환된 바이안트라센류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 사용하는 용도
JP5229520B2 (ja) 新規なベンゾジチオフェン重合体
KR102118517B1 (ko) 더블-데크 실세스퀴옥세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4408416B2 (ja) 多環縮環型π共役有機材料、およびその合成中間体、並びに多環縮環型π共役有機材料の製造方法
KR20190131823A (ko) 많은 가교 작용기를 가지는 아지드 유형의 가교제
JP2010270113A (ja) 含窒素芳香環配位子を含む金属錯体
JP7427317B2 (ja) 新規な高分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7427318B2 (ja) 新規な化合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素子
KR100235235B1 (ko) 기능성고분자 단량체로 유용한 유기실리콘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3454A (ko)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20028429A (ko)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20005338A (ko)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10026941A (ko) 유기 발광 소자
TW202007699A (zh) 新穎聚合物以及包含其的有機發光元件
WO2016008072A1 (zh) 一类dopo衍生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10698651B (zh) 一种聚集诱导红移发光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11987665B2 (en) Polym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JP5980659B2 (ja) カルバゾール基を有するポリマー、カルバゾール基を有するモノマー及び化合物
CN108178737B (zh) 4’-(4-溴萘-1-基)[1,1’-联苯基]-4-腈及其合成方法
KR102129159B1 (ko) 저색수 카바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JP2014084289A (ja) フルオレン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