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466B1 -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466B1
KR102118466B1 KR1020187028795A KR20187028795A KR102118466B1 KR 102118466 B1 KR102118466 B1 KR 102118466B1 KR 1020187028795 A KR1020187028795 A KR 1020187028795A KR 20187028795 A KR20187028795 A KR 20187028795A KR 102118466 B1 KR102118466 B1 KR 10211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xcitation source
mobile terminal
excitation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004A (ko
Inventor
디운 지앙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M1/7251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B06B1/062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on one su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G10K9/125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with a plurality of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전자 기술의 응용 분양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과, 제어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과, 상기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누설음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전자 기술의 응용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 번호가 CN201711324367.9이고, 출원일자가 2017년 12월 13일이며, 발명의 명칭이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저장 매체"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현재, 많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의 화면 점유율(즉,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면적이 해당 이동 단말기의 정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좁은 테두리의 설계 뿐만 아니라, 나아가 프레임리스(frameless)의 설계를 이용하고 있다.
전통적인 수화기의 음성 재생 기술(즉, 수화기의 진동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는 기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부에 수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부분을 남겨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화면 점유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수화기의 음성 재생 기술은, 갈수록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 기술로도 칭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표시 면적을 차지하지 않는 압전형 화면 음성 재생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해당 압전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음성 재생 기술은, 압전 세라믹스를 이용하여 전압 신호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음성을 재생하도록 압전 세라믹스에 붙여 있는 유닛(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중간 프레임)을 진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음성을 귀에 전달하는 것을 가르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압전형 화면 음성 재생 기술에 있어서, 압전 세라믹스를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시킬 경우, 압전 세라믹스에 붙여 있는 유닛도 크게 진동하게 되여, 누설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누설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양태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과, 제어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源)과, 상기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3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4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3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4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여기원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여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여기 부재의 배열 궤적은, 상기 제1 여기원의 기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여기 부재는, 모두 스트립 구조이며, 상기 복수의 여기 부재의 각각의 연장 방향은 상기 원형과 동일한 선을 이룬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여기원은 원형 또는 구형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한 일 측에는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며, 혹은 상기 하우징에는 중간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 프레임에는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1 신호 발생기와, 제1 전압 증폭기와, 제2 신호 발생기와, 제2 전압 증폭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 유닛, 상기 제1 신호 발생기, 상기 제1 전압 증폭기 및 상기 제1 여기원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닛, 상기 제2 신호 발생기, 상기 제2 전압 증폭기 및 상기 제2 여기원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세라믹스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양태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과, 상기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이하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3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4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3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4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양태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과, 상기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양태에 의하면,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명령이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경우, 처리 유닛이 제2 양태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도록 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5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2 양태의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기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저장 매체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와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가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진동파의 지속적인 전파을 억제하고, 심지어 차단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진동면적도 저감시키고, 누설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의 설명 중에서 사용될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아래 기재에서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창조적인 로동을 지불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A은, 관련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B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C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여기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D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여기 유닛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E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압전 여기 유닛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압전 여기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합병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도면들은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하는 실시예는 근근히 본 발명의 부분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창조적인 로동을 지불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는 기타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A은, 관련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00)는, 하나의 여기원(excitation source; 0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여기원(01)은, 이동 단말기(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내측 또는 중간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압전 세라믹스일 수 있다. 도 1A은, 여기원(01)이 이동 단말기(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0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정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00)에 있어서, 여기원(01)에 전압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여기원(01)은 해당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구동력을 생성한다. 해당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는, 여기원(01)을 중심으로 하여 항상 외측을 향하여 전파된다. 해당 전파 방향은 도 1A에서의 전파 방향w일 수 있다. 해당 진동 구동력의 작용 하에서, 여기원(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02)을 같이 진동하게 하며, 해당 진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02)의 부근의 공기를 함께 진동시킴으로써 음성을 생성한다.
그러나, 실제 응용에 있어서, 음성은 회절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음성은 전파 과정에서 장애물을 회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기원(01)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가 여기원(01)이 설치된 유닛(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중간 프레임 )의 에지(edge)에 전파될 경우, 해당 진동파는 해당 유닛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킨다. 이에 의해 생성된 음성은, 해당 유닛을 회절하여 계속 전파하기 때문에, 누설음의 현상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또는 오디오 재생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 전화 또는 테블릿(tablet) PV 등의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하우징(11)과, 제어 유닛(12)과,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13)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유닛(12)은, 압전 여기 유닛(13)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우징의 내부를 향한 일 측(즉,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내측)에는 압전 여기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혹은, 하우징에는 중간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중간 프레임에는 압전 여기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실제로 구현될 경우, 하우징이 프런트 커버, 중간 프레임 및 백 커버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프런트 커버에 설치될 수 있거나; 하우징이 프런트 커버 및 중간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프런트 커버에 설치될 수 있거나; 하우징이 중간 프레임 및 백 커버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중간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거나(이때의 이동 단말기는 풀 스크린의 이동 단말기이다.); 하우징이 중간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중간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이때의 이동 단말기는 풀 스크린의 이동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1B에는, 압전 여기 유닛(13)이 하우징(11)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11)에 설치되어 있는 정황을 나타낸다.
도 1C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여기 유닛(13)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압전 여기 유닛(13)은, 제1 여기원(131)과, 제1 여기원(131)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2 여기원(132)을 구비할 수 있다.
압전 여기 유닛(13)은, 압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압전 재질은, 기계적 에너지와 전기적 에너지의 상호 변환을 실현 가능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압전 재질은, 역압전 효과를 포함한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역압전 효과는, 압전 재질의 표면에 전압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해당 전압 신호가 압전 재질을 여기시켜 구동력을 생성하여 압전 재질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전 여기 유닛(13)의 압전 재질은, 주요하게 상기 역압전 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압전 재질은, 무기 압전 재질(예를 들어, 압전 결정이거나 압전 세라믹스) 혹은 유기 압전 재질(예를 들어, 압전 폴리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이동 단말기의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이의 작용은 수화기 또는 스피커 등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수화기 모드 및 스피커폰 모드인 두 개의 음성 출력 모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수화기 모드는, 이동 단말기가 압전 여기 유닛에 의하여 제1 범위 내에서 음성을 출력하는 모드로서, 핸드셋 모드라고도 칭할 수 있다. 스피커폰 모드는, 이동 단말기가 압전 여기 유닛에 의하여 제2 범위 내에서 음성을 출력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1 범위는 상기 제2 범위보다 작고, 또한 일반적으로, 수화기 모드에서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은 스피커폰 모드에서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보다 작기 때문에, 수화기 모드는 스피커폰 모드에 비해 높은 비밀성을 가지고 있다.
도 1B 및 도 1C를 동시에 참조하면, 제어 유닛(12)은, 한개 또는 복수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제어 칩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2)은, 이동 단말기(10)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131)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132)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진동파인 제1 진동파x1 및 제2 진동파x2(도 1D에서, 두 개의 진동파의 진동 방향만을 나타내고 있다.)의 진폭은,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서 합을 구할 수 있다. 제2 진동파x2의 진폭이 제1 진동파x1의 진폭보다 작을 경우, 제2 진동파는 제1 진동파의 일부를 상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진동파의 전파를 억제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진일보로,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제1 진동파의 진폭과 같을 경우, 제2 진동파는 상기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서 제1 진동파를 완전히 상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진동파의 전파를 억제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여기원(13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는,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화기 모드 하에서 음성이 정상적으로 귀에 전달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한 진동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여기원(13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외의 영역에는 제1 진동파가 제2 진동파에 의해 억제 또는 상쇄되기 때문에, 진동 감쇠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진동파가 제1 진동파의 일부를 상쇄할 경우, 상기 진동 감쇠 영역에서 전파되는 진동파의 진동 강도가 제1 진동파의 진동 강도에 비해 훨씬 작다. 상기 제2 진동파가 제1 진동파를 완전히 상쇄할 경우, 제2 여기원(132)이 차폐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1 진동파의 전파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 영역은 비진동 영역이며, 즉 진동파의 전파가 없는 영역이다.
상기의 제2 진동파가 제1 진동파의 전파를 억제 또는 차단하는 정황은, 압전 여기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유닛의 에지에 전파되는 진동파를 모두 저감(예를 들어 도 1B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11)의 에지에 전파된 진동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할 수 있어, 음성의 회절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누설음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수화기 모드 하에서의 통화의 비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D를 참조하면서, 제1 여기원(131)이 소재한 위치에서, 제1 진동파의 초기 진동 방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외측(즉, 도 1D에서 위를 향한 방향이다.)을 향하고, 또한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 전파되는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외측을 향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제1 진동파의 초기 진동 방향 및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 전파되는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내측을 향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외측을 향하는지 관계없이,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 전파되는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반대로 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진동파의 초기 진동 방향 및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서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 및 제2 여기원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양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가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여기원이 생성한 제1 진동파의 지속적인 전파를 억제하고, 심지어 차단까지 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진동면적도 저감시켜, 누설음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화기 모드에 비하여, 스피커폰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대하여, 주요하게 음성의 음량 및 전파의 범위를 고려하여야 할 뿐, 누설음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제2 여기원에 의해 생성된 진동파를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1 여기원에 의해 생성된 진동파의 전파를 촉진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131)이 제3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132)이 제4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3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제4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 있어서,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진동파인 제3 진동파y1 및 제4 진동파y2(도 1E에서는, 두 개 진동파의 진동 방향만을 나타내고 있다.)의 진폭은 합을 구할 수 있다. 제4 진동파y1의 진동 방향과 제3 진동파y2의 진동 방향이 동일할 경우, 양자의 합에 의해 제3 진동파의 전파를 촉진시키는 것을 통하여, 공기의 진폭 및 음성의 회절 현상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강도가 더욱 강하게 되고, 이의 범위가 더욱 넓게 되여, 음성의 외부 출력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여기원(13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는 진동영역이 존재하고 있고, 제2 여기원(13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외의 영역에는 제2 진동파에 의해 제1 진동파를 촉진하는 것을 통하여 진동 증폭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 증폭 영역에서 발생된 음성은, 전파범위가 더욱 넓고 음량이 더욱 높다.
또한, 도 1E를 참조하면서, 제1 여기원(131)이 소재한 위치에 있어서, 제3 진동파의 초기 진동 방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외측 (즉, 도 1E에서 위를 향한 방향이다.)을 향하고, 또한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 전파되는 진동 방향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외측을 향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제3 진동파의 초기 진동 방향 및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 전파되는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내측을 향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수직되게 외측을 향하는지 관계없이, 제2 여기원(132)이 소재한 위치에 전파되는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동일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진동파의 초기 진동 방향 및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실제로 구현될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신호 발생기(14)와, 제1 전압 증폭기(15)와, 제2 신호 발생기(16) 와, 제2 전압 증폭기(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유닛(12), 제1 신호 발생기(14), 제1 전압 증폭기(15) 및 제1 여기원(131)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통하여 제1 경로를 형성한다. 제어 유닛(12), 제2 신호 발생기(16), 제2 전압 증폭기(17) 및 제2 여기원(132)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통하여 제2 경로를 형성한다.
제어 유닛(12)은 이동 단말기가 음성 출력 모드(예를 들어, 수화기 모드 또는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제1 경로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10)가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재생 대기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통화 중의 통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신호를 제1 신호 발생기(14)에 전송한다. 해당 제1 신호 발생기(14)는,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1 전압 신호를 제1 전압 증폭기(15)에 전송한다. 제1 전압 증폭기(15)는, 해당 제1 전압 신호를 증폭시키고, 해당 증폭된 제1 전압 신호를 제1 여기원(131)에 전송한다. 제1 여기원(131)은 증폭된 제1 전압 신호를 수신한 후, 역압전 효과의 작용 하에서, 증폭된 제1 전압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진동 구동력을 생성한다.
제1 경로의 전송 과정과 유사하게, 제2 경로에서 제어 유닛(12)은 해당 이동 단말기(10)가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2 디지털 신호를 제2 신호 발생기(16)에 전송한다. 해당 제2 신호 발생기(16)가 해당 제2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2 전압 신호를 제2 전압 증폭기(17)에 전송한다. 해당 제2 전압 증폭기(17)는 해당 제2 전압 신호를 증폭시키고, 해당 증폭된 제2 전압 신호를 제2 여기원(132)에 전송한다. 제2 여기원(132)은 해당 증폭된 제2 전압 신호를 수신한 후, 역압전 효과의 작용 하에서, 해당 증폭된 제2 전압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진동 구동력를 생성한다.
또한, 동일한 음성 출력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의 동작이 동기하여 진행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이다. 음성 출력 모드가 수화기 모드일 경우, 제1 여기원(131)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구동력은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이고, 제2 여기원(132)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구동력은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이다. 이에 대응하여, 음성 출력 모드가 스피커폰 모드일 경우, 제1 여기원(131)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구동력은 상기 제3 진동 구동력이고, 제2 여기원(132)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구동력은 상기 제4 진동 구동력이다.
실제로 구현될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두 개의 서브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두 개 의 서브 제어 유닛은, 제1 신호 발생기 및 제2 신호 발생기에 일 대 일로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방안에 기초하여 간단한 변형하는 것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기술 방안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서, 압전 여기 유닛(13)의 동작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한다. 도 2B는 또 다른 압전 여기 유닛(13)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진동 구동력에 의해 제1 여기원(131)에서 생성된 진동파가 주위에 균일하게 전파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여기원(131)은, 원형 또는 구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해당 구형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실제로 구현될 경우,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기타 불규칙 형상 등을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일 수 있다. 상기 제1 여기원(13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중간 프레임의 기하 중심에 설치된다. 제2 여기원(132)은, 제1 여기원(131)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해당 제2 여기원(132)의 형상은, 도 1C에 도시한 막힌 원환 형상일 수 있다. 혹은, 해당 제2 여기원(132)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여기 부재(132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B는, 해당 제2 여기원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네 개의 여기 부재(1321)를 구비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해당 복수의 여기 부재(1321)의 배열 궤적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여기원(131)의 기하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L이다. 제2 여기원(132)이 제1 여기원(131)의 주위에서 원형 형상으로 분포될 경우, 해당 제2 여기원(132)에서 생성되는 진동파는 제1 여기원(131)에서 생성되는 진동파에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해당 복수의 여기 부재(1321)는, 모두 스트립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여기 부재(1321)의 연장 방향과 원형L이 동일한 선을 이룬다. 실제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여기 부재(1321)의 배열 궤적은, 예를 들어 타원형, 구형 또는 기타 불규칙 형상 등 형상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배열 궤적의 형상 및 제1 여기원(131)의 형상은, 공통한 기하 중심을 가지고 있는 유사한 도형일 수 있지만, 양자 간의 피치의 폭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여기원(131)과 제2 여기원(132)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실제로 구현될 경우, 제2 여기원(132) 및 제1 여기원(131) 간의 간극의 치수는, 이동 단말기의 최대 음성 출력 범위(해당 범위는, 일반적으로 제1 여기원(131)의 기하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원형의 범위이고, 이의 반경이 음성의 최대 출력 반경이다.)와 정비례의 관계를 가지고, 즉 양자 간의 간극이 크면 클수록, 이동 단말기의 최대 음성 출력 범위가 커진다. 그리고, 제1 여기원(131)의 치수도, 이동 단말기의 최대 음성 출력 범위와 정비례의 관계를 가지고, 즉 제1 여기원(131)의 치수가 크면 클수록, 이동 단말기의 최대 음성 출력 범위가 커진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제조할 때, 해당 이동 단말기가 비교적 큰 음성 출력범위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할 경우, 즉 스피커폰 모드의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게 하고자 할 경우, 제2 여기원(132) 및 제1 여기원(131) 간의 간극의 치수를 비교적 크게 설정할 수 있고(즉, 미리 설정한 간극의 역치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및/또는 제1 여기원(131)의 치수를 비교적 크게 설정할 수 있다(즉, 미리 설정된 치수의 역치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이동 단말기가 비교적 작은 음성 출력 범위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할 경우, 즉 수화기 모드의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게 하고자 할 경우, 제2 여기원 및 제1 여기원 간의 간극의 치수를 비교적 작게 설정할 수 있고(즉, 미리 설정된 간극의 역치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및/또는 제1 여기원(131)의 치수를 비교적 작게 설정할 수 있다(즉, 미리 설정된 치수의 역치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여기원(131)의 반경을 b mm로 하고, 제2 여기원의 내환(內環)의 반경을 a mm로 할 경우, a - b의 크기가 간극의 치수이고, a가 크면 클수록 및/또는 b가 작으면 작을수록, 이동 단말기의 최대 음성 출력 범위가 크게 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진동파의 전파는, 제1 여기원의 형상, 제2 여기원의 형상 및 제2 여기원의 배열 궤적 등의 요소의 영향를 받는 이외에, 제1 여기원의 재질, 치수, 두께 및 해당 제1 여기원이 설치된 유닛의 재질 등의 요소에도 관련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이 제1 여기원을 제어하여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시킬 경우, 제1 여기원(131)의 두께가 크면 클수록 해당 제1 여기원(131)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진동 구동력이 작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생성된 제1 진동파도 약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이 제1 디지털 신호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경우, 상기 요소를 진일보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 및 제2 여기원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양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파가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여기원이 생성한 제1 진동파의 지속적인 전파를 억제하고, 심지어 차단까지 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진동면적을 감소시켜, 누설음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 및 제2 여기원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양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파를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증폭시키는 것을 통하여, 제1 여기원에서 생성한 제3 진동파의 지속적인 전파를 촉진하므로써, 이동 단말기부터 출력되는 음성 강도가 더욱 강하게 되고, 이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되여, 음성의 외부 출력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과,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 및 제2 여기원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양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파가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여기원이 생성한 제1 진동파의 지속적인 전파를 억제하고, 심지어 차단까지 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진동면적을 저감시켜, 누설음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 있어서, 음성 출력 모드의 트리거(trigger) 명령을 수신한 후, 수화기 모드 또는 스피커폰 모드를 포함한 음성 출력 모드에 진입한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 과정에서, 유저가 해당 이동 단말기를 경유하여 통화 또는 오디오 재생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이를 트리거하는 것을 통하여 음성 출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한가지의 음성 출력 모드의 트리거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실체 또는 가상의 트리거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유저가 트리거 버튼을 클릭 또는 압하하면, 이동 단말기는 대응되는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여, 음성 출력 모드에 진입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통화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수화기 모드 및 스피커폰 모드의 트리거 버튼을 포함한 통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는, 유저의 선택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음성 출력 모드에 진입한다.
물론, 이동 단말기는 음성 출력 모드에 진입한 후, 음성 출력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는 위치 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위치센서는, 이동 단말기가 소정의 음성 출력 모드에 진입한 후, 사람의 얼굴 및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해당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의 역치보다 작을 경우 수화기 모드에 진입하고, 해당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의 역치 이상일 경우 스피커폰 모드에 진입한다.
단계302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한다.
단계303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이 제3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이 제4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제3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제4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의 실시 과정에 관하여, 상기 장치의 실시예에서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 및 제2 여기원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양자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가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여기원이 생성한 제1 진동파의 지속적인 전파를 억제하고, 심지어 차단까지 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진동면적을 저감시켜, 누설음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 및 제2 여기원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양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파를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증폭시킴으로써, 제1 여기원이 생성한 제3 진동파의 지속적인 전파를 촉진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강도가 더욱 강하게 되고, 이의 범위가 더욱 넓게 되여, 음성의 외부 출력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4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402), 메모리(404), 전원 어셈블리(4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 오디오 어셈블리(4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412), 센서 어셈블리(414) 및 통신 어셈블리(416)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402)는 통상적으로 장치(4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소자(4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4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4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4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4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402) 사이의 상호작용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4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되어 장치(400)의 동작을 서포트(support)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4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4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력 어셈블리(406)는 장치(4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어셈블리(4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4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는 상기 장치(400)와 유저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유저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 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는 하나의 프론트(front)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4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rear)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4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진일보 메모리(4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4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4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의 온/오프 상태,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가 장치(4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시,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 혹은 장치(4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유저와 장치(400)사이의 접촉여부, 장치(4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장치(4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정황 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4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416)는 장치(4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4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4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4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4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여, 상기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4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400)의 프로세서(4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상기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이동 단말기(4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동 단말기(400)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도록 하게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방법, 또한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제1 여기원이 제3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여기원이 제4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3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4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검토하여 본 발명을 실현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은 개시되지 않은 당업계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 예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되고 또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3)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하우징과, 제어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勵起)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과, 상기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여기원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여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여기 부재의 배열 궤적은, 상기 제1 여기원의 기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3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4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3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4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기 부재는, 모두 스트립 구조이고,
    상기 여기 부재의 각각의 연장 방향과 상기 원형이 동일한 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기원은, 원형 또는 구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향한 일 측에는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며, 혹은,
    상기 하우징에는, 중간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 프레임에는,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1 신호 발생기와, 제1 전압 증폭기와, 제2 신호 발생기와, 제2 전압 증폭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 상기 제1 신호 발생기, 상기 제1 전압 증폭기 및 상기 제1 여기원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유닛, 상기 제2 신호 발생기, 상기 제2 전압 증폭기 및 상기 제2 여기원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세라믹스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과, 상기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여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여기 부재의 배열 궤적은, 상기 제1 여기원의 기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스피커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3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4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3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3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4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4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어 있는 압전 여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압전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여기 유닛은, 제1 여기원과, 상기 제1 여기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여기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여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여기 부재의 배열 궤적은, 상기 제1 여기원의 기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화기 모드로 될 경우, 상기 제1 여기원이 제1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여기원이 제2 진동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1 진동파의 진동 방향과 상기 제2 진동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제2 진동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제2 여기원이 소재한 위치에서 반대로 되고, 또한 상기 제2 진동파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파의 진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경우, 처리 유닛이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도록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1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KR1020187028795A 2017-12-13 2018-04-10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KR102118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324367.9 2017-12-13
CN201711324367.9A CN109922413A (zh) 2017-12-13 2017-12-13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PCT/CN2018/082532 WO2019114162A1 (zh) 2017-12-13 2018-04-10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004A KR20190088004A (ko) 2019-07-25
KR102118466B1 true KR102118466B1 (ko) 2020-06-03

Family

ID=6490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795A KR102118466B1 (ko) 2017-12-13 2018-04-10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47950B2 (ko)
EP (1) EP3499854B1 (ko)
JP (1) JP6703604B2 (ko)
KR (1) KR102118466B1 (ko)
CN (1) CN109922413A (ko)
RU (1) RU2693851C1 (ko)
WO (1) WO2019114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1112B2 (en) * 2018-01-09 2021-06-29 Cirrus Logic, Inc. Multiple audio transducers driving a display to establish localized quiet zones
CN108874357B (zh) * 2018-06-06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提示方法及移动终端
KR102601564B1 (ko) * 2018-09-05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248270B (zh) * 2019-06-25 2020-07-31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空气导管耳机、电子设备及其无线通信系统
WO2021000065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降低移动终端第二壳体振动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7109552B2 (ja) * 2019-07-24 2022-07-29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デュアルパネルオーディオ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モバイル装置
CN111131975A (zh) * 2019-11-22 2020-05-0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屏幕发声设备及方法
CN113556647B (zh) * 2020-04-23 2022-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扬声器装置及其减少壳振的方法
CN113840213B (zh) * 2020-06-08 2022-1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差分驱动结构、屏幕及电子设备
CN111866672B (zh) * 2020-08-03 2021-03-30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屏幕发声装置、方法、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2261178A (zh) * 2020-09-25 2021-01-22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移动终端
CN113099364B (zh) * 2021-03-31 2022-11-22 歌尔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6320132A (zh) * 2022-09-09 2023-06-2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漏音消除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0323A1 (en) * 2013-08-01 2016-05-26 Guang 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iezoelectric Bone Conduction Receiv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199U (ko) * 1980-03-22 1981-10-21
JPS61195698U (ko) * 1985-05-27 1986-12-05
DE60202397T2 (de) * 2001-05-08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Lautsprecher und Mobilendgerät
JP2004015768A (ja) * 2002-06-12 2004-01-15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EP1507438B1 (en) * 2003-07-31 2018-03-28 Panasonic Corporatio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20100054492A1 (en) * 2008-08-29 2010-03-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eak-Tolerant Earspeakers, Rela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100194238A1 (en) * 2009-01-13 2010-08-05 Frick Michael J Serially operating multi-element piezoelectric actuator driver
KR101547639B1 (ko) * 2009-05-22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포커싱 장치 및 방법
RU88888U1 (ru) * 2009-06-10 2009-1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акуст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JP5741580B2 (ja) * 2010-07-23 2015-07-01 日本電気株式会社 発振装置
CN102637086A (zh) * 2011-02-11 2012-08-15 东莞万士达液晶显示器有限公司 触控面板
JP5667018B2 (ja) * 2011-09-06 2015-02-12 Kddi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音声伝達方法、携帯電話端末の音声伝達プログラム
JP5812925B2 (ja) * 2012-04-12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852510B2 (ja) * 2012-05-29 2016-02-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10603690B2 (en) * 2013-03-11 2020-03-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actile vibrator
CN203596899U (zh) * 2013-11-29 2014-05-14 西安康弘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压电陶瓷扬声器组合音箱及其安装结构
CN103716739B (zh) * 2014-01-06 2016-11-0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骨传导扬声器漏音的方法及骨传导扬声器
KR102229137B1 (ko)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5759641B1 (ja) * 2014-10-24 2015-08-05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装置及び電子機器
CN104935742B (zh) * 2015-06-10 2017-11-24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移动通讯终端及改善其在听筒模式下的音质的方法
WO2017069057A1 (ja) * 2015-10-22 2017-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CN106255022B (zh) * 2016-08-23 2018-08-28 常州富鸿达电子有限公司 一种压电低频大分贝值的电声组件及应用其的压电喇叭
CN206559644U (zh) * 2017-03-28 2017-10-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压电陶瓷发声模块和电子设备
CN107371109B (zh) * 2017-08-29 2020-12-0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自发声模组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0323A1 (en) * 2013-08-01 2016-05-26 Guang 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iezoelectric Bone Conduction Receiv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6561A (ja) 2020-02-27
US20190182603A1 (en) 2019-06-13
EP3499854B1 (en) 2021-03-03
WO2019114162A1 (zh) 2019-06-20
KR20190088004A (ko) 2019-07-25
CN109922413A (zh) 2019-06-21
EP3499854A1 (en) 2019-06-19
US10547950B2 (en) 2020-01-28
JP6703604B2 (ja) 2020-06-03
RU2693851C1 (ru)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466B1 (ko) 이동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CN103200501B (zh) 扬声器前腔的使用
US949684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ound generating unit with piezoelectric element configured for vibration and volume adjustment,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the electronic device
US9891815B2 (en)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three display areas
WO2013164999A1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544413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WO2012014411A1 (ja) 携帯端末装置
CN107483670A (zh) 语音辐射方法、装置及语音辐射结构及终端
JP2013150160A (ja) 携帯端末
WO2014068807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製造方法
CN112565494A (zh) 一种电子设备及用于电子设备的减震方法
JP5865774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067999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3232853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099320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242040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3236139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36546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JP6017829B2 (ja) 電子機器
JP6110078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082674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3229793A (ja) 電子機器
JP2014007444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011511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