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689B1 -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689B1
KR102117689B1 KR1020190126887A KR20190126887A KR102117689B1 KR 102117689 B1 KR102117689 B1 KR 102117689B1 KR 1020190126887 A KR1020190126887 A KR 1020190126887A KR 20190126887 A KR20190126887 A KR 20190126887A KR 102117689 B1 KR102117689 B1 KR 10211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over plate
beams
box gird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호
Original Assignee
케이플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플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플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는, 상호 이격되는 PC 박스 거더(PC BOX GIRDER)와 스틸 박스 거더(STEEL BOX GIRDE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상판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에지 빔(EDGE BEAM); 상기 한 쌍의 에지 빔 사이에서 상기 에지 빔과 이격되는 한편 서로간에도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미들 빔(MIDDLE BEAM);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에 교체할 수 있게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 간을 신축이음하면서 이물 침투를 저지시키는 복수의 러버 실(RUBBER SEAL); 및 상기 에지 빔을 상기 PC 박스 거더 또는 상기 스틸 박스 거더에 체결하는 복수의 앵커(ANCKO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RAIL JOINT FOR CONNECTING UPPER PLATES OF BRIDGE EXPANSIVELY}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부 구조, 즉 거더라고 불리는 교량 상부 구조물은 하중,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변형 발생을 없애기 위해 상부 거더끼리는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이격시켜주게 되는데, 이격된 공간에는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거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또는 고가도로 등의 연접한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 자체의 단부를 보호하면서도 교량이나 고가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장치로,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이프(Creep) 등에 의한 이동과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주로 도 1과 같은 구조의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복수 개의 핑거(50) 파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거더가 수평 방향으로 신축되어 상부 거더에 틈새(gap)가 커지더라도 차량이 원활하게 그 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도 1과 같은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가장 대표적이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차량의 충격음에 의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부 거더의 변화량을 잡아주기 위해 사용되는 도 1과 같은 구조의 종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그 변화량에만 중점을 두어 생산하기 때문에 핑거(50)들 간의 간격이 발생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차량이 진행할 때 충격음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장치 혹은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136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408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5706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25870호를 비롯해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며, 현재도 구조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교량 신축이음 기술의 경우,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데 다소 효과가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에 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136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408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5706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258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호 이격되는 PC 박스 거더(PC BOX GIRDER)와 스틸 박스 거더(STEEL BOX GIRDE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상판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에지 빔(EDGE BEAM); 상기 한 쌍의 에지 빔 사이에서 상기 에지 빔과 이격되는 한편 서로간에도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미들 빔(MIDDLE BEAM);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에 교체할 수 있게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 간을 신축이음하면서 이물 침투를 저지시키는 복수의 러버 실(RUBBER SEAL); 및 상기 에지 빔을 상기 PC 박스 거더 또는 상기 스틸 박스 거더에 체결하는 복수의 앵커(ANCK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에 의해 달성된다.
비직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에지 빔에 위치별로 용접되어 상기 PC 박스 거더 또는 상기 스틸 박스 거더에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복수의 철근; 상기 에지 빔 및 상기 미들 빔을 지지하는 서포트 빔(SUPPORT BEAM); 상기 서포트 빔의 주변에 배치되며, 각종 하중 지지와 관련된 부품이 탑재되는 컨트롤 박스(CONTROL BOX); 상기 서포트 빔의 상부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SLIDING UPPER BEARING); 및 상기 서포트 빔의 하부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과 함께 상기 서포트 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로워 베어링(SLIDING LOWER BEA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를 커버링하면서 지지하는 박스 커버 플레이트(BOX COVER PLATE); 상기 박스 커버 플레이트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 빔의 단부를 지지하는 엔드 커버 플레이트(END COVER PLATE); 상기 박스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엔드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탄성바이어스하는 컨트롤 스프링(CONTROL SPRING); 및 상기 서포트 빔의 중앙 영역을 지지하는 복수의 미들 커버 플레이트(MIDDLE COVER PL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의 상판에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부의 깊이가 인접된 것끼리 규칙적으로 다른 높낮이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설치상태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의 요부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도 2의 설치상태 이미지,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는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에지 빔(120, EDGE BEAM), 미들 빔(130, MIDDLE BEAM), 러버 실(140, RUBBER SEAL)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빔(120)은 상호 이격되는 PC 박스 거더(111, PC BOX GIRDER)와 스틸 박스 거더(112, STEEL BOX GIRDE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상판에 각각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에지 빔(120) 중 하나가 PC 박스 거더(111)에, 다른 하나가 스틸 박스 거더(112)에 결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에지 빔(120) 모두가 PC 박스 거더(111)에 결합할 수도 있고, 스틸 박스 거더(112)에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에지 빔(120)은 복수의 앵커(151, ANCHOR)에 의해 PC 박스 거더(111) 또는 스틸 박스 거더(112)에 체결될 수 있다.
에지 빔(120)에는 복수의 철근(152)이 연결된다. 복수의 철근(152)은 비직선형 형상을 가지며, 에지 빔(120)에 위치별로 용접되어 PC 박스 거더(111) 또는 스틸 박스 거더(112)에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
따라서, 에지 빔(120)은 흔들림 없이 해당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에지 빔(120)은 흔들림 없이 해당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이를 기초로 미들 빔(130)이 유격하면서 신축 이음작용을 진행할 수 있다.
미들 빔(130)은 한 쌍의 에지 빔(120) 사이에서 에지 빔(120)과 이격되는 한편 서로간에도 이격 배치되는 빔(BEAM)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에지 빔(120) 사이에 2개의 미들 빔(130)이 이격된 상태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미들 빔(130)의 개수가 1개일 수도 있고, 혹은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도면과 달리 미들 빔(130) 없이 한 쌍의 에지 빔(120)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처럼 에지 빔(120)만 적용되는 구조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러버 실(140)은 에지 빔(120)과 미들 빔(13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에지 빔(120)과 미들 빔(130)에 교체할 수 있게 결합한다.
러버 실(140)은 아래로 처진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가 에지 빔(120) 또는 미들 빔(130)의 홈(groove)에 끼워지는 형태로 적용된다. 따라서, 손상될 경우, 교체가 수월해질 수 있다.
이러한 러버 실(140)은 해당 위치에서 에지 빔(120)과 미들 빔(130) 간을 신축이음하면서 이물 침투를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러버 실(140)은 용어 그대로 고무(RUBBER)로 적용되는데, 여기서 고무란 실리콘, 우레탄 등을 모두 아우르는 용어로 간주하다. 다시 말해, 탄성이 있는 재질이라면 러버 실(140)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에지 빔(120) 및 미들 빔(130)의 주변에는 에지 빔(120) 및 미들 빔(130)을 지지하는 서포트 빔(153, SUPPORT BEAM)이 마련된다.
서포트 빔(153)의 상하부에는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155, SLIDING UPPER BEARING)과 슬라이딩 로워 베어링(156, SLIDING LOWER BEARING)이 설치된다.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155)은 서포트 빔(153)의 상부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서포트 빔(15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로워 베어링(156)은 서포트 빔(153)의 하부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155)과 함께 서포트 빔(15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 빔(153)의 주변에는 컨트롤 박스(154, CONTROL BOX)가 탑재된다. 컨트롤 박스(154)는 각종 하중 지지와 관련된 부품이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컨트롤 박스(154)에는 컨트롤 박스(154)를 커버링하면서 지지하는 박스 커버 플레이트(157, BOX COVER PLATE)가 마련된다. 박스 커버 플레이트(157)는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박스 커버 플레이트(157)의 반대편에는 서포트 빔(153)의 단부를 지지하는 엔드 커버 플레이트(158, END COVER PLATE)가 마련된다.
그리고, 박스 커버 플레이트(157)와 엔드 커버 플레이트(158) 사이에는 컨트롤 스프링(159, CONTROL SPRING)이 마련된다. 컨트롤 스프링(159)은 박스 커버 플레이트(157)와 엔드 커버 플레이트(158) 사이에서 탄성바이어스한다.
서포트 빔(153)의 중앙 영역에는 복수의 미들 커버 플레이트(161, MIDDLE COVER PLATE)가 마련되어 서포트 빔(153)의 중앙 영역을 지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역시,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경우,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미들 빔(230)만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처럼 미들 빔(230)의 양측으로 에지 빔(120, 도 4 참조)이 마련되고, 이들 사이에 신축을 위한 러버 실(140, 도 4 참조)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주변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로 대체하고 미들 빔(230)의 구조만 특정해서 설명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들 빔(230)의 상판에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부(211)가 형성된다. 소음 감소용 홈부(211)는 도시 않은 에지 빔(120, 도 4 참조)에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감소용 홈부(211)가 예컨대, 미들 빔(230)의 상판에 적용되면 이곳을 지나는 차량의 소음이 소음 감소용 홈부(211) 영역에서 소멸되거나 상쇄되기 때문에 소음 감소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역시,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8의 경우, 도 7처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미들 빔(330)만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처럼 미들 빔(330)의 양측으로 에지 빔(120, 도 4 참조)이 마련되고, 이들 사이에 신축을 위한 러버 실(140, 도 4 참조)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주변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로 대체하고 미들 빔(330)의 구조만 특정해서 설명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들 빔(330)의 상판에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부(311,312)가 형성된다. 소음 감소용 홈부(311,312)는 도시 않은 에지 빔(120, 도 4 참조)에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소음 감소용 홈부(311,312)는 직선형일 필요는 없으며, 곡선형, 아크형 등 다양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든 사항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부(311,312)의 깊이가 인접된 것끼리 규칙적으로 다른 높낮이를 이룬다. 즉, 복수의 미들 빔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 깊이의 홈부(311)와 제2 깊이의 홈부(312)가 반복적으로 교차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미들 빔의 폭 방향으로도 홈부의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미들 빔에 제1 깊이의 홈부(311)과 형성되고, 이에 인접한 미들 빔에는 제2 깊이의 홈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곳을 지나는 차량의 소음이 소음 감소용 홈부(311,312) 영역에서 소멸되거나 상쇄되기 때문에 소음 감소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차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1 : PC 박스 거더 112 : 스틸 박스 거더
120 : 에지 빔 130 : 미들 빔
140 : 러버 실 151 : 앵커
152 : 철근 153 : 서포트 빔
154 : 컨트롤 박스 155 :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
156 : 슬라이딩 로워 베어링 157 : 박스 커버 플레이트
158 : 엔드 커버 플레이트 159 : 컨트롤 스프링
161 : 미들 커버 플레이트

Claims (5)

  1. 상호 이격되는 PC 박스 거더(PC BOX GIRDER)와 스틸 박스 거더(STEEL BOX GIRDE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상판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에지 빔(EDGE BEAM);
    상기 한 쌍의 에지 빔 사이에서 상기 에지 빔과 이격되는 한편 서로간에도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미들 빔(MIDDLE BEAM);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에 교체할 수 있게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 간을 신축이음하면서 이물 침투를 저지시키는 복수의 러버 실(RUBBER SEAL); 및
    상기 에지 빔을 상기 PC 박스 거더 또는 상기 스틸 박스 거더에 체결하는 복수의 앵커(ANCKOR)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 빔과 상기 미들 빔의 상판에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부의 깊이는 상기 에지 빔과 미들 빔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각각에 대해 인접된 것끼리 규칙적으로 다른 높낮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비직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에지 빔에 위치별로 용접되어 상기 PC 박스 거더 또는 상기 스틸 박스 거더에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복수의 철근;
    상기 에지 빔 및 상기 미들 빔을 지지하는 서포트 빔(SUPPORT BEAM);
    상기 서포트 빔의 주변에 배치되며, 각종 하중 지지와 관련된 부품이 탑재되는 컨트롤 박스(CONTROL BOX);
    상기 서포트 빔의 상부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SLIDING UPPER BEARING); 및
    상기 서포트 빔의 하부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어퍼 베어링과 함께 상기 서포트 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로워 베어링(SLIDING LOWER BEA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를 커버링하면서 지지하는 박스 커버 플레이트(BOX COVER PLATE);
    상기 박스 커버 플레이트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 빔의 단부를 지지하는 엔드 커버 플레이트(END COVER PLATE);
    상기 박스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엔드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탄성바이어스하는 컨트롤 스프링(CONTROL SPRING); 및
    상기 서포트 빔의 중앙 영역을 지지하는 복수의 미들 커버 플레이트(MIDDLE COVER PLAT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6887A 2019-10-14 2019-10-14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KR10211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87A KR102117689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87A KR102117689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689B1 true KR102117689B1 (ko) 2020-06-02

Family

ID=7109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887A KR102117689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681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대호스톤 익스펜션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13A (ja) * 1999-03-09 2000-09-19 Nippon Chuzo Kk 伸縮継手装置
KR20050013621A (ko) 2002-06-25 2005-02-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블록킹 아티팩트들 검출 방법
JP2006214083A (ja) * 2005-02-01 2006-08-17 Nitta Ind Corp 道路、橋梁又は高架橋用伸縮継手
KR20080057065A (ko) 2006-12-19 2008-06-24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용 GaN 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84552A (ko) * 2007-12-06 2008-09-19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13A (ja) * 1999-03-09 2000-09-19 Nippon Chuzo Kk 伸縮継手装置
KR20050013621A (ko) 2002-06-25 2005-02-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블록킹 아티팩트들 검출 방법
JP2006214083A (ja) * 2005-02-01 2006-08-17 Nitta Ind Corp 道路、橋梁又は高架橋用伸縮継手
KR20080057065A (ko) 2006-12-19 2008-06-24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용 GaN 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84552A (ko) * 2007-12-06 2008-09-19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681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대호스톤 익스펜션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1807A1 (en) Expansion joint system using flexible moment connection and friction springs
KR102117689B1 (ko)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KR101777271B1 (ko) 교대상부 무조인트 슬래브 교량구조
JP4192225B2 (ja) せん断パネル型制震ストッパー
KR102237564B1 (ko)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JP2009228296A (ja) 橋梁の耐震補強方法
KR20150076068A (ko) 도어형(門型) 크레인의 배치 구조
KR101975259B1 (ko) 교량의 비지지점 신축이음장치
KR20150145841A (ko) 하부 소음 저감형 복합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부 구조
KR1013965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104341B1 (ko) 횡 방향 변위를 허용하는 신축 이음장치
KR100936824B1 (ko) 가설교량의 트러스구조
CN108396632A (zh) 减小pk组合梁斜拉桥辅助墩墩顶主梁负弯矩的方法
JP2006233591A (ja) 橋梁における固定支承部の支承構造及び既設橋梁の耐震補強方法
JP2001064913A (ja) ラ−メン橋脚
CN207919315U (zh) 四线高速铁路钢桁斜拉桥
KR100657172B1 (ko) 교량용 방음 터널
KR101888656B1 (ko) 사변 분리형 pc 교량
CN108149530A (zh) 一种跨座式单轨组合桥及其施工方法
JP5712843B2 (ja) 横リブの疲労向上構造および鋼床版
JP2005009312A (ja) 橋梁用伸縮装置
JP2014092000A (ja) 鋼床版および橋梁
KR102141603B1 (ko)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
JP3677573B2 (ja) 橋梁用伸縮装置
JP2017014823A (ja) 伸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