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87B1 -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87B1
KR102117487B1 KR1020180075665A KR20180075665A KR102117487B1 KR 102117487 B1 KR102117487 B1 KR 102117487B1 KR 1020180075665 A KR1020180075665 A KR 1020180075665A KR 20180075665 A KR20180075665 A KR 20180075665A KR 102117487 B1 KR102117487 B1 KR 102117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bowel
bowel dis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group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405A (ko
Inventor
김윤수
최진우
이세진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파마리서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파마리서치랩 filed Critical (주)바이오파마리서치랩
Publication of KR2019000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염증을 억제하여 염증성 장질환에서 나타나는 체중 감소, 장 길이 감소, 설사 및 혈변 증상을 완화시키고, 기존의 약물 치료제에서 나타나던 부작용이 없으므로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OMPRISING BROUSSOCHALCONE A}
본 발명은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위장관 내에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청년층부터 발병하며 복통, 발열, 설사, 하혈 등의 증상을 수반한다. 일반적으로,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과 크론병(Crohn's disease)으로 분류된다. 궤양성 대장염은 주로 대장의 점막에 원인불명의 확산성 비특이성 염증(diffuse nonspecific inflammation) 반응이 일어나 체중감소, 설사 및 혈변과 같은 증상을 수반한다(N. Engl. et al., J. Med ., 347: 417-29, 2002). 크론병은 구강에서 항문까지의 전 소화관에 비연속적으로 궤양, 섬유화, 협착과 병변이 진전되는 원인불명의 육아종성 염증성 병변을 일으켜 복통, 만성 설사, 발열, 영양장애와 같은 증상을 수반한다.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 설파살라진(sulfasalazine)이 사용되고 있지만, 구역질, 구토, 식욕감퇴, 두통, 빈혈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Pearl RK et al., Dis Colon Rectum, 29: 201-202, 1986).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N. Engl. et al., J. Med., 347: 417-29, 2002 Pearl RK et al., Dis Colon Rectum, 29: 201-202, 1986
본 발명자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브라우쏘칼콘 A가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염증을 억제시키고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염증을 억제하여 염증성 장질환에서 나타나는 체중 감소, 장 길이 감소, 설사 및 혈변 증상을 완화시키고, 기존의 약물 치료제에서 나타나던 부작용이 없으므로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실험 계획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식염수, 설파살라진 또는 브라우쏘칼콘 A를 섭취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질병 활성 지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낸 도표이다.
도 3은 식염수, 설파살라진 또는 브라우쏘칼콘 A를 섭취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장 길이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식염수, 설파살라진 또는 브라우쏘칼콘 A를 섭취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장 길이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5는 식염수, 설파살라진 또는 브라우쏘칼콘 A를 섭취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체중 변화량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은 식염수, 설파살라진 또는 브라우쏘칼콘 A를 섭취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식이 섭취량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7은 식염수, 설파살라진 또는 브라우쏘칼콘 A를 섭취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대장 조직 내 MPO 활성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8은 식염수, 설파살라진 또는 브라우쏘칼콘 A를 섭취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대장 조직을 H&E(hematoxylin & eosin)로 염색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브라우쏘칼콘 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64255331-pat00001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Ch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장형 베체트병(intestinal Bechet's disease) 및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브라우쏘칼콘 A의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실험을 계획하였다(도 1).
구체적으로, 상기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에 브라우쏘칼콘 A 시료(이하, "BA 시료")를 섭취시킨 후,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대변의 농도 및 색깔을 점수로 환산하여 질병 활성 지수(Disease Activity Index; DAI)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의 DAI가 높은 반면에, BA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의 DAI는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도 2).
또한, 상기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장을 적출하여 길이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BA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 및 항염증제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에서 나타나는 장 길이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상군과 비슷한 장 길이가 측정되었다(도 3 및 도 4).
또한, 동물 실험 시작일(0일)부터 종료일(11일)까지 1일 간격으로 체중 및 식이 섭취량을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의 체중은 크게 감소한 반면에, BA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의 체중은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보다 적게 감소하였다(도 5). 또한, BA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의 식이 섭취량은 대체적으로 정상군에 비해 증가된 식이 섭취량을 보였다. 반면에 항염증제의 부작용으로 인해 양성 대조군의 식이 섭취량은 감소하였다(도 6).
또한, 상기 적출한 장의 조직에서 염증성 지표인 MPO(Myeloperoxid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염증 반응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MPO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약 4배 정도가 높았으며, BA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은 정상군과 유사한 MPO 활성이 측정되었다(도 7).
나아가, 상기 적출한 장의 조직을 H&E(hematoxylin & eosin)로 염색한 후,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의 대장 조직은 술잔세포와 표면 상피 조직이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고, 다수의 면역세포 역시 대장 조직에 침투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BA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의 대장 조직에서는 정상군의 대장조직과 유사한 구조가 관찰되었다(도 8).
이를 통해,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기존 염증성 장질환의 약물 치료에 사용되는 설파살라진보다 우수한 염증 억제 효능을 가지며,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1 mg/kg 내지 10,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단회 또는 다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염증성 장질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 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우스에서의 궤양성 대장염 유발 및 약물 투여
7주령의 C57BL/6J 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7일 동안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시키면서 일정한 습도와 일정한 온도 및 12시간 주기로 명암이 조절되는 실험환경에 7일 동안 적응시켰다. 7일간의 적응 기간을 거친 후, 정상군, 대조군, 양성 대조군(설파살라진) 및 BA 실험군(브라우쏘칼콘 A)으로 나누었다(표 1).
그룹 식수 개체 수(n)
정상군 4
대조군 3%(w/v) DSS가 첨가된 물 4
양성 대조군(설파살라진) 4
BA 실험군(브라우쏘칼콘 A) 1
정상군은 DMSO 1 ㎖에 Koliphor EL(sigma, 미국) 9 ㎖을 섞어 BA 실험군과 동일한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실험기간 동안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였다.
대조군은 DMSO 1 ㎖에 Koliphor EL(sigma, 미국) 9 ㎖을 섞어 BA 실험군과 동일한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3일째부터 3%(w/v)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extran sodium sulfate; DSS, MP bio, 미국)을 식수에 섞어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설파살라진(sigma, 미국)을 150 mg로 정량하여 DMSO 1 ㎖에 용해시켜 SUL 용액을 제조하였다. Koliphor EL 9 ㎖을 PBS에 희석하여 10%(v/v) Koliphor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SUL 용액과 10%(v/v) Koliphor 용액 9 ㎖을 섞어 SUL 시료를 제조하였다. 그 후, SUL 시료를 양성 대조군에 100 ㎕/10 g·bw(body weight)로 정량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3일째부터 3%(w/v) 덱스트란 황산나트륨을 식수에 섞어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브라우쏘칼콘 A(천연물물질은행, 한국)를 20 mg으로 정량하여 DMSO 1 ㎖에 용해시켜 BA 용액을 제조하였다. Koliphor EL 9 ㎖을 PBS에 희석하여 10%(v/v) Koliphor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BA 용액과 10%(v/v) Koliphor 용액 9 ㎖을 섞어 BA 시료를 제조하였다. 그 후, BA 시료를 BA 실험군에 100 ㎕/10 g·bw로 정량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3일째부터 3%(w/v) 덱스트란 황산나트륨을 식수에 섞어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도 1).
실시예 2. 브라우쏘칼콘 A 섭취에 따른 질병 활성 지수( DAI ) 변화 확인
실험기간 동안 매일 1회 마우스의 배변을 유도하여 변의 외관을 관찰하고 coulter hemoccult single slides(베크만, 미국)를 이용하여 잠혈의 유무를 관찰하여 표 2의 기준에 따라 점수로 표기하였다.
점수 대변의 농도 대변의 색깔
0 보통 보통
1 조금 부드러움 갈색
2 부드러움 주황색
3 매우 부드러움 다홍색
4 묽음 빨간색
DAI(질병 활성 지수) = (대변의 농도 + 대변의 색깔)/2
상기 표 2는 DAI를 측정하기 위한 점수로 표기한 표를 나타낸 것이다.
DSS에 의해 궤양성 대장염이 유발된 마우스의 DAI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의 DAI가 높은 반면에, BA 실험군의 DAI가 대조군의 DAI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3. 브라우쏘칼콘 A 섭취에 따른 장 길이 변화 확인
11일째, 알팍산(JUROX, 호주)을 복강 내 주사하여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대장 부위 중 맹장 부위부터 항문 직전 부위까지의 대장을 적출하였다. 대장 조직의 대장 내용물을 모두 제거한 후, 일부는 병리조직용 시료로 사용하기 위해 4%(v/v) 파라포름알데하이드 고정액에 고정하였으며, 나머지 시료는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위해 -80℃ 온도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DSS에 의해 궤양성 대장염이 유발된 마우스의 장 길이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의 장 길이가 정상군의 장 길이에 비해 약 3.2 cm 정도 짧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의 장 길이는 정상군의 장 길이에 비해 약 2.8 cm 정도 짧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BA 실험군의 장 길이는 정상군의 장 길이와 비슷한 길이가 측정되었으며,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에서 나타나는 장 길이 감소가 발생하지 않았다(도 3 및 도 4).
실시예 4. 브라우쏘칼콘 A 섭취에 따른 체중 및 식이 섭취량 변화 확인
궤양성 대장염이 유발된 동물에서는 체중이 감소하므로,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증상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정상군,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BA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 시작일(0일)에 체중을 정밀 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1일 간격으로 체중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의 체중은 약 5%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의 체중은 약 15%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의 체중은 약 20% 정도 감소하였으며, BA 실험군의 체중은 약 5%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또한, 궤양성 대장염 유발 마우스의 식이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 및 대조군 비슷한 식이 섭취량을 보였으며, BA 실험군의 경우 대체적으로 정상군 보다 증가된 식이 섭취량을 보였다. 반면에 양성 대조군의 경우 식이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한 식이 섭취량 감소로 사료된다(도 6).
실시예 5. 브라우쏘칼콘 A 섭취에 따른 MPO(Myeloperoxidase) 활성변화 확인
DSS에 의해 궤양성 대장염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염증성 지표인 MPO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에서 냉동 보관한 대장 조직을 MPO colorimetric activity assay kit(sigma, 미국)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412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의 MPO 활성이 약 4배 정도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양성 대조군의 MPO 활성은 약 1.5배 정도 증가하였고, BA 실험군의 MPO 활성은 정상군의 MPO 활성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도 7).
실시예 6. 브라우쏘칼콘 A 섭취에 따른 대장 조직 내 조직학적 변화 확인
실시예 3.에서 냉동 보관한 대장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에서 48시간 고정한 후 PBS로 세척하였다. 고정된 조직을 파라핀(paraffin)에 포매한 후, 4 ㎛ 두께로 절단하여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하였다. 그 후, 염색한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대장 조직에서 술잔세포(goblet cell)의 감소와 표면 상피 조직(surface epithelium) 및 조직 전체의 손상이 확인되었고, 다수의 면역세포들이 대장 조직에 침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 대조군의 대장 조직에서 점막층(mucosa)의 구조는 일부 유지되었지만, 술잔세포와 표면 상피 조직이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의 대장 조직에서 다수의 면역세포 역시 대장 조직에 침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BA 실험군의 대장 조직에서는 조직에서 점막층(mucosa)의 구조가 유지되었으며, 정상군의 대장 조직과 유사한 구조가 관찰되었다(도 8).

Claims (3)

  1.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Ch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장형 베체트병(intestinal Bechet's disease) 및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인,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80075665A 2017-06-30 2018-06-29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17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20 2017-06-30
KR20170083320 201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405A KR20190003405A (ko) 2019-01-09
KR102117487B1 true KR102117487B1 (ko) 2020-06-02

Family

ID=6474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665A KR102117487B1 (ko) 2017-06-30 2018-06-29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71425B2 (ko)
KR (1) KR102117487B1 (ko)
WO (1) WO201900478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24A1 (ko) * 2022-02-21 2023-08-24 주식회사 힐리노엘에스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8439A (zh) * 2019-03-22 2019-05-17 遵义医科大学 补骨脂乙素在制备治疗溃疡性结肠炎药物中的应用
KR102481766B1 (ko) * 2019-07-12 2022-12-27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9746B (zh) * 2014-05-12 2016-09-14 武汉理工大学 一种构树黄酮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674621B1 (ko) * 2015-08-24 2016-11-0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CN105963284A (zh) * 2016-05-30 2016-09-28 上海中医药大学 补骨脂查尔酮及其类似物的医药用途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Pharmacology, 61(8), 939-946, 2001.*
Biomolecules & Therapeutics, 18(2), 197-204, 2010.
Phytotherapy Research, 26(1), 1-10, 20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24A1 (ko) * 2022-02-21 2023-08-24 주식회사 힐리노엘에스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788A3 (ko) 2019-02-28
KR20190003405A (ko) 2019-01-09
US11471425B2 (en) 2022-10-18
US20200138741A1 (en) 2020-05-07
WO2019004788A2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487B1 (ko)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56050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JP6529634B1 (ja) アミロイドβ分解排出促進剤
JP2011098896A (ja) 尿酸値低下用組成物
US20160067270A1 (en) Use of ginsenoside f2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KR101951403B1 (ko) 곡기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974553B2 (ja) アセトアルデヒド代謝促進剤
JP2007217366A (ja) 尿酸値降下用組成物
EP4134091A1 (en) Fraction extract of melissa officinalis leaves and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same
KR102229760B1 (ko)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 약학적 조성물
JP2018177739A (ja) Trpa1活性化剤
US20220265603A1 (en) Hepatic fibrosis-inhibiting agent and brown fat cell-activating agent containing taxifolin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TW202239401A (zh) 正丁基苯酞於促進脂肪褐變、以及預防或治療脂肪肝及相關肝病變之應用
JP2015521657A (ja) S−アリル−l−システイ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大腸炎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医薬製剤
JP2020186205A (ja) 血管拡張剤
JP2006213628A (ja) 抗ストレス剤
KR20180037496A (ko)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6863B1 (ko) 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2562B1 (ko) 선택적으로 엘엑스알-알파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23577B1 (ko)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533657A (ja) オレアノール酸アセテート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薬剤により誘発される腎臓毒性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US2022037043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mixtures of compounds and uses thereof
JP5643928B2 (ja) 抗疲労剤
WO2021112263A1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