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621B1 -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621B1
KR101674621B1 KR1020150118937A KR20150118937A KR101674621B1 KR 101674621 B1 KR101674621 B1 KR 101674621B1 KR 1020150118937 A KR1020150118937 A KR 1020150118937A KR 20150118937 A KR20150118937 A KR 20150118937A KR 101674621 B1 KR101674621 B1 KR 101674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whitening
broussochalcone
melani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택
신소라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체계를 저해하여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는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피부 미백용 화장품 또는 약학조성물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Broussochalcone A}
본 발명은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체계를 저해하여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 불리는 피부 세포에서 만들어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세포로 이동한다. 여기서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고 자유라디컬(free radical)을 제거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보호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생체 내에는 없고 다만 케라티노사이트(각질형성세포)가 표피에서 떨어져나갈 때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 제거된다.
상기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이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을 유발하여 미용상 또는 건강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레저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상기 멜라닌 생성과 소멸 사이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멜라노사이트(melanocytes)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멜라닌합성(melanogenesis)을 한다. 자외선 등의 자극은 자극호르몬계에 영향을 미쳐 뇌하수체중엽에서 멜라닌 세포 자극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분비가 많아지며 이는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멜라닌 세포 내에 포함되어 있는 티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작용으로 도파(L-dopa)로 변하고, 이어 도파옥시다제(dopaoxidase)의 작용으로 도파키논(dopa-quinone)으로 변한 후, 티로시나제 관련단백질-1(tyrosinase-related protein-1, 이하 TRP 1이라고 함)과 티로시나제 관련단백질-2(tyrosinase-related protein-1, dopachrome tautomerase, 이하 TRP 2, Dct 및 Dct/TRP 2를 혼용하여 나타냄)의 작용에 의하여 멜라닌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멜라닌은 케라티노사이트(각질형성세포)로 이동하며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하는 순환 작용을 보인다. 티로시나아제와 TRP 1 유전자의 발현에 가장 중요한 전사인자는 MITF(micriophtalmia-assoceated transcription factor)이며, 이는 멜라노사이트로의 분화활성에 의해 유도된다. 멜라노사이트의 생장과 번식, 분화를 조절하는 요소들로는 Wnt, FGF/FGF2(섬유아세포 성장인자), 골형성 단백질(BMP) 그룹, HGF(hepa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 M/CSF(mast/stem cell factor), endothelin, melanotropin 등이 있다(J. Biol. Chem ., 275, 14013, 2000, J. Cell Biol. 158:1079, 2002, Hum Mol Genet, 5:125, 2000).
Wnt는 신호전달 단백질로 배발생 단계에서 줄기세포 조절과 같은 다양한 발생과정에 관여하여, Frizzled receptor 그룹을 활성화시켜, 글리코겐 신타아제 카이네이즈 3β(GSK3β)를 통하여, β-카테닌(β-catenin)을 조절하게 된다(Development., 127:861, 2000; Curr . Biol . 12: R499, 2002). Wnt에 의해 축적된 β-카테닌은 핵 내로 이동하게 되어 LEF/TCF 전사인자와 결합하여 MITF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시키게 되고(J. Biol Chem, 272:503, 2007), 이에 따라 멜라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유도한다.
현재까지의 미백제 개발은 주로 멜라닌 생합성에서 없어서는 안 될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상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통해 멜라닌양을 줄이는 물질을 찾는 것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렇게 개발된 미백제 물질은 하이드로-퀴논, 티올(thiol), 코지산, 알부틴, 비타민 C등이 있지만 만족할만한 미백효과를 갖지 못하고 있고 오랜 기간 사용시 알레르기, 피부 흡수, 빠른 산화에 따른 색깔 변화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하여 이를 대체하는 소재를 찾고, 개발하려는 시도는 소재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식물 중에서 미백 활성 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도 계속 이루어져 왔고, 그 중 상백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09호 및 제97-021273호), 감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09호 및 제97-025601호), 작약(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11호), 계피(일본공개특허 소 63-30403호 및 평5-139954호), 고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10호), 알로에(일본공개특허 소52-44375호), 꾸지나무 추출물(Zheng ZP et al., Food cham. 106:529, 2008) 등의 다수의 식물 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이들 역시 안전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 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아직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천연에서 유래되는 효능이 뛰어난 미백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꾸지나무 추출물에는 플라본, 우라레놀, 쿼세틴, 이소리코플라보놀, 파피리플라보놀 A, 브라오소플라보놀 F, 브라우쏘칼콘 A 등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밝힌 연구에서, 플라본, 우라레놀, 쿼세틴 및 브라오소플라보놀 F는 높은 티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브라우쏘칼콘 A는 티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이 매우 낮아 미백활성을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개시하였다(Zheng ZP et al., Food cham. 106:529, 2008).
이에, 본 발명에서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체계를 저해하여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가 Wnt/β-카테닌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여 멜라닌 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멜라닌 형성 억제효과를 갖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81942824-pat00001
.
본 발명은 또한,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는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피부 미백용 화장품 또는 약학조성물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HEK293 세포주에서 브라우쏘칼콘 A에 의한 Wnt/β-카테닌 신호전달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멜라노마 세포주에서 브라우쏘칼콘 A에 의한 티로시나아제와 MITF 발현 감소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멜라노마 세포주에서 브라우쏘칼콘 A에 의한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초고속 스크리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Wnt/β-카테닌 신호전달체계를 저해하는 물질인 브라우쏘칼콘 A를 발굴하고, 브라우쏘칼콘 A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5081942824-pat0000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조성물에 함유된 브라우쏘칼콘 A는 HEK293 세포주에서 Wnt/β-카테닌 신호전달을 억제하였으며,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브라우쏘칼콘 A의 경우 기존에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멜라닌 합성저해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되어졌었다(Zheng ZP et al., Food cham. 106:529, 2008).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브라우쏘칼콘 A가 Wnt/β-카테닌 신호전달을 억제하여, 실질적으로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브라우쏘칼콘 A의 미백활성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화장료는 연고제, 팅크제, 비누, 클린싱크림, 콜드크림,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에센스, 파운데이션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한 미백용 조성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미백용 화장료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OPA 물질을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9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에 추가적으로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종류와 농도는 다양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능적 물질, 예컨대, 미백제,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여드름 방지제, 향수, 염료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미백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OPA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 활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 이외에도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0031] 비누, 트리트먼트 또는 미용액 등이 있다.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다는 것은, 그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함유한다는 의미로서, 구체적인 함량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섭취의 빈도나 섭취량, 음식물의 종류, 섭취하는 사람의 체중, 성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경구 섭취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저농도가 좋고, 음식물의 원료 등에 사용하는 경우는 고농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브라우쏘칼콘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임상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진지(lozenge),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캅셀, 시럽 또는 엘릭실제(elixirs)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될 수 있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부 외용제, 주사제 등의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있어서 브라우쏘칼콘 A의 유효투입량은 환자의 나이, 신체적 조건, 몸무게 등에 의해 다양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10 ~ 500 ㎎, 바람직하게는 50 ~ 300 ㎎의 양이 투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수회,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는 수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Wnt /β- catenin 신호전달 억제물질 스크리닝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β-catenin에 의해 반딧불 발광효소의 발현이 조절되는 TOPflash 표지 플라즈미드와 인간 Frizzled-1 (hFz-1)를 발현하는 플라즈미드가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인간배아 신장 세포인 HEK293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HEK293 표지세포). 이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2.6x105cells/m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GSK-3β는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 내에서 β-catenin의 분해를 촉진하는 단백질이다. 각 well에 GSK-3β의 저해제와 화합물을 첨가하고 15시간 후에 반딧불 발광효소 활성과 세포 생존율을 Victor-5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SK-3β의 저해제를 첨가한 경우 TOPflash 표지의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100여종의 천연물 및 유도체를 GSK-3β의 저해제와 함께 처리 후 반딧불 발광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여 GSK-3β의 저해제에 의해 활성화된 TOPflash 표지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발굴하였다.
실시예 2:브라우쏘칼콘 A의 농도에 따른 Wnt /ㅯ- catenin 신호전달억제효과 확인
브라우쏘칼콘 A (한국 한방 산업 진흥원, 한국)의 Wnt/β-catenin 신호전달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human Fz-1과 TOPFlash가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HEK293 세포주(CRL-1573)를 사용하였다,
세포들은 96 웰 플레이트에 2.6 X 105 cells/ml으로 분주하여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배지 (Hyclone, Thermo, USA)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에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한다고 알려져 있는 LiCl를 배지에 첨가하고 (20 mM) 브라우쏘칼콘 A를 최종농도가 5μM , 10μM 및 20μM이 되도록 각각 첨가하였다 15시간 후에 firefly luciferase 활성과 세포 생존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iCl을 처리하였을 경우, TOPFlash reporter 활성이 증가되었고, 브라우쏘칼콘 A를 처리하였을 경우 LiCI에 의해 활성화된 TOPFlash reporter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브라우쏘칼콘 A가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tyrosinase MITF 발현 감소효과 확인
브라우쏘칼콘 A가 B16 멜라노마 세포주에서 세포내 티로시나아제와 MITF 단백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주(ATCC CRL-6475)를 60mm 플레이트에 2 x 105 cells/ml으로 분주하고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Hyclone, Thermo, USA)에서 24시간동안 배양 후에 브라우쏘칼콘 A (5μM 및 10μM)를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한다고 알려져 있는 6-bromoindirubin-3'-oxime (BIO, Sigma, USA) (0.75 μM)와 함께 처리하였다 72시간 후에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세포내 티로시나아제와 MITF 단백질 수준을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라우쏘칼콘 A는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와 MITF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형성저해 확인
브라우쏘칼콘 A가 B16 멜라노마 세포주에서 세포내 멜라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주를 60mm plates에서 2 x 105cells/ml으로 분주하고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에서24시간동안 배양 후에 브라우쏘칼콘 A (5μM 및 10μM)를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한다고 알려져 있는 6-bromoindirubin-3'-oxime (BIO)(0.75 μM)와 함께 처리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두 번 세척한 후, RIPA 버퍼 (Tris-buffered saline, 0.5% deoxycholate, 0.1% SDS, 1% Triton X -100)로 용해시키고 10,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단백질 정량을 실시하고, 펠렛에는 1M NaOH를 넣어주고 60℃에서 2시간 동안 가용화시키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합성 멜라닌을 이용하여 얻은 검정선으로부더 멜라닌 양을 계산하고,이를 단백질 농도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16 멜라노마 세포주에서 브라우쏘칼콘 A애 의해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81942824-pat00003
    .
  2.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브라우쏘칼콘 A(Broussochalcone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81942824-pat00004
    .
  3. 삭제
KR1020150118937A 2015-08-24 2015-08-24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67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37A KR101674621B1 (ko) 2015-08-24 2015-08-24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37A KR101674621B1 (ko) 2015-08-24 2015-08-24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621B1 true KR101674621B1 (ko) 2016-11-09

Family

ID=5752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937A KR101674621B1 (ko) 2015-08-24 2015-08-24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88A3 (ko) * 2017-06-30 2019-02-28 (주)퓨젠바이오파마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1171036A (ja) * 2020-04-30 2021-11-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美白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骨形成蛋白質4抑制剤、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Pharm Res, vol.27(11), pp.1132-1135(200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88A3 (ko) * 2017-06-30 2019-02-28 (주)퓨젠바이오파마 브라우쏘칼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1471425B2 (en) 2017-06-30 2022-10-18 Biopharmaresearchlab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roussochalcone a as active ingredient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JP2021171036A (ja) * 2020-04-30 2021-11-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美白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骨形成蛋白質4抑制剤、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572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1097374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ightening skin and reducing hyperpigmentation
KR101674621B1 (ko) 브라우쏘칼콘 a를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80090122A (ko) 이소사쿠라네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1664A (ko) 디메틸제일아스테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9260A (ko)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608602B1 (ko) Ahg를 이용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10036321A (ko)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5596B1 (ko) 밀양20호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9426B1 (ko) 적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90007704A (ko)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134098A (ko)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1884B1 (ko) 코보페놀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51007B1 (ko) 루시놀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13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1868692B1 (ko) BDD(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70123B1 (ko) 잣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6021B1 (ko) 시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JP2011184354A (ja) ケラチノサイトへのメラニンの取り込みを抑制する美白剤
KR20190050353A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