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838B1 -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 Google Patents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838B1
KR102116838B1 KR1020180072899A KR20180072899A KR102116838B1 KR 102116838 B1 KR102116838 B1 KR 102116838B1 KR 1020180072899 A KR1020180072899 A KR 1020180072899A KR 20180072899 A KR20180072899 A KR 20180072899A KR 102116838 B1 KR102116838 B1 KR 102116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ire
conveyor
tire
product tag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723A (ko
Inventor
신순옥
강채오
김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컴
주식회사 화인컴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컴, 주식회사 화인컴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컴
Priority to KR102018007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8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22Handling green tyres, e.g. transferring or storing between tyre manufactur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0066Tyre quality control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린타이어의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검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그린타이어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가류기에 투입함으로써 검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린타이어를 회전위치 및 가류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회전위치로 이송된 그린타이어를 센터에 정렬하는 센터링 유닛, 회전위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업-다운 리프트 유닛, 업-다운 리프트 유닛에 탑재되어 상승시 센터에 정렬된 그린타이어를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롤러 유닛, 업-다운 리프트 유닛 중앙에 설치되어 상승시 그린타이어 내측으로 이동하여 그린타이어 회전시 그린타이어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촬영하는 촬영 유닛 및,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린타이어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롤러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제의 도포로 식별 표시가 오염되더라도 그린타이어 내측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통해 그 이미지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검출 신뢰도를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린타이어 내측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의 이미지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검출수단이 그린타이어 하부에 위치하여 제품 태그의 이미지를 검출할 경우에만 그린타이어 내측으로 상승하고, 이어서 그린타이어 하부로 원위치함으로써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린타이어를 회전시키기 전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검출수단이 그린타이어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수리 또는 점검 중에 작업자가 접근하더라도 검출에 영향을 받지 않아 수리 또는 점검작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Green tire alignment equipment using product tag inside green tire and align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린타이어의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검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그린타이어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가류기에 투입함으로써 검출 신뢰도를 기반으로 가류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 공정에 있어, 타이어를 구성하는 재료들을 성형기에 순차적으로 붙여 원통형의 그린타이어를 만드는 성형 공정과 그린타이어를 일정한 틀로 이루어진 몰드에 넣고 내·외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성능을 부여하는 가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타이어를 구성하는 재료들이 원통형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과정에서 그린타이어에 재료의 접합 부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접합 부분이 몰드의 합체 부분에 놓이는 경우 품질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가류기에 투입하기 전 그린타이어의 접합 부분이 몰드의 합체 부분에 놓이지 않도록 그린타이어를 회전시켜 접합 부분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9354호(2015. 10. 13. 공고)는 성형 공정에서 제조된 그린타이어를 가류기로 투입하기 위해 그린타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타이어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타이어의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타이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타이어의 그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위치를 정렬하는 제1 가이드 유닛; 상기 컨베이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유닛에 의해 정렬되어 이송되는 타이어를 그 이송 방향에서의 소정위치에 정렬하는 제2 가이드 유닛; 상기 컨베이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유닛에 의해 정렬된 상기 타이어를 그 트레드의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로 정렬하는 제3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3 가이드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 유닛에 의해 정렬된 타이어 상의 원주 방향 정렬을 위한 식별 표시를 판독하고, 이 판독된 식별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가이드 유닛에 전송하는 판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유닛은 상기 타이어의 이송 방향 앞쪽에서 상기 타이어와 접촉하면서 상기 타이어를 그 이송방향의 반대쪽으로 편향시키는 제1 편향 수단 및 상기 타이어의 이송 방향 뒤쪽에서 상기 타이어와 접촉하면서 상기 타이어를 그 이송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편향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타이어가 상기 제2 가이드 유닛의 상기 제1 편향 수단과 상기 제2 편향 수단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 편향 수단과 상기 제2 편향 수단에 의한 편향 작용에 의해 상기 타이어가 그 이송 방향에서의 상기 소정 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제3 가이드 유닛은, 상기 판독부가 상기 식별 표시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에 의해 그 위치가 정렬된 상기 타이어를 그 원주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판독부로부터의 상기 타이어의 원주방향에서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상기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를 정렬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타이어 정렬 장치는 그린타이어 외측면 접합 부분에 부착된 식별 표시(바코드)를 광학 스캐너로 읽어들여 판독하고, 이 판독된 식별 표시에 기초하여 그린타이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그린타이어의 외측면에 부착된 식별 표시가 타이어 제조 공정 중 이송과정에서 탈락하거나 훼손될 경우 검출 신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미검출시에는 그린타이어를 반송하여 수작업에 의해 재정렬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이어 정렬 장치는 가류 공정에서 몰드로부터 그린타이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가류기에 투입하기 전 이형제를 도포하게 되는데, 이형제를 그린타이어의 내·외측면에 모두 도포하는 제조 공정에서는 식별 표시인 바코드가 이형제에 의해 오염되어 광학 스캐너로 읽어들일 수 없게 됨에 따라 종래의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타이어 정렬 장치는 그린타이어 외측면에 부착된 식별 표시를 스캔하기 위하여 광학 스캐너의 위치가 그린타이어를 주시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상측에 설치됨에 따라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현하기가 어렵고, 수리 또는 점검 중에 그린타이어와 스캐너 사이에 작업자가 위치할 경우 식별 표시를 스캔할 수 없어 타이어 정렬 장치가 작동을 멈추는 등 수리 또는 점검 상태에서 타이어 정렬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가 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형제의 도포로 식별 표시가 오염되더라도 그린타이어 내측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통해 그 이미지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검출 신뢰도를 기반으로 가류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린타이어 내측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의 이미지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검출수단이 그린타이어 하부에 위치하여 제품 태그의 이미지를 검출할 경우에만 그린타이어 내측으로 상승하고, 이어서 그린타이어 하부로 원위치함으로써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린타이어를 회전시키기 전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검출수단이 그린타이어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수리 또는 점검 중에 작업자가 접근하더라도 검출에 영향을 받지 않아 수리 또는 점검작업이 용이한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린타이어를 회전위치 및 가류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회전위치로 이송된 상기 그린타이어를 센터에 정렬하기 위한 센터링 유닛, 회전위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업-다운 리프트 유닛, 업-다운 리프트 유닛에 탑재되어 상승시 센터에 정렬된 그린타이어를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 유닛, 업-다운 리프트 유닛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승하고 그린타이어 회전시 그린타이어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유닛 및,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린타이어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롤러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고, 그린타이어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 정지한 경우 그린타이어를 컨베이어에 내려놓도록 업-다운 리프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며, 컨베이어에 놓인 그린타이어를 가류공정으로 이송하도록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컨베이어는 회전위치에 컨베이어를 관통하는 열십자 형태의 승강통로가 형성되고, 컨베이어 프레임 하단에 폭 방향으로 베이스 판이 부착되며,
상기의 업-다운 리프트 유닛은 승강통로 상에 열십자 형태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승강통로를 따라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베이스 판에 장착되며,
상기의 롤러 유닛은 승강 프레임의 열십자 상에 각 설치되어 그린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지지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지지롤러와 구동롤러는 센터를 향해 하향 테이퍼지고, 구동롤러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촬영 유닛은 서로 반대방향의 그린타이어 내벽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비젼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구동하여 그린타이어를 회전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회전위치로 이송된 그린타이어를 센터에 정렬하는 단계, 센터에 정렬된 그린타이어를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리는 단계,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진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단계, 그린타이어 내측으로 촬영 유닛이 이동하여 그린타이어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린타이어를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단계, 그린타이어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한 경우 그린타이어를 컨베이어에 내려놓고 컨베이어를 구동하여 그린타이어를 가류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제의 도포로 식별 표시가 오염되더라도 그린타이어 내측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통해 그 이미지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검출 신뢰도의 향상으로 가류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린타이어 내측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의 이미지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검출수단이 그린타이어 하부에 위치하여 제품 태그의 이미지를 검출할 경우에만 그린타이어 내측으로 상승하고, 이어서 그린타이어 하부로 원위치함으로써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린타이어를 회전시키기 전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검출수단이 그린타이어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수리 또는 점검 중에 작업자가 접근하더라도 검출에 영향을 받지 않아 수리 또는 점검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승강 구성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센터 정렬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트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컨베이어 롤러를 생략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센터 정렬상태를 평면으로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트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롤러 유닛에 의해 그린타이어가 지지된 상태를 보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승강 구성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센터 정렬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트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보인 도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그린타이어(1)를 회전위치 및 가류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00), 회전위치로 이송된 그린타이어(1)를 센터에 정렬하기 위한 센터링 유닛(10), 회전위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업-다운 리프트 유닛(20),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에 탑재되어 상승시 센터에 정렬된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려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 유닛(30), 업-다운 리프트 유닛(20) 중앙에 설치되어 일체로 상승하고 그린타이어(1) 회전시 그린타이어(1)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크(2)를 촬영하는 촬영 유닛(40) 및,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2)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린타이어(1)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롤러 유닛(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 미부호)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센터링 유닛(10)은 회전위치로 이송된 그린타이어(1)를 센터에 정렬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00) 양측에 각 설치되는데, 선단에 롤러(11)가 취부된 4개의 암(12)이 컨베이어(100) 내측으로 회동하여 그린타이어(1)를 회전위치의 센터에 정렬하게 된다.
즉, 센터링 유닛(10)은 휴지 또는 대기상태에서 암(12)이 회전위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이고, 이송된 그린타이어(1)가 회전위치에 위치하면 암(12)이 컨베이어(100) 내측으로 회동하여 그린타이어(1)를 회전위치의 센터로 밀어 정렬시키게 된다.
물론, 센터링 유닛(10)의 암(12)은 모터 및 링크 구조에 의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은 롤러 유닛(30)을 통해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위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한다.
상기의 롤러 유닛(30)은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에 탑재되어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의 상승시 컨베이어(100)의 롤러(111) 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센터에 정렬된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려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그린타이어(1)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촬영 유닛(40)은 업-다운 리프트 유닛(20) 중앙에 설치되어 일체로 상승하고 이때 그린타이어(1) 내측을 향해 이동하여 그린타이어(1) 회전시 내벽을 촬영하게 된다.
그린타이어(1) 내벽에는 제품 이력관리 등을 위한 RFID 스티커로 이루어진 제품 테그(2)가 부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린타이어(1) 내벽에 부착되는 제품 태그(2)를 통해 그린타이어(1)의 회전각 조정을 위한 기준점을 검출한다.
여기서, 제품 태그(2)는 그린타이어(1) 내벽에 부착됨에 따라 제조 공정 중 이송과정에서 탈락하거나 훼손될 우려가 없고, 이형제의 도포로 식별 표시가 오염되더라도 그 이미지 정보를 검출할 수 있어 검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컨베이어(100)의 구동으로 그린타이어(1)가 회전위치로 이송되면, 센터링 유닛(10)에 의해 그린타이어(1)가 회전위치의 센터에 정렬된다.
회전위치에 정렬된 그린타이어(1)는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의 상승으로 롤러 유닛(30)에 의해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로부터 이격되고, 롤러 유닛(30)의 구동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업-다운 리프트(20) 유닛 상승시 촬영 유닛(40) 역시 함께 상승하여 그린타이어(1) 내측으로 이동하고, 그린타이어(1) 회전시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2)를 촬영하게 된다.
제어수단은 촬영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2)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린타이어(1)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롤러 유닛(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로써, 가류기에 투입하기 전 그린타이어(1)의 트레이드면 접합 부분이 금형의 경계선인 합체 부분에 놓이지 않도록 그 설정된 회전각으로 그린타이어(1)를 회전시켜 그린타이어 접합 부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컨베이어 롤러를 생략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그린타이어 센터 정렬상태를 평면으로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트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장치의 롤러 유닛에 의해 그린타이어가 지지된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의 컨베이어(100)는 회전위치에 컨베이어를 관통하여 열십자 형태의 승강통로(120)가 형성되고, 컨베이어(100) 프레임 하단에 폭 방향으로 베이스 판(130)이 부착된다.
상기의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은 승강통로(120) 상에 열십자 형태의 승강 프레임(21)가 설치되고, 승강통로(120)을 따라 승강 프레임(21)을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23)가 베이스 판(130)에 장착 설치된다.
상기의 롤러 유닛(30)은 승강 프레임(21)의 열십자 상에 각 배치되어 그린타이어(1)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1)와, 지지롤러(31)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린타이어(1)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롤러(31')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승강통로(120)는 베이스 판(130)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어 컨베이어(100)의 롤러를 양측으로 분할 설치하기 위한 슬롯 판(121)과, 회전위치 중간에 위치하는 롤러와 롤러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열십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의 승강으로 롤러 유닛(30)을 통해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게 되는데,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에 의해 승강 프레임(21)이 상승하면 그린타이어(1)는 롤러 유닛(30)의 지지롤러(31)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롤러(31')의 회전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상기의 롤러 유닛(30)은 지지롤러(31)와 구동롤러(31')가 회전위치의 센터를 향하여 하향 테이퍼지고, 구동롤러(31')는 그린타이어(1)를 지지한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그린타이어(1)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롤러 유닛(30)의 지지롤러(31)와 구동롤러(31')는 승강 프레임(21)의 열십자 상에 각각 설치되어 그린타이어(1)를 수평상태로 지지하게 되는데, 회전위치의 센터를 향하여 하향 테이퍼져 그린타이어(1)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고 센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촬영 유닛(40)은 서로 반대방향의 그린타이어 내벽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비젼센서(41)가 배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촬영 유닛(40)인 비젼센서(1)가 서로 반대방향의 그린타이어(1) 내벽을 촬영함으로써 제품 태그(2)를 검출하기 위한 그린타이어의 회전 변위를 최소화하여 시간 단축 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제어수단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2)의 이미지를 검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고, 롤러 유닛(30)의 구동 제어로 그린타이어(1)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한 경우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을 구동 제어하여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에 내려놓고 컨베이어(100)를 구동 제어하여 그린타이어(1)를 가류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로써, 그린타이어(1)의 트레이드면 접합 부분이 몰드 금형의 경계선인 합체 부분에 놓이지 않도록 그린타이어(1)의 회전각을 조정하여 가류기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구성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컨베이어(100)를 구동하여 그린타이어(1)를 회전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회전위치로 이송된 그린타이어(1)를 센터에 정렬하는 단계, 센터에 정렬된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리는 단계,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려진 그린타이어(1)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단계, 그린타이어(1) 내측으로 촬영유닛(40)이 이동하여 그린타이어(1)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2)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2)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린타이어(1)를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단계, 그린타이어(1)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한 경우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에 내려놓고 컨베이어(100)를 구동하여 그린타이어(1)를 가류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의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컨베이어(100)를 구동하여 그린타이어(1)를 회전위치로 이송하면, 회전위치로 이송된 그린타이어(1)는 센터링 유닛(10)을 통해 센터에 정렬된다.
센터에 정렬된 그린타이어(1)는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에 의해 상승되는데, 이때 롤러 유닛(20)을 통해 그린타이어(1)가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된다.
컨베이어(100)로부터 들어올려진 그린타이어(1)는 롤러 유닛(30)을 통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의 상승시 그린타이어(1) 내측으로 이동하는 촬영 유닛(40)을 통해 그린타이어(1)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가 촬영된다.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품 태그(2)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린타이어(1)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롤러 유닛(30)의 구동을 제어하고, 그린타이어(1)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한 경우 업-다운 리프트 유닛(20)을 하강시켜 그린타이어(1)를 컨베이어(100)에 내려놓고 컨베이어(100)의 구동으로 그린타이어(1)는 가류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로써, 가류기에 투입하기 전 그린타이어(1)의 트레이드면 접합 부분이 금형의 경계선인 합체 부분에 놓이지 않도록 그 설정된 회전각으로 그린타이어(1)를 회전시켜 그린타이어 접합 부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그린타이어
2 : 제품 태그
10: 센터링 유닛
11: 롤러
12: 암
20: 업-다운 리프트 유닛
21: 승강 프레임
23: 실린더
30: 롤러 유닛
31: 지지롤러
31': 구동롤러
40: 촬영 유닛
41: 비젼센서
100: 컨베이어
111: 컨베이어 롤러
120: 승강통로
130: 베이스 판

Claims (6)

  1. 그린타이어를 회전위치 및 가류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회전위치로 이송된 상기 그린타이어를 센터에 정렬하기 위한 센터링 유닛,
    상기 회전위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업-다운 리프트 유닛,
    상기 업-다운 리프트 유닛에 탑재되어 상승시 센터에 정렬된 상기 그린타이어를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 유닛,
    상기 업-다운 리프트 유닛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승하고 상기 그린타이어 회전시 상기 그린타이어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유닛 및,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품 태그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그린타이어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롤러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그린타이어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 정지한 경우 상기 그린타이어를 상기 컨베이어에 내려놓도록 상기 업-다운 리프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컨베이어에 놓인 그린타이어를 가류공정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회전위치에 상기 컨베이어를 관통하여 열십자 형태의 승강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하단에 폭 방향으로 베이스 판이 부착되며,
    상기 업-다운 리프트 유닛은 상기 승강통로 상에 열십자 형태의 승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통로를 따라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상기 베이스 판에 장착되며,
    상기 롤러 유닛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열십자 상에 각 배치되어 상기 그린타이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와 구동롤러는 센터를 향해 하향 테이퍼지고, 상기 구동롤러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서로 반대방향의 그린타이어 내벽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비젼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5. 삭제
  6.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정렬 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구동하여 그린타이어를 회전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회전위치로 이송된 상기 그린타이어를 센터에 정렬하는 단계,
    센터에 정렬된 상기 그린타이어를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진 그린타이어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그린타이어 내측으로 촬영유닛이 이동하여 상기 그린타이어 내벽에 부착된 제품 태그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품 태그가 검출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그린타이어를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그린타이어가 기 설정된 회전각 위치에서 정지한 경우 상기 그린타이어를 상기 컨베이어에 내려놓고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여 상기 그린타이어를 가류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방법.
KR1020180072899A 2018-06-25 2018-06-25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KR102116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99A KR102116838B1 (ko) 2018-06-25 2018-06-25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99A KR102116838B1 (ko) 2018-06-25 2018-06-25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23A KR20200000723A (ko) 2020-01-03
KR102116838B1 true KR102116838B1 (ko) 2020-05-29

Family

ID=6915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899A KR102116838B1 (ko) 2018-06-25 2018-06-25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8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4730A (zh) * 2020-08-04 2020-10-27 华南理工大学广州学院 一种轮胎对中装置及对中方法
KR102272758B1 (ko) * 2021-01-15 2021-07-05 (유) 천진기업 펠렛 코크스 성형 로울러의 베어링 분해장치용 성형 로울러 공급장치
KR20220159596A (ko) * 2021-05-26 2022-12-0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7251A (zh) * 2020-07-31 2023-05-23 米其林集团总公司 固化轮胎支撑冷却固定装置
CN115057203B (zh) * 2022-06-29 2023-07-28 三一机器人装备(西安)有限公司 一种自选择避障对中装置及生产线
CN117718243B (zh) * 2024-02-07 2024-04-12 常州市威博称重设备系统有限公司 一种轮胎胎胚生产用智能称重系统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7567B2 (ja) 1989-09-01 1997-08-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種別読取り装置付き離型剤塗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914A (ja) * 1991-10-04 1993-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イヤと識別管理方法と符号の形成方法
KR101039799B1 (ko) * 2009-10-27 2011-06-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 투입 자동화장치
KR101179182B1 (ko) * 2010-12-07 2012-09-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7567B2 (ja) 1989-09-01 1997-08-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種別読取り装置付き離型剤塗布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4730A (zh) * 2020-08-04 2020-10-27 华南理工大学广州学院 一种轮胎对中装置及对中方法
KR102272758B1 (ko) * 2021-01-15 2021-07-05 (유) 천진기업 펠렛 코크스 성형 로울러의 베어링 분해장치용 성형 로울러 공급장치
KR20220159596A (ko) * 2021-05-26 2022-12-0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 공급 시스템
KR102549538B1 (ko) 2021-05-26 2023-06-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23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838B1 (ko)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JP4641859B2 (ja) ガラス板収納用箱状容器の位置調整装置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US20200299118A1 (en) Transport apparatus
JP2008247558A (ja) 物品搬送装置
US20190382213A1 (en) Stocker
JP4889381B2 (ja) 支持リムへのタイヤの芯合わせ方法および装置
WO2023071832A1 (en) Leveling device, modular clean room and the docking method of modular cleanroom
KR102413317B1 (ko) 자동반송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430980B1 (ko) 자동반송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337563B1 (ko) 감지유닛을 이용하여 매니퓰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장치
KR20200014966A (ko) 마스크 보관장치
KR101559354B1 (ko) 타이어의 정렬 장치
KR20180064120A (ko) 카세트 정렬 유닛
KR101932388B1 (ko) 목재 이송 방법
KR102174721B1 (ko) 변속기 조립 공정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KR100462793B1 (ko) 스크린 프린터에서의 패턴 얼라인을 위한 자재 세팅장치및 그 방법
JP5695390B2 (ja) タイヤ製造装置
JP6938700B2 (ja) 無人搬送車
KR101397106B1 (ko) 기판 정렬 시스템
JP2019142681A (ja) ネスティング状態解除装置
KR102291013B1 (ko) 기판 정렬 장치
KR0153868B1 (ko)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KR20060071217A (ko) 환봉소재의 자동 공급시스템
JP6697623B1 (ja) 無人搬送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