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66B1 -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66B1
KR102116366B1 KR1020180120524A KR20180120524A KR102116366B1 KR 102116366 B1 KR102116366 B1 KR 102116366B1 KR 1020180120524 A KR1020180120524 A KR 1020180120524A KR 20180120524 A KR20180120524 A KR 20180120524A KR 102116366 B1 KR102116366 B1 KR 102116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rotating part
rotating
plat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515A (ko
Inventor
최선교
홍순문
이재학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테크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06Supporting devices f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제1축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1회전부로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2축을 구비하는 제1회전부; 상기 제1회전부와 결합하는 제2회전부로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3축을 구비하는 제2회전부; 및 상기 제2회전부와 결합하는 제3회전부로서, 상기 제3회전부는 상기 제3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워크피스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프가 고정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제3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상기 제2축 및 상기 제3축은 서로 직교한다.

Description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POSTURE OF CLAMP}
이하, 실시예들은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크피스(workpiece)가 설계 의도에 맞게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검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인 검사 시스템에서, 워크피스를 검사할 때 검사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워크피스를 고정하는 클램프의 위치 및 자세가 고정되어야 한다. 다만, 워크피스의 실제 치수와 설계 치수 사이에 제작 공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클램프의 위치 및 자세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워크피스를 조립, 수리 등을 하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워크피스가 최종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그 품질이 감소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981호, 클램핑 장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워크피스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프의 자세를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제1축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1회전부로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2축을 구비하는 제1회전부; 상기 제1회전부와 결합하는 제2회전부로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3축을 구비하는 제2회전부; 및 상기 제2회전부와 결합하는 제3회전부로서, 상기 제3회전부는 상기 제3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워크피스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프가 고정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제3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상기 제2축 및 상기 제3축은 서로 직교한다.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축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구멍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구멍 부분을 통과하며 상기 제1회전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제1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축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구멍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구멍 부분을 통과하며 상기 제2회전부를 상기 제1회전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멍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 부재가 위치하는 호 형상의 복수 개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롯들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일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3축을 구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회전부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중공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상기 중공 부분을 상기 샤프트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워크피스를 고정하는 클램프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워크피스의 제작 공차에 따라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워크피스의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워크피스의 검사 중 검사자와 클램프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가 사용되는 검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의 작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워크피스(workpiece)"는 제조 공정 중에 있거나,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조립 전의 제품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가 사용되는 검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시스템(1)은 복잡한 형상을 구비하는 워크피스(O)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제작되었는지 워크피스(O)의 수치 등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 시스템(1)은 워크피스(O)의 검사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10), 작업대(10)에 설치되고 워크피스(O)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프(20) 및 작업대(10)에 설치되고 클램프(20)를 지지하며 클램프(20)의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30)는 베이스(310), 제1회전부(320), 제2회전부(330) 및 제3회전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0)는 작업대(10)(도 1 참조)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310)는 클램프(20)(도 1 참조) 및 장치(3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에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10)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 플레이트 형상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310)는 제1축(A1)(도 4 참조)을 구비하는 제1개구(312) 및 제2개구(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312) 및 제2개구(314)의 위치, 크기 등은 베이스(310)에 결합되는 제1회전부(320)의 형상 등에 맞게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부(320)가 베이스(310)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 제1개구(312)와 제2개구(314) 사이의 거리가 제1회전부(320)의 회전 반경으로서 고려되고, 제2개구(314)는 제1개구(312)와 제2개구(314) 사이의 거리를 회전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 상에 위치하도록 제1개구(312) 및 제2개구(314)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제1회전부(320)는 베이스(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베이스(3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회전부(320)는 제2회전부(330)를 지지하기에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부(320)는 베이스(310)에 평행한 평행 플레이트(322) 및 베이스(310)에 대해 수직한 수직 플레이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320)의 평행 플레이트(322)의 하부에는 베이스(310)의 제1개구(312)와 결합 가능한 제1커플러(32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평행 플레이트(322)는 평행 플레이트(322)를 관통하는 제1 구멍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 부분의 형상, 종류 등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멍 부분은 호 형상의 제1슬롯(3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플러(3221) 및 제1슬롯(3223)의 위치, 형상 등은 베이스(310)의 제1개구(312) 및 제2개구(314)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슬롯(3223)의 길이는 제1회전부(32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평행 플레이트(322) 및 수직 플레이트(3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310)의 제1개구(312)는 제1회전부(320)의 제1커플러(3221)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커플러(3221)는 제1개구(312)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310)의 제2개구(314)는 제1회전부(320)의 제1슬롯(3223)과 정렬될 수 있다. 제1회전부(320)가 베이스(31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제2개구(314)는 제1슬롯(3223)의 경로 상에 위치하며 제1슬롯(3223)과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회전부(320)를 베이스(310)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회전한 후, 제1슬롯(3223)을 통해 제1 고정 부재(3225)를 제2개구(314)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회전부(320)를 베이스(3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회전부(320)의 수직 플레이트(324)의 전방에는 제2회전부(330)의 제5개구(3321)와 결합 가능하며 제2축(A2)(도 4 참조)을 구비하는 제2커플러(32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플레이트(324)는 제3개구(3243) 및 제4개구(32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개구(3243) 및 제4개구(3245)의 위치는 제1회전부(320)에 대한 제2회전부(330)의 회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커플러(3241)와 제3개구(3243) 사이의 거리 및 제2커플러(3241)와 제4개구(3245)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고, 이 거리들이 제2회전부(330)의 회전 반경으로서 고려되며, 이 거리들을 회전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 상에 제3개구(3243) 및 제4개구(3245)가 위치될 수 있다.
제2회전부(330)는 제1회전부(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제1회전부(3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회전부(330)는 제1회전부(320)에 대해 회전하며 제3회전부(340)를 지지하기에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부(330)는 제1회전부(320)의 수직 플레이트(324)에 평행한 회전 플레이트(332) 및 회전 플레이트(332)에 대해 수직한 프레임(33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332)는 너비가 큰 제1부분 및 너비가 좁은 제2부분을 가지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332)는 제1회전부(320)의 제2커플러(3241)와 결합 가능한 제5개구(3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5개구(3321)는 회전 플레이트(332)의 회전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332)는 회전 플레이트(332)를 관통하는 제2 구멍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멍 부분의 형상, 종류 등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멍 부분은 제5개구(3321)를 중심으로 설정 거리로 호 형상을 이루는 제2슬롯(3323) 및 제3슬롯(33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개구(3321), 제2슬롯(3323) 및 제3슬롯(3325)의 위치, 형상 등은 제1회전부(320)의 제2커플러(3241), 제3개구(3243) 및 제4개구(3245)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슬롯(3323)은 제3개구(3243)가 제2슬롯(3323)의 경로 상에 있으며 제2슬롯(3323)과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제3슬롯(3324)은 제3슬롯(3325)의 경로 상에 있으며 제3슬롯(3325)과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슬롯(3323) 및 제3슬롯(3325)의 길이는 제2회전부(33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슬롯(3323) 및 제3슬롯(3325)은 제5개구(3321)를 중심으로 대칭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2회전부(330)를 제1회전부(320)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회전한 후, 제2슬롯(3323) 및/또는 제3슬롯(3325)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부재(3324, 3326)를 제3개구(3243) 및/또는 제4개구(3245)에 결합시킴으로써, 제2회전부(330)를 제1회전부(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334)은 회전 플레이트(332)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된 제1아암(3341)과 제2아암(3343) 및 제1아암(3341)의 단부와 제2아암(3343)의 단부에 연결되며 제3축(A3)(도 4 참조)을 구비하는 샤프트(334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345)는 제3회전부(3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3회전부(340)는 제2회전부(3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제2회전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회전부(340)는 제2회전부(330)에 대해 회전하며 클램프(20)(도 1 참조)를 지지하기에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회전부(340)는 길쭉한 형상의 플레이트(342)의 중간 부분이 폴딩(folding)되어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나뉘고,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에 각각 굴곡부(344)가 형성되며, 굴곡부(344)를 중심으로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관통하는 체결공들(3421, 3423, 3425, 3427)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들(3421, 3423, 3425, 3427) 중 상부에 있는 체결공들(3421, 3423)은 클램프(2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하부에 있는 체결공들(3425, 3427)은 플레이트(342)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342)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의 각각의 굴곡부(344)가 만나 이루는 중공 부분은 샤프트(3345)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 중공 부분이 샤프트(3345)와 결합할 때, 플레이트(342)의 하부에 있는 체결공들(3425, 3427)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고정 부재(3426, 3428)는 플레이트(342)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단단하게 고정시켜 중공 부분이 샤프트(3345)와 단단히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고정 부재(3426, 3428)의 고정 방식은 볼트-너트 고정 방식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의 작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310)가 작업대(10)(도 1 참조)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320)가 제1축(A1)(e.g. 3차원 공간 상의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2회전부(330)가 제2축(A2)(e.g. 3차원 공간 상의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3회전부(340)가 제3축(A3)(e.g. 3차원 공간 상의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축(A1), 제2축(A2) 및 제3축(A3)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1회전부(320)의 회전은 제1회전부(320)가 베이스(31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고, 제2회전부(330)의 회전은 제2회전부(330)가 제1회전부(32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고, 제3회전부(340)의 회전은 제3회전부(340)가 제2회전부(33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사용자는 제1회전부(320), 제2회전부(330) 및/또는 제3회전부(340)를 각각의 축(A1, A2, A3)에 대해 회전시킨 후, 제1회전부(320)를 베이스(310)에, 제2회전부(330)를 제1회전부(320)에, 제3회전부(340)를 제2회전부(330)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원하는 클램프(20)(도 1 참조)의 자세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5)

  1. 제1축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1회전부로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2축을 구비하는 제1회전부;
    상기 제1회전부와 결합하는 제2회전부로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3축을 구비하는 제2회전부; 및
    상기 제2회전부와 결합하는 제3회전부로서, 상기 제3회전부는 상기 제3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워크피스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프가 고정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제3회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베이스에 평행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평행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에 수직한 수직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부의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평행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한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아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아암으로부터 상기 제3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아암; 및
    상기 제1아암의 단부 및 상기 제2아암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축을 구비하는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3회전부는
    길쭉한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이 폴딩되어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으로 나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중공 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굴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회전부는
    상기 한 쌍의 굴곡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클램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상부 체결공; 및
    상기 한 쌍의 굴곡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전방 부분 및 상기 후방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하부 체결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상기 제2축 및 상기 제3축은 서로 직교하는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축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구멍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구멍 부분을 통과하며 상기 제1회전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제1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축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구멍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구멍 부분을 통과하며 상기 제2회전부를 상기 제1회전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 부재가 위치하는 호 형상의 복수 개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롯들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체결공을 통과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부분 및 상기 후방 부분을 고정시켜 상기 중공 부분을 상기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KR1020180120524A 2018-10-10 2018-10-10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KR10211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24A KR102116366B1 (ko) 2018-10-10 2018-10-10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24A KR102116366B1 (ko) 2018-10-10 2018-10-10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15A KR20200040515A (ko) 2020-04-20
KR102116366B1 true KR102116366B1 (ko) 2020-05-28

Family

ID=7046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524A KR102116366B1 (ko) 2018-10-10 2018-10-10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5616A (ja) * 2009-06-29 2011-01-13 Wang Denghong Cnc工作機械用工具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2457A (en) * 1982-08-27 1985-03-05 Raul C. Montoya Universal multiple angle work piece holder with multiple tool conversion features
KR100999627B1 (ko) 2008-07-17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5616A (ja) * 2009-06-29 2011-01-13 Wang Denghong Cnc工作機械用工具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15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1765B2 (en) Workpiece-holding tools and techniques
US9370828B2 (en) Adjustable doweling jig
US10864624B2 (en) Device for angularly precise machining of a workpiece by a tool guided on a guide rail
CN105444644A (zh) 检测装置
JP2009090320A (ja) 三次元配管組立装置
US20080148587A1 (en) Pine fitters square
KR102116366B1 (ko) 클램프 자세 조절 장치
TW202028691A (zh) 運動量測方法及其系統
EP2861367A1 (en) Adjustable doweling jig
JP2003057026A (ja) プローブのアライメント調整装置、その装置を備えた測定機およびプローブの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
JP4104761B2 (ja) ヒンジ装置
KR100914842B1 (ko) 리테이너바 마킹 및 정도 체크용 치구
JP3226885B2 (ja) 振動試験用治具
JP6463070B2 (ja) クランク式駆動装置
JPS5857686B2 (ja) 三次元測定機の測定方法及びその測定方法用基準点ブロツク
JP2015155826A (ja) 2軸ジンバルの零点調整装置及び方法
CN203696507U (zh) 一种轴向对称工件加工夹具
KR102570260B1 (ko) 위성체 추력기 얼라인먼트 측정용 미러 정밀 고정 및 회전장치
JP4163095B2 (ja) 組立治具及び翼前縁部組立方法
CN218364250U (zh) 一种可旋转通用治具
JP2002172486A (ja) 3軸ポジショナ
CN218954413U (zh) 调节装置、检测设备及机器人
CN217930044U (zh) 多轴机床精度标定基准球及精度检验装置
JPH0592381A (ja) ロボツトの機械原点検査治具
JP2007047021A (ja) 平坦度計測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