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060B1 - 유도형 부품 및 유도형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형 부품 및 유도형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060B1
KR102114060B1 KR1020180160738A KR20180160738A KR102114060B1 KR 102114060 B1 KR102114060 B1 KR 102114060B1 KR 1020180160738 A KR1020180160738 A KR 1020180160738A KR 20180160738 A KR20180160738 A KR 20180160738A KR 102114060 B1 KR102114060 B1 KR 102114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magnetic core
coil body
section
insula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277A (ko
Inventor
스파쓰 크리스토프
호프바우어 조하네스
필슬 라이너
Original Assignee
수미다 컴포넌트 앤드 모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다 컴포넌트 앤드 모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수미다 컴포넌트 앤드 모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Magnetic co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1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01F41/022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by winding the strips or ribbons around a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일 양태에 따르면, 유도형 부품을 제공하며, 유도형 부품은, 자기 코어(10),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자기 코어(10)가 내부에 수용되는 절연체(20).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이 권취된 코일 본체를 포함한다. 절연체(20)는, 적어도 두 개의 기계적으로 연결된 절연 벽 섹션(22, 24)을 포함하며, 이러한 절연 벽 섹션들의 각각은 자기 코어의 각 측면 섹션(14, 1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한다. 코일 본체는, 코일 본체의 측면 섹션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 및 절연체(20) 내에 수용된 자기 코어(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자기 코어 수용부를 포함한다. 접촉 요소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의 측면 섹션(14)은 절연체(20)의 절연 벽 섹션(2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Description

유도형 부품 및 유도형 부품의 제조 방법{INDUCTIV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DU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유도형 부품 및 유도형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초소형 유도형 부품에 대한 절연 요구사항의 준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와 초크 등의 유도형 부품은 복수의 응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응용분야들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유도형 부품들이 특히 가스 방전 램프 또는 필터 초크용 점화 변압기로서 사용되는 자동차의 전자 시스템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발전된 자동차 전자 장치의 광범위한 개발로 인해 전자 부품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점화 시스템 또는 주입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엔진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사용되는 기구 클러스터로서, 차량, 안티락 브레이킹 시스템과 차량 동역학 제어 시스템, 에어백 제어, 차체 제어 유닛, 운전자 보조 시스템, 차량 경고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장치, 예컨대, 네비게이션 시스템, TV 튜너 등에 사용하기 위한 전자 부품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발전의 결과로 자동차 내의 전자 장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예를 들어, 점점 더 광범위하고 복잡한 전자 시스템이 자동차에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차량 설계를 통해 자동차에 주어진 설치 공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자 부품의 크기를 추가로 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견고성, 온도 범위(예를 들어, -40℃ 내지 약 120℃의 온도 범위에서의 작동성 보장), (차량 동작 중의 흔들림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 및 충격에 대한 내성 등에 관하여 추가 요구가 자동차의 전자 시스템에 있으며, 이에 따라, 가능한 최장 기간에 걸쳐 매우 다양한 조건과 상태에 대해 전자 시스템의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소정의 설치 공간, 예컨대, 전자 부품이 부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의 캐리어 상에서 전자 부품이 점유할 수 있는 최대 장착 영역인 소정의 장착 영역에 부합하도록 특히 전자 부품들의 더욱 소형의 구조적 설계에 중점을 두는 부품 크기에 관한 응용분야 관련 조건에 더하여, 일반적으로 특정된 안전 표준은, 전자 부품의 성능과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예를 들어, 균일한 최소 안전 표준을 실현하기 위한 안전 표준은, 특정된 공기 경로와 누설 경로의 준수 및 특정된 절연 내력의 준수와 같이 전자 부품이 충족해야 하는 절연 요구 사항을 특정한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공기 경로는, 두 개의 전도성 부분 사이의 최단 거리, 특히, 공기를 통해, 오목부와 갭에 걸쳐, 그리고 지하로의 임의의 갭 없이 전체 영역에서 연결되지 않은 절연 부착부를 통해 가로지르는 가능한 최단 연결부로서 정의된다. 공기 경로는 특히 인가되는 전압에 의존하며, 전자 부품은 사전 정의된 과전압 카테고리에 할당된다. 이러한 점에서 고려해야 하는 과전압은, 외부로부터 연결부(예를 들어, 전자 부품의 연결 단자)를 통해 전자 부품에 진입하는 과전압, 및 전자 부품 자체에서 생성되고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이다. 미리 정의된 공기 경로는, 공기를 통한 가능한 최단 연결부에 걸쳐 전압 항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기 경로는 공기 중의 가능한 최대 전계를 제한하므로, 항복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누설 경로는, 두 개의 전위 사이에 배치된 절연 물질의 표면을 통한 두 개의 전위 간의 가능한 최단 연결부이다. 누설 경로는, 일반적으로 전자 부품의 유효 동작 전압에 의존하며, 예를 들어, 오염 정도 및/또는 절연 물질의 표면의 습윤 정도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절연 물질의 트래킹 저항은, 수분 및/또는 오염의 영향 하에 있는 절연 물질의 표면의 절연 저항에 의해 결정되며, 표준화된 테스트 조건 하에 정의된 테스트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누설 전류를 정의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트래킹 저항은, 본질적으로 물의 흡수 능력 및 열 응력 하에서의 절연 물질의 거동에 의존한다.
또한, 절연 거리는 절연 물질의 강도로서 이해되므로, 이 값은 절연 물질의 절연 내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공기 경로, 누설 경로, 및 절연 거리를 요구하는 안전 표준으로부터, 제약은, 전자 부품의 치수에 따라, 전압 항복(예를 들어, 전기 아크. 또는 스파크) 및/또는 누설 전류가 잠재적 안전 위험이 되지 않도록 충분한 절연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전기 아크 또는 스파크 형태의 전압 항복은 폭발 방지의 관점에서 피해야 하는 한편, 누설 전류는 누설 전류 소스와 접촉하는 사용자의 안전에 위험한 것이다.
상기 설명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미리 정의된 경로/거리보다 짧은 공기 경로 및/또는 누설 경로 및/또는 절연 거리를 제공하지 않고서 미리 정의된 안전 표준을 지키면서 작은 설치 공간에 장착하기 위한 소형 구조 설계를 갖는 유도형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도형 부품을 제공하며, 유도형 부품은, 자기 코어,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자기 코어가 내부에 수용되는 절연체,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inding)이 권취된 코일 본체를 포함한다. 절연체는 적어도 두 개의 절연 벽 섹션을 포함하고, 이러한 절연 벽 섹션들은, 서로 연결되고, 자기 코어의 각 측면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한다. 코일 본체는, 코일 본체의 측면 섹션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 및 절연체 내에 수용되는 자기 코어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자기 코어 수용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의 측면 섹션은, 절연체의 절연 벽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제공된 절연체가 적어도 두 개의 기계적으로 연결된 절연 벽 섹션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절연체의 이들 절연 벽 섹션 중 하나는, 유도형 부품의 접촉 요소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 측면 섹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고, 충분히 긴 공기 경로 및 누설 경로를, 유도형 부품의 치수와는 독립적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보장한다.
본 양태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요소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의 측면 섹션은 절연 벽 섹션에 의해 완전히 커버된다. 이러한 식으로 누설 전류를 매우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유리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체와 코일 본체는 연결 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식으로, 절연체와 코일 본체는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서, 유도형 부품의 모듈화 및 공기 경로와 누설 경로의 개조가능한 적응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더욱 유리한 추가 발전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절연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요소 및 코일 본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연결 요소는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한다. 절연체와 코일 본체의 이러한 유형의 기계적 연결을 통해, 절연체와 코일 본체의 신뢰성 있는 장착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더욱 유리한 다른 추가 발전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절연체와 코일 본체를 기계적으로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형 부품의 누설 경로 연장부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개별 부품들의 교환 및 개조가 가능하다.
본 양태의 유리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체는 적어도 세 개의 절연 벽 섹션에 의해 한정되며, 이들 절연 벽 섹션은, 자기 코어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포트(pot) 형상 또는 컵 형상을 절연체가 갖도록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적 설계를 갖는 절연체는,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의 포트 형상 또는 컵 형상은, 코어가 절연체 내에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방식으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리한 추가 발전에 따르면, 오목부의 깊이는 자기 코어의 높이 치수 이상일 수 있고, 이 높이 치수는, 자기 코어가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자기 코어에 대하여 정의된다. 이는, 또한, 오목부의 깊이에 따라, 자기 코어의 전체 높이 치수를 따른 공기 및 누설 경로의 길이를 특정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초소형 유도형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유리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체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웹 섹션은, 절연 벽 섹션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에 대면하고, 절연 벽 섹션의 법선 방향을 따라 절연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웹 섹션에 의해, 한편으로는 절연체의 기계적 안정성을 달성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웹 섹션에 의해 공기 및 누설 경로가 측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리한 추가 발전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은, 코일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며 코일 본체에 형성된 각 위치설정 개구 내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측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코일 본체 상의 절연체의 기계적으로 재현가능한 위치설정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코일 본체에 대한 절연체의 기계적 끼움에 관한 이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식으로 코일 본체 상의 자기 코어의 정확한 위치설정 및 이에 따란 코일 본체 위의 제공되는 와인딩에 대한 자기 코어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리한 다른 추가 발전에 따르면, 코일 본체의 측면 섹션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요소를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의 두 개의 와이어 섹션이,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의 대향측들 상에서 그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을 따라 접촉 요소들의 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웹 섹션에 의해 와이어 섹션들의 기계적 분리를 달성할 수 있어서, 두 개의 와이어 섹션 간의 공기 및 누설 경로들이 웹 섹션에 의해 연장된다.
이러한 제1 양태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형 부품은 코일 본체의 측면 섹션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로서, 측면 섹션이,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일 본체측 상에 배치되는, 추가 접촉 요소, 추가 자기 코어, 및 추가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추가 절연체는 적어도 두 개의 절연 벽 섹션을 포함하고, 이들 절연 벽 섹션은, 서로 연결되고, 추가 자기 코어의 각 측면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대면하며, 추가 절연체는, 절연체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코일 본체 상에 배치되고, 추가 절연체 내에 수용되는 추가 자기 코어는 자기 코어 수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에 대면하는 추가 자기 코어의 측면 섹션은, 추가 절연체의 절연 벽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이러한 식으로, 미리 정의된 절연 거리를 충족시키면서 두 개의 개별 자기 코어로 이루어지는 유리한 코어 설계를, 유도형 부품의 치수와는 무관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리한 추가 발전에 따르면, 두 개의 자기 코어의 각각은 E 코어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양태에 따라 유도형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을 코일 본체 상에 권취하는 단계, 및 자기 코어를 절연체 내에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자기 코어가 내부에 수용된 절연체를 권취된 코일 본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자기 코어는 코일 본체의 자기 코어 수용부 내에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 이점과 특징을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자기 코어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도 1a에 따른 절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권취된 코일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유도형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절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절연체를 포함하는 유도형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제1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형 부품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형 부품(100)을 도시한다. 도 1a에서, 도 1d의 유도형 부품(100)의 절연체(20)가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서는, 자기 코어(10)를 갖는 절연체(20)가 여기에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자기 코어(10)가 절연체(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1c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이 제공된 도 1d의 유도형 부품(100)의 코일 본체(30)가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20)는, 절연 벽 섹션들(22, 24, 26)로 구성되고, 절연 벽 섹션들(22. 24, 26)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자기 코어(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치수화된 수용 유닛(25)을 정의한다(도 1b 참조). 또한, 절연체(20)는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7)을 포함하고,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7)은, 자기 코어(10)의 형상에 따라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7)은 선택적이며 생략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이하에서 도 1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지 L 형상이거나 단지 하나의 절연 벽 섹션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7)에 의해, 자기 코어(10)가 절연체(20) 내에 안정적인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형상은 자기 코어(10)에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내부에는,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7)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도 1a에 따른 표현 예에서, 이들 개구는 보이지 않지만, 개구가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7) 중 하나에 대하여 점선으로 도 1a에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하부측 절연 벽 섹션이 개구를 갖지 않는 판형 본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절연 벽 섹션들(24, 26)은,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법선 방향을 따라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과 이러한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으로부터 돌출되는 절연 벽 섹션(24, 26)에 의해 수용 유닛(25)이 정의된다. 절연체(20)는,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에 대향하는 측 및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절연 벽 섹션(24)에 대향하는 측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절연체(20)의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에 대향하는 측이, 거기에 제공되는 절연 벽 섹션(도시 생략)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베이스 영역보다 작은 영역, 예컨대,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에 대향하는, 이러한 베이스 영역의 크기의 최대 절반인 영역을 갖는 절연 벽 섹션(도시하지 않음)이 U 형상 절연 벽 섹션(24)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절연 벽 섹션(도시하지 않음)은, 예를 들어, 자동화 생산 공정에 있어서 이송 장치(도시하지 않음) 상의 흡입 포트에 대해 체결할 수 있는 "픽 앤드 플레이스 캡"(pick and place cap)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은 절연 벽 섹션들(26)과 절연 벽 섹션(2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절연 벽 섹션(24)은,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에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측 절연 벽 섹션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멀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어서, 절연 벽 섹션(22)은, 절연 벽 섹션(26)의 연장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절연 벽 섹션들(26)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 1a의 표현 예에 따르면, 절연 벽 섹션들(24)은 높이(H24)를 갖고, 절연 벽 섹션들(26)은 각각 높이(H26)를 갖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7)은 높이(H24) 또는 높이(H26)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높이(H24)까지는,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법선 방향에 대한) 절연 벽 섹션(24)의 높이 치수에 따라 수용 유닛(25)의 깊이가 결정된다.
절연 벽 섹션들(24, 26)은 도 1a에 따른 표현 예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절연 벽 섹션들(24, 26, 27)은 상이한 높이 치수를 가질 수 있고, 절연 벽 섹션들(26)의 높이 치수(H26)는 여기에서 절연 벽 섹션(24)의 높이 치수(H24)보다 작다.
절연체(20)는 절연 벽 섹션(24)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웹 섹션(28)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두 개의 웹 섹션(28)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절연 벽 섹션(24)을 따라 임의의 수의 웹 섹션(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의 웹 섹션(도 1d 참조, 여기에 도시된 절연체는 하나의 웹 섹션(28)만을 가짐) 또는 두 개를 초과하는 웹 섹션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웹 섹션(28)은 생략될 수도 있다.
웹 섹션들(28)은, 절연 벽 섹션(24)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연 벽 섹션으로부터 절연 벽 섹션(24)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8a)를 갖는다. 웹 섹션들(28)은,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하부를 따라 절연체(2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둘출부(28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b와 관련하여, 이제 자기 코어(10)가 절연체(20) 내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표현 예에 따르면, 자기 코어(10)는, 두 개의 측면 레그(Sa, Sb)와 중간 레그(Sc)를 갖는 E 형상 자기 코어(10)의 형태로 구성되며, 이들 레그는, 측면 레그(Sa, Sb)와 중간 레그(Sc)에 대하여 가로질러 배향된 횡단 요크(Sd)에 의해 연결된다. 도시된 표현 예에 따르면, 자기 코어(10)는, 횡단 요크(Sd)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면서 측면 레그(Sa, Sb)의 중간 레그(Sc)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높이(H10)를 갖는다.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자기 코어(10)는 대안으로 C 형상 또는 I 형상 자기 코어(도시하지 않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체(20)의 하부측 절연 벽 섹션은, 이러한 코어 형상으로 맞춰져야 하며, U 형상 절연 벽 섹션(27)을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도 1a와 도 1b로부터 알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체(20)는 자기 코어(10)에 따라 구성되어, 자기 코어(10)가 절연체(20)의 수용 유닛(25) 내에 수용된다. 특히, (수용 유닛(25)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 치수(H24, H26)는, H10≤H24 및 H10≤H26 이도록 자기 코어(10)의 높이 치수(H10)로 맞춰진다. 특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예가 여기에 제공되는데, 즉, (a) H10 = H24 = H26, (b) H10 = H26 < H24, (c) H10 < H26 = H24, 및 (d) H10 < H26 < H24이다.
수용 유닛(25)의 전술한 깊이 및 자기 코어(10)의 전술한 높이 치수에 따르면, 자기 코어(10)가 절연체(20) 내에 수용된 도 1b에 도시한 자기 코어 상태에서, 자기 코어(10)의 횡단 요크(Sd)의 측면(14)이 절연 벽 섹션(24)에 대면하고, 자기 코어(10)의 높이 치수(H10)를 따른 자기 코어(10)의 측면 섹션(14)이 절연 벽 섹션(24)에 의해 커버되는 것(H10 ≤ H24)을 보장한다. 이는, 절연 벽 섹션(24) 내에 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경우 자기 코어(10)의 측면 섹션(14)이 절연 벽 섹션(24)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커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이러한 개구는, 예를 들어, 하부측 절연 벽 섹션의 법선 방향을 따라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서브섹션에 의해 절연 벽 섹션(24)이 형성되는 경우에, 자기 코어(10)의 측면 섹션(14)을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계속 도 1b를 참조하여, 웹 섹션(28)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절연 벽 섹션(24)의 법선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웹 섹션들(28) 중 하나의 웹 섹션의 돌출부(28a)는 절연 벽 섹션(24)으로부터 돌출 높이(HT)만큼 돌출된다. 또한, 웹 섹션들(28)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의 법선 방향을 따라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으로부터의 돌출 높이(HS)를 갖는 돌출부(28b)에 의해 절연체(20)의 밑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웹 섹션들(28) 중 적어도 하나는, 절연 벽 섹션들(22, 24) 상에 형성된 L 형상 웹 구성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표현 예와는 달리, 웹 섹션들(28)의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은, 절연 벽 섹션(24)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의 웹에 의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이 경우 HS = 0). 이하에서는, 웹 섹션(28)의 기능을 도 1c와 도 1d에 대한 적절한 지점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이 권취된 코일 본체(3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1차 와인딩과 2차 와인딩은, 변압기의 경우에 제공된다(1차 및 2차 와인딩은 도 1c와 도 1d에 따른 개략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대안으로, 하나의 와인딩만이 예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c와 도 1d에 도시된 코일 본체(30)는, U 형상 접촉 핀(50a, 50b)의 형태인 접촉 요소에 의해 도 1d와 도 1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SMD 장착을 위해 구성되고 용이하게 특히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는 코일 본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코일 본체(30)의 SMD 설계 대신, 그 대안으로 코일 본체가 스루홀 장착을 위한 THT 코일 본체로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접촉 요소는, 도시된 U 형상 접촉 핀(50a. 50b) 대신 L 형상 접촉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표현 예에 따르면, 코일 본체(30)는,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 챔버(34)가 위에 제공되는 자기 코어 수용부(32)을 포함한다. 코일 본체(30)의 자기 코어 수용부(32)의 대향 단부들에는, 자기 코어 수용부(3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스트립들(36a, 36b)이 배치된다. 접촉 핀들(50a, 50b)에 대응하는 접촉 요소들은 접촉 스트립들(36a, 36b) 내에 수용되어, 일련의 접촉 핀(52a, 52b)이 자기 코어 수용부(3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접촉 스트립(36a, 36b)의 단부면(37a, 37b)으로부터 돌출된다. 접촉 핀(52a, 52b)에는, 와인딩(W1)의 와이어 단부 섹션(Wa, Wb)의 일부 연결부(Aa, Ab)에 기초하여 도 1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랩 연결부(wrap connection)가 부착된다. 와이어 단부 섹션(Wa, Wb)은, 코일 본체(30)의 접촉 스트립(36b) 아래의 접촉 핀(52b)으로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핀(Pb)에 기초하여 와인딩(W1)을 접촉 핀(52b)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접촉 핀(5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단부 섹션(Wb)의 연결부(Ab)는, 여기서,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접촉 핀(Pb)을 와이어 단부 섹션(Wb)으로 감거나 와이어 단부 섹션(Wb)을 접촉 핀(Pb) 등에 솔더링하여 연결부(Ab)를 형성함으로써, 접촉 핀(Pb)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50a)으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코일 본체(30)의 추가 측면 섹션(37a)에 부착되고, 상기 추가 측면 섹션(37a)은, 접촉 핀들(50b)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촉 요소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측면 섹션들(37a, 37b)은 코일 본체(30)의 대향측들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1c의 표현 예에 따르면, 코일 본체(30)의 와인딩 챔버(34)는, 연결 섹션(36c)에 대한 법선 방향을 따라 연결 섹션(36c)으로부터 돌출되는 와인딩 챔버 섹션들(34a, 34c)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연결 섹션(36c)은 접촉 스트립들(36a, 36b)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접촉 스트립(36a, 36b)과 연결 섹션(36c)은 여기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스트립(36a, 36b)과 연결 섹션(36c)은 문자 H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벽 섹션(34b)은 연결 섹션(36c)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벽 섹션(34b)은 와인딩 챔버 섹션들(34a, 34c)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자기 코어 수용부(32)는, 와인딩 챔버 섹션(34a, 34c), 연결 섹션(36c), 및 연결 섹션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 섹션(34b)에 의해 둘러싸인다.
예시적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c에 명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형상 돌출부들(Fa, Fb)은 자기 코어 수용부(32)의 대향하는 단부 섹션들에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 형상 돌출부들(Fa, Fb)은 자기 코어 수용부(32)를 따라 와인딩 챔버를 한정한다. 따라서, 와인딩 챔버(34)에서 적어도 와인딩(W1)이 권취된 코일 본체(30)는 접촉 스트립들(36a, 36b) 사이에 코일을 제공한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하나 이상의 와인딩(W1)의 개별 와인딩 섹션들을 서로 분리하도록 파티션(도시하지 않음)이 와인딩 챔버(34)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접촉 스트립(36a)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8a)가 예를 들어 슬롯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38a)는, 접촉 핀(52a)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접촉 스트립(36a)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38a)는, 접촉 스트립의 전체 두께를 따라 접촉 스트립(36a)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1d의 표현 예에서 접촉 스트립의 두께 d를 참조한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접촉 스트립(36b)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8b)(예를 들어, 도 1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개구)가 예를 들어 슬롯의 형태로 형성되었을 수 있다. 개구(38b)는, 접촉 핀(52b)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접촉 스트립(36b)을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38b)는, 접촉 스트립의 전체 두께를 따라 접촉 스트립(36b)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1d의 표현 예에서 접촉 스트립의 두께 d를 참조한다).
예시적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접촉 스트립(36a. 36b)의 개구(38a, 38b)는 각각의 이웃하는 접촉 요소들, 예컨대, 접촉 핀들(50a, 50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대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하나의 접촉 스트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요소들, 예컨대, 각 스트립(36a, 36b)의 접촉 핀들(50a, 50b)은, 각 개구(38a. 38b)에 의해 집적 요소들의 서브 그룹들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세분화의 정도는 각각의 경우의 사용에 의존한다. 접촉 스트립들(36a, 36b) 중 하나의 접촉 스트립에 형성된 개구의 수는, 접촉 스트립들(36a, 36b) 중 나머지에 형성된 개구의 수와 다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개구의 수는 절연체(20) 상에 형성된 돌출부(28b)의 수와 관련된다(도 1a와 도 1b를 참조한다).
제1 실시예의 예시적인 일례에서, 돌출부(28b)의 높이(HS)는 접촉 스트립의 두께(도 1d의 d 참조) 이하이다. 절연체(20)는 이러한 방식으로 코일 본체(30) 상에 위치설정되고 안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체(2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접착제를 도입함으로써 결합에 의해 코일 본체(30) 상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절연체(20)는, 잠금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코일 본체(30)에 해제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체(20)의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28) 상에 형성된 잠금 돌출부 또는 잠금 후크(도시하지 않음)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8)에 제공된 상보적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와 체결하고, 또는 그 반대의 경우(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에 제공된 오목부와 체결하는 잠금 돌출부/후크)도 가능하다. 이는 절연체(20)를 코일 본체(30) 상에 고정적으로 위치설정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코일 본체(30) 위의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에 대한 자기 코어(10)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적 구조 설계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8b)의 높이(HS)는 접촉 스트립(36a, 36b)의 두께(도 1d의 d 참조)보다 크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8b)는, 연관된 접촉 스트립(36a, 36b)의 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 접촉 스트립(36a, 36b)의 밑면 상의 접촉 핀들(50a, 50b) 사이의 누설 경로와 공기 경로를 연장하기 위한 래버린스(labyrinth)의 밑면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래버린스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은, 접촉 스트립들(36a, 36b)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트립의 밑면에 제공된 추가 래버린스 구조물(도시하지 않음)과 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면 상의 와인딩(W1)의 와이어 섹션(Wa, Wb)을 각 접촉 핀(52b)으로 안내하도록 접촉 스트립들(36a, 36b) 층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트립의 밑면 상에 안내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접촉 스트립(36a)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d를 참조하여, 유도형 부품(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형 부품(100)은 추가 자기 코어(10a)와 추가 절연체(20a)를 추가로 포함한다. 절연체(20a)는 절연 벽 섹션(24a) 및 도 1d의 표현 예에서는 보이지 않는 절연 벽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벽 섹션은, 절연체(20)의 절연 벽 섹션(22)에 따라 구현되고, 코일 본체(30)에 관하여 배치되고 절연 벽 섹션(24a)에 연결된다. 또한, 절연체(20a)는 (절연체(20)의 절연 벽 섹션(22)과 유사하게 절연체(20a)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절연 벽 섹션 및 절연 벽 섹션(24a)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절연 벽 섹션(26a)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벽 섹션 각각은, 절연 벽 섹션의 개수와 구조적 설계와는 무관하게, 자기 코어(10a)의 측면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한다(예를 들어, 절연 벽 섹션(24a)은 자기 코어(10a)의 측면 섹션(14a)에 대면하고, 절연 벽 섹션(26a)은 자기 코어의 측면 섹션(16a)에 대면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체(20a)는, 절연체(20a)가 절연체(20)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절연체(20a) 내에 수용된 자기 코어(10a)가 코일 본체(30)의 자기 자기 코어 수용부(3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코일 본체(30)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50a)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10a)의 측면 섹션(14a)은, 절연체(20a)의 절연 벽 섹션(24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대안적 관점에서 볼 때, 유도형 부품(100)은 모듈형 자기 코어(10')를 갖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형 자기 코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E 형상 자기 코어(10, 10a)로부터 이중 E 코어 구성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두 개의 E 코어 대신, 유도형 부품(100)에서 두 개의 C 코어, 하나의 E 코어와 하나의 C 코어, 하나의 E 코어와 하나의 I 코어, 하나의 C 코어와 하나의 I 코어를 결합할 수 있다.
모듈형 자기 코어(10')의 관점에서 불 때, 개별 자기 코어들(10, 10a)은 모듈형 자기 코어(10')의 개별 코어 세그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d에 도시된 표현 예에 따르면, 자기 코어(10, 10a)(또는 모듈형 자기 코어(10')의 코어 세그먼트(10, 10a))는 각각의 E 형상 절연체(20, 20a) 내에 수용된다. 개별적인 절연체(20, 20a)에 대한 도 1d의 표현은 여기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절연체(20, 20a)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섹션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연체(20, 20a)는, 예를 들면, 절연 벽 섹션(26)에 대응하는 공통 절연 벽 섹션에 의해 또는 연결된 하부측 절연 벽 섹션("H" 형태임)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일체형 절연체(20')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d의 표현 예에 따르면, 각각의 절연체(20, 20a)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트립(36a. 36b) 각각에 연결된다. 특히,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 내부에 (선택적) U 형상 절연 벽 섹션(27)(도 1a 참조)을 통해 제공되는 개구가 제공된 경우, 각각의 절연체(20, 20a)는 코일 본체(30)의 자기 코어 수용부(도 1c의 참조번호 32 참조)의 일측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E 형상 자기 코어(10, 10a)의 중간 레그는, 도 1c에 도시된 코일 본체(30)의 자기 코어 수용부(32) 내로 삽입된다.
하나의 웹 섹션(28)만이 도 1d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제한을 나타내지 않으며, 대안으로, 하나보다 많은 웹 섹션(28), 예를 들어, 도 1a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웹 섹션(28)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d의 표현 예에서는 모듈형 또는 일체형 절연체(20')가 코일 본체(30)의 각 접촉 스트립(36a, 36b) 상에 배치된 두 개의 개별적인 절연체(20, 20a)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대신, 도 1d의 코일 본체(30)의 접촉 스트립(36a, 36b)의 각각 상에 단일 절연체(20 또는 20a)만이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1b를 참조하여, 웹 섹션(28)의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웹 섹션들(28)은, 예시적인 몇 개의 실시예의 경우에, 여기서 하부측 절연 벽 섹션의 법선 방향을 따라 절연체(20)의 절연 벽 섹션(24)으로부터 높이(HT)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HT)에 따라, 웹 섹션(28)이 배치되는 두 개의 접촉 핀(50b) 사이의 누설 경로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접촉 핀(50b) 사이에 배치된 웹 섹션의 높이(HT)가 접촉 핀(50b)이 접촉 스트립(36b)의 단부면(37b)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촉 핀(50b)의 길이를 초과하면, 이러한 접촉 요소들 사이의 공기 경로의 연장부가 제공될 수 있다.
계속 도 1d를 참조해 볼 때, 절연 벽 섹션(24)은, 접촉 핀들(50b)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10)의 측면 섹션을 커버하며, 고 측면 섹션(14)으로서 도 1d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핀들(50b)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10)의 측면 섹션(14)은 절연 벽 섹션(24)에 의해 커버되고, 여기서 접촉 핀들(50b)과 자기 코어(10) 사이의 경로의 연장부는, 높이(H24, H26)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벽 섹션(24)의 높이에 따라 제공된다. 이는 접촉 스트립(36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절연체(20a)의 절연 벽 섹션(24a)에도 적용되며, 접촉 핀들(50a)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10a)의 측면 섹션(14a)은 절연 벽 섹션(24a)에 의해 커버되고, 이에 따라 접촉 핀들(50a)과 자기 코어(10a) 사이의 경로의 연장부가 절연 벽(24a)의 높이에 따라 제공된다.
이에 따라, 유도형 부품(100)의 접촉 핀들(50a, 50b)과 자기 코어들(10, 10a) 사이에 요구되는 각각의 공기 및 누설 경로는 절연체(20, 20a)의 높이를 통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누설 경로는, 유도형 부품(100)의 베이스 영역, 특히 코일 본체(30)의 하부측 영역과는 독립적으로 연장된다. 이는, 결국 필요한 공기 및 누설 경로를 관찰하면서 유도형 부품(100)이 초소형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형 부품(100)은 다음의 방법 단계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자기 코어(10, 10a)(또는 모듈형 자기 코어(10')의 자기 코어 세그먼트)를 각각의 절연체(20, 20a) 내에 통합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자기 코어(10, 10a)를, 각각의 절연체(20, 20a) 내의 제 위치에 접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해당 절연체(20, 20a) 상에 제공되는 잠금 돌출부 또는 잠금 후크(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또는 자기 코어(10, 10a)의 통합 후에 상부 절연 커버를 각 절연체(20, 20a)에 부착함으로써, 각각의 절연체(20, 20a)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개별 자기 코어(10, 10a)는 개별 절연체(20, 20a) 내에 통합되며, 이때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절연체(20, 20a) 내의 자기 코어(10, 10a)의 제공과는 무관하게, 코일 본체(30)에는, 예를 들어, 자동 권취 공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이 권취되었다.
후속하여, 각 자기 코어(10, 10a)를 포함하는 각 절연체(20, 20a)는 전술한 방식으로 각 접촉 스트립(36a, 36b)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자기 코어(10, 10a)의 중간 레그(도 1b의 Sc 참조)는 코어 수용부(32)의 대향 측들로부터 코일 본체(30)의 코어 수용부(32) 내에 삽입된다.
선택적으로, 개별 자기 코어들(10, 10a)은, 서로 접촉하는 자기 코어들(10, 10a)의 단부면들 상에서 접착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고, 자기 코어(10')가 유닛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개별 절연체들(20, 20a)은, 접착 결합 등에 의해 코일 본체(3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d에 도시한 유도형 부품(100)은,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을 코일 본체(30) 상에 권취하는 단계, 자기 코어들(10, 10a) 중 적어도 하나를 연관된 절연체(20, 20a) 내에 통합하는 단계(예를 들어, 도 1b의 자기 코어(10)만이 거기에 도시된 절연체(2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다른 자기 코어(10a)는 절연체(20a) 없이 코일 본체에 부착될 수 있어서, 절연체(20a)의 사용이 유도형 부품(100)에서 생략됨); 및 자기 코어(10)가 내부에 수용된 절연체 또는 절연체들(20, 20a)을 권취된 코일 본체(30)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자기 코어들(10, 10a)은 코일 본체(30)의 자기 코어 수용부(3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코일 본체(30)는, 절연체 또는 절연체들(20, 20a) 내에 자기 코어들(10, 10a)을 통합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예를 들어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또는 동시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자기 코어들(10, 10a)은, 절연체(20) 내에 자기 코어(10)를 수용하고 절연체(20a) 내에 자기 코어(10a)를 수용함으로써, 절연체들(20, 20a) 내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대안으로, 하나의 자기 코어(예를 들어, 자기 코어(10) 또는 자기 코어(10a))만이, 이러한 절연체가 코일 본체(30)에 부착되고 자기 코어들(10, 10a) 중 나머지가 코일 본체(30)에 부착되기 전에, 절연체들(20, 20a) 중 하나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도형 부품(100)을 제조하기 위한 자동화된 제조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도 1a 내지 도 1d에 관하여 유도형 부품(100)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유도형 부품(100)은, 자기 코어(10);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자기 코어(10)가 수용되는 절연체(20)로서, 절연체(20)는, 자기 코어(10)의 각 측면 섹션(14, 1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된 절연 벽 섹션(22, 24)을 포함하는 (선택적으로는, 절연 벽 섹션들(26)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절연체;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이 권취되고, 적어도 접촉 요소,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도록 코일 본체(30)의 측면 섹션(37b)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50b), 및 절연체(20) 내에 수용된 자기 코어(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자기 코어 수용부(32)를 포함하는 코일 본체(3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10)의 측면 섹션(14)은, 절연체(20)의 절연 벽 섹션(2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10)의 측면 섹션(14)은 절연 벽 섹션(24)에 의해 완전히 키버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20)와 코일 본체(30)는 연결 장치들(24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장치들(28, 38)은, 여기서, 절연체(2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요소(28) 및 코일 본체(3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요소(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연결 요소는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한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연결 장치들(28, 38)은, 절연체(20)와 코일 본체(30)를 기계적으로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20)는, 자기 코어(10)가 수용되는 오목부(25)를 포함하는 포트 형상 또는 컵 형상을 절연체(20)가 갖도록 서로 연결된 적어도 세 개의 절연 벽 섹션(22, 24, 2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5)의 깊이는 여기서 자기 코어(10)의 높이 치수(H10) 이상일 수 있고, 높이 치수는, 자기 코어(10)가 오목부(25) 내에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자기 코어(10)에 대하여 한정된다.
또한, 절연체(20)는, 절연 벽 섹션(24)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에 대면하며 절연 벽 섹션(24)의 법선 방향을 따라 절연체(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웹 섹션들(28) 중 적어도 하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28)은, 코일 본체(30)를 향하여 돌출되며 코일 본체(30)에 형성된 각 위치설정 개구(38)에 삽입되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가 배치되는 코일 본체측 상에 배치된 돌출부(28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요소(50b)는 코일 본체(30)의 측면 섹션(37b) 상에 두 개의 접촉 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의 적어도 두 개의 와이어 단부 섹션(Wa, Wb)은,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의 대향 측들 상에서 그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28)을 따라 접촉 요소들(50b)의 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도형 부품(100)은, 접촉 요소(50b)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일 본체측 상에 배치된 코일 본체(30)의 측면 섹션(37a) 상에 배치되는 접촉 요소들(50a)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 추가 자기 코어(10a), 및 추가 절연체(20a)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 절연체(20a)는, 추가 자기 코어(10a)의 측면 섹션(14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는 적어도 절연 벽 섹션(24a), 및 절연 벽 섹션에 연결되며 추가 자기 코어(10a)의 추가 측면 섹션(측면 섹션(14a)에 연결된 측면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는 추가 절연 벽 섹션을 포함하고, 추가 절연체(20a)는, 절연체(20)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코일 본체(30) 상에 배치되고, 추가 절연체(20) 내에 수용되는 추가 자기 코어(10a)는 자기 코어 수용부(3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50a)에 대면하는 추가 자기 코어(10a)의 측면 섹션(14a)은 추가 절연체(20a)의 절연 벽 섹션(24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고, 자기 코어들(10, 10a)의 각각은 E 코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형 부품(200)(도 2b 참조)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형 부품(200)은, 도 2a와 도 2b의 절연체(220)에 기초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절연체의 구조적 대체 설계를 통해, 도 1a 내지 도 1d에 관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형 부품(100)과 다르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도형 부품(200)의 코일 본체(230)는, 절연체(220)와 코일 본체(230) 간의 연결 메커니즘이 연결 장치(240)에 의해 구현된다는 점에서, 도 1c와 도 1d의 표현 예에 따른 코일 본체(30)와 다르다. 이 경우, 절연체(220) 상에 형성되는 잠금 후크(242)는, 절연체(220)를 코일 본체(230) 상에 장착하는 동안 코일 본체(230)의 오목부(244)와 체결한다. 오목부(244)는 코일 본체(230)의 접촉 스트립(236b) 상에 형성된다. 도 2a에서는 하나의 잠금 후크(242)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오목부(244)의 반대측 절연체(220)의 동일한 측에 추가 잠금 후크(도시하지 않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는 오목부(244)의 반대측 접촉 스트립(236b)에 형성된다.
이 외에도, 코일 본체(230)의 구조적 설계는, 코일 본체(30)의 구조적 설계에 대응하며, 특히, 연결 섹션(360)에 대응하는 연결 영역(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는 접촉 스트립들(236a, 236b)을 포함한다. 또한, 각 접촉 스트립(236a, 236b)의 각 단부면(237a, 237b)에는 접촉 핀(25a, 25b)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220)는,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2), 및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2)으로부터 그 하부측 절연 벽 섹션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연 벽 섹션들(224, 226)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측 절연 벽 섹션(222)에는, 도 1a에 따른 표현 예에서의 U 형상 절연 벽 섹션(27)에 대응하는 U 형상 절연 벽 섹션(227)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 벽 섹션들(227) 위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U 형상 절연 벽 섹션들(227) 위의 평면 갭으로서 연장되며 자동화된 제조 및 배치 공정에 있어서 흡입 포트(도시하지 않음)를 위한 적용 지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 "피크 앤드 플레이스 면"(229)이 제공될 수 있다.
절연체(220)의 내부에는, 절연 벽 섹션들(224, 226)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인 오목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5)의 깊이는, 높이(H24, H26)에 대해 도 1a와 관련하여 상응하는 방식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연 벽 섹션 높이(H220)에 의해 한정된다. 특히, 절연 벽 섹션들(226, 224)은 도 2a의 표현 예에서 동일한 높이로 도시되었지만,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a의 오목부(225)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E 코어의 코어 세그먼트(210a)를 삽입하고 이어서 코어 세그먼트(210b)(도 2b의 자기 코어(210) 참조)를 외부로부터 절연체(220)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자기 코어(210)가 삽입되어 있다. 자기 코어(210)의 높이(H210)는 실질적으로 오목부의 깊이 이하일 수 있으며, 즉, H220≤H210이다. 자기 코어(210)는 측면 섹션들(214, 216)을 갖는다.
예시적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코어(210)는, 개별적인 자기 코어들(210a, 210b)로 이루어지는 모듈형 자기 코어(210)일 수 있다. 지기 코어들(210a, 210b)을, 접착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어서, 유도형 부품(200)이 제공되었을 때 자기 코어(210)를 일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절연체(220)는, 유도형 부품(200)에 있어서, 하나의 접촉 스트립(236a) 상에만 접촉 스트립에 고 전압(하나의 접촉 스트립 상에 고 전압 단자들이 제공되어야 함)을 인가하도록 제공되는 접촉 요소들(250a)이 제공되는 반면, 다른 접촉 스트립(236b) 상에는 해당 접촉 스트립에 저 전압 전위를 인가하도록 의도된 접촉 요소들(250b)이 제공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 본체(230) 위의 자기 코어(210)와 와인딩(W2)으로의 유리한 공기 및 누설 경로 연장부가, 유도형 부품(200)의 고 전압 반송측 상의, 특히, 고 전압 단자들에 대면하는 절연 벽 섹션(224)을 통한 고 전압 접촉 요소들(250a)의 접촉 스트립(236a) 상의 절연체(220)에 의해 제공된다.
도 2a와 도 2b의 표현 예에 따라 코일 본체(230) 상에 절연체(220)를 장착하는 것은, 연결 장치(240) 대신 및/또는 연결 장치에 더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웹 섹션들(28)에 대응하는 웹 섹션들(도시하지 않음),및 코일 본체의 각 슬롯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예시적일 뿐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도 2b에 도시한 유도형 부품(200)은,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2)을 코일 본체(230) 상에 권취하는 단계, 자기 코어(210)를 절연체(220) 내에 통합하는 단계, 및 자기 코어(210)가 내부에 수용된 절연체(220)를 권취된 코일 본체(230)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자기 코어(210)는 코일 본체(230)의 자기 코어 수용부(23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여기서 코일 본체(230)는, 자기 코어(210)를 절연체(220) 내에 통합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예를 들어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또는 동시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자기 코어(210)는, 코어 세그먼트(210a)를 절연체(220) 내에 수용하고 후속하여 코어 세그먼트(210b)를 절연체(220) 내에 삽입함으로써, 절연체(22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도형 부품(200)을 제조하기 위한 자동화된 제조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도 2a와 도 2b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형 부품(200)을 제공하며, 이러한 유도형 부품은, 자기 코어(210);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자기 코어(210)가 수용되는 절연체(220)로서, 절연체(220)는, 자기 코어(210)의 측면 섹션들(214, 216)의 각 측면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된 절연 벽 섹션(222, 224)을 포함하는, 절연체;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2);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2)이 권취된 코일 본체를 포함하고, 코일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2)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도록 코일 본체(230)의 측면 섹션(237a)에 부착된 접촉 핀(250a)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 및 자기 코어 수용부(232)를 포함하고, 절연체(220) 내에 수용되는 자기 코어(210)는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250a)에 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210)의 측면 섹션(214)은, 절연체(220)의 절연 벽 섹션들(224)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또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250a)에 대면하는 자기 코어(210)의 측면 섹션(214)은, 절연 벽 섹션(224)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220)와 코일 본체(230)는 연결 장치들(24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장치들(240)은, 절연체(220) 상에 배치된 제1 연결 요소(242), 및 코일 본체(230) 상에 배치된 제2 연결 요소(244)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연결 요소는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한다. 연결 장치들(240)은, 절연체(220)와 코일 본체(230)를 기계적으로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220)는 서로 연결된 적어도 세 개의 절연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서, 절연체(220)는 자기 코어(210)가 수용되는 오목부(225)를 포함하는 포트 형상 또는 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여기서, 오목부(225)의 깊이는 자기 코어(210)의 높이 치수(H210) 이상일 수 있고, 높이 치수는, 자기 코어(210)가 오목부(225) 내에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자기 코어(210)에 대하여 한정된다.

Claims (13)

  1. 유도형 부품(100; 200)으로서,
    자기 코어(10; 210),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자기 코어(10: 210)가 내부에 수용된 절연체(20; 220)로서, 상기 절연체(20; 220)는, 상기 자기 코어(10; 210)의 각 측면 섹션(14, 16; 2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된 절연 벽 섹션(22, 24; 222, 224)을 포함하는, 절연체,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 W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 W2)이 권취된 코일 본체(30; 230)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본체는,
    상기 코일 본체(30; 230)의 측면 섹션(37b; 237a)에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 W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 250a); 및
    상기 절연체(20; 220) 내에 수용된 상기 자기 코어(10; 2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자기 코어 수용부(32; 232)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 250a)에 대면하는 상기 자기 코어(10; 210)의 측면 섹션(14; 214)은, 상기 절연체(20; 220)의 절연 벽 섹션들(24; 224)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고,
    상기 절연체(20)는, 상기 절연 벽 섹션(24)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에 대면하며 상기 절연 벽 섹션(24)의 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체(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28)을 더 포함하는, 유도형 부품(100; 2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 250a)에 대면하는 상기 자기 코어(10; 210)의 측면 섹션(14; 214)은 상기 절연 벽 섹션(24; 224)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는, 유도형 부품(100; 2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0; 220)와 상기 코일 본체(30; 230)는 연결 장치들(24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유도형 부품(100; 2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들(28, 38; 240)은. 상기 절연체(20; 220)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요소(28; 242) 및 상기 코일 본체(30; 230)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요소(38; 24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요소는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유도형 부품(100; 2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들(28, 38; 240)은, 상기 절연체(20; 220)와 상기 코일 본체(30; 230)를 기계적으로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유도형 부품(100; 2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0; 220)는 적어도 세 개의 절연 벽 섹션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절연 벽 섹션은, 상기 자기 코어(10; 210)기 수용되는 오목부(25; 225)를 포함하는 포트(pot) 형상 또는 컵 형상을 상기 절연체(20; 220)가 갖도록 서로 연결된, 유도형 부품(100; 2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5; 225)의 깊이는 상기 자기 코어(10; 210)의 높이 치수(H10; H210) 이상이고, 상기 높이 치수는, 상기 자기 코어(10; 210)가 상기 오목부(25; 225)에 수용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자기 코어(10; 210)에 대하여 정의되는, 유도형 부품(100; 200).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28)은, 상기 코일 본체(30)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코일 본체(30)에 형성된 각 위치설정 개구(38)에 삽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가 배치되는 측에 배치되는 돌출부(28b)를 포함하는, 유도형 부품(100).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요소(50b)가 상기 코일 본체(30)의 측면 섹션(37b)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의 적어도 두 개의 와이어 단부 섹션(Wa. Wb)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의 대항측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섹션(28)을 따라 상기 접촉 요소들(50b)의 각각으로 연장되는, 유도형 부품(10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본체(30)의 측면 섹션(37a)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50a)로서, 상기 측면 섹션(37a)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50b)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일 본체측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
    추가 자기 코어(10a), 및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절연 벽 섹션(24a)을 포함하는 추가 절연체(20a)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절연 벽 섹션의 각각은 상기 추가 자기 코어(10a)의 각 측면 섹션(14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는, 추가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절연체(20a)는, 상기 절연체(20)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일 본체(3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추가 절연체(20: 220) 내에 수용되는 상기 추가 자기 코어(10a)는 상기 자기 코어 수용부(3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촉 요소(50a)에 대면하는 상기 추가 자기 코어(10a)의 측면 섹션(14a)은, 상기 추가 절연체(20a)의 절연 벽 섹션(24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는, 유도형 부품(1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들(10, 10a)의 각각은 E 코어 구성을 갖는, 유도형 부품(100).
  13. 제1항에 따른 유도형 부품(100; 200)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W1; W2)을 상기 코일 본체(30; 230) 상에 권취하는 단계;
    상기 자기 코어(10; 210)를 상기 절연체(20; 220) 내에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 코어(10; 210)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절연체(20; 220)를 권취된 상기 코일 본체(30; 230)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코어(10; 210)는, 상기 코일 본체(30; 230)의 자기 코어 수용부(32; 232) 내에 부분적으로 통합되는, 방법.
KR1020180160738A 2018-02-22 2018-12-13 유도형 부품 및 유도형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114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2669.6 2018-02-22
DE102018202669.6A DE102018202669B3 (de) 2018-02-22 2018-02-22 Induktiv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duktiven Bau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277A KR20190101277A (ko) 2019-08-30
KR102114060B1 true KR102114060B1 (ko) 2020-05-25

Family

ID=6352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738A KR102114060B1 (ko) 2018-02-22 2018-12-13 유도형 부품 및 유도형 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87716B2 (ko)
EP (1) EP3531433B1 (ko)
JP (1) JP6676128B2 (ko)
KR (1) KR102114060B1 (ko)
CN (1) CN110189905B (ko)
CA (1) CA3021650C (ko)
DE (1) DE102018202669B3 (ko)
ES (1) ES287113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0504B4 (de) * 2018-11-30 2023-11-23 Borgwarner Ludwigsburg Gmbh Primärspulenkörper für eine Zündspule und Zündspule mit einem solchen Primärspulenkörper
DE102019208884A1 (de) * 2019-06-19 2020-12-24 SUMIDA Components & Modules GmbH Induktives Bauelement
DE102019213722A1 (de) * 2019-09-10 2021-03-11 SUMIDA Components & Modules GmbH Induktives bauelement
CN114089230A (zh) * 2021-10-27 2022-02-25 许继电源有限公司 用于电感故障实验的隔爆工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8727A (ja) * 2005-03-29 2006-10-12 Seiko Epson Corp トランス及びそのトランスを備えた電子機器と記録装置
DE102006029272A1 (de) * 2006-06-26 2007-12-27 Vogt Electronic Components Gmbh Modularer Spulenkörper und induktives Bauelement mit modularem Spulenkörper
US20110187485A1 (en) * 2010-02-04 2011-08-04 Tdk Corporation Transformer having sectioned bobbin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50B2 (ja) * 1990-02-09 1995-03-0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薄形トランス
JPH04131915U (ja) * 1991-05-29 1992-12-04 株式会社ダイヘン 静止誘導電気機器
JP3311391B2 (ja) * 1991-09-13 2002-08-05 ヴィエルテ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漏洩インダクタンス低減トランス、これを用いた高周波回路及びパワーコンバータ並びにトランスにおける漏洩インダクタンスの低減方法
JPH0812823B2 (ja) * 1993-02-03 1996-02-0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小型トランス
AU6686396A (en) 1995-08-02 1997-02-26 Northeast Ventures, Inc. Bobbin assembled transformers
JP2000049020A (ja) * 1998-07-28 2000-02-18 Toshiba Tec Corp 電磁機器
US6255931B1 (en) * 1998-12-01 2001-07-03 Atech Technology Co., Ltd. Hipot barrier structure for transformer
JP2006270055A (ja) * 2005-02-28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共振型トラン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源ユニット
JP4209403B2 (ja) * 2005-04-12 2009-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CN2829036Y (zh) * 2005-07-26 2006-10-18 东莞创慈磁性元件有限公司 隔离型双通道变压器
US7345565B2 (en) * 2006-04-12 2008-03-18 Taipei Multipower Electronics Co., Ltd. Transformer structure
JP2008112753A (ja) * 2006-10-27 2008-05-15 Tdk Corp 横型低背コイル部品及びその巻線端末のはんだ付け方法
JP2009016581A (ja) 2007-07-04 2009-01-22 Tamura Seisakusho Co Ltd トランス
WO2009104113A1 (en) 2008-02-20 2009-08-2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High voltage transformer with space-saving primary windings
TWI370466B (en) * 2008-05-09 2012-08-11 Delta Electronics Inc Trensformer structure
TWI351042B (en) * 2008-07-15 2011-10-21 Delta Electronics Inc Combination structure of circuit carrier and transformer
TWI381612B (zh) * 2008-08-04 2013-01-0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結構
TW201113913A (en) * 2009-10-15 2011-04-16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structure
TWI379330B (en) * 2009-11-18 2012-12-1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US9646755B2 (en) * 2010-11-15 2017-05-09 Pulse Electronics, Inc. Advanced electronic header apparatus and methods
CN102163489B (zh) 2011-01-25 2012-10-03 清流县鑫磁线圈制品有限公司 一种串联集成电感器件
JP5893892B2 (ja) * 2011-10-31 2016-03-23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I437586B (zh) * 2012-03-26 2014-05-1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結構
US9183974B1 (en) * 2012-08-07 2015-11-10 Universal Lighting Technologies, Inc. Bobbin apparatus for reducing gap losses in magnetic components
ES2405837B1 (es) * 2012-11-12 2013-10-18 Premo, S.L. Dispositivo sensor de corriente de montaje superficial
CN103035364B (zh) 2012-12-28 2017-02-15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变压器
DE102013206453B4 (de) 2013-04-11 2015-02-12 SUMIDA Components & Modules GmbH Gehäuse mit verlängerten Kriech- und Luftstrecken und elektrisches Bauelement mit derartigem Gehäuse
CN104240918B (zh) * 2013-06-21 2016-08-1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变压器结构
JP5928531B2 (ja) * 2013-08-19 2016-06-01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TWI462129B (zh) * 2013-12-19 2014-11-2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組合結構及其承座
TWI463508B (zh) * 2014-04-22 2014-12-01 Yujing Technology Co Ltd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transformer
CN104616869A (zh) * 2015-02-11 2015-05-13 南京优倍电气有限公司 增强型本安变压器
CN205282221U (zh) * 2015-12-08 2016-06-01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变压器承座及使用该变压器承座的电子装置
JP6677055B2 (ja) * 2016-04-06 2020-04-0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小型トランス
JP6713335B2 (ja) * 2016-04-21 2020-06-24 Nj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トラン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8727A (ja) * 2005-03-29 2006-10-12 Seiko Epson Corp トランス及びそのトランスを備えた電子機器と記録装置
DE102006029272A1 (de) * 2006-06-26 2007-12-27 Vogt Electronic Components Gmbh Modularer Spulenkörper und induktives Bauelement mit modularem Spulenkörper
US20110187485A1 (en) * 2010-02-04 2011-08-04 Tdk Corporation Transformer having sectioned bob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89905A (zh) 2019-08-30
JP6676128B2 (ja) 2020-04-08
JP2019145775A (ja) 2019-08-29
DE102018202669B3 (de) 2019-07-04
EP3531433A1 (de) 2019-08-28
US20190259523A1 (en) 2019-08-22
CN110189905B (zh) 2022-07-19
CA3021650A1 (en) 2019-08-22
ES2871136T3 (es) 2021-10-28
US11587716B2 (en) 2023-02-21
CA3021650C (en) 2021-01-12
KR20190101277A (ko) 2019-08-30
EP3531433B1 (de)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060B1 (ko) 유도형 부품 및 유도형 부품의 제조 방법
US8072308B2 (en)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a novel arrangement/method for hid automotive headlamps
US7855625B2 (en) Lamp transformer
US1029799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7746211B2 (en) Lamp transformer assembly
US7772780B2 (en) Lamp igniter module and transformer carrier
US5463999A (en) Ignition coil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7585177B2 (en) Discharge lamp socket
JP7266690B2 (ja) 誘導性構成要素
US5359982A (en) Igni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320632B2 (ja) 誘導性部品
US7107977B2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80284340A1 (en) Light weight automotive HID igniter
US20220301755A1 (en) Component with a winding carrier and cor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JP7081672B2 (ja) ノイズフィルタ
US20030230293A1 (en)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60126574A (ko) 전자석용 서멀퓨즈의 설치구조
JP4535579B2 (ja) 放電灯起動装置
JPH11176664A (ja) 巻線部品用端子台、および表面実装型巻線部品
JP2003197446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