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531B1 -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531B1
KR102113531B1 KR1020190121601A KR20190121601A KR102113531B1 KR 102113531 B1 KR102113531 B1 KR 102113531B1 KR 1020190121601 A KR1020190121601 A KR 1020190121601A KR 20190121601 A KR20190121601 A KR 20190121601A KR 102113531 B1 KR102113531 B1 KR 10211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fluence
speed
unclassifie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인덕션부와 제2인덕션부를 포함하고, 제1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1물품군들사이에 제2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2물품군이 배치되어 일렬로 정렬되는 제1합류물품군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2인터벌컨베어의 각 출측과 연결되는 제1합류집합컨베어 ;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의 출측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스캐닝하는 스캐닝컨베어 ; 및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출측에 연결되어 스캐닝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이송속도로 상기 제1합류물품군을 고속이송시키는 고속컨베어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High Speed Bulk Logistics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초고속으로 대량의 물률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일시에 대량으로 입고되는 물류처리량에 맞추어 설정크기 이상의 고속 운전시에도 물품의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물품을 원활하게 빠른 속도로 공급하면서 스캐닝 처리되어 확인된 대량의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각종 물품이 인터넷 쇼핑, 홈쇼핑, 모바일쇼핑 등을 통해 주문되어 택배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있으며, 택배서비스는 다품종 소량 주문 패턴으로 대량의 물품을 유통시키고 있다.
다품종 소량 주문의 택배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물품 물류량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물류센터 등에서는 물품 자동 분류장치(sorter)와 같은 자동화 설비를 설치하여 대량의 물품들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물류센터로 입고된 물품의 물량증대에 대응하여 컨테이너로부터 하차된 물품을 인덕션 측으로 고속으로 대량 공급하고, 공급되는 물품을 자동분류장치에서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시스템이 고속으로 운전될 필요가 있다.
물류센터로 입고된 컨테이너의 미분류 물품이 하역 작업자에 의해서 이송컨베어에 올려지면, 물품 정렬기를 거쳐 정렬된 상태로 인덕션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인덕션을 통해 미분류 물품이 순차적으로 복수의 캐리어로 공급되도록 하며, 캐리어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캐리어에 놓인 미분류 물품이 분류되면서 분류물품 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물품 자동분류장치는 팁퍼로부터 공급되는 미분류 물품이 물품 정렬기에 놓여 단순 이동하면서 인덕션 컨베어로 전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대량 입고되는 물류처리량에 맞추어 설정크기 이상의 고속 운전시 물품 정렬기에 놓인 미분류 물품 간 충돌이나 밀림에 의해 미분류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고, 물품 자동분류장치의 구성요소의 제어나 구성요소 간 동기제어가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행되지 못하여 장치 운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2017-0019238 A
특허문헌 1에는 불규칙하게 공급된 다수의 미분류 물품을 정렬하여 인덕션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충돌이나 밀림에 의한 외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속 이송 조건에서도 미분류 물품의 정렬 및 인덕션으로의 전달이 안정되고 원활하게수행되도록 하는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용 초고속 자동 정렬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대량 입고된 미분류 물품의 고속 처리시 합류부에서의 병목현상에 의하여 미분류 물품을 원활하게 정렬처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시에 대량으로 입고되는 물류입고량랴에 맞추어 설정크기 이상의 고속 운전시에도 물품의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물품을 원활하게 빠른 속도로 공급하면서 스캐닝 처리되어 확인된 대량의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작위로 올려지는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1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1편향컨베어와, 상기 제1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1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1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1인덕션부; 무작위로 올려지는 다른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2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2편향컨베어와, 상기 제2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2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2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2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2인덕션부;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1물품군들사이에 상기 제2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2물품군이 배치되어 일렬로 정렬되는 제1합류물품군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2인터벌컨베어의 각 출측과 연결되는 제1합류집합컨베어 ;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의 출측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스캐닝하는 스캐닝컨베어 ; 및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출측에 연결되어 스캐닝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이송속도로 상기 제1합류물품군을 고속이송시키는 고속컨베어 ; 를 포함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무작위로 올려지는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3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3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3편향컨베어와, 상기 제3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3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3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3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3인덕션부; 무작위로 올려지는 다른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4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4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4편향컨베어와, 상기 제4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4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4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4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4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4인덕션부; 상기 제3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3물품군들사이에 상기 제4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4물품군이 배치되어 일렬 정렬되는 제2합류물품군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4인터벌컨베어의 각 출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합류집합컨베어 ; 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컨베어는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과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2합류물품군이 교대로 진입되어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스캐닝하고, 상기 고속컨베어는 상기 스캐닝컨베어에서 스캐닝된 제1,2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이송속도로 상기 제1,2합류물품군을 고속이송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3 및 4투입컨베어는 순환벨트를 무한순환시키는 벨트컨베어로 구비되며, 상기 제1,2,3 및 4편향컨베어는 미분류 물품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경사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되며, 상기 제1,2,3 및 4인터벌컨베어는 미분류 물품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3 및 4편향컨베어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와 상기 제1,2,3 및 4인터벌컨베어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1투입컨베어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보다는 빠르게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합류집합컨베어에서 제1,2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는 상기 제1,2,3 및 4인터벌컨베어에서 제1,2,3 및 4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속컨베어는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는 벨트형 제1고속컨베어와, 상기 제1,2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속도를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ㄹ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는 상기 제1,2합류물품군의 이송방향 측으로 갈수록 이송속도가 순차적으로 빨라지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2,3 및 4인덕션부에서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일측으로 편향시켜 편중시키면서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일렬로 정렬된 물품군을 형성하고, 다수의 물품군을 스캐닝컨베어의 입측에서 일렬로 정렬되도록 합류시키면서 미분류 물품의 분류정보를 확인하고, 분류정보가 확인된 미분류 물품을 속도차이에 의해서 간격을 형성하도록 고속으로 분류장치 측으로 이송함으로써, 대량으로 입고되는 물류입고량에 맞추어 설정크기 이상의 고속 운전조건에서도 물품의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물품을 원활하게 빠른 속도로 대량의 물품을 분류장치에서 자동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의 물품처리 능력을 갖추어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의 제1,2,3 및 4인덕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의 제1,2,3 및 4인덕션부에 적용되는 편향컨베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의 제1,2,3 및 4인덕션부에 적용되는 스토퍼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의 합류집합컨베어, 스캐닝컨베어 및 고속컨베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의 합류집합컨베어와 스캐닝컨베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의 스캐닝컨베어와 고속컨베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인덕션부(10), 제2인덕션부(20), 제1합류집합컨베어(50), 스캐닝컨베어(60), 고속컨베어(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인덕션부(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류센터로 입고된 미분류 물품이 작업자에 의해서 무작위로 올려져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투입컨베어(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투입컨베어로부터 미분류 물품이 공급되어 이송되는 제1편향컨베어(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편향컨베어를 통과하면서 일측으로 편향이송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품군(G1)을 형성하는 제1인터벌컨베어(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입컨베어(11)는 컨베어프레임에 순환회전도록 구비되어 미분류 물품인 박스가 무작위로 올려지는 순환벨트(B)를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무한궤도방식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순환벨트 상에 올려진 미분류 물품을 일정속도로 일방향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어로 구비된다.
상기 제1편향컨베어(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분류 물품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컨베어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경사롤러(R1)를 경사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다른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복수개의 경사롤러를 일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롤러상에 올려진 미분류 물품을 좌우한쌍의 측판(P) 중 어느 하나의 측판 측으로 치우치도록 편향시켜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된다.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는 미분류 물품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컨베어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R2)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또다른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롤러 상에 올려져 상기 측판 측으로 편향되어 측판을 따라 정렬된 상태의 미분류 물품을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된다.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 상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편중된 상태로 이송되는 임의의 미분류 물품의 선단과 접하여 물품이송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 상에서 미분류 물품을 체류시키는 제1스토퍼(14)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스토퍼(14)는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의 컨베어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엑추에이터인 실린더부재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상승작동되거나 하강복귀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1스토퍼의 상승작동시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에서 회전구동되는 이송롤러 상에 올려진 미분류 물품와 제1스토퍼와의 인위적인 간섭에 의해서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품군(G1)을 형성하도록 물품이송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1스토퍼(14)의 하강복귀시 스토퍼와의 간섭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에서 회전구동되는 이송롤러에 의해서 선,후단이 서로 접하여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로 이루어지는 집합군의 일방향 이송을 허락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1편향컨베어(12)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2)와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3)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하는 반면에 상기 제1투입컨베어(11)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1)보다는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투입컨베어(11)로부터 제1편향컨베어(12) 측으로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은 상기 경사롤러(R1)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제1편향컨베어의 좌우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측판(P) 중 일측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되면서 이송된다.
상기 제1편향컨베어(12)로부터 제1인터벌컨베어(13) 측으로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은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에서 회전구동되는 이송롤러에 의해서 일측으로 치우친 편중상태로 일측 측판을 따라 정렬이송된다.
이러한 미분류 물품의 편향이송과정에서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도록 상승작동되는 제1스토퍼(14)에 의해서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 상에서 일측 측판을 따라 편중되어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이 일시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체류하게 되면,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 상에는 일정시간 동안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의 선후단이 서로 접해진 제1물품군(G1)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스토퍼(14)의 하강복귀에 의한 간섭해제시 상기 제1물품군(G1)은 제1인터벌컨베어에서 회전구동되는 이송롤러에 의해서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 측으로 일방향 이송한다.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는 상기 제1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고 편향이송되어 일측 측판에 편중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도록 작동되는 제1스토퍼(14)를 갖추어 상기 제1물품군(G1)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인터벌컨베어(13a)와, 상기 직선형 인터벌컨베어의 출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물품군을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 측으로 이송하여 진입시키는 곡선형 인터벌컨베어(13b)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4)는 직선형 인터벌컨베어(13a)의 길이중간에 구비되거나 상기 직선형 인터벌컨베어와 곡선형 인터벌컨베어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14)와의 간섭에 의해서 상기 직선형 인터벌컨베어(13a)상에 형성되는 제1물품군(G1)의 길이는 상승작동된 제1스토퍼의 간섭시간을 길게 하거나 짧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직선형 인터벌컨베어 상에서 인위적으로 체류되어 밀려지면서 대략 직선상으로 집합되는 미분류 물품의 갯수를 증대시키거나 줄여서 길게 연장하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의 이송롤러는 제1스토퍼와의 간섭에 의해서 일시 체류되는 제1물품군의 미분류 물품 하부면과 외부면이 접해진 상태에서 회전구동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인덕션부(1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2인덕션부(20)는 제1인덕션부와 동일하게, 물류센터로 입고된 미분류 물품이 작업자에 의해서 무작위로 올려져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투입컨베어(21)와, 상기 제2투입컨베어(21)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투입컨베어로부터 미분류 물품이 공급되어 이송되는 제2편향 컨베어(22) 및 상기 제2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편향컨베어에서 일측으로 편향된 미분류 물품이 측판을 따라 미분류 물품을 편중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제2스토퍼와의 간섭에 의해서 일시 체류되어 집합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제2물품군(G2)을 형성하는 제2인터벌컨베어(23)를 포함하는바, 제1인덕션부(10)와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 20번대의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는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덕션부(10)를 구성하는 제1인터벌컨베어(13)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13b)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이송되는 제1물품군(G1)과, 상기 제2인덕션부(20)를 구성하는 제2인터벌컨베어(23)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23b)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이송되는 제2물품군(G2)을 각각 교대로 진입시켜 합류시킨 다음, 합류된 제1,2물품군을 상기 스캐닝컨베어(60) 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합류집합컨베어(50)는 상기 제2인터벌컨베어(23)로부터 제2스토퍼(24)의 주기적인 상하작동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타이밍을 두고 주기적으로 이송되는 제2물품군(G2)들사이에 빈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로부터 제1스토퍼(14)의 주기적인 상하작동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타이밍을 두고 주기적으로 이송되는 제1물품군(G1)을 상기 제2물품군(G2)들사이에 형성되는 빈구간에 배치하여 제1합류물품군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합류물품군을 스캐닝컨베어 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인터벌컨베어(23)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24)를 상하작동시키는 간섭제어에 의해서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 측으로 진입되는 제2물품군들사이에 일정길이의 빈구간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14)를 상하작동시키는 간섭제어에 의해서 상기 빈구간으로 제1물품군(G1)을 진입시켜 합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는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13b)의 출측과 길이중간이 연결되고, 상기 제2인터컨베어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23b)의 출측과 입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2물품군(G2)들사이에 상기 제1물품군(G1)을 안내진입시키는 제1합류컨베어(51)와, 상기 제1합류컨베어(51)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물품군(G1)과 제2물품군(G2)이 합류된 제1합류물품군을 이송하는 제2합류컨베어(52) 및 상기 제2합류컨베어의 출측과 상기 스캐닝컨베어(60)의 입측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합류물품군을 상기 스캐닝컨베어(60) 측으로 편향이송시키는 제3합류컨베어(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2합류컨베어(51,52)는 상기 제1,2인터벌컨베어(13,23)와 마찬가지로 제1,2물품군으로 이루어진 제1합류물품군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컨베어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R2)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롤러 상에 올려진 상기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된다.
상기 제3합류컨베어(53)는 상기 제1,2편향컨베어(12,22)와 마찬가지로 제1합류물품군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컨베어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경사롤러(R1)를 경사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다른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복수개의 경사롤러를 일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롤러 상에 올려진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측판 측으로 편향시키면서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3합류컨베어(53)에는 상기 제2합류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상기 스캐닝 컨베어(60)의 중심 측으로 안내이송하도록 선단이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측판(P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에서 제1,2물품군(G1,G2)으로 이루어지는 제1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4)는 상기 스캐닝컨베어(60)를 통과하는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스캐닝하기 위한 물품들간의 간격을 형성하도록상기 제1,2인터벌컨베어(13,23)에서 제1,2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3)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의 제1합류컨베어(51)에서 제1,2물품군(G1,G2)이 합류된 제1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는 상기 제2,3합류컨베어(52,53)에서 제1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합류컨베어(52)의 이송속도가 상기 제1,2인터벌컨베어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된 제1합류컨베어(51)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1,2물품군으로 합류된 제2합류물품군이 상기 제1합류컨베어(51)와 제2합류컨베어(52)와의 경계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합류컨베어(51)의 이송속도와 상기 제2합류컨베어(52)의 이동속도와의 속도차이에 기인하여 상기 제2합류컨베어(52)에서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을 이루는 일련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은 상기 스캐닝컨베어(60)에서 미분류 물품에 대한 개별적인 스캐닝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1합류컨베어(51)에서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보다 다소 크게 하여 넓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합류컨베어(52)와 제3합류컨베어(53)의 이송속도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합류컨베어의 이송속도가 제2합류컨베어의 이송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어 상기 제2합류컨베어(52)와 제3합류컨베어(53)와의 경계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을 보다 크게 벌려 넓힐 수 있다.
상기 스캐닝컨베어(60)는 도 1, 도 2 및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를 구성하는 제3합류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2물품군(G1,G2)으로 이루어지는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에 표기된 바코드나 RF태그와 같은 식별부를 확인하는 스캐너(65)를 갖춤으로써, 일방향으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스캐닝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캐너(65)는 물품에 프린팅 또는 부착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고속컨베어(70)의 출측에 구비되어 확인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장치로 전송하는 바코드형 스캐너로 구비되거나 물품에 부착된 RF태그를 스캐닝하여 분류장치로 전송하는 RF형 스캐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캐너에서 감지되어 확인된 미분류 물품의 분류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소터기와 같은 분류장치에 전송됨으로써 상기 분류장치는 상기 스캐너에서 확인된 분류정보를 근거로 하여 미분류 물품을 배송지나 집하지를 기준으로 하여 자동 분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캐닝컨베어(60)에서 제1,2물품군(G1,G2)로 이루어지는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스캐닝하면서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5)는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에서 제1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4)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속컨베어(70)는 도 6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캐닝컨베어(60)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스캐닝컨베어에서 스캐닝되어 확인된 제1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5)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이송속도로 상기 제1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스캐닝컨베어에서 스캐닝 처리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은 상기 스캐닝컨베어(60)의 스캐너(65)에 의한 물품의 분류정보 확인을 위해서 벌어진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캐닝콘베어에서 정보확인된 미분류 물품을 고속으로 일방향 이송함과 동시에 후류측에 구비되는 분류장치를 통과하게 되는 미분류 물품의 분류정보를 근거로 하여 분류하는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속컨베어(70)는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고, 스캐닝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이 올려지는 순환벨트(B)를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무한궤도방식으로 순환시키는 벨트형 제1고속컨베어와, 상기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속도를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순환벨트(B)를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무한궤도방식으로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2,73,74,75,7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2,73,74,75,76)는 상기 제1합류물품군의 이송방향 측으로 갈수록 이송속도가 순차적으로 빨라지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물품군이 합류된 제1합류물품군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빨라지는 이송속도로 제어되는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2,73,74,75,7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이 서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
이때, 대략 5개의 벨트형 컨베어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2,73,74,75,76)는 각각 80m/min, 90m/min, 100m/min, 110m/min, 120m/min 순으로 10m/min 의 속도로 증속제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되는 전체 물류처리량 및 분류장치에서의 분류처리량에 근거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속컨베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2,73,74,75,7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하는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2,73,74,75,76)들간의 이송속도 차이에 의해서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스캐너에 의해서 분류정보가 개별적으로 확인된 제1합류물품군의 각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은 순차적으로 벌어지면서 넓어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스캐닝된 분류정보를 근거로 하여 미분류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장치와 연결되는 최종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6)를 통과하게 되는 제1합류물품군은 서로 인접하는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을 가장 넓은 상태를 갖추어 가장 빠른 이송속도로 분류장치로 투입됨으로써, 미분류 물품을 고속으로 이송처리하는 조건에서 분류장치에서의 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류장치와 연결되어 미분류 물품의 간격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로 이송하는 최종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6)의 이송속도는 상기 분류장치에서 미분류 물품을 분류하는 성능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인덕션부에서 제1,2물품군을 서로 교대로 제1합류집합컨베어 측으로 이송하여 합류시켜 제1,2물품군이 합류된 제1합류물품군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합류물품군을 스캐닝컨베어, 고속컨베어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을 순차적으로 벌리면서 분류장치에서 분류작업을 수행할 수 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인덕션부(10,20) 및 제1합류컨베어(50)와 더불어 제3,4인덕션부(30.40) 및 제2합류집합컨베어(50a)를 구비함으로써 대량의 미분류 물품에 대한 분류처리량을 늘릴 수 있다.
즉, 상기 제1,2인덕션부(10,20)에 인접하여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4인덕션부(30,40)는 제1,2인덕션부와 동일하게, 물류센터로 입고된 미분류 물품이 작업자에 의해서 무작위로 올려져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4투입컨베어(31,41)와, 상기 제3,4투입컨베어(31,41)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3,4투입컨베어로부터 미분류 물품이 공급되어 이송되는 제3,4편향 컨베어(32,42) 및 상기 제3,4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3,4편향컨베어에서 일측으로 편향된 미분류 물품이 측판을 따라 미분류 물품을 편중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제3,4스토퍼와의 간섭에 의해서 일시 체류되어 집합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제3,4물품군(G3,G4)을 형성하는 제3,4인터벌컨베어(33,43)를 포함하는바, 제1,2인덕션부(10,20)와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 30번대 및 40번대의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50a)는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5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인덕션부(30)를 구성하는 제3인터벌컨베어(33)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33b)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이송되는 제3물품군(G3)과, 상기 제4인덕션부(40)를 구성하는 제4터벌컨베어(43)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43b)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이송되는 제4물품군(G4)을 각각 교대로 진입시켜 직렬로 정렬시킨 다음, 정렬된 제3,4물품군을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에서 직렬로 정렬된 제1,2물품군과 더불어 상기 스캐닝컨베어(60) 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합류집합컨베어(50a)는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와 마찬가지로 제4인터벌컨베어(43)로부터 제4스토퍼(44)의 주기적인 상하작동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타이밍을 두고 주기적으로 이송되는 제4물품군(G4)들사이에 빈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인터벌컨베어(33)로부터 제3스토퍼(34)의 주기적인 상하작동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타이밍을 두고 주기적으로 이송되는 제3물품군(G3)을 상기 제4물품군(G4)들사이에 형성되는 빈구간에 배치하여 제2합류물품군(G34)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2합류물품군을 제1합류물품군과 교대로 연속하여 스캐닝컨베어를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4인터벌컨베어(43)에 구비되는 제4스토퍼(44)를 상하작동시키는 간섭제어에 의해서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50a) 측으로 진입되는 제4물품군들사이에 일정길이의 빈구간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3인터벌컨베어(33)에 구비되는 제3스토퍼(34)를 상하작동시키는 간섭제어에 의해서 상기 빈구간으로 제3물품군(G3)을 진입시켜 직선상으로 정렬되는 제2합류물품군(G34)을 형성하도록 합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2합류집합컨베어(50a)는 제1합류집합컨베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인터벌컨베어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33b)의 출측과 길이중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4인터컨베어의 곡선형 인터벌컨베어(43b)의 출측과 입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4물품군(G4)들사이에 상기 제3물품군(G3)을 안내진입시키는 제1합류컨베어(51a)와, 상기 제1합류컨베어(51a)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3물품군(G3)과 제4물품군(G4)이 합류된 제2합류물품군을 이송하는 제2합류컨베어(52a) 및 상기 제2합류컨베어의 출측과 상기 스캐닝컨베어(60)의 입측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2합류물품군을 상기 스캐닝컨베어(60) 측으로 편향이송시키는 제3합류컨베어(53a)를 포함한다.
상기 제3합류컨베어(53a)에는 상기 제2합류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2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상기 스캐닝 컨베어(60)의 중심 측으로 안내이송하도록 선단이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측판(P1)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합류컨베어의 제3합류컨베어(53a)에 구비되는 좌우양측 경사측판(P1)은 스캐닝컨베어 측으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1,2물품군으로 이루어지는 제1합류물품군과, 제3,4물품군으로 이루어지는 제2합류물품군이 서로 교대로 진입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50a)에서 제3,4물품군(G3,G4)으로 이루어지는 제2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4)는 상기 스캐닝컨베어(60)를 통과하는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스캐닝하기 위한 물품들간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4인터벌컨베어(33,43)에서 제3,4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V3)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50a)의 제1합류컨베어(51a)에서 제1,2물품군(G1,G2)이 합류된 제2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는 상기 제2,3합류컨베어(52a,53a)에서 제2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합류컨베어(52a)의 이송속도가 상기 제3,4인터벌컨베어와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제1합류컨베어(51a)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3,4물품군으로 합류된 제2합류물품군이 상기 제1합류컨베어(51a)와 제2합류컨베어(52a,53a)와의 경계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합류컨베어(51a)의 이송속도와 상기 제2합류컨베어(52a)의 이송속도와의 속도차이에 기인하여 상기 제2합류컨베어(52a)에서 이송되는 제2합류물품군을 이루는 일련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은 상기 스캐닝컨베어(60)에서 미분류 물품에 대한 개별적인 스캐닝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합류컨베어(51a)에서 이송되는 제2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보다 다소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합류컨베어(52a)와 제3합류컨베어(53a)의 각 이송속도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합류컨베어의 이송속도가 제2합류컨베어의 이송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어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2합류컨베어(52a)와 제3합류컨베어(53a)와의 경계를 통과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2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을 보다 크게 벌려 넓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50a)의 제2합류컨베어(52a)에는 도 1,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4물품군으로 이루어지는 제2합류물품군(G34)의 선단과 접하여 물품이송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2합류컨베어(52a) 상에서 제2합류물품군을 체류시키는 제5스토퍼(54)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5스토퍼(54)는 상기 제1,2,3 및 4스토퍼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합류컨베어(52a)의 컨베어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엑추에이터인 실린더부재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상승작동되거나 하강복귀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5스토퍼의 상승작동시 상기 제2합류컨베어에서 회전구동되는 이송롤러 상에 올려져 이송되는 제2합류물품군(G34)의 선단과의 인위적인 간섭에 의해서 상기 제2합류물품군의 물품이송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5스토퍼(54)의 하강복귀시 스토퍼와의 간섭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13)에서 회전구동되는 이송롤러의 회전력에 의해서 제3,4물품군으로 이루어진 제2합류물품군의 일방향 이송을 허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5스토퍼의 하강에 의한 간접해제에 의해서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50a)의 제2합류컨베어(52a)에서 체류하고 있던 제2합류물품군(G34)은 상기 제1집합컨베어(50)를 통하여 스캐닝컨베어 측으로 선행하여 진입되는 제1합류물품군(G12)의 후단에 연속되도록 상기 스캐닝컨베어 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50a)에서 이송되는 제2합류물품군(G34)은 상기 제1집합컨베어(50)에서 스캐닝컨베어 측으로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G12)과 다른 제1합류물품군과의 형성되는 빈구간으로 진입되도록 상기 제5스토퍼(54)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상기 스캐닝컨베어 측으로 제1합류물품군과 제2합류물품군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진입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제1합류물품군과 제2합류물품군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상기 스캐닝컨베어로 진입되어 통과하게 되면,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스캐너에서 미분류 물품이 감지되어 확인되고, 확인된 미분류 물품의 분류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캐닝컨베어를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스캐닝된 제1합류물품군과 제2합류물품군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빨라지는 이송속도로 제어되는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2,73,74,75,7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합류물품군과 제2합류물품군을 구성하는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이 서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
이어서, 최종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7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과 제2합류물품군은 서로 인접하는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을 가장 넓은 상태를 갖추어 가장 빠른 이송속도로 분류장치로 고속으로 이송되어 투입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의 스캐닝된 분류정보를 근거로 하여 미분류 물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미분류 물품의 고속 이송조건에서 물품들간의 충돌이나 걸림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20,30,40 : 제1,2,3 및 4인덕션부
50,50a : 제1,2합류집합컨베어
60 : 스캐닝컨베어
70 : 고속컨베어
G1,G2,G3,G4 : 제1,2,3 및 4물품군
G12 : 제1합류물품군
G34 : 제2합류물품군

Claims (7)

  1. 무작위로 올려지는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1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1편향컨베어와, 상기 제1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1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1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1인덕션부;
    무작위로 올려지는 다른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2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2편향컨베어와, 상기 제2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2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2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2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2인덕션부;
    상기 제1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1물품군들사이에 상기 제2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2물품군이 배치되어 일렬로 정렬되는 제1합류물품군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2인터벌컨베어의 각 출측과 연결되는 제1합류집합컨베어 ;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의 출측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스캐닝하는 스캐닝컨베어 ; 및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출측에 연결되어 스캐닝된 제1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이송속도로 상기 제1합류물품군을 고속이송시키는 고속컨베어 ; 를 포함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무작위로 올려지는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3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3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3편향컨베어와, 상기 제3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3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3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3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3인덕션부;
    무작위로 올려지는 다른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제4투입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4투입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미분류 물품을 좌우양측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과 접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이송시키는 제4편향컨베어와, 상기 제4편향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어 편향이송되는 미분류 물품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제4스토퍼를 갖추어 일시 체류되는 복수개의 미분류 물품이 서로 접해져 모여진 제4물품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4물품군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4인터벌컨베어를 포함하는 제4인덕션부;
    상기 제3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3물품군들사이에 상기 제4인터벌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4물품군이 배치되어 일렬 정렬되는 제2합류물품군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4인터벌컨베어의 각 출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합류집합컨베어 ; 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컨베어는 상기 제1합류집합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1합류물품군과 상기 제2합류집합컨베어로부터 이송되는 제2합류물품군이 교대로 진입되어 미분류 물품을 개별적으로 스캐닝하고,
    상기 고속컨베어는 상기 스캐닝컨베어에서 스캐닝된 제1,2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들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이송속도로 상기 제1,2합류물품군을 고속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및 4투입컨베어는 순환벨트를 무한순환시키는 벨트컨베어로 구비되며, 상기 제1,2,3 및 4편향컨베어는 미분류 물품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경사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되며, 상기 제1,2,3 및 4인터벌컨베어는 미분류 물품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컨베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및 4편향컨베어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와 상기 제1,2,3 및 4인터벌컨베어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1투입컨베어에서 미분류 물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보다는 빠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합류집합컨베어에서 제1,2합류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는 상기 제1,2,3 및 4인터벌컨베어에서 제1,2,3 및 4물품군을 이송시키는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컨베어는 상기 스캐닝컨베어의 출측과 연결되는 벨트형 제1고속컨베어와, 상기 제1,2합류물품군의 미분류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속도를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벨트형 제2고속컨베어는 상기 제1,2합류물품군의 이송방향 측으로 갈수록 이송속도가 순차적으로 빨라지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KR1020190121601A 2019-10-01 2019-10-01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KR10211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601A KR102113531B1 (ko) 2019-10-01 2019-10-01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601A KR102113531B1 (ko) 2019-10-01 2019-10-01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531B1 true KR102113531B1 (ko) 2020-05-21

Family

ID=7091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601A KR102113531B1 (ko) 2019-10-01 2019-10-01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804B1 (ko) * 2020-10-29 2021-07-01 임형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롤러 컨베이어를 이용한 택배 물품 분류 시스템
CN114082655A (zh) * 2020-08-24 2022-02-25 深圳顺丰泰森控股(集团)有限公司 快件输送线、快件输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4040063A1 (en) * 2022-08-19 2024-02-22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 Bale handling system for high capacity bal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82B1 (ko) * 2016-11-21 2018-06-01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분류기용 다단 슈트장치, 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82B1 (ko) * 2016-11-21 2018-06-01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분류기용 다단 슈트장치, 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655A (zh) * 2020-08-24 2022-02-25 深圳顺丰泰森控股(集团)有限公司 快件输送线、快件输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71804B1 (ko) * 2020-10-29 2021-07-01 임형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롤러 컨베이어를 이용한 택배 물품 분류 시스템
WO2024040063A1 (en) * 2022-08-19 2024-02-22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 Bale handling system for high capacity ba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531B1 (ko)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US6401936B1 (en) Divert apparatus for conveyor system
US9624043B2 (en) High rate bulk flow sortation
KR100227818B1 (ko) 개별적으로 운반되는 피운반물의 분류장치
CA2378356C (en) Tilt tray sorter
US20100012464A1 (en) Method for gapping for sortation rate maximization
KR20020043613A (ko) 이중폭 크로스벨트 분류기
JP5712966B2 (ja) 仕分け設備および仕分け方法
JPH11240610A (ja) 高生産性で小包を選別する方法と装置
CN1328523A (zh) 用于输送带的高架分捡装置
KR20020044562A (ko) 양 할당 컨베이어 시스템
KR102163483B1 (ko) 화물 형상에 기초한 화물 자동 분류 시스템
KR102247934B1 (ko) 통합 물품 분류 시스템
US107810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packages of different sizes
US10549929B2 (en) Conveying facility
US11420833B2 (en) Linear sorter having variably running cross-belt supports
US111985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conveyed items between two conveying appliances, as well as a conveying system
KR20200001160A (ko) 소형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CN113438988B (zh) 包裹分类系统
JP3968299B2 (ja) 振り分け供給装置及び振り分け供給方法
CN213103257U (zh) 一种货物分拣系统
KR102472804B1 (ko) 에어분사장치를 적용한 자동물품분류장치
CN214262825U (zh) 分拣系统
CN216104190U (zh) 一种邮件快速分拣流水线
US202401744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sorting individual units of conveyed material while simultaneously transporting the units of convey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