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472B1 -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472B1
KR102113472B1 KR1020180165631A KR20180165631A KR102113472B1 KR 102113472 B1 KR102113472 B1 KR 102113472B1 KR 1020180165631 A KR1020180165631 A KR 1020180165631A KR 20180165631 A KR20180165631 A KR 20180165631A KR 102113472 B1 KR102113472 B1 KR 10211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rosion
grinding
iron pie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찬
김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는, 경주통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 안내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 상부에 설정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경주통의 바닥에 침식 영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침식 감지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침식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철편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철편 감지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검사 위치로 이동 후, 감지된 상기 철편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철편을 연삭하는 연삭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편이 연삭된 상기 침식 영역에 고압의 에어를 제공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침식 영역에 저장된 성형 내화물을 충진함과 아울러 설정된 온도로 건조시켜 복원시키는 내화물 복원부; 및, 상기 침식 감지부, 상기 철편 감지부, 상기 연삭부, 상기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내화물 복원부의 이동 및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Equipment for restoring erosion of tilting runner and method for restoring erosion of tilting run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경주통 내 형성되는 침식부를 원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로 용융물 생성 및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일반적으로 고로(11)에는 철광석과 코크스를 순차적으로 장입된다. 그리고, 이들은 고온의 열풍으로 철광석을 환원, 용융하여 출선구(12)를 통해 용융물(18)로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용융물(18)은 대탕도(13) 내 비중차에 의해 쇳물(14)과 슬래그(15)로 분리된다.
상기 쇳물(14)은 지탕도(16)를 경유하여 경주통(21)에 낙하된다. 상기 슬래그(15)는 수재 처리된다.
이때 경주통(21)으로 낙하되는 쇳물(14)은 선택된 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이에 상기 쇳물(14)은 래들 용기(25)에 수용된다.
한편 탕도(16) 낙구부에서 낙하되는 쇳물(14)은 경주통(21) 내에서 와류현상으로 인해 국부적으로 내화물 마모와 침식이 발생된다,
또한 경주통(21) 내 쇳물(14)이 없는 상태에서 최초 출선 되는 경우 경주통(21)내 바닥면에서의 완충이 전혀 없기 때문에, 상기 쇳물(14)은 경주통(21) 바닥 내화물(22)을 직접 타격하고, 이에 따라 경주통 바닥은 연속적으로 침식된다.
침식이 가속화 된 내화물(22)은 마모가 증가되고 결국 경주통(21) 바닥은 관통된다. 이에 쇳물(14)은 관통되는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안전 커버를 취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경주통 바닥에 침식이 발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경주통 침식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경주통 바닥의 침식부를 복원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경주통 바닥 복원부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출선구(12) 폐쇄 후 경주통(21) 내 잔존하는 쇳물(14)을 제거하고, 작업자가 크레인을 사용하여 경주통(21) 안전 Cover(20)를 취외시킨 이후에 경주통(21)의 침식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작업자가 쇳물(14)이 경주통(21) 바닥을 타격하는 부분의 침식 상태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침식상태가 기준치에서 초과되었다고 판단하면, 작업자는 복원작업을 시작한다.
작업자는 고압 에어를 사용하여 경주통(21) 바닥을 청소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성형 내화물(27)을 침식된 영역에 채루고, 이를 점화시킨 가스 불꽃으로 건조 후 안전 커버를 취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법은 경주통 내부의 침식 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하는 경우 커버를 수작업을 통해 직접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기에 침식 상태에 대한 검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관리 소홀로 인해 경주통 바닥에 구멍이 발생됨으로 인해 쇳물 유출과 출선구 조기 폐쇄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경주통 바닥의 침식 상태를 확인 및 복원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위험과 작업부하 증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46409호(공개일: 2004.06.05)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주통 내 형성되는 침식부를 원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는, 경주통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 안내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 상부에 설정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경주통의 바닥에 침식 영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침식 감지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침식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철편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철편 감지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검사 위치로 이동 후, 감지된 상기 철편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철편을 연삭하는 연삭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편이 연삭된 상기 침식 영역에 고압의 에어를 제공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침식 영역에 저장된 성형 내화물을 충진함과 아울러 설정된 온도로 건조시켜 복원시키는 내화물 복원부; 및, 상기 침식 감지부, 상기 철편 감지부, 상기 연삭부, 상기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내화물 복원부의 이동 및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침식 감지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침식 감지부 몸체와, 상기 침식 감지부 몸체에 격자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의 바닥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들과, 상기 침식 감지부 몸체에 격자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 바닥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이 출사된 이후 수광되기 까지의 시간을 통해 상기 경주통 바닥과의 거리값들을 산출하되,
상기 침식 영역은, 상기 침식 영역 이외의 영역까지의 거리값 보다 더 큰 거리값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편 감지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철편 감지부 몸체와, 상기 철편 감지부 몸체에 승강 가능한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침식 영역 내 상기 철편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철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는 금속 감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금속 감지기가 상기 침식 영역의 상부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축을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감지기는, 판 상을 이루어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의 좌표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 중, 상기 철편의 존재를 감지한 금속 감지기의 좌표 정보를 상기 철편의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삭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삭부 몸체와, 상기 연삭부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수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 1이동체와, 상기 제 1이동체의 하단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2축을 갖는 한 쌍의 제 2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 각각의 상기 제 2축에 양단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 축과, 상기 스크루 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스크루 모터와, 상기 스크루 모터에 스크루 체결되어 상기 스크루 축의 화전 방향에 연동되어 제 2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 2이동체와,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며, 하단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제 1회전축이 형성되는 제 1회전 모터와, 상기 제 1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삭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이동체 및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연삭 부재를 상기 철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1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삭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철편을 연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이동체 및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연삭 부재를 상기 침식 영역의 전체 바닥면으로 이동시키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제 1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삭 부재를 회전및 이동시켜 상기 침식 영역의 전체 바닥면을 연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부 몸체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4축을 갖는 제 4실린더와, 상기 제 4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고압의 에어를 상기 침식 영역으로 제공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화물 복원부는, 성형 내화물 복원부와, 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 내화물 복원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원부 몸체와, 상기 복원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설정된 양의 분말 내화물을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분말 내화물을 공급하는 제 1공급관을 갖는 제 1공급부와, 상기 제 1공급관과 연결되는 제 2공급관과, 상기 제 2공급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기를 갖는 제 2공급부와, 상기 제 1,2공급관을 연결하며, 상기 분말 내화물과 상기 물을 혼합시켜 성형 내화물로 형성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성형 내화물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침식 영역에 공급 및 충진시켜 복원 영역으로 형성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부 몸체와, 상기 건조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제 5축을 갖는 제 5실린더와, 상기 제 5축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을 통해 발열되는 근적외선 건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가 상기 복원 영역과 설정된 높이를 위치에 이르도록 상기 제 5실린더의 상기 제 5축을 하강시키고,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를 상기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출선 작업이 끝나는 즉시 경주통 침식 상태를 원격으로 정확히 검지하여 복원 판단 유무를 결정하는 동시에 경주통 내부 바닥에서 침식 영역이 존재하면 이를 원격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작업이 아닌 본 발명의 설비를 사용하여 자동 및 원격으로 실시함으로써 작업자 투입에 의한 인력 작업 부하 및 안전 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고로 용융물 생성 및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안전 커버를 취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경주통 바닥에 침식이 발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경주통 침식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경주통 바닥의 침식부를 복원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경주통 바닥 복원부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의 침식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편 감지부의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편 감지부에 의해 철편이 감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연삭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내화물 복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침식 영역에 성형 내화물이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건조기를 사용하여 복원 영역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의 구성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는 이동 안내부와, 침식 감지부와, 철편 감지부와, 연삭부와, 이물질 제거부와, 내화물 복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안내부는 본 발명의 설비가 배치되는 공장 또는 작업장의 천정 등의 고정물에 일정 길이를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레일은 직선 레일 일 수도 있고, 원형의 레일 일 수도 있다. 상기 레일과 같은 이동 안내부에는 상기 침식 감지부와, 철편 감지부와, 연삭부와, 이물질 제거부와, 내화물 복원부가 순차적으로 간격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을 통해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의 침식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경주통은 교체시 새로운 경주통(50)으로 안착부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에는 근접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새로운 경주통(50)이 안착됨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경주통의 위치, 수직 위치를 포함하여 이를 검사 위치라 한다.
상기 제어부는 리니어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식 감지부를 상기 검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상기 침식 감지부(100)는 경주통의 상부에 이동 위치된다.
침식 감지부(200)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안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직선 또는 원형의 레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식 감지부(200)는 상기 이동 안내부(100)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침식 감지부 몸체(210)와, 상기 침식 감지부 몸체(210)에 격자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50)의 바닥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들(220)과, 상기 침식 감지부 몸체(210)에 격자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50) 바닥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들(230)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광이 출사된 이후 수광되기 까지의 시간을 통해 상기 경주통(50) 바닥과의 거리값들을 산출한다.
여기서 침식 영역(51)은, 상기 침식 영역(51) 이외의 영역까지의 거리값 보다 더 큰 거리값을 형성한다.
이를 참조 하면, 경주통(5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되는 침식 영역(51)은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대적으로 경주통(50)의 바닥의 높이는 침식 영역(51)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발광부들(220)은 해당 위치에서 경주통(50)의 바닥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광을 출사한다. 상기 출사된 광은 경주통(50)의 바닥에서 반사되어 상방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반사된 광은 수광부들(230) 각각에서 수광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각 발광부(220)에서 출사된 광이 반사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수광부(230)에서 수광된 시간을 산출한다. 여기서 광의 속도는 일정하다. 상기 광은 레이저 광을 사용한다.
거리는 속도와 시간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수광부들(230) 위치에서의 수광 시간들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침식이 발생되지 않았다면, 경주통(50)의 바닥에서 반사되는 광들의 수광 시간은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반면, 일정 위치에서 침식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영역은 다른 바닥 영역에 비해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낮은 수준의 레벨을 형성한다.
따라서 해당 침식이 발생된 영역, 즉 침식 영역(51)에서 반사된 제 1수광 시간은 침식이 발생되지 않은 바닥에서 반사되는 제 2수광 시간 보다 길 수 있다.
이로써, 제 2수광 시간을 이루는 발광부들(220)의 위치를 연결하면 상술한 침식 영역(51)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부들(220) 위치에서, 경주통(50)의 바닥 및 침식 영역(51) 까지의 거리값들이 각각 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발광부들(220) 및 수광부들(230)은 격자 배열을 이루며 해당 위치는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영상 판독기(710)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 판독기(710)에는 격자 형상을 이루는 발광부들(220)의 위치들 보여주는 좌표들이 표시되는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은 본 발명에 따른 경주통(50)의 바닥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좌표들 각각에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거리값들이 표시된다. 이에 침식 영역(51)까지의 거리값들 및, 침식 영역(51) 이외 바닥까지의 거리값들이 영상에 표시된다. 구성 번호 '50a'는 경주통(50)의 기준 바닥면이다.
또한 제어부(70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판독기(710)의 좌표 상에서 현재 사용중인 경주통(50) 바닥까지의 거리값과 설정된 기준 거리값 차이가 일정 이상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경주통(50) 바닥이 일정 이상으로 마모 되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경주통(11) 바닥 복원 작업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편 감지부(300)를 상술한 검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은 안내 이동부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동시에, 상술한 침식 감지부(200)는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철편 감지부(30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편 감지부의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편 감지부에 의해 철편이 감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0)는 리니어 모터(720)를 사용하여 철편 감지부 몸체(310)를 검사 위치로 이동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철편 감지부(300)는 상기 이동 안내부(100)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철편 감지부 몸체(310)와, 상기 철편 감지부 몸체(310)에 승강 가능한 제 1축(321)을 갖는 제 1실린더(320)와, 상기 제 1축(321)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침식 영역(51) 내 상기 철편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상기 철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는 금속 감지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실린더(320)를 사용하여 상기 금속 감지기(330)가 상기 침식 영역(51)의 상부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축(321)을 하강시킨다.
상기 금속 감지기(330)는 판 상을 이루어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331)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331)의 좌표 정보는, 상기 제어부(700)에 기설정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331) 중, 상기 철편의 존재를 감지한 금속 감지 센서(331)의 좌표 정보를 상기 철편의 위치 정보로 저장한다.
이를 통해 금속 감지기(330)는 침식 영역(51)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감지기(330)는 격자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331)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이 금속 감지 센서(331)는 해당 위치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장소에 금속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만일 침식 영역(51)에 철편이 없는 경우, 제어부(700)는 제 1실린더(320)를 사용하여 금속 감지기(33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반면, 침식 영역(51) 일정 위치에 철편이 있는 경우, 금속 감지기(330)는 해당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철편 감지부(300)는 이동 안내부(100)를 따라 검사 위치에서 벗어나는 위치로 이동된다.
연삭부(40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연삭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삭부(400)는 상기 이동 안내부(100)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삭부 몸체(410)와, 상기 연삭부 몸체(4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제 1수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 1이동체(420)와, 상기 제 1이동체(420)의 하단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2축(431)을 갖는 한 쌍의 제 2실린더(430)와,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430) 각각의 상기 제 2축(431)에 양단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 축(441)과, 상기 스크루 축(441)을 정역회전시키는 스크루 모터(442)와, 상기 스크루 모터(442)에 스크루 체결되어 상기 스크루 축(441)의 화전 방향에 연동되어 제 2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443)을 포함하는 제 2이동체(440)와, 상기 이동 블록(443)에 연결되며, 하단에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제 1회전축(451)이 형성되는 제 1회전 모터(450)와, 상기 제 1회전축(45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삭 부재(46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2이동체(420, 440) 및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430), 상기 제 1회전 모터(450)를 사용하여 상기 연삭 부재(460)를 상기 철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1회전축(45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삭 부재(460)를 회전시켜 상기 철편을 연삭 할 수 있다.
또한 제 1이동체(420)는 양측부 측방에 롤러들(47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들(470) 각각의 중심축은 모터(480)와 축(481) 연결된다. 상기 모터는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된다. 상기 롤러들(470) 각각은 그 하부에 구성되는 이동 안내 레일(490)을 따라 구름 이동된다.
이에 제 1이동체(420)는 롤러들(470)의 회전에 의해 제 1수평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된다. 이때, 상기 제 1이동체(420)는 연삭부 몸체(410)의 하단에 제 1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11을 참조 하면, 제어부(700)는 리니어 모터(720)를 사용하여 연삭부 몸체를 검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어부(700)는 버섯 모양의 마그네시아 연삭 부재를 경주통(50) 바닥까지 하강시키기 위해 제 2실린더(430)의 제 2축(431)을 하강시킨다.
연삭 부재(460)가 경주통(50) 바닥에 위치되면, 이는 게이지가 검지하여 제어부(700)로 전송하고, 제 2실린더(430)의 구동을 중지한다.
또한 제어부(700)는 제 1회전 모터(450)의 제 1회전축(451)을 회전시킨다. 제 1회전축(451) 하단에 연결된 연삭 부재(460)는 회전된다.
상기 연삭 부재(460)는 경주통(50) 바닥 우측 시작점부터 연삭하기 시작하면서 영상 판독기(710)에서 검지된 경주통 바닥 곡면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연삭 부재(460)는 경주통(50) 바닥 좌측 끝점까지 산화된 내화물을 제거한다. 이때 우측 시작점부터 좌측 끝점까지 이동방법으로 스크루 모터(442)를 사용하여 스크루 축(441)을 회전시키고, 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스크루 축(441)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이동 거리는 스크루 모터(442)의 회전수 즉 엔코더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 하면, 제어부(700)는 연삭 부재(460)가 일정 간격으로 전진하도록 스크루 모터(442)를 회전시킨다. 이때 스크루 모터(445)의 회전수 즉 엔코더에 의해 한 스텝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스텝 전진된 연삭 부재(460)는 좌측 끝점에 대기할 수 있다.
다시 경주통(50) 바닥을 연삭하면서 우측 시작점까지 연삭 부재(46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부(700)는 스크루 모터(442)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연삭 부재(460)는 우측 끝점까지 이동하면서 경주통(50) 바닥 산화 내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끝점에 연삭 부재(460)가 도착되면 다시 제어부(700)는 연삭부(400)가 한 스텝 전진하도록 스크루 모터(442)를 한 스텝 회전시킨다.
그러면 연삭부(400)가 한 스텝 전진하면 제어부(700)는 스크루 모터(442)를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700)가 스크루 모터(442)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루 축(441)은 역회전에서 정회전된다. 아울러, 연삭 부재(460)는 우측에서 좌측 끝점으로 이동한다.
즉 지그재그 모양으로 경주통(50) 바닥 침식 산화된 내화물을 연삭 부재(35)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판독기(710)의 경주통(50) 바닥 거리에 의해 즉 경주통(50) 바닥 곡면에 따라 제 2실린더(430)의 제 2축(431)을 승강 시키면서 연삭 부재(460)가 연삭한다.
그리고 경주통(50) 바닥을 연삭하는 도중, 상기 저장된 철편 위치에 연삭 부재(460)가 이동되면 제어부(700)는 스크루 모터(442)를 정지한다. 이에 연삭 부재(460)는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경주통(50) 바닥을 연삭한다.
또한 제 2실린더(430)의 제 2축(431)이 하강하는 만큼 연삭 부재(460)도 하강하여 경주통(50) 바닥을 깊게 연삭한다.
이와 같이, 철편 부위 연삭 및 경주통(50) 바닥의 연삭이 끝나면 제어부(700)는 스크루 모터(442) 및 제 2실린더(430)의 구동을 중지한다.
이어 제어부(700)는 연삭 부재(460)가 원위치에 복귀되도록 모터(480), 제 1회전 모터(450) 및 제 2실린더(43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철편 감지부(200)는 경주통(50) 바닥 내부 철편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재차 검지한다.
따라서 철편 감지부(200)에 의해 철편이 재차 감지 되면 제어부(7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상술한 방법으로 연삭 부재(460)를 사용하여 해당 철편을 연삭하여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침식 영역(51)에 철편이 존재 하지 않을 때 까지 상기와 같이 연삭 부재(460)를 사용하여 철편을 연삭하는 공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500)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500)는 상기 이동 안내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부 몸체(510)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 몸체(5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4축(521)을 갖는 제 4실린더(520)와, 상기 제 4축(521)의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고압의 에어를 상기 침식 영역(51)으로 제공하여 상기 침식 영역(51)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 헤드(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이물질 제거부(500)를 검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 방식은 생략한다. 이때, 연삭부(400)는 검사 위치에서 벗어나 다른 위치에 이동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제 4실린더(520)를 사용하여 상기 고압 헤드(530)가 설정된 위치에 이르도록 제 4축(521)을 하강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고압 헤드(53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고압의 에어를 상기 침식 영역(51)으로 제공한다.
이에 침식 영역(51)에 전존할 수 있는 잔여물 또는 이물질은 외부로 강제 제거될 수 있다.
구성 번호 540은 고압 에어를 고압 헤드(530)로 공급하는 튜브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내화물 복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침식 영역에 성형 내화물이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복원부는 성형 내화물 복원부(600)와, 건조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내화물 복원부(600)는 상기 이동 안내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원부 몸체(610)와, 상기 복원부 몸체(6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설정된 양의 분말 내화물을 저장하는 탱크(621)와, 상기 탱크(621)와 연결되며 상기 분말 내화물을 공급하는 제 1공급관(622)을 갖는 제 1공급부(620)와, 상기 제 1공급관(622)과 연결되는 제 2공급관(631)과, 상기 제 2공급관(631)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기(632)를 갖는 제 2공급부(630)와, 상기 제 1,2공급관(622, 631)을 연결하며, 상기 분말 내화물과 상기 물을 혼합시켜 성형 내화물로 형성하는 혼합부(640)와, 상기 혼합부(640)와 연결되며, 상기 성형 내화물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침식 영역에 공급 및 충진시켜 복원 영역으로 형성하는 분사부(650)를 포함한다.
제어부(700)는 제 1공급관(622)에 설치되는 밸브들을 개방하여 탱크(621)의 내부에 저장된 분말 내화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물 공급기(632)를 사용하여 물을 제 2공급관(631)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어 분말 내화물과 물은 혼합부(640)에서 혼합되어 일정의 점도를 가진 성형 내화물로 형성된다.
제어부(700)는 침식 영역(51) 이외, 상술한 발광부와 경주통 바닥까지의 거리값을 복원 거리값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침식 영역(51)까지의 거리값과 상기 복원 거리값의 차이 거리값을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산출된 거리값 만큼의 두께를 이루도록 상기 성형 내화물이 상기 침식 영역(51)에 채워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침식 영역(51)에는 복원 영역(12)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700)는 상기 복원 거리값과 상기 복원 영역 상면 까지의 거리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 복원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건조부(800)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건조기를 사용하여 복원 영역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부(800)는 상기 이동 안내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부 몸체(810)와, 상기 건조부 몸체(8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제 5축(821)을 갖는 제 5실린더(820)와, 상기 제 5축(821)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을 통해 발열되는 근적외선 건조기(8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830)가 상기 복원 영역(12)과 설정된 높이를 위치에 이르도록 상기 제 5실린더(820)의 상기 제 5축(821)을 하강시키고,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830)를 상기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킨다.
제어부(700)는 건조부 몸체(810)를 감사 위치에 이동 위치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제 5실린더(820)를 사용하여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830)가 복원 영역(12)의 상부 설정된 위치에 이동되도록 상기 제 5축(821)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830)를 통해 고온의 근적외선 열을 복원 영역으로 방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근적외선 건조기(830)를 통해 방출되는 열의 온도를 점진적으로 100도씨 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좋다. 이에 쇳물에 대한 열적 충격에 대비토록 한다.
이때 건조되는 성형 내화물의 온도는 적외선 온도계가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실시간 송신한다.
이와 같이 경주통(50) 바닥 침식 영역(51)에 복원된 성형 내화물 건조를 마친 이후에, 제어부(700)는 상기 건조부(800)를 검사 위치에서 벗어나는 위치로 이동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출선 작업이 끝나는 즉시 경주통 침식 상태를 원격으로 정확히 검지하여 복원 판단 유무를 결정하는 동시에 경주통 내부 바닥에서 침식 영역이 존재하면 이를 원격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수작업이 아닌 본 발명의 설비를 사용하여 자동 및 원격으로 실시함으로써 작업자 투입에 의한 인력 작업 부하 및 안전 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 경주통
50a : 경주통 기준 바닥면
51 : 침식 영역
100 : 이동 안내부
200 : 침식 감지부
210 : 침식 감지부 몸체
220 : 발광부들
230 : 수광부들
300 : 철편 감지부
310 : 철편 감지부 몸체
320 : 제 1실린더
321 : 제 1축
330 : 금속 감지기
331 : 금속 감지 센서
400 : 연삭부
410 : 연삭부 몸체
420 : 제 1이동체
430 : 제 2실린더
431 : 제 2축
440 : 제 2이동체
441 : 스크루 축
442 : 스크루 모터
443 : 이동 블록
450 : 제 1회전 모터
460 : 연삭 부재
500 : 이물질 제거부
510 : 이물질 제거부 몸체
520 : 제 4실린더
530 : 고압 헤드
540 : 튜브
600 성형 내화물 목원부
610 : 복원부 몸체
620 : 제 1공급부
621 ; 탱크
622 : 제 1공급관
630 : 제 2공급부
631 : 제 2공급관
632 : 물 공급기
640 : 혼합부
650 : 분사부
700 : 제어부
800 : 건조부
810 : 건조부 몸체
820 : 제 5실린더
821 : 제 5축
830 : 근적외선 건조기

Claims (10)

  1. 경주통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 안내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 상부에 설정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되고, 발광부들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경주통 바닥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부들을 통해 수광하여 산출되는 상기 경주통의 바닥까지의 거리값 차이를 통해 상기 경주통의 바닥에서의 침식 영역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침식 감지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침식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사 위치로 이동하고, 금속 감지기를 구비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철편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철편 감지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검사 위치로 이동 후, 감지된 상기 철편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삭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철편을 연삭하는 연삭부;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편이 연삭된 상기 침식 영역에 고압의 에어를 제공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침식 영역에 저장된 성형 내화물을 충진함과 아울러 설정된 온도로 건조시켜 복원시키는 내화물 복원부; 및,
    상기 침식 감지부, 상기 철편 감지부, 상기 연삭부, 상기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내화물 복원부의 이동 및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 감지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침식 감지부 몸체와,
    상기 침식 감지부 몸체에 격자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의 바닥으로 광을 출사하는 상기 발광부들과,
    상기 침식 감지부 몸체에 격자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주통 바닥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상기 수광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이 출사된 이후 수광되기 까지의 시간을 통해 상기 경주통 바닥과의 거리값들을 산출하되,
    상기 침식 영역은, 상기 침식 영역 이외의 영역까지의 거리값 보다 더 큰 거리값을 형성하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 감지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철편 감지부 몸체와,
    상기 철편 감지부 몸체에 승강 가능한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침식 영역 내 상기 철편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철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금속 감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금속 감지기가 상기 침식 영역의 상부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축을 하강시키고,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감지기는, 판 상을 이루어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의 좌표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금속 감지 센서 중, 상기 철편의 존재를 감지한 금속 감지기의 좌표 정보를 상기 철편의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삭부 몸체와,
    상기 연삭부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수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 1이동체와,
    상기 제 1이동체의 하단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2축을 갖는 한 쌍의 제 2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 각각의 상기 제 2축에 양단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 축과, 상기 스크루 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스크루 모터와, 상기 스크루 모터에 스크루 체결되어 상기 스크루 축의 화전 방향에 연동되어 제 2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 2이동체와,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며, 하단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제 1회전축이 형성되는 제 1회전 모터와,
    상기 제 1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연삭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이동체 및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연삭 부재를 상기 철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1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삭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철편을 연삭하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이동체 및 상기 한 쌍의 제 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연삭 부재를 상기 침식 영역의 전체 바닥면으로 이동시키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제 1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삭 부재를 회전및 이동시켜 상기 침식 영역의 전체 바닥면을 연삭하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부 몸체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4축을 갖는 제 4실린더와,
    상기 제 4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고압의 에어를 상기 침식 영역으로 제공하여 상기 침식 영역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 헤드를 포함하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복원부는,
    성형 내화물 복원부와, 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 내화물 복원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원부 몸체와,
    상기 복원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설정된 양의 분말 내화물을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분말 내화물을 공급하는 제 1공급관을 갖는 제 1공급부와,
    상기 제 1공급관과 연결되는 제 2공급관과, 상기 제 2공급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기를 갖는 제 2공급부와,
    상기 제 1,2공급관을 연결하며, 상기 분말 내화물과 상기 물을 혼합시켜 성형 내화물로 형성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성형 내화물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침식 영역에 공급 및 충진시켜 복원 영역으로 형성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부 몸체와,
    상기 건조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제 5축을 갖는 제 5실린더와,
    상기 제 5축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을 통해 발열되는 근적외선 건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가 상기 복원 영역과 설정된 높이를 위치에 이르도록 상기 제 5실린더의 상기 제 5축을 하강시키고, 상기 근적외선 건조기를 상기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10. 제 1항의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KR1020180165631A 2018-12-19 2018-12-19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KR10211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31A KR102113472B1 (ko) 2018-12-19 2018-12-19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31A KR102113472B1 (ko) 2018-12-19 2018-12-19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472B1 true KR102113472B1 (ko) 2020-05-21

Family

ID=7091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631A KR102113472B1 (ko) 2018-12-19 2018-12-19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457A (ja) * 1994-04-01 1995-10-27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用耐火物の補修装置及び補修方法
JP2002069515A (ja) * 2000-08-31 2002-03-08 Tokyo Yogyo Co Ltd 傾注樋
KR20020055709A (ko) * 2000-12-29 2002-07-10 이구택 고로의 경주통 낙구 보수장치
JP2009002765A (ja) * 2007-06-21 2009-01-08 Jfe Steel Kk 耐火物のプロファイル測定方法及び耐火物の厚み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457A (ja) * 1994-04-01 1995-10-27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用耐火物の補修装置及び補修方法
JP2002069515A (ja) * 2000-08-31 2002-03-08 Tokyo Yogyo Co Ltd 傾注樋
KR20020055709A (ko) * 2000-12-29 2002-07-10 이구택 고로의 경주통 낙구 보수장치
JP2009002765A (ja) * 2007-06-21 2009-01-08 Jfe Steel Kk 耐火物のプロファイル測定方法及び耐火物の厚み測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4209A (ko) 용철 전처리를 위한 고효율 자동 슬래그 스키밍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8204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 refractory lining of a metallurgical vessel for molten metal in particular
US11852414B2 (en) Device for maintaining a tap hole of an electric arc furnace
KR102113472B1 (ko)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JP5549057B2 (ja) 耐火物吹き付け方法および吹き付け装置
KR101853830B1 (ko) 고로 탕도 내의 산화 내화물 제거장치
CN104991590A (zh) 大型沸腾氯化炉温度自动控制系统
CN115140521A (zh) 取料机以及采用取料机进行平料的方法
CN113736939A (zh) 高炉出铁沟防漏铁监测方法、监测装置及出铁沟
KR100424822B1 (ko)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KR100380744B1 (ko) 비접촉용강온도분포측정장치및방법
KR20110011857A (ko) 소결대차 불량 휠 검출 장치.
KR101266463B1 (ko) 전기로 냉각수 패널의 국부 코팅유닛 및 코팅시스템
KR100862037B1 (ko) 대탕도의 침식부위 검지 및 집중 냉각장치
KR102359238B1 (ko) 작업장치 및 작업방법
KR101159910B1 (ko) 압연재의 온도 측정 장치
RU2352436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и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ли признания негодной огнеупорной плиты шиберного затво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466827B2 (ja) 還元鉄の製造装置
KR101694273B1 (ko)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KR101321931B1 (ko)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KR101791777B1 (ko) 경도검사장치
JPH07126635A (ja) コークス炉の炉壁補修方法
CN108788621A (zh) 一种基于检修平台的燃煤电厂锅炉屏式过热器的检修工艺
JP5217389B2 (ja) 耐火物の熱間吹き付け方法および吹き付け装置
CN214079146U (zh) 一种检测钢包包底砖安全残厚的检测判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