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931B1 -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931B1
KR101321931B1 KR1020120061636A KR20120061636A KR101321931B1 KR 101321931 B1 KR101321931 B1 KR 101321931B1 KR 1020120061636 A KR1020120061636 A KR 1020120061636A KR 20120061636 A KR20120061636 A KR 20120061636A KR 101321931 B1 KR101321931 B1 KR 10132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thermal image
bogi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석
김해동
박옥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6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27D3/145Runne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탕도 용손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탕도 전체 몸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열화상 촬영부; 열화상 촬영부와 연결되고, 열화상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전송 받아 이를 온도로 판독하는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상승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온도 측정부를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이동부;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승 부위의 온도가 재차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대탕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및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 온도 측정부 및 냉각부와 각각 연결되고,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판독된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를 전송 받으면 온도 측정부를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고,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냉각부를 작동시켜 줌과 아울러,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냉각부의 작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MELTING DAMAGE OF RUNNER}
본 발명은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탕도의 국부적 열적 부하를 조기에 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기준치 이상의 온도 상승 부위를 검지함과 동시에 냉각하여 안정성과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탕도 용손 방지가 가능한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철광석과 코크스를 순차적 장입과 더불어 미분탄과 고온의 바람을 풍구쪽으로 불어 넣어 철광석을 환원 용융시킨다. 따라서 용선과 슬래그(이하, “용융물”이라 한다)는 노저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동시에 출선구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용융물은 대탕도를 경유하여 스키머에서 용선과 슬래그가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고 슬래그는 배재구를 통과하여 수재화 하며, 용선은 블록을 통과하여 레들 내에 주입된다. 이렇게 3개의 출선구를 통해 상기와 같은 작업이 반복된다.
즉, 1번 출선구 개공과 동시에 고로 내부에 있는 용융물이 4.2kg/㎠ 압력으로 배출되기 시작하면 대탕도에서 용융물이 와류를 하면서 일정한 유속으로 스키머까지 이동한 다음 비중 차이에 의해 용선과 슬래그가 분리된다. 이처럼 1번 대탕도를 90일 정도 누적 사용량이 예컨대, 20만톤 가량 되면 대탕도는 완전히 휴지시킨다.
이런 과정에서 누적 사용량이 예컨대, 10만톤부터 대탕도 내부 용융물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마모 상태 및 분사용 내화물 보강 작업을 휴지시까지 주기적,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
그리고, 대탕도 하부는 폐쇄회로 카메라를 설치하여 용손 유무를 폐쇄 회로 TV로 통해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대탕도 용손이 되면 용융물이 떨어지는 것을 폐쇄 회로 TV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하면 즉시 출선구를 폐쇄 시킨다.
그러나, 대탕도에 고여 있는 용융물이 전부 누출될 때까지 흘러 내린다. 이에 흘러 내린 용융물로 인해 레들 이동 선로 용손 및 평량기 소손으로 장기간 조업에 악 영향을 주고 있으며 레들 선로 및 평량기 교체시까지 상기 대탕도를 사용하지 않고 휴지시켜 놓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현상에 대한 조치 방법으로, 대탕도 하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점검 결과 국부적 적열 발견시 작업자가 직접 에어 라인을 설치하여 분사 냉각시키고 있다.
또한, 대탕도 용손 상태를 확인하여 전면 보수와 부분 보수를 결정한 다음 보수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첫째, 대탕도 내부 용융물를 제거하지 않는 이상 국부적 침식은 전혀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이며, 또한 작업자가 직접 대탕도 하부에서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다.
둘째, 대탕도 용손 방지를 위해 조기 검지 장치가 없으며 항상 용손된 상태에 확인하고 있으며, 또한 대탕도 보수와 선로 및 평량기 교환 작업으로 원가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결국은 안전사고 발생 위험과 작업부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탕도의 국부적 열적 부하를 조기에 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기준치 이상의 온도 상승 부위를 검지함과 동시에 냉각하여 안정성과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탕도 용손 방지가 가능한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탕도 전체 몸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열화상 촬영부;
상기 열화상 촬영부와 연결되고,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전송 받아 이를 온도로 판독하는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상기 온도 측정부를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이동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승 부위의 온도가 재차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대탕도의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및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 상기 온도 측정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냉각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판독된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를 전송 받으면 상기 온도 측정부를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고,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냉각부를 작동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냉각부의 작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화상 촬영부는 상기 대탕도의 밑면 전체 몸체, 우측면 전체 몸체 및 좌측면 전체 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대탕도의 밑면 몸체, 우측면 몸체 및 좌측면 몸체의 일부 부위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레이저 온도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가 상기 대탕도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대탕도의 밑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설치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1 바퀴가 장착된 제1 대차; 및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대차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차에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를 장착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온도계에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를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스탭핑 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2 바퀴가 장착된 제2 대차;
상기 제2 대차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차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대차에 장착되고, 상기 대탕도의 밑면, 우측면 및 좌측면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분사관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분사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시블 호스;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대차에는 상기 분사관을 장착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에는 상기 분사관을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스탭핑 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로 용융물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대탕도 하부에서 주기적으로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있으며 또한 폐쇄회로 TV에서 용융물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대탕도 용손을 판단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항시 대탕도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적외선 열화상 카메로 온도를 검지하여 조기에 대처함으로써 대탕도 용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조업에 악 영향을 줄이고 설비 성능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에 의해 대탕도 점검에 의해 에어 분사 라인을 직접 설치하여 냉각시키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작업이 아닌 원격으로 정확한 지점에서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냉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종래 방법에서 소요되던 인력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밑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우측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좌측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밑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우측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의 좌측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는, 대탕도(10) 전체 몸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열화상 촬영부(20);
상기 열화상 촬영부(20)와 연결되고, 상기 열화상 촬영부(20)에 의하여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전송 받아 이를 온도로 판독하는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30);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30)에 의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40);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30)에 의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상기 온도 측정부(40)를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이동부(50);
상기 온도 측정부(50)에 의하여 측정된 상승 부위의 온도가 재차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대탕도(10)의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60); 및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30), 상기 온도 측정부(40), 상기 이동부(50) 및 상기 냉각부(60)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30)에 의하여 판독된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를 전송 받으면, 상기 온도 측정부(40)를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고, 상기 온도 측정부(4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냉각부(60)를 작동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온도 측정부(4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냉각부(60)의 작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촬영부(20)는 상기 대탕도(10)에서 나오는 복사열 에너지를 적외선 센서가 감지해 상기 대탕도 전체 몸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20, 220, 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20, 220, 320)는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 전체 몸체, 우측면(210) 전체 몸체 및 좌측면(310) 전체 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30)는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온도로 판독할 수 있는 프로세스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40)는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 몸체, 우측면(210) 몸체 및 좌측면(310) 몸체의 일부 부위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레이저 온도계(140, 240, 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140, 240, 340)가 상기 대탕도(10)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설치한 가이드 레일(151, 251, 351);
상기 가이드 레일(151, 251, 351)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1 바퀴(152, 252, 352)가 장착된 제1 대차(153, 253, 353); 및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대차(153, 253, 353)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 모터(155, 255, 3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155, 255, 355)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기 제1 대차(155, 255, 355)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차(153, 253, 353)에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140, 240, 340)를 장착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157, 257, 357)가 용접 등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온도계(140, 240, 340)에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140, 240, 340)를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스탭핑 모터(stepping motor)(159, 259, 359)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가이드 레일(151, 251, 351)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2 바퀴(162, 262, 362)가 장착된 제2 대차(161, 261, 361);
상기 제2 대차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차(161, 261, 361)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 모터(163, 263, 363); 및
상기 제2 대차(161, 261, 361)에 장착되고,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 우측면(210) 및 좌측면(310)에 공기 등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164, 264, 3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163, 263, 363)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기 제2 대차(161, 261, 36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배관(164, 264, 364)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분사관(164, 264, 364)에 공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플렉시블 호스(165, 265, 365);
상기 플렉시블 호스(165, 265, 365)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165, 265, 365)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166, 266, 366);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165, 265, 365)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165, 265, 365)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167, 267, 3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166, 266, 366)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대차(161, 261, 361)에는 상기 분사관(164, 264, 364)을 장착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168, 268, 368)가 용접 등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관(164, 264, 364)에는 상기 분사관(164, 264, 364)을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스탭핑 모터(169, 269, 36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작용은 일련의 자동 원격 운전으로 행해지며 이 모든 제어는 제어부(70)에서 가능케 된다. 먼저,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탕도(10) 휴지시까지 열화상 촬영부(20)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20)는 항시 작동되어 상기 대탕도(10)에서 나오는 복사열 에너지를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20)의 프로세스 컴퓨터에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 몸체 시작점(일단부)부터 끝점(타단부)까지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20)가 상기 밑면(110) 몸체 온도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20)의 프로세스 컴퓨터로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스 컴퓨터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온도로 판독한 다음 열화상 이미지의 판독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가 나타나면 이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제1 모터(155)를 작동시켜 가이드 레일(151)을 따라 상기 제1 대차(153)를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까지 이동시킨 다음 상기 온도 측정부의 레이저 온도계(140)로 다시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정확한 온도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제1 스탭핑 모터(159)를 작동시켜 상기 레이저 온도계(140)가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 몸체를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온도계(140)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상으로 재차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2 모터(163)를 작동시켜 상기 가이드 레일(151)을 따라 상기 제2 대차(161)를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까지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2 스탭핑 모터(169)를 작동시켜 분사관(164)의 정확한 각도를 조정시키고 상기 제어 밸브(166)를 작동시켜 상기 플렉시블 호스(165)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사관(164)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냉각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호스(165)의 공기 유량을 상기 유량계(167)에서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온도계(140)가 냉각하는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검지하여 제어부(7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분사관(164)의 공기 분사에 의한 냉각으로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제어 밸브(166)를 폐쇄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모터(163)를 작동시켜 상기 제2 대차(161)를 원래의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대탕도(10)의 우측면(210) 몸체 및 좌측면(310) 몸체의 작용 과정도 상기의 대탕도(10)의 밑면(110) 몸체의 작용 과정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대탕도(10) 휴지시까지 열화상 촬영부(20)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220, 320)는 항시 작동되어 상기 대탕도(10)에서 나오는 복사열 에너지를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20)의 프로세스 컴퓨터에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대탕도(10)의 우측면(210) 및 좌측면(310) 몸체 시작점(일단부)부터 끝점(타단부)까지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220, 320)가 상기 우측면(210) 및 좌측면(310) 몸체 온도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20)의 프로세스 컴퓨터로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스 컴퓨터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온도로 판독한 다음 열화상 이미지의 판독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가 나타나면 이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제1 모터(255, 355)를 작동시켜 가이드 레일(251, 351)을 따라 상기 제1 대차(253, 353)를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까지 이동시킨 다음 상기 온도 측정부의 레이저 온도계(240, 340)로 다시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정확한 온도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제1 스탭핑 모터(259, 359)를 작동시켜 상기 레이저 온도계(240, 340)가 상기 대탕도(10)의 우측면(210) 및 좌측면(310) 몸체를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온도계(240, 340)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상으로 재차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2 모터(263, 363)를 작동시켜 상기 가이드 레일(251, 351)을 따라 상기 제2 대차(261, 361)를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까지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2 스탭핑 모터(269, 369)를 작동시켜 분사관(264, 364)의 정확한 각도를 조정시키고 상기 제어 밸브(266, 366)를 작동시켜 상기 플렉시블 호스(265, 365)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사관(264, 364)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냉각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호스(265, 365)의 공기 유량을 상기 유량계(267, 367)에서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온도계(240, 340)가 냉각하는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검지하여 제어부(7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분사관(264, 364)의 공기 분사에 의한 냉각으로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제어 밸브(266, 366)를 폐쇄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모터(263, 363)를 작동시켜 상기 제2 대차(261, 361)를 원래의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대탕도(10)의 밑면(110), 우측면(210) 및 좌측면(310) 몸체 온도를 영상으로 검지하는 열화상 촬영부(20)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20, 220, 320)와 상기 온도 측정부(40)의 레이저 온도계(140, 240, 340), 상기 이동부(50), 상기 냉각부(60) 및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대탕도(10)의 휴지시까지 연속적으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대탕도의 밑면, 우측면 및 좌측면 몸체에서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가 나타나면, 상기 제어부에서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에 레이저 온도계를 원격으로 이동시켜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고 또한 상기 냉각부를 원격으로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상승 부위를 냉각함으로써 대탕도의 용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대탕도 110: 밑면
210: 우측면 310: 좌측면
20: 열화상 촬영부 30: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
40: 온도 측정부 50: 이동부
60: 냉각부 70: 제어부

Claims (10)

  1. 대탕도 전체 몸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열화상 촬영부;
    상기 열화상 촬영부와 연결되고,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전송 받아 이를 온도로 판독하는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로 판독된 경우, 상기 온도 측정부를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이동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승 부위의 온도가 재차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대탕도의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및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 상기 온도 측정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냉각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열화상 이미지 판독부에 의하여 판독된 기준 온도 이상의 상승 부위를 전송 받으면 상기 온도 측정부를 상기 상승 부위로 이동시켜 주고,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냉각부를 작동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상승 부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냉각부의 작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촬영부는 상기 대탕도의 밑면 전체 몸체, 우측면 전체 몸체 및 좌측면 전체 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대탕도의 밑면 몸체, 우측면 몸체 및 좌측면 몸체의 일부 부위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레이저 온도계로 이루어지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가 상기 대탕도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대탕도의 밑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설치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1 바퀴가 장착된 제1 대차; 및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대차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 모터를 포함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차에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를 장착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온도계에는 상기 레이저 온도계를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스탭핑 모터가 장착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2 바퀴가 장착된 제2 대차;
    상기 제2 대차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차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대차에 장착되고, 상기 대탕도의 밑면, 우측면 및 좌측면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을 포함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분사관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분사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시블 호스;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를 포함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차에는 상기 분사관을 장착하기 위한 제2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에는 상기 분사관을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스탭핑 모터가 장착되는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KR1020120061636A 2012-06-08 2012-06-08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KR10132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36A KR101321931B1 (ko) 2012-06-08 2012-06-08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36A KR101321931B1 (ko) 2012-06-08 2012-06-08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931B1 true KR101321931B1 (ko) 2013-10-28

Family

ID=4963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636A KR101321931B1 (ko) 2012-06-08 2012-06-08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50B1 (ko) * 2015-11-24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425A (ja) * 1994-03-30 1995-10-17 Nippon Steel Corp 高炉大樋熱間補修装置
JPH09241714A (ja) * 1996-03-11 1997-09-16 Nippon Steel Corp 高炉出銑樋の内面形状の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JP2009002765A (ja) 2007-06-21 2009-01-08 Jfe Steel Kk 耐火物のプロファイル測定方法及び耐火物の厚み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425A (ja) * 1994-03-30 1995-10-17 Nippon Steel Corp 高炉大樋熱間補修装置
JPH09241714A (ja) * 1996-03-11 1997-09-16 Nippon Steel Corp 高炉出銑樋の内面形状の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JP2009002765A (ja) 2007-06-21 2009-01-08 Jfe Steel Kk 耐火物のプロファイル測定方法及び耐火物の厚み測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50B1 (ko) * 2015-11-24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238B2 (ja) 竪型炉における溶融物レベルの推定方法
CN109913602B (zh) 高炉风口设备及其周边炉体内衬侵蚀状态巡检系统及方法
KR19990017156U (ko) 열풍로의 열풍밸브 누수측정장치
WO2010064727A1 (ja) 溶銑温度の検知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高炉の操業方法
KR101321931B1 (ko)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CN110631709A (zh) 一种转炉炼钢倒炉时非接触式的钢水温度检测方法
CN113201617A (zh) 一种高炉风口平台综合巡检装置及方法
KR102450015B1 (ko) 고온 상태에서 야금학적 용기의 내화 라이닝을 수리하기 위한 방법
BR112017015978B1 (pt) Método para monitorar um recipiente metalúrgico
CN113832277B (zh) 一种高炉出铁智能判定及自动开口控制方法
CN209923373U (zh) 高炉风口设备及其周边炉体内衬侵蚀状态巡检系统
KR101538145B1 (ko) 고로 철피 관리 시스템
KR101330309B1 (ko) 고로 가스 누출 차단장치
CN205879367U (zh) 一种鱼雷罐车的温度检测系统
KR100862037B1 (ko) 대탕도의 침식부위 검지 및 집중 냉각장치
KR102115393B1 (ko) 스크랩 용해율 판단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스크랩 용해율 판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CN205879366U (zh) 一种鱼雷罐车的全方位红外检测系统
CN205826577U (zh) 一种鱼雷罐车的通用型安全检测设备
KR101360389B1 (ko) 고로 관측 장치
KR102089162B1 (ko) 고로 냉각 장치
CN205843818U (zh) 一种鱼雷罐车的车体安全检测系统
KR101481620B1 (ko)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KR20130034507A (ko) 고로 슬래그의 폐열 회수 장치
JP2009241077A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の停止制御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プレート
KR101128938B1 (ko) 고로에서 주상열을 이용한 머드건 예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