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620B1 -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620B1
KR101481620B1 KR1020130107491A KR20130107491A KR101481620B1 KR 101481620 B1 KR101481620 B1 KR 101481620B1 KR 1020130107491 A KR1020130107491 A KR 1020130107491A KR 20130107491 A KR20130107491 A KR 20130107491A KR 101481620 B1 KR101481620 B1 KR 10148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hartered
charterer
rail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식
변영규
김희현
강필순
오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0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선 처리 장치는, 혼선차로부터 낙하하여 유입된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용선대차; 그리고 상기 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이 저장되는 용선피트를 포함한다.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선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용선대차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IG IRON}
본 발명은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선차로부터 낙하한 용선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은 제련 등의 차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용선경주통(Tilting Runner)을 통하여 용선 이동수단인 혼선차(Torpedo Ladle Car)(TLC)에 장입되는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를 통상 고로 수선 작업이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10)의 출선구(110a)를 통해 출선되는 용선은 대탕도(120)를 흐르면서 스키머(120a)에 의해 슬래그와 분리되고, 다시 지탕도(120b)를 경유하여 경주통(130)에 담기게 된다. 그리고, 경주통(130)에 담긴 용선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경주통의 하부에 위치한 혼선차(140)의 장입구(142)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담기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경주통상의 용선흐름상태 및 혼선차 내의 용선 수선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 혼선차(140)에 장입된 용선이 장입구(142)를 넘지 않을 정도의 적정 레벨에 도달하면 기울어진 상태의 경주통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자의 조작을 통하여 혼선차의 용선 장입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레벨 조정도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작업자가 경주통 부근 근거리에 있으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용선에서 발생되는 고열 및 유해분진, 유해가스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용선의 혼선차 수선시 그 장입 레벨을 측정장치(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경주통의 조작도 자동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분진 포집장치의 프레임(210) 일측으로 혼선차 의 수선 조업시, 그 용선 장입구(142)에 일치되는 위치에 수선 레벨 측정장치(200)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이와 같은 수선 레벨 측정장치(200)는 알려진 레이져 또는 초음파 레벨 센서를 사용하고, 이 측정장치인 센서는 디스플레이 기기(220)와 연결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0825551호 2008.04.25.
본 발명의 목적은 경주통에서 배출되어 혼선차로부터 낙하한 용선을 처리할 수 있는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선차로부터 낙하한 용선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는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선 처리 장치는, 혼선차로부터 낙하하여 유입된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용선대차; 그리고 상기 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이 저장되는 용선피트를 포함한다.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선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용선대차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용선대차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그리고 상기 용선대차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가능한 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랙기어; 상기 용선대차에 설치된 구동모터;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며,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에 의해 상기 용선대차를 이동가능한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선대차는 상부용선대차 및 상기 상부용선대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하부용선대차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선대차는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이동형 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선대차는 상기 용선이 배출되는 상기 이동형 탕도의 출측과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선의 유동을 제한하는 차단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용선대차와 상기 용선피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을 상기 용선피트로 안내하는 고정형 탕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선피트는 상기 용선을 수용하는 피트몸체 및 상기 피트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차단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용선 처리 장치는, 경주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주통으로부터 용선이 공급되며, 혼선차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혼선차;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선차 레일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레일;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혼선차로부터 낙하하여 유입된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상부용선대차 및 하부용선대차; 상기 하부용선대차와 상기 용선피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고정형 탕도; 그리고 상기 고정형 탕도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이 저장되는 용선피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용선대차 및 상기 하부용선대차는 상부면으로부터 각각 함몰된 상부 이동형 탕도 및 하부 이동형 탕도를 각각 가진다.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용선대차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가능한 랙기어; 상기 혼선차 레일 상에 설치되는 열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열감지센서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열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용선대차를 상기 혼선차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선 처리 방법은, 혼선차 레일을 따라 혼선차를 이동하여 경주통의 하부에 상기 혼선차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경주통을 경동하여 상기 혼선차에 용선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혼선차 레일에 설치된 열감지센서를 통해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혼선차 레일과 수직하게 배치된 레일을 따라 용선대차를 이동시켜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상기 용선대차를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용선대차를 통해 상기 혼선차로부터 낙하한 상기 용선을 고정형 탕도로 안내하며, 상기 고정형 탕도를 통해 상기 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을 용선피트로 안내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경주통에서 배출되어 혼선차로부터 낙하한 용선을 용선대차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용선을 용선피트에 저장한 후 냉각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고로 수선 조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고로 수선 레벨 측정센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선대차 및 하부용선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상부용선대차 및 하부용선대차와 고정형 탕도, 그리고 용선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상부용선대차에 설치된 랙 기어와 랙 기어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구동모터 및 열감지 센서에 각각 연결된 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선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경주통(130)에 담긴 용선은 장입구(142)를 통해 혼선차(140)에 담긴다. 그러나, 용선 수입과정에서 혼선차(140)에 파공이 발생하거나 용선이 과다수입되어 혼선차(140)로부터 용선이 유출될 경우, 용선이 레일이나 침목 또는 기관차에 낙하하여 용손 원인이 되므로, 설비가동이 중지될 뿐만 아니라 복구시간 및 복구비용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선대차 및 하부용선대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상부용선대차 및 하부용선대차와 고정형 탕도, 그리고 용선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혼선차(140)는 레일(144)을 따라 이동하며, 경주통(13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주통(130)은 경동에 의해 용선을 혼선차(140)의 장입구(142)에 공급하며, 용선은 혼선차(140)의 내부에 저장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혼선차(140)에 파공이 발생하거나 용선이 과다수입된 경우, 용선이 혼선차(140)로부터 낙하할 수 있으며, 열감지센서(72)는 레일(144) 상에 설치되어 주위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용선의 누출 여부를 감지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22) 및 하부레일(44)은 혼선차(140)의 하부에 설치되며, 레일(144)과 대체로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상부레일(22) 및 하부레일(44)은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는 상부레일(22) 및 하부레일(44) 상에 설치되며, 상부레일(22) 및 하부레일(44)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는 레일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경주통(130)의 양측에 배치된 혼선차(14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스토퍼(24) 및 하부스토퍼(44)는 상부레일(22) 및 하부레일(44)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부스토퍼(24)는 상부레일(22) 상에 연결되며, 회동에 의해 상부레일(2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스토퍼(44)는 하부레일(42) 상에 연결되며, 회동에 의해 하부레일(4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어기(70)는 열감지센서(72)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부스토퍼(24) 및 하부스토퍼(44)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를 원하는 혼선차(14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는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이동형 탕도(16,36)를 각각 가지며, 이동형 탕도(16,36)는 혼선차(140)로부터 낙하한 용선을 원하는 곳으로 안내 및 배출한다. 하부 탕도(36)의 입측은 상부 탕도(16)의 출측에 대응되어, 상부 탕도(16)를 따라 이동한 용선은 하부 탕도(36)에 유입된 후 배출된다. 또한, 고정형 탕도(52)가 하부용선대차(32)의 하부에 형성되며, 고정형 탕도(52)는 용선피트(60)의 입구(62)를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용선은 하부 탕도(36)를 통해 배출된 후 고정형 탕도(52)를 따라 흐른 후, 입구(62)를 통해 용선피트(60)에 저장된다. 저장된 용선은 일정 시간 냉각된 후 장비를 통해 원하는 곳으로 이동되며, 재사용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한편,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는 하부에 설치된 이동휠(15,35)을 통해 레일(22,42)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는 측면에 형성된 랙 기어(13,3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상부용선대차에 설치된 랙 기어와 랙 기어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부용선대차(12)의 이동원리는 하부용선대차(32)에 대체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6)은 상부용선대차(12)의 일측에 기립 설치되며, 구동모터(54)는 브라켓(27)을 통해 지지프레임(26)에 고정설치된다. 피니언 기어(56)는 구동모터(5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며, 상부용선대차(12)의 측면에 설치된 랙 기어(13)와 맞물린다. 따라서, 구동모터(54)가 회전할 경우, 피니언 기어(56)의 회전에 의해 랙 기어(13)는 이동하며, 이를 통해 상부용선대차(12)는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용선대차(12)는 혼선차(140)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혼선차(140)의 하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모터 커버(55)는 지지프레임(26)에 설치되어 모터(54)를 감싸며, 용선 등으로부터 모터(54)를 보호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달리, 랙 기어(13)는 지지프레임(26)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54)는 상부용선대차(12)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54)는 상부용선대차(12)를 관통하여 피니언 기어(56)에 연결된다. 모터 커버(55)는 상부용선대차(12)에 설치되어 모터(54)를 감싸며, 용선 등으로부터 모터(54)를 보호한다.
도 7은 구동모터 및 열감지 센서에 각각 연결된 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선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용선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혼선차(140)를 경주통(130)의 하부로 이동한다(S10). 혼선차(140)는 레일(144)을 따라 이동하며, 혼선차(140)의 장입구(142)는 경주통(130)의 하부에 위치한다.
다음, 경주통(130)을 경동하여 혼선차(140)에 용선을 공급한다(S20). 용선은 혼선차(140)의 장입구(142)를 통해 혼선차(140)의 내부에 장입되며, 작업자는 경주통상의 용선흐름상태 및 혼선차(140) 내의 용선 수선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 혼선차(140)에 장입된 용선이 장입구(142)를 넘지 않을 정도의 적정 레벨에 도달하면 기울어진 상태의 경주통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나, 혼선차(140)에 파공이 발생하거나 과다 수입으로 인해 용선이 혼선차(140)로부터 넘칠 경우, 용선은 혼선차(140)로부터 낙하할 수 있다.
열감지센서(72)는 혼선차(140)의 레일(144) 상에 설치되며, 주위 온도를 측정하여 용선의 낙하여부를 감지한다(S30). 제어기(70)는 열감지 센서(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감지 센서(72)를 통해 측정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용선이 누출되었음을 판단하고 구동모터(54)를 작동하여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를 혼선차(140)의 하부로 이동시킨다(S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는 각각 레일(22,42)을 따라 이동하며, 상부용선대차(12)의 이동형 탕도(16)는 혼선차(140)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용선대차(32)의 이동형 탕도(36)는 이동형 탕도(16)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부스토퍼(24) 및 하부스토퍼(44)는 제어기(70)를 통해 작동하여 상부용선대차(12) 및 하부용선대차(32)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혼선차(140)로부터 낙하한 용선은 이동형 탕도(16,36)를 따라 흘러 고정형 탕도(52)로 유입되며, 고정형 탕도(52)를 통해 용선피트(60)의 입구로 유입된다. 한편, 차단판(14)은 이동형 탕도(16)의 입측에 설치되어 상부용선대차(1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용선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2 : 상부용선대차 13,33 : 랙 기어
14 : 차단판 15 : 이동휠
16,36 : 이동형 탕도 22,42 : 레일
24,44 : 스토퍼 32 : 하부용선대차
52 : 고정형 탕도 60 : 용선피트
72 : 열감지센서 110 : 고로
110a : 출선구 120 : 대탕도
120a : 스키머 120b : 지탕도
130 : 경주통 140 : 혼선차
142 : 장입구 144 : 레일
200 : 수선 레벨 측정장치

Claims (12)

  1. 혼선차로부터 낙하하여 유입된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용선대차; 및
    상기 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이 저장되는 용선피트를 포함하는, 용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선대차는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이동형 탕도를 가지는, 용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선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용선대차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휠을 더 포함하는, 용선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용선대차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용선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용선대차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가능한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용선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랙기어;
    상기 용선대차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며,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에 의해 상기 용선대차를 이동가능한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는, 용선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대차는 상부용선대차 및 상기 상부용선대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하부용선대차를 구비하는, 용선 처리 장치.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대차는 상기 용선이 배출되는 상기 이동형 탕도의 출측과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선의 유동을 제한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는, 용선 처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용선대차와 상기 용선피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을 상기 용선피트로 안내하는 고정형 탕도를 더 포함하는, 용선 처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피트는 상기 용선을 수용하는 피트몸체 및 상기 피트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는, 용선 처리 장치.
  11. 경주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주통으로부터 용선이 공급되며, 혼선차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혼선차;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선차 레일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레일;
    상기 혼선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혼선차로부터 낙하하여 유입된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상부용선대차 및 하부용선대차;
    상기 하부용선대차와 상기 용선피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용선대차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의 유동을 안내 및 배출하는 고정형 탕도; 및
    상기 고정형 탕도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선이 저장되는 용선피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용선대차 및 상기 하부용선대차는 상부면으로부터 각각 함몰된 상부 이동형 탕도 및 하부 이동형 탕도를 각각 가지는, 용선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 처리 장치는,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용선대차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가능한 랙기어;
    상기 혼선차 레일 상에 설치되는 열감지센서; 및
    상기 열감지센서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열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용선대차를 상기 혼선차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용선 처리 장치.
KR1020130107491A 2013-09-06 2013-09-06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KR10148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491A KR101481620B1 (ko) 2013-09-06 2013-09-06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491A KR101481620B1 (ko) 2013-09-06 2013-09-06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620B1 true KR101481620B1 (ko) 2015-01-12

Family

ID=525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491A KR101481620B1 (ko) 2013-09-06 2013-09-06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71A (ko)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31A (ja) * 1991-07-04 1993-01-19 Nippon Steel Corp 旋回移動式添加材添加装置
JPH07100634A (ja) * 1993-10-05 1995-04-18 Nippon Steel Corp 鋳銑機注入樋の滓掻き出し装置
KR19980067423U (ko) * 1997-05-27 1998-12-05 김종진 용광로 베드의 용선공 자동 개폐장치
WO2012114534A1 (ja) * 2011-02-25 2012-08-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銑傾注樋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31A (ja) * 1991-07-04 1993-01-19 Nippon Steel Corp 旋回移動式添加材添加装置
JPH07100634A (ja) * 1993-10-05 1995-04-18 Nippon Steel Corp 鋳銑機注入樋の滓掻き出し装置
KR19980067423U (ko) * 1997-05-27 1998-12-05 김종진 용광로 베드의 용선공 자동 개폐장치
WO2012114534A1 (ja) * 2011-02-25 2012-08-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銑傾注樋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71A (ko)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995B1 (ko) 용탕 반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91763A1 (en) Method for trasporting molten metal
JP5640020B2 (ja) 溶解炉を搭載した注湯装置
JPWO2010146908A1 (ja) 自動注湯機への溶湯供給方法およびその設備
KR101481620B1 (ko)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CN212432282U (zh) 铁水罐液位检测系统
CN107014209B (zh) Dcsp电炉
JP2015124898A (ja) 測温装置及び測温方法
WO2019040704A1 (en) IMPROVED MANUFACTURE OF LOW CARBON STEEL
CN205888066U (zh) 一种铁水罐车的自动测温设备
US6440355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ath level in a basic oxygen furnace to determine lance height adjustment
JP6624100B2 (ja) 鋳造設備を構成する複数の装置の異常の原因を検出するシステム
CN205879366U (zh) 一种鱼雷罐车的全方位红外检测系统
KR20090113691A (ko) 전로 자동출강 장치
KR100920623B1 (ko) 소결기의 소결대차 자동 교체장치
KR20120033084A (ko) 슬래그의 두께 측정 장치
KR101321931B1 (ko)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KR102045380B1 (ko)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71733A (ko) 출강구 폐쇄기 투입장치
CN205826577U (zh) 一种鱼雷罐车的通用型安全检测设备
JPH0987715A (ja) 溶銑鍋切り換え方法および装置
KR101584147B1 (ko) 고로 탕도의 커버 실링 장치
KR101511016B1 (ko) 레이더 레벨기를 이용한 용선 레벨 측정 장치
CN205843818U (zh) 一种鱼雷罐车的车体安全检测系统
KR20170052041A (ko) 용선운반차의 정차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