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822B1 -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822B1
KR100424822B1 KR10-1998-0060306A KR19980060306A KR100424822B1 KR 100424822 B1 KR100424822 B1 KR 100424822B1 KR 19980060306 A KR19980060306 A KR 19980060306A KR 100424822 B1 KR100424822 B1 KR 10042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value
slide gate
opening degree
tun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3868A (ko
Inventor
임병호
허성천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6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8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밸브 스탠드의 온오프 밸브를 동작시켜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킴으로써 래들 하부에 제공된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래들로부터 턴디시에 수강되는 용강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턴디시와 이에 수강되어 있는 용강의 합산무게를 검출하고,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합산무게로부터 턴디시의 무게를 감하여 턴디시에 수강된 용강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용강량과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값과 현재 개방정도의값을 비교하여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를 재어하는 동작 값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서; 상기 동작값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압밸브 스탠드의 온오프 밸브가 동작하여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슬라이드 게이트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참조하여 턴디시 내 용강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청정한 용강을 몰드에 공급해서 무결함 슬라브를 생산할 수 있고, 슬라이드 게이트의 과도한 폐쇄시 주조 작업중에 발생되는 예기치 못한 조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턴디시 용강량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a steel in tundish}
본 발명은 턴디시 내의 용강량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주조작업중에 래들의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에 대한 제어가 불량하여 턴디시(tundish) 내의 용강량 제어가 불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조업사고 및 안전재해를 예방하고 또한 턴디시 내 용강의 품질이 나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턴디시 용강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연속주조공정은 연속적으로 교체되는 래들에 수강된 용강이 턴디시를 통해서 몰드에 주입되어 슬라브(slab)를 계속 생산하는 슬라브제조공정을 말한다. 턴디시는 래들로부터 용강이 주입되는 1차적 용기로서 후속 래들의 교체 또는 주조속도조절 및 용강의 분배에 이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연속주조기에는 제강공정에서 취련 및 정련 작업이 완료된 용강이 수강되어 있는 래들(202)을 연속 주조작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지지하는 래들 터렛(201)이 제공되어 있다. 래들(202)의 하부에는 용강을 재분배하고 또한 보다 청정한 용강을 확보하기 위한 턴디시(204)가 턴디시카(210)에 장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턴디시(204)는 연속주조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소형에서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청정한 용강을 몰드(205)에 공급할 수 있도록 내화벽돌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청정한 용강을 제공하기 위하여 턴디시 내부는 질소 버너로 예열처리되거나 또는 아르곤으로 퍼지처리되고 있다.
한편, 턴디시(204) 내의 용강량 제어작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제어방식에서 탈피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턴디시 내 용강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시카(210)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셀(108)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턴디시 내의 용강량을 제어하도록 작동된다.
예를 들어, 4개의 로드셀(108: load cell)이 턴디시카(210)에 설치되어 있으며, 4개의 로드셀(108)의 상부에는 턴디시(204)가 안착된다. 이때, 래들(202)과 턴디시카(210)가 주조위치(casting position)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회전모터(23)와 시프팅 실린더(12)를 작동시켜 포크암(16)에 의해서 떠받쳐져 있는 쉬라우드 노즐(18)이 래들(202)에 제공된 컬렉터 노즐의 하부애 연결되도록 한다. 이 후에,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리프팅 실린더(19)는 래들 터렛(202)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시프팅 실린더(12)가 프리상태로 되도록 스위치를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시프팅 실린더(12)는 래들(202)의 측벽에 제공된 유압 실린더(35)에 의해서 개폐되어지는 슬라이드 게이트(36)의 작동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개방되어 있는 슬라이드 게이트(36)를 통해서 래들(202)로부터 턴디시(204)에 소정량 이상의 용강이 충진되어 턴디시 내 용강량 자동제어조건이 만족되면 작업자는 래들 슬라이드 노즐 컨트롤 팬던트(109; ladle slide nozzle control pendant)에서 제어모드를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절환한다.
이러한 자동모드상태에서, 로드셀(108)은 턴디시(204)와 용강의 합산무게를 측정하여 DCS(101-1: distribute control system)로 전송하고, DCS(101-1)에서는 상기 합산무게로부터 미리 설정된 턴디시의 자체무게를 제하여 턴디시 내 용강량을 산출한다. 산출된 용강량은 유압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PLC(104; programable logic controller)로 전송된다. 이 후에, PLC(104)는 유압밸브 스텐드(105-1)의 온오프 밸브에 개폐신호를 보내어 래들(202)에 제공된 슬라이드 게이트(36)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유압 실린더(35)를 작동시킨다.
즉, 턴디시(204) 내의 용강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턴디시카(210)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로드셀(108)에서 측정된 합산무게의 측정신호(mV)를 증폭기(111; AMP)에서 장거리 전송신호(4∼20mA)로 증폭시킨 후 DCS(101-1)에 전송된다.
DCS(101-1)에서는 측정신호를 턴디시 용강량으로 환산한 후 환산치로부터 제어하고자 하는 목표값과의 편차를 구한다. 이러한 편차가 양수일 경우에는 클로즈시그날을 유압 PLC(104)에 출력하여 래들(202)의 하부에 제공된 슬라이드 게이트(36)를 폐쇄시키도록 유압 실린더(35)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편차가 음수일 경우에는 오픈 시그날을 유압 PLC(104)에 출력하여 슬라이드 게이트(36)를 개방시키도록 유압 실린더(35)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턴디시 내 용강량을 제어한다.
여기에 OS-262(103)는 작업자가 모니터링 시스템(operator & monitoring system: 102)을 통해서 DCS(101-1)와 상시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턴디시(204) 내 용강량과 제어모드를 관찰하고 설정치 변환과 제어 모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비이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턴디시 용강량 제어방식은 슬라이드 게이트(36)의 현재 개방정도의 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유압밸브 스탠드(105-1)의 온오프 밸브에 신호를 전송하여 유압 실린더(35)를 동작시키므로 턴디시 내 용강량의 정밀 제어가 불가능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용강량의 제어범위를 크게 한다.
결과적으로, 용강량의 제어범위가 커짐에 따라 유압 실린더(35)가 과다하게 작동되면 슬라이드 게이트(36)의 개폐동작이 과다해진다. 이때, 용강의 흐름이 정지되면서 슬라이드 게이트가 완전히 폐쇄되면 작업자는 이를 개통하기 위해 산소 세척등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폭발사고 및 용강에 의한 화상등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쉬라우드 노즐(18)을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용강 산화로 용강품질이 나빠지게 된다.
특히, 용강량의 제어범위가 증가하게 되면 턴디시(204) 내부에서 용강탕면의 상부벽에 지금 및 슬래그가 다량으로 부착되고, 이때, 용강탕면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 상부벽에 부착된 지금과 슬래그가 용강에 녹아서 유입되어 용강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용강이 몰드(205)로 유입되면 슬라브 응고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결함이 슬라브에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쉬라우드 디바이스(shroud device)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시프팅 실린더 옆에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개폐되는 래들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의 값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위치감지수단에 의해서 감지되는 유압실린더의 개방정도의 값과 턴디시카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셀(load cell)이 감지한 용강 무게의 데이타를 DCS로 보내고, DCS는 이 데이터를 PLC로 보내고, PLC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밸브 스텐드의 온오프 밸브에 개폐신호를 보내어 슬라이드 게이트 개폐용 유압실린더를 미세하게 작동시킴으로서, 래들 슬라이드 게이트의 과도한 막힘을 방지하여 턴디시 내의 용강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턴디시 용강량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실시예에 따라서 턴디시 용강무게를 측정하여 턴디시 용강량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서 래들 슬라이드 실린더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위치감지수단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이 시프팅 실린더에 인접하여 쉬라우드 디바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그 측면도이고, (b)는 그 평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이 장착된 쉬라우드 디바이스가 래들에 인접하여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턴디시 용강량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위치감지수단
51 : 연결 커플러
52 : 빌로우 커버
53 : 베이스 플레이트
54 : 센싱수단
55 : 케이블
56 : 로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밸브 스탠드의 온오프밸브를 동작시켜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킴으로써 래들 하부에 제공된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래들로부터 턴디시에 수강되는 용강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턴디시와 이에 수강되어 있는 용강의 합산무게를 검출하고,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합산무게로부터 턴디시의 무게를 감하여 턴디시에 수강된 용강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용강량에 해당하는 개방정도의 값과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값에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피드백하여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동작값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서; 상기 동작값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압밸브 스탠드의 온오프 밸브가 동작하여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상부에서 시프팅 실린더(12)의 옆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의 값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3)를 갖고, 베이스 플레이트(53) 상에는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암(14)이 전후진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연결 커플러(51)를 통해서 일단부가 암(14)과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56)가 제공된다. 도면부호 52는 피스톤로드(56)가 손상되지 않도록 피스톤로드(56)를 감싸고 있는 벨로우즈 커버이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53) 상에는 피스톤로드(56)가 이동함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도록 하고, 이 저항값을 변환하여 피스톤로드(56)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싱수단(54)이 제공되고, 센싱수단(54)에는 동력제공 및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55)이 연결된 터미널 박스(57)가 제공된다. 센싱수단(5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하지 않는다.
도 4는 쉬라우드 디바이스(203)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11)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쉬라우드 디바이스(203)는 래들(202)과 턴디시(204) 사이에서 용강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쉬라우드 노즐(18)을 지지하는 설비로서 모든 동작은 유압 실린더 및 모터로 동작된다. 즉,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에 제공된 리프팅 실린더(19)는 래들(202)의 하부에 제공된 컬렉터 노즐(37)의 하부에 쉬라우드 노즐(18)을 부착시키도록 작동한다. 또한,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상부에 제공된 시프팅 실린더(12)는 쉬라우드 노즐(18)을 파지하고 있는 암(14)을 전후진시키도록 작동된다. 시프팅 실린더(12)의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하지 않는다. 암(14)의 단부에는 쉬라우드 노즐(18)을 파지할 수 있는 포크 암(16)과 마우스 링(26)이 제공되고, 이들의 하부에는 열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17)가 제공된다. 그리고,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후방에 제공된 로테이팅 실린더(20)는 암(14)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23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쉬라우드 디바이스(203)를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회전모터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11)은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에 제공된 아웃터 튜브(outor tube: 13)의 상부에서 시프팅 실린더(12)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위치감지수단(11)의 일단부에는 시프팅 실린더(1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커플러(51)가 제공된다. 즉, 연결 커플러(51)에는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암(14)을 전후진시키는 시프팅 실린더(12)의 일단부에 제공된 커플링 핀(29)이 결합되어, 시프팅 실린더(12)가 전후진함에 따라 피스톤로드(56)도 시프팅 실린더(12)의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이동한다. 이러한 피스톤로드(56)의 이동거리에 상응하는 데이터는 센싱수단(54)으로부터 계장 PLC AS-203(101-2; 도 6 참조)로 전송된다.
래들(202)과 쉬라우드 디바이스(20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턴디시카(210)가 주조위치에 도착하면,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회전 모터(23)를 작동시켜 쉬라우드 노즐(18)이 턴디시(204)의 커버(39)에 형성된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래들(202)이 주조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암(14)이 래들(202)의 컬렉터 노즐(3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시프팅 실린더(12)를 동작시킨다. 이 후에, 리프팅 실린더(19)를 작동시켜 암(14)을 상승시켜서 래들(202)의 컬렉터 노즐(37)의 하부에 쉬라우드 노즐(18)이 부착연결되도록 한다.
쉬라우드 노즐(18)이 컬렉터 노즐(37)에 완전히 연결되면 작업자는 CP19 패널(40)에 제공된 리셋버튼(40-3)을 동작시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11)을 초기화시킨다. 그리고, 조작 모드를 매뉴얼(40-1)에서 텐덤모드(40-2)로 변경하면 쉬라우드 디바이스(203)는 예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래들 터렛(201; 도 1 참조)의 승하강 동작 및 슬라이드 게이트 개폐용 유압 실린더(35)의 동작과 연계된다.
또한,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작동모드를 텐덤모드(40-2)로 변경하면, 쉬라우드 디바이스(203)의 시프팅 실린더(12)는 프리상태가 되어 유압 실린더(35)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즉, 슬라이드 게이트(36)가 개폐되도록 유압 실린더(35)가 동작되면, 이와 연동하여 쉬라우드 노즐(18)과 암(14)이 동작된다. 이러한 암(14)의 동작에 연동하여 시프팅 실린더(12)와 위치감지수단(11)이 동작하고,이들의 동작 데이타는 센싱수단(54)으로부터 DCS-230(101-2)에 전송된다.
한편, 턴디시(204)와 용강의 합산중량이 로드셀(108)에서 측량되고, 이러한 합산중량의 데이타가 증폭기(111)를 거쳐 PI 컨트롤러(107)에 입력되어 CRT(102)에 출력된다. 이때, 작업자는 OS-262(103)의 CRT(102)에서 적정하게 제어하고자 하는 턴디시 내의 용강량을 설정하고, 이러한 설정값(SV; set value)은 DCS(101-2)의 PI 컨트롤러(107)에 입력된다.
PI 컨트롤러(107)에서는 비례적분동작으로 용강량의 설정값(SV)과 턴디시 내의 현재 중량값(PV1)을 비교하고 그 편차를 출력한다. 그리고, 위치감지수단(11)로부터 피드백되는 슬라이드 게이트(36)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PV2)을 상기 편차에 해당하는 개방정도의 편차값(devation value: DV1)의 크기에 해당하는 조작값(MV1)을 출력한다.
한편, 슬라이드 게이트(36)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PV2)은 유압밸브 스탠드(105-2)의 온오프 밸브를 동작시키는 동작값(manufacturing value: MV2)을 산출하기 위하여 유압 PLC(104)에 입력된다. 즉, 유압 PLC(104)에서는 DCS(101-2)에서 출력된 조작값(MV1)를 설정값으로 하고, 슬라이드 게이트(36)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PV2)을 피드백받아서 동작값(MV2)를 구한다. 이러한 동작값(MV2)에 의해서 유압밸브 스탠드(105-2)의 온오프 밸브를 동작시켜 슬라이드 게이트 개폐용 유압실린더(35)를 작동시킴으로써 턴디시 내의 용강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게이트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참조하여 턴디시 내 용강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청정한 용강을 몰드에 공급해서 무결함 슬라브를 생산할 수 있고, 슬라이드 게이트의 과도한 폐쇄시 주조 작업중에 발생되는 예기치 못한 조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2)

  1. 유압밸브 스탠드의 온오프 밸브를 동작시켜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킴으로써 래들 하부에 제공된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래들로부터 턴디시에 수강되는 용강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턴디시와 이에 수강되어 있는 용강의 합산무게를 검출하고,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합산무게로부터 턴디시의 무게를 감하여 턴디시에 수강된 용강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용강량에 해당하는 개방정도의 값과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값에 현재 개방정도의 값을 피드백하여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동작값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서;
    상기 동작값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압밸브 스탠드의 온오프 밸브가 동작하여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시 용강량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현재 개방정도의 값은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의 하부에 쉬라우드 노즐을 지지하고 있는 암을 전후진시키는 시프팅 실린더의 이동거리를산출함으로써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시 용강량 제어방법.
KR10-1998-0060306A 1998-12-29 1998-12-29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KR10042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306A KR100424822B1 (ko) 1998-12-29 1998-12-29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306A KR100424822B1 (ko) 1998-12-29 1998-12-29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868A KR20000043868A (ko) 2000-07-15
KR100424822B1 true KR100424822B1 (ko) 2004-06-30

Family

ID=1956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306A KR100424822B1 (ko) 1998-12-29 1998-12-29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8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344B1 (ko) 2008-09-29 2010-1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토퍼 제어 밸브 블록
KR101379147B1 (ko) 2012-05-14 2014-03-28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의 용강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151B1 (ko) * 2000-12-06 2007-01-11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터릿 슬립링 통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513578B1 (ko) * 2000-12-23 2005-09-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 공정에서 턴디쉬의 용강무게 변동에 의한 래들 슬라이드 게이트의 막힘방지 제어방법
KR100711759B1 (ko) * 2001-06-08 2007-05-02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개폐장치
CN103506592B (zh) * 2012-06-29 2015-08-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铸浇钢控制方法和装置
CN113814381B (zh) * 2021-09-13 2024-01-23 山东莱钢永锋钢铁有限公司 一种钢水浇铸全自动控制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746A (ja) * 1983-04-18 1984-11-02 Uchida Yuatsu Kiki Kogyo Kk タンデイツシユの溶鋼重量制御方式
JPS61140361A (ja) * 1984-12-13 1986-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鋳造方法
KR950017002A (ko) * 1993-12-29 1995-07-20 조말수 턴디쉬 슬라이딩 노즐 최적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746A (ja) * 1983-04-18 1984-11-02 Uchida Yuatsu Kiki Kogyo Kk タンデイツシユの溶鋼重量制御方式
JPS61140361A (ja) * 1984-12-13 1986-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鋳造方法
KR950017002A (ko) * 1993-12-29 1995-07-20 조말수 턴디쉬 슬라이딩 노즐 최적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344B1 (ko) 2008-09-29 2010-1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토퍼 제어 밸브 블록
KR101379147B1 (ko) 2012-05-14 2014-03-28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의 용강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868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822B1 (ko) 턴디시용강량제어방법
CN202498193U (zh) 一种用于检测台车上钢包内衬厚度的装置
CN110653365A (zh) 连铸自动化浇铸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625106A (zh) 采用机器人引导的连铸自动化浇钢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832276B (zh) 一种高炉出铁智能化堵铁口自动控制方法
WO2011030647A1 (ja) 溶湯の溶解炉から処理取鍋へ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1101586U (zh) 连铸自动化浇铸装置
CN211679991U (zh) 采用机器人引导的连铸自动化浇钢装置
CN110951932B (zh) 中频炉自动球化系统
CN113667787A (zh) 电炉操作组合机器人系统及操作方法
CN211101487U (zh) 可移动式连铸自动化浇铸装置
Piazza et al. EAF process optimization through a modular automation system and an adaptive control strategy
JPH0384393A (ja) 取鍋側壁の肉厚測定装置
KR101919484B1 (ko) 연주설비용 쉬라우드 노즐의 수직도 조정장치
CN215288856U (zh) 一种高炉铁水摆动流嘴的控制装置
KR100421728B1 (ko) 혼선차내 용선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112247134B (zh) 用于操作遮蔽管的装置和方法
CN218232466U (zh) 高炉智能化出铁控制装置
CN116493590A (zh) 一种钢包加引流砂的智能装置
CN211813254U (zh) Aod炉底小车升降控制装置
KR20090099190A (ko) 원심주조용 용탕 자동공급장치
US20230265534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a tap hole of an electric arc furnace with refractory filling material
KR200278686Y1 (ko) 슬래그포트 이동용 대차의 운전장치
Vazquez Tenova’s intelligent i BOF® technology, a modular package for BOF process improvement
KR100469295B1 (ko) 용강래들 안착신호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