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273B1 -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 Google Patents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273B1
KR101694273B1 KR1020150185813A KR20150185813A KR101694273B1 KR 101694273 B1 KR101694273 B1 KR 101694273B1 KR 1020150185813 A KR1020150185813 A KR 1020150185813A KR 20150185813 A KR20150185813 A KR 20150185813A KR 101694273 B1 KR101694273 B1 KR 10169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ash cover
storage chamber
temperature
unit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8Top armou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는 대탕도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플래쉬커버의 중량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중량감지유닛; 및 상기 대탕도로부터 취외된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플래쉬커버가 안착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 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부재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차는, 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검사부재가 수납되는 수납챔버와, 상기 수납챔버의 상측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온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정온유닛은, 상기 수납챔버를 관통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로는 냉각 냉매가 유통되는 냉각파이프; 상기 냉각파이프의 입구 및 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도록 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밸브를 차단하여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부재는,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승강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기;로 구성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Splash cover exchange tim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대탕도의 상부를 덮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플래쉬커버가 대탕도 상에 설치된 상태 및 대탕도로부터 취외된 상태에서도 조업자의 접근이나 육안 검사 없이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를 원격으로 검지할 수 있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철소에서의 고로조업은 연,원료 등의 장입물을 고로(1) 내에 장입하고, 고온의 열풍을 고로(1) 내로 공급하여 고로(1) 내에서 환원 용융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용융물이 생산되도록 하고, 용융물을 고로의 출선구(1a)를 통하여 대탕도(2)로 배출하여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작업이다.
이때, 고로(1) 내의 용융물이 대탕도로 모두 배출되면 출선구(1a)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머드건(미도시)에 의해 출선구(1a)가 폐쇄되고, 고로(1) 내에 장입물이 재장입됨으로서 고로작업은 반복된다.
출선 말기에는 고로(1)의 출선구(1a)로부터 다량의 용융물이 열풍과 함께 분출되며 비산하므로 주변설비와 작업자를 보호하고, 대탕도(2)를 따라 흐르는 용융물의 복사열을 차단함으로써 작업자 및 주변설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출선구(1a) 전단의 대탕도(2) 상부에 내화물이 부착된 커버를 장착시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스플래쉬커버(3)이다.
상기한 스플래쉬커버(3)는 고로(1) 내의 용융물이 상기 대탕도(2)로 모두 배출된 후, 고로(1)의 출선구(1a)를 폐쇄하기 위해 대탕도로부터 탈착되어야 하는데, 스플래쉬커버(3)의 장,탈착은 출선구(1a)의 전방에 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된 매니플레이터(maniplator,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스플래쉬커버(4)는 내화물(3b)이 내측에 부착된 철피(3a)로 구성되는데, 철피(3a)의 상부에는 고리(3c)가 형성되고 매니플레이터(4)는 후크부(4a)를 구비하고 있어서, 매니플레이터(4)의 후크부(4a)에 의해 스플래쉬커버(3)의 고리(3c)가 걸린 후 매니플레이터(4)가 이송됨으로서 스플래쉬커버(3)의 대탕도(2) 상의 장,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스플래쉬커버(3)는 출선구(1a)를 통해 대탕도(2)로 배출되는 고온(1530℃)의 용융물에 의해 그 내측에 부착된 내화물(3b)이 침식, 마모, 및 파손되고, 철피(3a)는 적열되어 변형되거나 파손된다.
즉,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고로 조업으로 인해 스플래쉬커버(3)의 내화물(3b)은 용융물과의 접촉 등으로 마모되거나 고열에 의해 산화되어 내화물(3b)이 철피(3a)로 부터 탈락되는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스플래쉬커버(3)의 마모 및 탈락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스플래쉬커버가 취외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므로 취외되기 이전에는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취외된 후에는 조업자가 적열된 내화물에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육안 육안 검사만 가능하므로 마모상태의 정확한 진단 및 조기 감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플래쉬커버(3)의 교환 시, 도 2에서와 같이, 소형 지게차 또는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에 스플래쉬커버(3)를 거치하여 교환해야 하는 수작업 방식을 취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은 물론 작업부하가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0338433호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945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스플래쉬커버의 설치상태 또는 취외상태에 관계없이 원격으로 교환시기를 검지할 수 있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를 이용하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대탕도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플래쉬커버의 중량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중량감지유닛; 및 상기 대탕도로부터 취외된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플래쉬커버가 안착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 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부재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차는, 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검사부재가 수납되는 수납챔버와, 상기 수납챔버의 상측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온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정온유닛은, 상기 수납챔버를 관통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로는 냉각 냉매가 유통되는 냉각파이프; 상기 냉각파이프의 입구 및 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도록 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밸브를 차단하여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부재는,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승강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기;로 구성됨을 포함하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감지유닛은, 상기 대탕도의 상부에 설치된 채, 상기 스플래쉬커버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에서 송출되는 무게값과 정상 무게값을 대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에서의 대비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사기는 상기 내화물의 내면으로 적외선을 출광하는 다수의 출광부, 상기 내화물 내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적외선 검지기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스플래쉬커버가 대탕도 상에 설치된 상태 및 스플래쉬커버가 취외된 상태에서도 조업자의 접근이나 육안 검사 없이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를 원격으로 검지할 수 있어서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업의 중단없이 실시간으로 스플래쉬커버의 소손 정도를 체크할 수 있어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되며, 조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검사유닛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작업을 반자동화 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고 작업부하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출선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은 종래 스플래쉬커버의 이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레쉬 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의 설치상태 및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감지유닛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적외선 검지기의 상승 전 상태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적외선 검지기의 상승 후 상태도
도 8은 도 7를 B방향에서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구동부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는 스플래쉬커버의 중량과 스플래쉬커버(3) 내화물(3b)의 국부탈락 및 마모도를 실시간 및 원격으로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량감지유닛(100) 및 검사유닛(200)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감지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적외선 검지기의 상승 전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적외선 검지기의 상승 후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7를 B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구동부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중량감지유닛(100)은 대탕도(2)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플래쉬커버(3)의 중량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대탕도(2)의 상부, 즉 스플래쉬커버(3)가 안착되는 부위에 설치된 채, 스플래쉬커버(3)가 대탕도(2)에 안착 되었을 때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로드셀(110); 및 상기 로드셀(110)에서 송출되는 무게값과 정상 무게값을 대비하는 제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120)에서의 대비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예컨대, 모니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래쉬커버(3)의 무게가 정상 무게값에 비해 현저히 저하된 때에 한하여, 조업자에게 부저나 경광등에 의해 소리 또는 빛으로 알람하여 주는 것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감지유닛(100)은 스플레쉬 커버(3)의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내화물(3b)이 탈락되거나 또는 마모되면 중량이 당연히 감소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교체 시기를 가늠하게 된다.
상기 검사유닛(200)은 상기 대탕도(2)로부터 취외된 상기 스플래쉬커버(3) 내화물(3b)의 국부탈락 및 마모도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210), 대차(220) 및 검사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대차(220)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판 형태로 될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이동을 위하여 캐스터(211)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10)의 상면에는 대차(220)의 길이방향 이송을 위해 가이드레일(21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차(220)는 도 6 내지 9에서와 같이, 스플래쉬커버(3)의 취외시 안착대 역할을 함께 상기 검사부재(230)의 설치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210) 보다 작은 크기로 된 채, 베이스(2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대차(22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2)에 형합되는 가이드롤러(22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221)는 구동모터(222)에 의해 자동 회전되므로써 대차(220)의 자동운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모터(222)는 무선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온/오프가 조작될 수 있다(도 9참조).
또한, 상기 대차(220)는 그 내부에 상기 검사부재(230)가 수납되는 수납챔버(223)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납챔버(223)의 상측에는 개폐도어(22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측 게이트(22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도어(224)는 실린더(225)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개폐시기는 상기 검사부재(230)가 상승할 때 개방되고, 검사부재(230)가 하강하였을 때는 폐쇄된다.
상기한 개폐도어(224)는 스플래쉬커버(3)가 수납챔버(223)의 내부에 위치할 때, 즉 비사용시에 상측 게이트(225)를 폐쇄함으로써 검사부재(230)가 외부열에 의해 열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대차(220)에는 수납챔버(223)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온유닛(2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온유닛(240)은 도 6 및 7에서와 같이, 냉각파이프(241), 제어밸브(242), 온도센서(243)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파이프(241)는 상기 수납챔버(223)를 관통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냉각 냉매가 유통됨으로써 수납챔버(223) 내부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대차(220)의 상부에 적열된 스플래쉬커버(3)가 안착되면 수납챔버(223)로 전도되며, 전도된 고온의 열은 수납챔버(223)의 내부에 수납된 검사부재(230)의 수명 및 검사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수납챔버(223)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수납챔버(223) 내부를 냉각시켜주는 냉각파이프(24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어밸브(242)는 상기 냉각파이프(241)의 입구 및 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센서(243)는 상기 수납챔버(223)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44)는 상기 온도센서(243)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밸브(242)를 개방하여 상기 냉각파이프(241)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도록 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밸브(242)를 차단하여 상기 냉각파이프(241)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사부재(230)는 도 6 내지 7에서와 같이, 상기 대차(220)의 수납챔버(223)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스플래쉬커버(3) 내화물(3b)의 국부탈락 및 마모도를 검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승강실린더(231) 및 검사기(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231)는 로드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수납챔버(223)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검사기(232)는 승강실린더(231)의 로드에 설치됨과 아울러 모터(2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대차(220) 상에 안착되는 스플래쉬커버(3)의 내화물(3b)의 국부탈락 및 마모도를 검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검사기(232)는 브라켓(234)을 매개로 승강실린더(231)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233)는 상기 브라켓(234)의 일측에 결합된 채 상기 검사기(232)를 회전시켜준다.
이러한 검사기(232)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내화물(3b)의 내면으로 적외선을 출광하는 다수의 출광부(232a)와, 상기 내화물의 내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232b)로 이루어진 적외선 검지기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검사기(232)는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의 수광시간의 차이에 의해 내화물의 국부탈락 및 마모정도를 검지할 수 있고, 검지값은 상기 중량감지유닛(100)의 제어부(120)로 전송되며, 제어부(120)는 정상값과 검지값을 대비하여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조업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지값이 정상값 이하가 되면 스플래쉬커버(3)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조업자에게 부저나 경광등에 의해 소리 또는 빛으로 알람하여 주는 것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도 3 내지 9 참조).
대탕도(2) 상에 스플래쉬커버(3)가 안착되면 로드셀(110)에 의해 스플래쉬커버(3)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값은 제어부(120)로 전송되며, 제어부(120)는 이 감지값과 정상 무게값을 비교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조업자는 이 출력값을 보고 스플래쉬커버(3)의 교환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감지값이 정상 무게값 이하일 때에 한하여 경광등이나 부저에 의해 스플래쉬커버(3)의 교환시기를 조업자에게 알람하여줄 수도 있다. 따라서, 스플래쉬커버(3)를 취외하지 않고도 스플래쉬커버(3)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플래쉬커버(3)가 대탕도(2)로부터 취외되어 대차(220) 상에 안착되면 대차(220)의 개폐도어(224)가 개방되고, 수납챔버(223)에 설치된 승강실린더(231)의 상승동작에 의해 검사기(232)가 상측 게이트(225)를 통해 노출되며, 노출된 검사기(232)는 스플래쉬커버(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검사기(232)는 모터(233)에 의해 회전하면서 스플래쉬커버(3)의 내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화물(3b)의 내면을 따라 적외선을 조사하고, 조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여 내화물(3b)의 탈락여부 및 마모도를 검지하게 된다.
이의 검지값은 제어부(120)로 전송되며, 제어부(120)는 이 감지값과 정상 무게값을 비교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조업자는 이 출력값을 보고 스플래쉬커버(3)의 교환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감지값이 정상 무게값 이하일 때에 한하여 경광등이나 부저에 의해 스플래쉬커버(3)의 교환시기를 조업자에게 알람하여줄 수도 있다. 따라서, 조업자가 적열상태의 스플래쉬커버(3)에 접근하거나 육안으로 검사 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스플래쉬커버(3)의 교환시기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플래쉬커버(3)를 교환할 때는, 해당 스플래쉬커버(3)를 대차(220)에 안착하고 구동모터(222)를 기동시켜서 대차(220)를 폐기장소로 이동시킨다. 이후 해당 스플래쉬커버(3)를 하차하여 폐기하고 새로운 스플래쉬커버를 상차하여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원위치에 도달하면 위치감지센서(또는 적외선 감지기,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222)를 오프함으로써 대차(220)는 정지하게 된다. 이후, 매니플레이터(4)에 의해 대차(220) 상에 있던 새로운 스플래쉬커버를 걸어 올려서 대탕도(2) 상에 안착시킴으로써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대차(2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210)의 위치가 틀어져서 매니플레이터(4)와 스플래쉬커버(3)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는, 베이스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베이스(210)를 밀거나 당겨서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플래쉬커버가 대탕도 상에 설치된 상태 및 스플래쉬커버가 취외된 상태에서도 조업자의 접근이나 육안 검사 없이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를 원격으로 검지할 수 있어서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대차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작업을 반자동화 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고 작업부하도 경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 스플래쉬커버 3b : 내화물
100 : 중량감지유닛 110 : 로드셀
120 : 제어부 130 : 출력부
200 : 검사유닛 210 : 베이스
220 : 대차 230 : 검사부재
231 : 승강실린더 232 : 검사기
233 : 모터 234 : 브라켓
240 : 정온유닛 241 : 냉각파이프
242 : 제어밸브 243 : 온도센서

Claims (11)

  1. 대탕도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플래쉬커버의 중량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중량감지유닛; 및
    상기 대탕도로부터 취외된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플래쉬커버가 안착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 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부재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차는, 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검사부재가 수납되는 수납챔버와, 상기 수납챔버의 상측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온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정온유닛은, 상기 수납챔버를 관통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로는 냉각 냉매가 유통되는 냉각파이프; 상기 냉각파이프의 입구 및 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도록 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밸브를 차단하여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로 냉각 냉매가 유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부재는, 상기 수납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승강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기;로 구성됨을 포함하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대탕도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플래쉬커버의 중량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중량감지유닛; 및
    상기 대탕도로부터 취외된 상기 스플래쉬커버 내화물의 국부탈락과 마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을 포함하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지유닛은,
    상기 대탕도의 상부에 설치된 채, 상기 스플래쉬커버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에서 송출되는 무게값과 정상 무게값을 대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의 대비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는 상기 내화물의 내면으로 적외선을 출광하는 다수의 출광부, 상기 내화물 내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적외선 검지기인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11. 삭제
KR1020150185813A 2015-12-24 2015-12-24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KR10169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13A KR101694273B1 (ko) 2015-12-24 2015-12-24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13A KR101694273B1 (ko) 2015-12-24 2015-12-24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273B1 true KR101694273B1 (ko) 2017-01-23

Family

ID=5798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13A KR101694273B1 (ko) 2015-12-24 2015-12-24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2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839A (ja) * 1998-06-23 2000-01-18 Daido Steel Co Ltd 金属溶解精錬炉における炉蓋重量監視装置
KR100338433B1 (ko) 1997-07-31 2002-11-08 주식회사 포스코 대탕도덮개내화물마모제어장치
JP2005337922A (ja) * 2004-05-27 2005-12-08 Sumitomo Metal Ind Ltd 混銑車のライニング煉瓦厚測定方法、測定装置並びに混銑車の運用方法
KR200440945Y1 (ko) 2006-10-20 2008-07-17 주식회사 대동 고로 출선구의 스플래쉬 커버 및 트라프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433B1 (ko) 1997-07-31 2002-11-08 주식회사 포스코 대탕도덮개내화물마모제어장치
JP2000018839A (ja) * 1998-06-23 2000-01-18 Daido Steel Co Ltd 金属溶解精錬炉における炉蓋重量監視装置
JP2005337922A (ja) * 2004-05-27 2005-12-08 Sumitomo Metal Ind Ltd 混銑車のライニング煉瓦厚測定方法、測定装置並びに混銑車の運用方法
KR200440945Y1 (ko) 2006-10-20 2008-07-17 주식회사 대동 고로 출선구의 스플래쉬 커버 및 트라프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9888B (zh) 一种石油化工巡检机器人及其工作方法
KR100752127B1 (ko) 부착광 생성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694273B1 (ko) 스플래쉬커버의 교환시기 검지장치 및 검지방법
CN105451002A (zh) 高温窑炉高清工业电视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1246232B1 (ko)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5537A (ko) 주조 래들의 슬라이드 게이트 개방감지장치
KR101330309B1 (ko) 고로 가스 누출 차단장치
JP5762061B2 (ja) 高炉主樋カバー移動装置
CN108642223B (zh) 具有旋转功能的高炉成像设备退出防护装置
KR101532335B1 (ko)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KR101321931B1 (ko)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KR102113472B1 (ko)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고로 경주통 침식 복원 방법
CN100376345C (zh) 决定是再使用还是废弃耐火材料板的方法及为此的设备
KR101360389B1 (ko) 고로 관측 장치
CN205826577U (zh) 一种鱼雷罐车的通用型安全检测设备
CN101870430B (zh) 提升机箕斗斗门的关闭状态识别装置
KR101329721B1 (ko) 역류 방지기능이 구비된 석탄 장입장치
CN211425078U (zh) 立式环冷机
JP2015222127A (ja) コンテナー搬送設備及びコンテナー搬送制御方法
CN109335532A (zh) 一种用于焚烧炉的卸灰转运装置及卸灰转运方法
WO2022190159A1 (ja) 加圧注湯炉の湯垂れ防止装置
CN219223348U (zh) 一种用于烧结矿的冷却设备
JP2005233809A (ja) 竪型炉
KR101522091B1 (ko) 고로 용융물 탕도 분진 누출 방지 방법 및 분진 누출 방지 기능을 갖는 고로 용융물 탕도 시스템
KR101584151B1 (ko) 사운딩 추 체인 인출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