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113B1 -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113B1
KR102113113B1 KR1020190146314A KR20190146314A KR102113113B1 KR 102113113 B1 KR102113113 B1 KR 102113113B1 KR 1020190146314 A KR1020190146314 A KR 1020190146314A KR 20190146314 A KR20190146314 A KR 20190146314A KR 102113113 B1 KR102113113 B1 KR 102113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lay
ric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욱
민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스클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스클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스클레이
Priority to KR102019014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9/00Composition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f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89/00 - C08L97/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45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팽화미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글루텐 무함유(gluten-free)의 먹어도 안전한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출 성형에 의한 팽화미분 100중량부, 전분 15 내지 35중량부, 분말유지 5 내지 20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며, 당분은 설탕을 분말화한 슈가파우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점토 활동에 적합한 점성과 탄성을 갖는 라이스 클레이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라이스 클레이를 이용한 장시간의 점토작업 또는 공예활동 중 장시간 피부가 노출되거나 입이나 코를 통해 흡입하여도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분말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 및 배포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Premix composition for rice c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by}
본 발명은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팽화미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글루텐 무함유(gluten-free) 프리믹스를 제공함으로써 점토 활동에 적합한 점성과 탄성의 라이스 클레이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라이스 클레이를 이용한 장시간의 점토작업 또는 공예활동 중 피부가 노출되거나 코나 입을 통해 흡입하여도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분말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생산 및 배포할 수 있도록 한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토 활동은 감성지수(EQ)를 높이기 위해 유아나 어린이, 지적 장애인, 치매 환자 등에게 효과가 검증된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으로서, 이러한 점토 활동에는 찰흙, 지점토, 고무점토, 칼라점토 등의 조형 재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형 재료들은 기본적으로 화학적 성분이 첨가되는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로 오랜시간동안 점토활동을 수행하는 점토 공예가들이나 또는 화학 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인지작용이 어려운 지적 장애인들이나 치매 환자들 또는 무의식적인 손가락 빨기(finger-sucking)를 하는 영유아 들이 장시간 노출되거나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화학적 성분에 의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천연 재료, 예를 들면 쌀이나 밀가루를 이용한 점토가 개발되고 있는데, 밀가루를 원료로 하는 점토의 경우 글루텐 성분으로 인한 셀리악병의 유발 등 배탈 우려가 있어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은 상황이며, 쌀을 원료로 하는 점토(라이스 클레이)의 경우 쌀을 주 재료로 물 반죽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점성과 탄성이 점토(클레이)활동에 적절하지 못하고 그 물질적인 특성상 공기 중에 노출되면 상온에서 쉽게 건조되어 딱딱하게 굳거나 노화되므로 저장성이나 보관성이 취약하여 제품의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어 점토(클레이)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점성과 탄성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2016-0009256호(2016.01.26. 공개) 특허등록 제10-1780182호(2017.09.14.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팽화미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글루텐 무함유(gluten-free)의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를 제공함으로써 점토 활동에 적합한 점성과 탄성을 갖는 라이스 클레이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라이스 클레이를 이용한 장시간의 점토작업 또는 공예활동 중 장시간 피부가 노출되거나 입이나 코를 통해 흡입하여도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분말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 및 배포할 수 있도록 한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압출 성형에 의한 팽화미분 100중량부, 전분 15 내지 35중량부, 분말유지 5 내지 20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며, 당분은 설탕을 분말화한 슈가파우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팽화미분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130 내지 170도(℃)로 가열하여 약 8 내지 12kg/㎤ 압력하에서 순간 압출(팽화)한 후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 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제1팽화미분;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스크류 회전속도 240 내지 260rpm, 배럴온도 110 내지 130도(℃), 수분은 정량펌프로 쌀가루를 기준 20 내지 30%로 공급하여 압출 성형 후 40 내지 60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수분 함량 10~14%가 되도록 건조하여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 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제2팽화미분; 또는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3 내지 4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3 내지 4시간 수침 후 30 내지 60분 물을 빼고 증기 찜통에서 취반한 것을 선반에 분산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70 내지 80도(℃)의 온도로 건조한 것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제3팽화미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전분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말토 덱스트린(저분자 덱스트린), 녹말 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옥수수 전분은 옥수수에서 배아, 옥피, 글루텐을 분리, 제거하여 정제한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분말유지는, 식물성 유지 분말, 동물성 유지 분말,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가공한 분말유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식물성 유지 분말은 팜유 함량이 식물성 유지분말 총 중량의 70 내지 9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증점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칼슘(Calcium Carboxymethylcellulose),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구아검(Guar Gum), 한천(aqar), 곤약분말, 팩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한 프리믹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분말 믹서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분말 믹서기에서 혼합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자동 계량기에 투입하여 미리 설정된 포장 용량으로 계량하여 소분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계량기에서 소분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포장기에 투입하여 개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스 클레이를 이용한 점토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점성과 탄성을 개선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면서 아울러 라이스 클레이를 이용한 장시간의 점토 작업 또는 공예 활동 중 피부가 노출되거나 입이나 코를 통해 흡입하여도 인체에 해롭지 않은 안전한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말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 및 배포가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은 압출 성형에 의한 팽화미분(알파미분) 100중량부, 전분 15 내지 35중량부, 분말유지 5 내지 20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당분은 설탕을 분말화한 슈가파우더임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압출 성형에 의한 팽화미분 100중량부, 전분 20 내지 30중량부, 분말유지 10 내지 1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2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여기서도 당분은 설탕을 분말화한 슈가파우더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팽화미분(알파미분)은 제1팽화미분, 제2팽화미분, 또는 제3팽화미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팽화미분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130 내지 170도(℃)로 가열하여 약 8 내지 12kg/㎤ 압력하에서 순간 압출(팽화)한 후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 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것이다.
제2팽화미분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스크류 회전속도 240 내지 260rpm, 배럴온도 110 내지 130도(℃), 수분은 정량펌프로 쌀가루를 기준 20 내지 30%로 공급하여 압출 성형 후 40 내지 60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수분 함량 10~14%가 되도록 건조하여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 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것이다.
제3팽화미분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3 내지 4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3 내지 4시간 수침 후 30 내지 60분 물을 빼고, 증기 찜통에서 취반한 것을 선반에 분산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70 내지 80도(℃)의 온도로 건조한 것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에 사용되는 팽화미분은 상기 제1 내지 제3팽화미분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알파미분(팽화미분)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팽화미분의 입도는 80 ~ 120 메쉬의 것을 사용하는데, 팽화미분의 입도가 80메쉬 보다 크면 입자가 거칠어 물을 부어 반죽하여 점토를 만들게 되는 경우 물을 흡수하는데 시간이 늘어나고 작은 덩어리 입자들이 생겨 표면이 매끄럽지가 못하고, 팽화미분의 입도가 120메쉬 보다 작으면 물을 부어 반죽하여 점토를 만들게 되는 경우 물을 흡수하지 못하여 반죽이 질어지고 손에 붙어 점토 놀이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상기 전분은 조성물의 반죽시 점성을 부여하여 성형성이 좋아지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말토 덱스트린(저분자 덱스트린), 녹말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분은 알파미분(팽화미분)이 강한 점탄성으로 인해 일반 점토나 클레이처럼 제형이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분 중 상기 옥수수 전분의 경우는 옥수수에서 배아, 옥피, 글루텐 등을 분리, 제거하여 정제한 전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분은 상기 팽화미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내지 35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상기 전분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을 잡지 못하여 제형이 불가능하고, 상기 전분이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성이 없어 반죽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분말유지는 반죽시 수분보유력과 반죽을 부드럽게 해주며 반죽시 손에 붙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성 유지 분말, 동물성 유지 분말,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가공한 분말유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식물성 유지 분말은 팜유 함량이 식물성 유지분말 총 중량의 70 내지 90% 이내인 것이다.
이러한 분말유지는 상기 팽화미분(알파미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상기 분말유지가 5 중량부 미만이면 팽화미분(알파미분)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점성 때문에 손에 붙어 점토 놀이에 불편하고, 제형 또한 어렵게 되며, 상기 분말유지가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손에 붙는 현상은 없어지나, 유분이 손에 묻어나고 점착성이 없어 반죽끼리 붙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증점제는 반죽시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반죽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칼슘(Calcium Carboxymethylcellulose),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구아검(Guar Gum), 한천(aqar), 곤약분말, 팩틴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는 상기 팽화미분(알파미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분말유지로 인하여 점착성이 감소되어 증점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반죽끼리 잘 붙지 않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증점제의 기능인 점도를 증가하여 일반 점토나 클레이처럼 제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당분은 반죽시 수분을 흡수하여 반죽을 부드럽게 하고, 물성을 오래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탕을 분말화한 슈가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당분은 팽화미분(알파미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당분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반죽에 수분감을 조금 느끼게 되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당성분으로 인해 반죽이 끈적한 느낌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제조방법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조성물을 상온에서 그대로 분말 믹서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S200), 분말 믹서기에서 혼합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자동 계량기에 투입하여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계량하여 소분하는 단계(S300), 및 자동 계량기에서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소분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포장기에서 실링 봉투에 투입하고 실링 밀봉하여 개별 포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해, 대량 생산 및 배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이러한 본 발명의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은 그대로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만으로 점토 놀이 또는 공예활동을 위한 라이스 클레이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물은 상온의 물 또는 미온수(20~40℃)를 사용하고, 물의 사용량은 프리믹스 조성물과 물을 1: 0.5 내지 1 중량비 정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라이스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조하고, 물은 혼합하여 라이스클레이용 프리믹스를 반죽하였다. 그리고 팽화미분으로는 실시예 1과 2는 멥쌀 백미분을, 실시예 3과 4는 찹쌀 백미분을, 실시예 5와 6은 멥쌀과 찹쌀 1:1 비율의 혼합 백미분을 이용하였으며, 시료는 압출기에 넣고 150도(℃)로 가열하여 약 10kg/㎤ 압력하에서 순간 압출(팽화)한 후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100 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전분으로는 실시예 1, 3, 5는 옥수수전분을, 실시예 2, 4, 6은 감자전분을 이용하였다.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분말유지로는 시판상품인 식품성 유지분말 매직펫200을, 증점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당분으로는 슈가파우더를 사용하였다.
또한, 물은 정수기(정수)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물의 사용량은 프리믹스 조성물과 물을 1:0.6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팽화
미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전분 17 17 17 17 17 17 17 17
분말
유지
15 15 15 15 15 15 15 15
증점제 3 3 3 3 3 3 3 3
당분 17 17 17 17 17 17 17 17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팽화미분을 대신하여 건조 쌀 분말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팽화미분을 대신하여 건조 쌀 분말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상기와 같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통해 제조된 반죽의 탄성, 점성, 작업시간, 및 종합적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는 점토놀이 강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9 : 매우 양호, 7 : 양호, 5 : 보통, 3 : 나쁨, 1 : 매우나쁨)을 이용하였다.
구분 탄성 점성 작업시간 종합적 선호도
대조군(아이클레이) 9 9 9 9
실시예1(멥쌀백미분+옥수수전분) 8.4 8.0 8.8 8.3
실시예2(멥쌀백미분+감자전분) 6.6 6.4 7.2 6.7
실시예3(찹쌀백미분+옥수수전분) 7.2 7.5 8.4 7.7
실시예4(찹쌀백미분+감자전분) 6.2 6.4 7.4 6.7
실시예5(혼합백미분+옥수수전분) 6.0 6.4 6.8 6.6
실시예6(혼합백미분+감자전분) 4.4 5.2 5.8 5.1
비교예1(건식쌀가루+옥수수전분) 4.0 4.4 5.4 4.0
비교예2(건식쌀가루+감자전분) 2.9 4.1 4.6 3.9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팽화미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6은 건조 쌀가루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 탄성, 점성, 작업시간, 및 종합적인 선호도에 있어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대조군인 아이클레이와 유사한 수준의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옥수수전분을 이용한 실시예 1,3,5가 감자전분을 이용한 실시예 2,4,6보다 탄성, 점성, 작업시간, 및 종합적인 선호도에서 다소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00 : 조성물 준비단계 S200 : 조성물 혼합단계
S300 : 조성물 계량 및 소분단계 S400 : 개별포장단계

Claims (8)

  1. 압출 성형에 의한 팽화미분 100중량부, 전분 15 내지 35중량부, 분말유지 5 내지 20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화미분은 제1팽화미분, 제2팽화미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제1팽화미분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130 내지 170도(℃)로 가열하여 8 내지 12kg/㎤ 압력하에서 순간 압출(팽화)한 후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 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것이고,
    제2팽화미분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스크류 회전속도 240 내지 260rpm, 배럴온도 110 내지 130도(℃), 수분함량은 팽화미분 총중량의 20 내지 30%로 공급하여 압출 성형 후, 40 내지 60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은 팽화미분 총중량의 10~14%가 되도록 건조하여 분쇄기에 투입하여 입도 80 내지 120 메쉬로 분쇄하여 얻는 것이고,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말토 덱스트린(저분자 덱스트린), 녹말 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옥수수 전분은 옥수수에서 배아, 옥피, 글루텐을 분리, 제거하여 정제한 전분인 것이고,
    상기 당분은 설탕을 분말화한 슈가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유지는,
    식물성 유지 분말, 동물성 유지 분말,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가공한 분말유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식물성 유지 분말은 팜유 함량이 식물성 유지분말 총 중량의 70 내지 9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칼슘(Calcium Carboxymethylcellulose),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구아검[ Guar Gum ], 한천(aqar), 곤약분말, 팩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8. 제1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리믹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상온에서 그대로 분말 믹서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분말 믹서기에서 혼합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자동 계량기에 투입하여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계량하여 소분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계량기에서 소분된 프리믹스 조성물을 포장기에서 실링 봉투에 투입하고 실링 밀봉하여 개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90146314A 2019-11-15 2019-11-15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314A KR102113113B1 (ko) 2019-11-15 2019-11-15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314A KR102113113B1 (ko) 2019-11-15 2019-11-15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113B1 true KR102113113B1 (ko) 2020-06-02

Family

ID=7109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314A KR102113113B1 (ko) 2019-11-15 2019-11-15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1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056A (ko) * 2011-12-26 2013-07-04 김덕창 식용 점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점토
KR101332358B1 (ko) * 2012-06-28 2013-11-22 주식회사 삼양사 쌀을 원료로 한 점토놀이용 식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9256A (ko) 2014-07-16 2016-01-26 민제원 라이스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이스 클레이
KR101780182B1 (ko) 2016-09-02 2017-09-20 주식회사 라이스클레이 라이스 클레이 파우더 제조방법 및 라이스 클레이 파우더 제조용 혼합 분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056A (ko) * 2011-12-26 2013-07-04 김덕창 식용 점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점토
KR101332358B1 (ko) * 2012-06-28 2013-11-22 주식회사 삼양사 쌀을 원료로 한 점토놀이용 식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9256A (ko) 2014-07-16 2016-01-26 민제원 라이스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이스 클레이
KR101780182B1 (ko) 2016-09-02 2017-09-20 주식회사 라이스클레이 라이스 클레이 파우더 제조방법 및 라이스 클레이 파우더 제조용 혼합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lisberto et al. Use of chia (Salvia hispanica L.) mucilage gel to reduce fat in pound cakes
Al-Dmoor Cake flour: functionality and quality
Song et al. Effects of Basil (Ocimum basilicum L.) Seed mucilage substituted for fat source in sponge cake: physicochemical, structural,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JP2008136484A (ja) コンニャク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605348A (zh) 含有管花肉苁蓉提取物的保健品及其制备方法
ES2663220B1 (es) Composicion panificable exenta de gluten
CN104012743A (zh) 一种l-阿拉伯糖功能贡糕的制作方法
KR102113113B1 (ko) 라이스 클레이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8503619A (ja) 高率ベーキング組成物
CN101999508A (zh) 重麻酥糖及制作工艺
JP6759180B2 (ja) 菓子用プレミックス粉及び菓子の製造方法
JP6304673B1 (ja) 米粉パン用ミックス粉、米粉パン用パン生地、米粉パンの製造方法
CN108013334B (zh) 一种清肺糯米团及其制作方法
Mahmood et al. Gum cordia: Physico-functional properties and effect on dough rheology and pan bread quality
JP3701235B2 (ja) パン生地
JP2015226488A (ja) 米粉パンの製造方法
JP2015084692A (ja) ベーカリー用上掛け生地
WO2017099133A1 (ja) ビーフン様米粉麺類の製造方法
JP7049077B2 (ja) シュー生地用ミックス、シュー生地、及びシュー皮の製造方法
CN106035489A (zh) 一种双耳饼干及其制作方法
JP5334764B2 (ja) パン生地用組成物およびパン
JP2020110083A (ja) ケーキドーナツ用生地及びケーキドーナツの製造方法
JP7382676B1 (ja) 穀類由来または芋類由来の澱粉生地における焼成時のパンクまたは焼成後の伸びの防止剤
KR100348752B1 (ko) 죽순죽엽냉면의 제조방법
JP2005065680A (ja) オカラ混入菓子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