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304B1 - 차량 헤드라이트의 구성요소 하우징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라이트의 구성요소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304B1
KR102112304B1 KR1020187027548A KR20187027548A KR102112304B1 KR 102112304 B1 KR102112304 B1 KR 102112304B1 KR 1020187027548 A KR1020187027548 A KR 1020187027548A KR 20187027548 A KR20187027548 A KR 20187027548A KR 102112304 B1 KR102112304 B1 KR 10211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inted circuit
spacer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611A (ko
Inventor
마티아스 메이어
마르쿠스 라인프레히트
슈테판 미터레흐너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1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 적어도 하나의 투사 광학 시스템, 및 전방 면 상의 활성 광학 표면, 활성 열 표면과 전기 접점들이 있는 전자 구성요소(1)를 구비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셸(120)과 하우징 커버(150)로 만들어지는 구성요소 하우징(110),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페이서(160) 또한 포함되어 있다. 구성요소 하우징(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구성요소(1)를 수용한다. 하우징 셸(120)은 전자 구성요소(1)를 위한 어셈블리 포지션, 및 어셈블리 포지션이 있는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구성요소 개구(121)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요소 개구에는 전자 구성요소(1)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구성요소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에 접근할 수 있다. 전자 구성요소(1)는 전자 구성요소의 전기 접점들을 통해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셸(120)은 하우징 커버(1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페이서(160)는 쌍으로 되어 있는 지지점과 하우징 커버(150)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지지점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상에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하우징 커버(150)와 하우징 셸(120) 사이에 연결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고, 상기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지나가는 축을 따라 도입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 헤드라이트의 구성요소 하우징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 적어도 하나의 투사 광학 시스템, 및 전방 면 상의 활성 광학 표면, 활성 열 표면과, 전방 면으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후방 면 상의 전기 접점들이 있는 전자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광원은 라이트 빔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라이트 빔은 활성 광학 표면을 향하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투사 광학 시스템이 있는 방향으로 거기에서 반사되며, 차량의 전방에 라이트 패턴을 형성한다.
현재의 헤드라이트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라이트 패턴이 신속하게 변하면서도 특정 교통 조건, 도로 조건 및 조명 조건에 적합하게 될 수 있도록, 차로 위쪽으로 가능한한 최고의 해상도를 가지는 라이트 패턴을 투사하려는 요구에 점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차도(roadway)"라는 용어는 표현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라이트 패턴이 실제로 차로 상에 위치되는지 여부 또는 차로를 넘어서 뻗어나가는지 여부에 관한 장소적인 조건들에 종속적이기 때문임은 물론이다. 원칙적으로, 라이트 패턴은 자동차 조명 기술에 관한 관련 표준에 따라 수직 표면 위쪽으로의 투사에 기초하여 기술되어 있다.
위 요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헤드라이트는 개발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가변적인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리플렉터 표면은 복수의 마이크로미러(micromirror)로 형성되어 있고, 광원에 의해 발생되는 빛 방출을 헤드라이트의 조사 방향으로 반사한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 장치는 매우 유연한 라이트 분배(light distribution)에 기인한 자동차 구조에 유리한데, 이는 조도가 상이한 조명 구역들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딥 빔(dipped beam) 라이트 분배, 터닝 빔(turning beam) 라이트 분배, 도시 모드(urban mode) 라이트 분배, 고속도로 모드(motorway mode) 라이트 분배, 코너링 빔(conering beam) 라이트 분배, 풀 빔(full beam) 라이트 분배, 또는 섬광없는(glare-free) 풀 빔의 영상과 같은 임의의 라이트 분배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마이크로미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igital light processing; DLP®)으로 알려진 투사 기법(projection technique)이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이미지들은 디지털 이미지를 라이트 빔 상에 변조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픽셀(pixel)로도 지칭되는 가동형 마이크로미러들의 직사각형 배열을 이용하여, 라이트 빔은 하위 구역(sub-area)들로 분해되고 나서, 한 픽셀 한 픽셀(pixel by pixel) 투사 경로 속으로 반사되거나 투사 경로를 벗어나 반사된다.
이러한 기법들을 위한 기초는, 매트릭스를 이루는 미러(mirror)들의 형태로 되어 있는 직사각형 배열, 및 이를 위한 제어 기술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로도 지칭되는, 전자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DMD 마이크로시스템은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마이크로미러 액추에이터들, 즉, 예컨대 대략 16 ㎛의 가장자리 길이를 가지는 경사조절가능한 반사 표면들로 이루어진 공간 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이다. 미러 표면들은 정전기장의 작용의 결과로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는 그 각도의 측면에서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하고, 대체로 2개의 안정적인 최종 상태들을 가지며, 1 초의 범위 내에서 5000 회까지 그 사이에서 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러들의 개수는 투사되는 이미지의 해상도에 대응하고, 여기서 미러는 하나 이상의 픽셀들을 나타낸다. 그 동안에, 메가픽셀 범위 내에 있는 고해상도의 DMD 칩들은 이용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정가능한 개별적인 미러들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술은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icro-electrical-mechanical system; MEMS) 기술이다.
DMD 기술은 2개의 안정적인 미러 상태들을 가지며 반사율은 안정적인 상태들 양자 모두 사이의 변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반해, "아날로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analog micromirror device; AMD)"는 개별적인 미러들이 각각 안정적인 상태에 있는 가변적인 미러 포지션들로 조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통상적인 마이크로미러 구성요소는 그 전방 측면 상에 하우징을 구비하는데, 그 전방 측면 상에는 광학 관찰용 창(optical viewing window) 뒤쪽에 매트릭스를 이루는 미러들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마이크로미러 구성요소의 활성 광학 표면은 그 구성요소의 활성 미러 표면, 즉 모든 개별적인 마이크로미러들에 의해 형성된 총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기 접점들은 보통, 냉각 장치의 연결을 위하여 제공되는 중심에 배열되어 있는 구역 둘레에서 링형상으로 하우징의 후방 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마이크로미러 구성요소의 활성 열 표면은 히트 싱크(heat sink)의 부착을 위하여 의도된 구성요소들의 후방 면 상의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종종, 마이크로미러 구성요소는 CLGA(ceramic land grid array; 세라믹 랜드 그리드 어레이) 모듈, 즉 집적 회로를 위한 연결 시스템으로 알려진 것에 설치된다. LGA 시스템에서, 집적 회로의 연결들은 접촉 구역("랜드(land)")들이 있는 체커보드 필드(chequerboard field)("그리드 어레이(grid array)")의 형태로 상기 회로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다. LGA 프로세서들은 보통 탄성 접점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에 놓여 있는데, 이는 접점들의 낮은 기계적 부하가 생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CLGA의 세라믹 바디는 특히 높은 조작 온도를 위하여 설계되어 있다.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의 조립 동안 생길 수 있는 기계적 부하 힘들 이외에도, 차량 내의 모든 구성요소들에 작용하면서 구동 상황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이나 장력 또는 압축력과 같은 기계적 부하 힘들은 차량이 정지상태에 있거나 이동하고 있는 경우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기계적 부하 힘들이 서로에 대한 배열이나 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요소들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구성요소들이, 예컨대 구성요소들에 있거나 그 내부에 있는 인접한 상이한 재료들의 상이한 재료 팽창들 때문에 생긴 높은 온도 차이들에 의해 유발되는 기계적 부하 힘들에 의해 안정성 또는 수명의 측면에서 훼손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된 전자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차량 헤드라이트의 기초 광학 기능을 지원하면서 그 안정적인 기계적 결속과, 광학, 전기 및 열 시스템 부품들의 연결도 허용하는, 차량 헤드라이트 내의 전자 구성요소를 위한 구성요소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에서, 어떠한 기계적 부하 힘들도 그 연결들에 작용해서는 안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구성요소들의 간단한 유지관리가 가능해야만 한다. 본 목적은 하우징 셸과 하우징 커버로 만들어지는 구성요소 하우징, 제 1 인쇄 회로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초반부에 기술되어 있는 타입의 차량 헤드라이트로 달성되고, 구성요소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구성요소를 수용하고, 여기서:
- 하우징 셸은 전자 구성요소를 위한 어셈블리 포지션, 및 어셈블리 포지션이 있는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구성요소 개구를 구비하는데, 상기 구성요소 개구에는 전자 구성요소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구성요소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광학 표면에 접근할 수 있고;
- 전자 구성요소는 전자 구성요소의 전기 접점들을 통해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고;
- 하우징 셸은 하우징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페이서는 쌍으로 되어 있는 지지점과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여기서 지지점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있거나,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열 표면 상이나 제 1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열되어 있는 히트 싱크 상에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셸 사이에 연결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고, 상기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지나가는 축을 따라 도입가능하다.
활성 광학 표면 또는 활성 열 표면에 대한 접근은, 특정 활성 표면이 하우징 셸에 있거나 인쇄 회로 기판에 있는 개구를 통해 도달될 수 있다는 것, 또는 활성 표면이 있는 전자 구성요소가 활성 표면의 효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개구를 통해 돌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활성 광학 표면은 입사되고 나서 제어 유닛에 따라 전자 구성요소에 의해 다시 반사되는 라이트의 반사에 의해 그 효과를 만들어 낸다. 입사되고 나서 반사되는 라이트의 경로가 훼손되지 않는 것은 개구를 이용하여 보장된다. 활성 열 표면은 전자 구성요소에서 만들어지는 열의 소실에 의해 그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트 싱크는 활성 열 표면 상에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열은 한편으로는 전자 구성요소의 전자장치의 동력 소실에 의해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반사되지는 않지만 활성 광학 표면 위쪽에 조사되는 라이트, 즉 흡수되는 라이트에 의해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해결책의 결과로서, 구성요소 하우징은 생성되는데, 이는 차량 헤드라이트에서의 조립의 가혹한 환경에서 간단한 설치를 허용하고, 조작 동안에는 민감한 전자 구성요소들과 회로 캐리어들로부터 멀리 기계적 부하를 유지하며, 이와 동시에 차량 헤드라이트를 위하여 전자 구성요소의 광학 기능의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하우징의 설치 동안 전자 구성요소에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는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은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의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제품 수명 동안 유지관리를 위하여 양호한 접근가능성을 허용한다. 영상 광학 시스템도 설치되는 홀더만이 영상 광학 시스템에 초점을 두어 정밀한 방식으로 전자 구성요소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자 구성요소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하우징은 기계적 부하 힘들이 조립 동안과 조작 동안 소실되는 튼튼한 유닛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요소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광학 표면에 접근할 수 있고, 즉 구성요소들에서 매트릭스를 이루는 미러들은 조명 배열의 추가 구성요소들이 보이고, 그리고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라이트는 활성 광학 표면을 통해서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반사될 수 있다.
유리한 개발에 있어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은 히트 싱크 개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히트 싱크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열 표면에 접근할 수 있고, 전자 구성요소의 향상된 냉각이 달성된다. 구성요소 하우징이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열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히트 싱크를 구비하는 경우라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도, 전술한 히트 싱크 개구가 거기에 히트 싱크를 부착하기 위하여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열 표면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인쇄 회로 기판은 결과적으로 개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를 통해서 히트 싱크가 적소에 플러그 인될 수 있다.
히트 싱크가 사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에 히트 싱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점들이 제 1 인쇄 회로 기판이나 히트 싱크 상에 있는 경우라면 유리하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 1 스페이서는 탄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 및 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스페이서의 축과 일치한다.
제 1 스페이서가 탄성이 있는 경우라면, 히트 싱크나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특별히 적합한 결속 또는 기계적 부하는 해결되는 문제점에 따라 달성된다. 특히, 사용된 구성요소들의 치수 공차는 조립시 굽힘 하중과 같은 기계적 응력을 생성할 수 있다. 탄성 요소들은 구성요소 하우징과 구성요소들의 조립시 균일한 접촉력을 보장하고, 또한 이들이 낮은 비틀림 응력으로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인쇄 회로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인쇄 회로 기판들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복잡한 전자 회로들은 제 1 및 제 2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전자 구성요소들은 제어나 센서 평가를 위한 포괄적인 전자 회로들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종종 인쇄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커다란 크기를 암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들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정상에 있는 "피기백(piggyback)"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인쇄 회로 기판이 제 1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고 제 2 인쇄 회로 기판이 개구들을 구비하는 경우라면 바람직한데, 상기 개구들을 통해 제 1 스페이서가 돌출할 수 있다. 2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기계적 연결은 인쇄 회로 기판들 양자 모두의 동시 가동성을 수반하는데, 이는 탄력적인 제 1 스페이서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전자 구성요소의 더욱 단순한 조립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셈블리 베이스가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전자 구성요소 사이에 배열되는 경우라면 추가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고, 이로써 전자 구성요소의 전기 접점들은, 예컨대 제 1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접촉 표면들을 접촉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전자 구성요소를 차량 헤드라이트의 광학 시스템의 추가 구성요소들로 조정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광학 시스템 부품들에 대한 조정은, 예컨대 영상 광학 시스템에 초점을 두어 전자 구성요소를 정확하게 포지셔닝하기 위하여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는 둘러싸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컴팩트함(compactness)과 기계적 안정성, 특히 심플함(simplicity)을 지원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페이서는 하우징 커버와 제 1 스페이서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 및 축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스페이서의 축과 일치한다.
제 2 인쇄 회로 기판이 개구들을 구비하는 경우라면 바람직한데, 상기 개구들을 통해 제 2 스페이서가 돌출할 수 있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페이서가 하우징 셸과 제 1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라면 구성요소 하우징의 컴팩트함과 안정성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유리하다. 제 3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셸과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 및 축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3 스페이서의 축과 일치한다.
제 3 스페이서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이 하우징 셸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지되는 것을 추가로 보장한다. 이점은 특히 구성요소 하우징의 조립에 앞서 관련성이 있는데, 이는 조립된 상태, 즉 홀더가 구성요소 하우징에 연결되는 경우 전자 구성요소의 홀더가 구성요소 하우징 속으로 눌리기 때문이고, 여기서 제 1 스페이서의 탄성력은 인장력 하에서 배열을 유지한다. 홀더 상에서의 구성요소 하우징의 조립에 앞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은 제 3 스페이서 없이 하우징 셸 위쪽으로 눌릴 수 있고, 전기 단락(electric short circuit)들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회로들에서 일어나게 될 수 있다. 제 3 스페이서는 하우징 셸을 통해 이러한 종류의 단락들을 방지하는데, 이는 절연 간격이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하우징 셸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락들에 대비한 이러한 보호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조립 후 테스트 목적으로만 관련성이 있고, 구성요소 하우징의 조립된 상태에서 어떠한 추가 기능도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테스트 목적이 아니라면, 제 3 스페이서가 없는 것도 가능하다.
구성요소 하우징의 컴팩트함과 안정성은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페이서를 히트 싱크와 제 1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배열함으로써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제 4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이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 및 축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4 스페이서의 축과 일치한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제 5 스페이서가 제 2 스페이서와 하우징 셸 사이에 배열되는 경우라면 구성요소 하우징의 컴팩트함과 안정성, 특히 심플함을 위하여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1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제 5 스페이서의 외측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 제 5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 및 축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5 스페이서의 축과 일치한다.
제 2 인쇄 회로 기판이 개구들을 구비하는 경우라면 바람직한데, 상기 개구들을 통해 제 5 스페이서가 돌출할 수 있다. 구성요소 하우징의 컴팩트함과 안정성, 특히 심플함은 적어도 하나의 제 6 스페이서가 하우징 커버와 제 2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배열되는 경우라면 추가로 지원될 수 있다. 제 6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 및 축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 6 스페이서와 일치한다. 제 6 스페이서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을 수 있는 구성요소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 예컨대 단락에 대비하여 인쇄 회로 기판을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나 하우징 셸과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위에서 언급한 스페이서들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나 하우징 셸 그 자체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그 생산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라면, 이러한 스페이서들과 기계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그 지점들이 인쇄 회로 기판들 상의 전자 회로들의 적합한 배선에 의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다는 점, 또는 전기 절연이 제공된다는 점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스크루(screw), 플러그 인 연결수단(plug-in connection) 또는 접합 연결수단(bonded connection)인 경우라면, 구성요소 하우징은 특히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그러나, 연결 요소들은 구성요소, 조립 비용이나 유지관리 비용의 측면에서 대응하는 비용상 이점을 암시하는 요건들에 따라 고정되거나 해제가능할 수 있다. 해제가능한 연결을 위하여, 연결 요소들이 스크루인 경우라면 바람직하다. 고정된 연결, 특히 경제적인 연결을 위하여, 연결 요소들이 플러그 인 연결수단인 경우라면 차례로 바람직하다. 특히 안정성의 측면에서 추가적인 이점을 가지는 접합 연결수단 이외에도, 경제적인 리벳 역시 가능하다.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의 간단한 구성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경우라면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스크루는 어떤 지점에 대해 테이퍼가공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일지라도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으로 불린다. 나사산형 그루브, 가이드 그루브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역시 연결 요소로 제공될 수 있고, 연결 요소의 전체 표면들을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요소를 따르는 직경의 변형은 특히 간단한 조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조립된 상태에서의 기계적 점착을 우선 보장하는 것이 스페이서들의 표면이기 때문이다. 다수의 연결 요소들의 사용에 있어서, 개별적인 연결 요소들의 상이한 설계가 가능하다. 개별적인 연결 요소들이 모든 스페이서들을 통해 가이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연결 요소들이 모든 스페이서들을 통해 가이드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을 위한 광범위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구성요소 하우징 내부에 있는 구성요소들의 개수와 복잡성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면서 컴팩트한 전체적인 배열이 생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연결 요소들 또는 스페이서들이 구성요소 하우징 안에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들을 고정하는 경우라면 특히 바람직한 배열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구성요소 하우징 안에서 인쇄 회로 기판의 기계적 응력 없는 결속이 달성되기 때문이고, 인쇄 회로 기판 그 자체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구성요소들의 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계적으로 특히 안정적인 배열을 위하여, 3개 이상의 연결 요소들 또는 스페이서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히트 싱크 상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큰 질량을 가지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성 스페이서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기계적 응력을 줄이기 위하여 적합한 지점들에서 사용되는 경우라면 바람직하다. 적합한 지점들은, 예컨대 큰 질량이 고정되는 포지션이거나 그 부근의 포지션이다. 3개 이상의 연결 요소나 스페이서의 사용에 있어서,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히트 싱크 결속수단 또는 스페이서의 구성요소 공차가 바람직하지 않은, 예컨대 평평하지 않은 설치에 의해 유발되는 기계적 응력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특히 정밀한 경우라면 바람직하다. 적어도 4개의 연결 요소나 스페이서가 사용되는 경우라면,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활성 광학 표면을 가질 뿐만 아니라, 예컨대 수평 축과 수직 축을 따르거나 이에 평행하게 다른 시스템 부품들, 예컨대 광원과 매우 정밀한 정렬을 필요로 하는 전자 구성요소가 사용되는 경우라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4개 중 2개는 수평 축을 따르거나 이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4개 중 나머지 2개는 수직 축을 따르거나 이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4개의 연결 요소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전자 구성요소가 전자 구성요소의 CLGA 하우징의 다른 것들 중에서 진동과 관련하여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열 팽창과 관련하여 최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되거나 어셈블리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보장되는데, 이는 배열의 광학 기능에 필수적이다.
구성요소 하우징과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의 간단하면서 신속한 조립을 위하여, 연결 요소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동시에 연결시키는 경우라면 유리하다. 이러한 종류의 조합된 조립을 이용하여, 비용상 이점뿐만 아니라 더 작거나 더욱 컴팩트한 전체적인 크기 또는, 예컨대 특히 효과적인 냉각 배열이 달성된다.
추가적인 개발은 구성요소 하우징의 냉각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필요에 따라 히트 싱크의 강력한 냉각 장치류가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냉각 라인에 통합되는 경우라면 바람직한데, 상기 냉각 라인을 통해 냉매가 통과될 수 있고, 하우징 셸은 바람직하게는 유입 개구와 유출 개구를 가지고, 여기서 냉각 라인의 유입구는 유입 개구에 배열되어 있고, 냉각 라인의 유출구는 유출 개구에 배열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 냉각 장치는 구성요소 하우징에 특히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한 냉각력에 따라, 예컨대 공기나 물은 냉매로 사용될 수 있고, 팬이나 펌프를 이용하여 냉각 라인을 통해 움직이게 된다. 냉각 장치가 밀봉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금속 주조 부품 같은 것이 종래에는 종종 제조되었다. 냉각 유입구와 냉각 유출구는 냉각 시스템의 추가 구성요소들에 대한 간단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 영역에서의 시일들의 사용은 사용되는 냉매에 따라 추가로 유용할 수 있다.
구성요소 하우징이 홀더 상에 조립되는 경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유입 개구와 유출 개구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하우징 셸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라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시일들에 의한 가장 간단한 경우에 실현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스페이서 브래킷이 구성요소 개구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광학 표면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어셈블리 영역에 있는 하우징 셸의 외측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브래킷을 제공함으로써 구성요소 하우징의 조립이 특히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스페이서 브래킷은 전자 구성요소가 조립 동안 어셈블리 베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점은 유리한데, 이는 기계적으로 어셈블리 베이스 안의 전자 구성요소가 특히 큰 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있는 기계적 연결을 가지지 않아서 전자 구성요소가 특히 개별적인 부품들의 조립 동안 어셈블리 베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스페이서 브래킷을 이용하여, 구성요소 하우징과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의 조립 동안의 핸들링은 상당히 개선된다. 이점은 중요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종류의 구성요소 하우징이 보통은 차량 공급자에 의해 제조되고 조립되되 차량 시스템에 대한 최종 조립과 연결이 차량 제조자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이고, 바람직한 핸들링이 전체로서 조립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구성요소 하우징이 함께 조립되어 있지만 홀더 상에는 아직 조립되지 않은 경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이 하우징 셸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지되는 한, 스페이서 브래킷은 제 3 스페이서의 전술한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제 3 스페이서가 없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구성요소가 스페이서 브래킷 상에 자리잡고 있는 경우라면, 스페이서 브래킷은 전자 구성요소를 누를 수 있고, 순차적으로는 구성요소 하우징이 조립되는 경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을 구성요소 하우징 속으로 누를 수 있는데, 이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이 전자 구성요소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은 하우징 셸로부터 멀리 눌리면서 간격을 두고 유지되고, 여기서 제 1 스페이서의 탄성력은 인장력 하에서 배열을 유지한다. 이러한 배열의 결과로서, 브래킷과 구성요소 하우징의 조립 동안 전자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기계적 부하 힘들의 효과는 상당히 줄어들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기계적 부하 힘들이 탄성이 있는 제 1 스페이서에 의해 비롯되기 때문이다.
홀더 상에서의 하우징의 조립에 앞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은 하우징 셸 위쪽으로 눌릴 수 있는데, 이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회로에 전기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제 3 스페이서는 하우징 셸을 통한 이러한 종류의 단락을 줄일 수 있는데, 이는 절연 간격이 하우징 셸과 제 1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락에 대비한 이러한 보호는 보통 테스트 목적으로만 관련성이 있고, 하우징의 조립된 상태에서는 추가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테스트 목적이 아니라면, 제 3 스페이서가 없는 것도 가능하다.
단락에 대비한 보호와 달리, 절연 간격은 하우징 셸과 제 1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하우징 셸로부터 스페이서 브래킷의 거리 또한 아직 최종 조립된 상태는 아니지만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셸의 내측 면과 제 1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구성요소 하우징 내부의 간격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스페이서 브래킷의 치수들의 적합한 선택에 있어서, 제 3 스페이서와 동일한 효과는 순차적으로 달성될 수 있고, 제 3 스페이서는 이 경우 없을 수 있다.
전자 구성요소로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사용하여, 차량 헤드라이트의 광학 기능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량 헤드라이트와 구성요소 하우징의 간단한 조립이 지원되는데, 이는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가 차량 헤드라이트의 하우징 시스템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 하우징 시스템은 구성요소 하우징, 및 구성요소 하우징을 위한 홀더를 구비한다.
차량 헤드라이트에서의 조립은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 수월하게 되는데, 이는 홀더가 적어도 연결 요소에 의해 하우징 셸에 연결되면서 고정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여기에서, 구성요소 하우징의 고정을 위하여 추가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기계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한 연결이 제공된다. 하우징 셸은 스페이서 브래킷이 홀더 안에 있는 리세스에 의해 노출되는 방식으로 홀더에 연결된다.
홀더는 전자 구성요소와의 정렬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정 핀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조정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하우징 시스템이나 차량 헤드라이트의 광학 구성요소들과, 구성요소 하우징의 광학 구성요소들의 간단한 조정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점은 특히 유리한데, 이는 전자 구성요소가 홀더 안에 정렬되어 있는 영상 렌즈들에 초점을 두어 가능한한 정확하게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홀더가 홀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상기 홀더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광학 표면에 접근할 수 있다.
적합한 개수의 연결 요소, 스페이서 및 개구가 배열의 기계적 안정성을 지원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나, 요건에 따라서, 모든 연결 요소들이 다양한 구성요소들 안에 있는 모든 스페이서들이나 개구들을 통해 지나가는 것, 또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이 안정성을 이유로 필요하다는 것이 언제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무거운 히트 싱크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가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을 이용하여, 예컨대 하우징 셸 상에 고정되는 경우라면 적당할 수 있고,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스페이서들 중 일부가 비용이나 중량을 이유로 생략되는 경우라면 적당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그 이점은 첨부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제한없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수 있다.
도 1에는 DLP 칩의 형태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구성요소의 칩 상부 면에 관한 도면이 나타나 있다.
도 2에는 전자 구성요소의 칩 하부 면에 관한 도면이 나타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방 면에 관한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4에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후방 면에 관한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5에는 구성요소 하우징과 그 구성요소들에 관한 분해도가 나타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2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에 관한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7에는 탄성 스페이서들과 삽입된 인쇄 회로 기판이 있는 하우징 셸의 후방 면에 관한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8에는 홀더와의 조립에 앞서 구성요소 하우징의 분해도가 나타나 있다.
도 9에는 홀더와 연결되어 있는 구성요소 하우징에 관한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0에는 냉각수단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1에는 도 10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는 도 10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과 구성요소들의 분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3에는 도 10에 따르는 2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4에는 삽입된 인쇄 회로 기판, 탄성 스페이서 및 히트 싱크가 있는 도 10에 따르는 하우징 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에는 구간 A-A, B-B 및 C-C가 있는 평면의 포지션과, 홀더에 연결되어 있는 도 3과 도 10에 따르는 실시예들 양자 모두를 위한 구성요소 하우징의 배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6에는 도 15에 따르는 구간 A-A가 있는 평면에서 도 3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7에는 도 15에 따르는 구간 B-B가 있는 평면에서 하우징 시스템에 있는 도 3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8에는 도 15에 따르는 구간 A-A가 있는 평면에서 도 10에 따르는 냉각수단이 있는 실시예와 구성요소 하우징의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9에는 도 15에 따르는 구간 B-B가 있는 평면에서 하우징 시스템에 있는 도 10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20에는 도 15에 따르는 구간 C-C가 있는 평면에서 하우징 시스템에 있는 도 10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21에는 도 15에 따르는 구간 B-B가 있는 평면에서 도 3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22에는 도 15에 따르는 구간 B-B가 있는 평면에서 하우징 시스템에 있는 도 3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23에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개략적인 도면이 나타나 있다.
도 24에는 마이크로미러들의 확대도와 칩 상부 면의 도면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어서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헤드라이트에서 중요한 부품들이 나타나 있고, 여기서 헤드라이트가,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자동차, 예컨대 특히 승용차나 모터바이크에서의 적당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많은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구성요소가 많이 제공되어 있을지라도, 도면에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위한 단 하나의 대표적인 참조 기호가 나타나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 헤드라이트(300)의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의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사시도와 단면도에 개괄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어레이(DLP 칩)의 형태로 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 구성요소(1)가 나타나 있다. 도 1에서, 전자 구성요소(1)는 그 전방 면으로 보여질 수 있다. 전자 구성요소(1)는 여기에서 활성 광학 표면(11)(마이크로미러 어레이)과 조정 개구(14)를 가진다. 도 2에서, 전자 구성요소(1)는 전방 면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후방 면으로 보여지고, 열 표면(12), 및 링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전기 접점(13)들을 구비한다.
그 내측 구조가 있는 구성요소 하우징(110)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9에서 볼 수 있는 한편, 도 10 내지 도 14에는 그 내측 구조가 있는 구성요소 하우징(210)의 예시적인 추가 실시예가 나타나 있고, 여기서 외부에 배열되어 있는 냉각 유닛으로의 연결을 위한 냉각 장치류가 제공되어 있다.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있는 참조 기호들은 "2xx"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와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1xx"으로 표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의 참조 기호들에 대응한다. 심플함을 위하여,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의 참조 기호들은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의 참조 기호들에 추가하여 괄호 사이에 기술되어 언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도 10)을 참조하면,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은 전자 구성요소(1)를 위한 어셈블리 포지션을 가지는 제 1 하우징 셸(120, 220)을 구비한다. 어셈블리 포지션이 있는 영역에서, 그 안에 전자 구성요소(1)가 배열되어 있는 구성요소 개구(121, 221)도 배치되어 있다. 구성요소 개구(121, 221)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에 접근할 수 있다. 하우징 셸(120, 220)은 하우징 커버(150, 2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연결 요소들(170, 270)은 하우징 셸(120)과 하우징 커버(150, 250) 사이에 연결을 형성해내는데 사용된다(도 8 참조). 연결 요소들(170, 270)은 라인(100, 200)을 따르거나 이에 평행하게 각각의 경우에 배열되어 있는 축을 따라 각각 도입된다(도 5). 2개의 스페이서 브래킷들(122, 222)은 하우징 셸(120, 220) 상에 추가로 배열되어 있다.
도 4(도 11)에는 폐쇄된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 하우징 셸(120, 220) 및 하우징 커버(150, 250)가 배면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연결 요소(170, 270)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들은 하우징 커버(150, 250)를 하우징 셸(120, 220)에 단단히 연결하기 위하여 추가로 제공되어 있다(도 8 참조).
구성요소 하우징(110)의 내측 구조에 관한 상세한 도면은 도 5에서 분해도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이미 언급된 구성요소들에 추가하여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은 또한, 전기 접점(13)들을 통해서, 바람직하게는 어셈블리 베이스(15)를 통해서 전자 구성요소(1)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을 구비한다. 복수의 지지점(161)들(도 7 참조)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제 1 스페이서들(160, 260)은 하우징 커버(150, 250)와 지지점(161)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제 1 스페이서들(160, 260)은 탄성이 있고, 각각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연결 요소들(170, 270)은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과하고, 여기서 각각의 경우 연결 요소들(170, 270)의 중공 원통형 형상의 축은 제 1 스페이서들(160, 260)의 축과 일치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 회로 기판들(130, 230 및 132, 232)을 연결시키는 어댑터(133, 233)와 제 2 인쇄 회로 기판(132, 232)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과 하우징 커버(150, 250)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어셈블리 베이스(15)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과 전자 구성요소(1)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이로써 전자 구성요소(1)의 전기 접점(13)들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스페이서들(151, 251)은 하우징 커버(150, 250)와 제 1 스페이서(160, 260) 사이에 통합되어 있고, 하우징 커버(150, 250)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며, 그리고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각각 가진다. 연결 요소들(170, 270)은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여기서 연결 요소들(170, 270)의 축은 제 2 스페이서들(151, 251)의 축과 일치한다.
제 4 스페이서(225)(도 20)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만 배열되어 있고, 추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5 스페이서들(152, 252)은 제 2 스페이서들(151, 251)과 하우징 셸(120, 220)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제 1 스페이서들(160, 260)은 제 5 스페이서들(152, 252)의 외측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제 5 스페이서들(152, 252)은 하우징 커버(150, 250)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연결 요소(170, 270)는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여기서 연결 요소들(170, 270)의 축은 제 5 스페이서들(152, 252)의 축과 일치한다.
제 6 스페이서(253)들은 하우징 커버(150, 250)와 제 2 인쇄 회로 기판(132, 232)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하우징 커버(150, 250)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며,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연결 요소들(170, 270)은 각각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여기서 연결 요소들(170, 270)의 축은 제 6 스페이서(253)들의 축과 일치한다.
도 6에는 2개의 인쇄 회로 기판(130, 230)들, 및 그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스페이서들(160, 260)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제 1 스페이서들(160, 260)은 제 5 스페이서들(152, 252)의 외측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고, 여기서 제 5 스페이서들(152, 252)은 제 1 스페이서들(160, 260)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지고, 인쇄 회로 기판(130, 230)을 통해 가이드된다.
도 7에는 하우징 셸(120) 및 삽입된 인쇄 회로 기판(130)과 제 1 스페이서(160)들의 배면도가 나타나 있다.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에 있는 히트 싱크 개구(131)를 볼 수 있고, 이로써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열 표면(12)에 접근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단지 전자 구성요소(1)로부터의 향상된 열 복사를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는 사용되는 히트 싱크가 없기 때문이다.
도 8에는 홀더(2) 상의 조립을 위한 폐쇄된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의 정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으로의 접근을 위한 홀더 개구(21)와, 전자 구성요소(1)에서의 조정 개구(14)와의 정렬을 위한 조정 핀(22)을 볼 수 있다. 도 9에는 도 8로부터 조립된 배열이 나타나 있고, 여기서 연결 요소(170, 270)들은 하우징 커버(150, 250)를 하우징 셸(120, 220)에 단단히 연결시키고, 추가적으로 홀더(2)를 하우징 셸(120, 220)에 단단히 연결시킨다.
따라서 이 예시에 기술되어 있는 배열이 바람직한데, 이는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이 서로 결속되어 적소에 유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부하 힘들이 해결되는 문제에 따라 적절히 감쇠되기 때문이다.
전자 구성요소(1)는 순차적인 영상 광학 시스템(여기에는 미도시)에 초점을 두어 홀더(2) 안에 조립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홀더(2)는 홀더 개구(21)를 구비하고, 이로써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에 접근할 수 있다.
하우징 셸(120, 220)의 외측 면은 어셈블리 영역에 스페이서 브래킷(122, 222)들을 가지고, 여기서 구성요소 개구(121, 221), 즉 "볼 수 있는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은 훼손되지 않는다. 하우징 셸(120, 220)은 홀더(2)에 고정되고, 여기서 스페이서 브래킷(122, 222)들은 홀더(2) 안에서 리세스(23)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홀더(2)는 전자 구성요소(1)와의 정렬을 위한 조정 핀(22)들을 가지고, 전자 구성요소(1)는 적어도 대응하는 조정 개구(14)를 가진다.
연결 요소(170, 270)들은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는 스크루인데, 이는 해제가능해서 재사용될 수 있다. 이 연결 형상은 구성요소 하우징의 유지관리를 수월하게 하고, 이와 달리 플러그 인되거나 클램프고정되거나 접합될 수 있는 연결 요소들도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4에는 그 내측 구조가 있는 구성요소 하우징(210)의 예시적인 추가 실시예가 나타나 있고, 여기서 외부에 배열되어 있는 냉각 유닛에 대한 연결을 위한 냉각 장치류가 제공되어 있다. 도면에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230)에 연결되되 도 2에 따르는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열 표면(12) 상에 배열되어 있는 히트 싱크(240)가 나타나 있다. 제 1 인쇄 회로 기판(230)은 히트 싱크 개구(231)를 구비하는데, 상기 히트 싱크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열 표면(12)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 내지 도 9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정보가 유사하게 적용된다.
히트 싱크(240)는 유입구(242)와 유출구(243)를 가지는 냉각 라인(241)에 통합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 라인을 통해 냉매가 통과될 수 있고, 하우징 셸(220)은 유입 개구(223)와 유출 개구(224)를 가지고, 여기서 냉각 라인(241)의 유입구(242)는 유입 개구(223)에 배열되어 있고, 냉각 라인(241)의 유출구(243)는 유출 개구(224)에 배열되어 있다.
구성요소 하우징(210) 상의 유입 개구(223)와 유출 개구(224)는 외부 냉각 유닛, 바람직하게는 팬(여기에는 미도시됨)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 펌프는 냉매가 액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전자 구성요소(1)의 동력 손실에 기초하고 있는 냉각 요건에 따라, 다양한 냉매, 예컨대 공기, 바람직하게는 대기, 또는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이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액체는, 예컨대 동결방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고, 여기서 히트 싱크는 추가로 제공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구성요소 하우징(210) 안에 있는 냉각 라인(241)의 유입구(242)를 볼 수 있다. 도 11에서는 구성요소 하우징(210) 안에 있는 냉각 라인(241)의 유입구(242)를 볼 수 있다.
도 12에는 냉각수단이 있는 구성요소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 셸(220)의 유입 개구(223)에 배열되어 있는 냉각 라인(241)의 유입구(242)가 나타나 있다. 복수의 지지점(262)들은 히트 싱크(240) 상에 정의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점들 상에는 제 1 탄성 스페이서(260)가 자리잡고 있다.
도 13에는, 탄성 중공 원통형 제 1 스페이서(260)들을 통해서 연결 요소(270)들을 이용하여 제 2 인쇄 회로 기판(232)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자 구성요소(1)가 있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이 나타나 있다. 하우징 셸(220)의 유출 개구(224)에 배열되어 있는 냉각 라인(241)의 유출구(243)를 볼 수 있다.
도 14에는 하우징 셸(220), 삽입된 인쇄 회로 기판(230) 및 제 1 스페이서(260)들이 있는 구성요소 하우징(210)의 배면도가 나타나 있다. 히트 싱크(240)는 인쇄 회로 기판(230)에 통합되어 있고, 냉각 라인(241)과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여기서 냉각 라인(241)은 유입구(242)와 유출구(243)를 구비한다. 유입구(242)는 하우징 셸(220) 안에 있는 유입 개구(223)를 통해 가이드되고, 유출구(243)는 하우징 셸(220) 안에 있는 유출 개구(224)를 통해 가이드된다. 히트 싱크(240)는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열 표면(12) 상에 배열되어 있다. 지지점(262)들은 히트 싱크(240) 상에 있다.
도 15에는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 하우징(110)과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 하우징(210)에 걸쳐 구간(A-A, B-B 및 C-C)이 있는 평면들의 포지션이 도시되어 있다. 구간(A-A)이 있는 평면은 연결 요소들(170, 270)을 통해 지나간다. 구간(B-B)이 있는 평면은 전자 구성요소(1)를 통해 지나가고, 구간(C-C)이 있는 평면은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을 통해 전자 구성요소(1)로부터 멀리서 지나간다.
도 16에는 도 15에 따라 구간(A-A)이 있는 평면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110)의 내측 구조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제 2 스페이서(151)들과 제 5 스페이서(152)들이 있는 범위뿐만 아니라, 특히 제 5 스페이서(152)들의 외측 표면 상에서의 제 1 스페이서(160)들의 배열, 및 지지점(161)들의 포지션을 볼 수 있다.
연결 요소(170)들, 인쇄 회로 기판들(130, 132) 및 스페이서들(160, 260, 151, 152)에 의한 스크루 연결들이 그러하듯이, 그 대응하는 조정 개구(14)들이 있는 조정 핀(22)들을 볼 수 있다. 대응하는 개구들이 스페이서들, 인쇄 회로 기판들, 히트 싱크들 및 하우징 구성요소들을 통해 연결 요소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도 15에 따라 구간(B-B)이 있는 평면을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110)의 내측 구조는 도 17에 나타나 있다.
도 15에 따라 구간(A-A)이 있는 평면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210)의 내측 구조는 도 18에 나타나 있고, 여기서 예시는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열 표면(12) 상에 배열되어 있는 히트 싱크(240)를 구비하고, 외부 냉각 유닛(미도시)은, 예컨대 팬을 이용하여 활성 냉각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9에는, 냉각 라인(241)이 있는 히트 싱크(240)와 전자 구성요소(1)를 통해 지나가는, 도 15에 따라 구간(B-B)이 있는 평면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210)의 내측 구조가 나타나 있고, 여기서 하우징 커버(250)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면서 하우징 커버와 제 2 인쇄 회로 기판(232)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제 6 스페이서(253)들이 나타나 있다. 제 6 스페이서(253)들은 연결 요소(270)들이 제 6 스페이서(253)들을 통해 가이드되도록 선택적으로 중공 원통형일 수 있고, 여기서 제 6 스페이서(253)들의 축은 각각의 경우 라인(200)을 따르거나 이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 6 스페이서(253)들은 하우징 커버(250)와 제 2 인쇄 회로 기판(232)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하우징 커버(250)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며,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연결 요소(270)들은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여기서 연결 요소(270)들의 축은 제 6 스페이서(253)들의 축과 일치한다.
도 20에는 도 15에 따라 구간(C-C)이 있는 평면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210)의 내측 구조가 나타나 있고, 여기서 제 4 스페이서(225)들은 히트 싱크(240)와 제 1 인쇄 회로 기판(230)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제 4 스페이서(225)들은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각각 가진다. 연결 요소(270)들은 각각의 경우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여기서 연결 요소(270)들의 축은 제 4 스페이서(225)들의 축과 일치하다.
제 4 스페이서(225)들이 탄성이 있는 경우라면, 진동의 형태로 되어 있는 히트 싱크(240)에 작용하는 기계적 응력들의 효과는 줄어들 수 있다.
도 21과 도 22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요소 하우징(110)의 조립이 있는 기능이 나타나 있다. 이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 양자 모두에 유사하게 직용가능하다.
도 21에는 조립된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이 나타나 있다. 탄성 제 1 스페이서(160, 260)들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을 하우징 셸(120, 220)에 대하여 누른다. 전자 구성요소(1)는 2개의 스페이서 브래킷(122, 222)들에 대하여 지지된다.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이 홀더(2) 상에 조립되는 경우라면, 앞선 도면들과 도 22에 기초하여 전자 구성요소(1)가 홀더에 의해 홀더 개구(21)가 있는 영역에서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 속으로 눌린다는 점은 자명하다. 제 1 스페이서(160, 260)는 압축되고,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은 하우징 셸(120, 22)로부터 거리를 두어 유지되고, 여기서 제 1 스페이서(160, 260)의 재료가 가지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반대방향 힘이 가해진다. 제 2 인쇄 회로 기판(132, 232)은 어댑터를 통해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과 평행하게 변위된다.
전자 구성요소(1) 안에 있는 조정 개구(14)는 앞선 도면들에 기초하여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더(2)의 조정 핀(22)을 수용할 수 있고, 스페이서 브래킷(122, 222)들은 홀더(2)에서 리세스(23)들을 통해 도달한다. 전자 구성요소(1)는 이어서 스페이서 브래킷(122, 222)들에 대하여 더 이상 지지되지 않는다.
도 23에는 전자 구성요소(1), 전자 제어 유닛(302), 광원(302), 1차 광학 시스템(303) 및 투사 광학 시스템(304)을 구비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가 나타나 있다. 나타나 있는 배열은 앞선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들의 도움으로 헤드라이트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24에는 복수의 마이크로미러(311)로 형성된 활성 광학 표면(11)을 가지는 전자 구성요소(1)가 확대도로 나타나 있다.
전자 구성요소(1)는 활성 광학 표면(11)을 가진다. 광원(302)은 1차 광학 시스템(303)과 함께, 전자 구성요소(1)를 향하고 있는 라이트 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구성요소(1) 안에 있는 마이크로미러(311)들이 차량 헤드라이트(1)에 의해 조사될 원하는 라이트 분배에 따라 라이트 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사 광학 시스템(304)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전자 제어 유닛(301)은 전기 신호로 전자 구성요소(1)를 제어하고, 원하는 라이트 분배에 따르는 라이트 패턴은 설치된 상태에 있는 차량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1 전자 구성요소
11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광학 표면
12 전자 구성요소의 활성 열 표면
13 전자 구성요소의 전기 접점
14 전자 구성요소의 조정 개구
15 전자 구성요소를 위한 어셈블리 베이스
2 홀더
21 홀더 안에 있는 전자 구성요소를 위한 홀더 개구
22 홀더의 조정 핀
23 홀더 안에 있는 리세스
3 하우징 시스템
100, 200 조립 축을 지나는 라인
110, 210 구성요소 하우징
120, 220 하우징 셸
121, 221 하우징 셸 안에 있는 구성요소 개구
122, 222 스페이서 브래킷
223 하우징 셸 안에 있는 유입 개구
224 하우징 셸 안에 있는 유출 개구
225 제 4 스페이서
130, 230 제 1 인쇄 회로 기판
131, 231 제 1 인쇄 회로 기판 안에 있는 히트 싱크 개구
132, 232 제 2 인쇄 회로 기판
133, 233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어댑터
240 히트 싱크
241 냉각 라인
242 냉각 라인의 유입구
243 냉각 라인의 유출구
150, 250 하우징 커버
151, 251 제 2 스페이서
152, 252 제 5 스페이서
253 제 6 스페이서
160, 260 제 1 스페이서 (탄성이 있고,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함)
161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스페이서의 지지점
262 히트 싱크 상의 스페이서의 지지점
170, 270 연결 요소
300 차량 헤드라이트
301 전자 제어 유닛
302 광원
303 1차 광학 시스템
304 투사 광학 시스템
311 마이크로미러

Claims (18)

  1. - 적어도 하나의 광원(302);
    - 적어도 하나의 투사 광학 시스템(304); 및
    - 전방 면 상의 활성 광학 표면(11), 활성 열 표면(12)과, 전방 면으로부터 멀리 대향하고 있는 후방 면 상의 전기 접점(13)들이 있는 전자 구성요소(1);
    를 구비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로서,
    광원(302)은 라이트 빔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고, 라이트 빔은 활성 광학 표면(11)을 향하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투사 광학 시스템(304)이 있는 방향으로 거기에서 반사되며, 차량의 전방에 라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에 있어서,
    하우징 셸(120, 220)과 하우징 커버(150, 250)로 만들어지는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페이서(160, 260) 또한 포함되어 있고, 구성요소 하우징(110, 2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구성요소(1)를 수용하고, 여기에서:
    - 하우징 셸(120, 220)은 전자 구성요소(1)를 위한 어셈블리 포지션, 및 어셈블리 포지션이 있는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구성요소 개구(121, 221)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요소 개구에는 전자 구성요소(1)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구성요소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에 접근할 수 있고;
    - 전자 구성요소(1)는 전자 구성요소의 전기 접점들을 통해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에 연결될 수 있고;
    - 하우징 셸(120, 220)은 하우징 커버(150, 2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페이서(160, 260)는 쌍으로 되어 있는 지지점(161, 262)과 하우징 커버(150, 250)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지지점(161, 262)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 상에 있거나,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열 표면(12)과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 상에 배열되어 있는 히트 싱크(240) 상에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70, 270)는 하우징 커버(150, 250)와 하우징 셸(120, 220) 사이에 연결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고, 상기 연결 요소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지나가는 축을 따라 도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은 히트 싱크 개구(131, 231)를 구비하고, 상기 히트 싱크 개구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열 표면(12)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스페이서(160. 260)는 탄성이 있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 요소(170, 270)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170, 270)의 축은 제 1 스페이서(160, 260)의 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인쇄 회로 기판들(130, 132, 230, 232)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33, 233)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인쇄 회로 기판(132, 232)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과 하우징 커버(150, 250)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5.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어셈블리 베이스(15)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과 전자 구성요소(1)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이로써 전자 구성요소(1)의 전기 접점(13)들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6.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페이서(151, 251)는 하우징 커버(150, 250)와 제 1 스페이서(160, 260)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제 2 스페이서(151, 251)는 하우징 커버(150, 251)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 요소(170, 270)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170, 270)의 축은 제 2 스페이서(151, 251)의 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7.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3 스페이서는 하우징 셸(120, 220)과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제 3 스페이서는 하우징 셸(120, 220)과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 요소(170, 270)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170, 270)의 축은 제 3 스페이서의 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8.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4 스페이서(225)는 히트 싱크(240)와 제 1 인쇄 회로 기판(130, 230)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제 4 스페이서(225)는 탄성이 있을 수 있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 요소(170, 270)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170, 270)의 축은 제 4 스페이서(225)의 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9.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5 스페이서(152, 252)는 제 2 스페이서(151, 251)와 하우징 셸(120, 220)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제 1 스페이서(160, 260)는 제 5 스페이서(152, 252)의 외측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고, 그리고 제 5 스페이서(152, 252)는 하우징 커버(150, 250)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 요소(170, 270)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170, 270)의 축은 제 5 스페이서(152, 252)의 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0.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6 스페이서(253)는 하우징 커버(150, 250)와 제 2 인쇄 회로 기판(132, 232)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제 6 스페이서(253)는 하우징 커버(150, 250)와 공통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연결 요소(170, 270)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통해 지나가고, 연결 요소(170, 270)의 축은 제 6 스페이서(253)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1.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70, 270)는 스크루, 플러그 인 연결수단 또는 접합 연결수단이고,
    연결 요소(170, 27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2.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240)는 유입구(242)와 유출구(243)를 가지는 냉각 라인(241)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냉각 라인을 통해 냉매가 통과될 수 있고, 하우징 셸(220)은 유입 개구(223)와 유출 개구(224)를 가지고,
    냉각 라인(241)의 유입구(242)는 유입 개구(223)에 배열되어 있고, 냉각 라인(241)의 유출구(243)는 유출 개구(224)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브래킷(122, 222)은 하우징 셸(120, 220)의 외측 면 상에서 어셈블리 영역에 구비되어 있고, 구성요소 개구(121, 221)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자 구성요소(1)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5.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홀더(2) 또한 구비되어 있고,
    홀더(2)는 적어도 연결 요소(170, 270)에 의해 하우징 셸(120, 22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하우징 셸(120, 220)은 스페이서 브래킷(122, 222)이 홀더(2) 안에 있는 리세스(23)를 이용하여 노출되는 방식으로 홀더(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전자 구성요소(1)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조정 개구(14)를 가지고, 홀더(2)는 전자 구성요소(1)에서 조정 개구(14)와의 정렬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정 핀(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18. 제 15 항에 있어서,
    홀더(2)는 홀더 개구(21)를 구비하고,
    홀더 개구(21)를 이용하여 전자 구성요소(1)의 활성 광학 표면(11)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300).
KR1020187027548A 2016-03-03 2017-02-22 차량 헤드라이트의 구성요소 하우징 KR102112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169/2016A AT518344B1 (de) 2016-03-03 2016-03-03 Bauteilgehäuse eines Fahrzeugscheinwerfers
ATA50169/2016 2016-03-03
PCT/AT2017/060041 WO2017147632A1 (de) 2016-03-03 2017-02-22 Bauteilgehäuse eines fahrzeugscheinwerf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611A KR20180113611A (ko) 2018-10-16
KR102112304B1 true KR102112304B1 (ko) 2020-05-19

Family

ID=5834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548A KR102112304B1 (ko) 2016-03-03 2017-02-22 차량 헤드라이트의 구성요소 하우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88007B2 (ko)
EP (1) EP3423747B1 (ko)
JP (1) JP6591086B2 (ko)
KR (1) KR102112304B1 (ko)
CN (1) CN109073191B (ko)
AT (1) AT518344B1 (ko)
WO (1) WO2017147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3928B1 (fr) * 2017-11-17 2020-11-13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8110587A1 (de) * 2018-05-03 2019-11-07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DMD-Lichtmodul mit einem klemmend gehaltenen DMD-Chip
JP2019212367A (ja) * 2018-05-31 2019-12-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ユニット
DE102018113561B4 (de) * 2018-06-07 2023-08-10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Verfahren zum Montieren und Justieren eines DMD-Chips in einem 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FR3082920B1 (fr) * 2018-06-25 2021-07-16 Valeo Vision Module optique comprenant une carte electronique avec une puce electronique
JP7469861B2 (ja) * 2019-09-02 2024-04-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ユニット
EP3840551A1 (en) * 2019-12-20 2021-06-23 ZKW Group GmbH Car module
EP3904756A1 (de) * 2020-04-28 2021-11-03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US11499689B1 (en) 2021-06-28 2022-11-15 Valeo North America, Inc. Ligh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having multiple fun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8632A (ja) 2003-12-26 2005-08-04 Seiko Epson Corp 光変調素子保持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0008B4 (de) * 1995-08-16 2005-02-0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einer reflektierenden Umlenkvorrichtung
JP4560958B2 (ja) * 2000-12-21 2010-10-13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メカニカル・システム
US6477058B1 (en) * 2001-06-28 2002-11-05 Hewlett-Packard Company Integrated circuit device package including multiple stacked components
TW578981U (en) * 2001-11-30 2004-03-01 Foxconn Prec Components Co Ltd Heat dissipating assembly
TW566572U (en) * 2003-03-07 2003-12-11 Lite On Technology Corp Flexible assembling device applied in an optical projection apparatus and its mechanism
US20050117364A1 (en) * 2003-10-27 2005-06-02 Mark Rennick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ng a turn signal indication
JP2005215022A (ja) * 2004-01-27 2005-08-11 Chinontec Kk 光学要素用吸熱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KR100646243B1 (ko) * 2004-09-07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를 이용한 프로젝터용 냉각판
JP2006133409A (ja) * 2004-11-04 2006-05-2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
KR100693349B1 (ko) * 2005-04-0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프로젝션 시스템용 dmd 조립체
US7612440B2 (en) * 2005-05-18 2009-11-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ackage for an integrated circuit
KR100766075B1 (ko) * 2005-12-05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Dmd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프로젝션 시스템.
JP4952981B2 (ja) * 2006-06-06 2012-06-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光変調素子ユニット及びプロジェクタ
KR100783169B1 (ko) * 2006-09-25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DE102008003451A1 (de) * 2007-08-08 2009-02-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Abbildungseinrichtung
KR101220063B1 (ko) * 2010-11-19 2013-01-08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차량의 지능형 헤드 램프 어셈블리
JP5714334B2 (ja) * 2011-01-12 2015-05-07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熱交換機構および露光装置
US8801245B2 (en) * 2011-11-14 2014-08-1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llumination module for vehicle
CZ2012272A3 (cs) * 2012-04-19 2013-07-10 Hella Autotechnik, S.R.O. Svetlomet, zejména pro motorová vozidla
JPWO2014103803A1 (ja) * 2012-12-28 2017-01-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Mems光スキャナ
US9409766B2 (en) * 2014-01-29 2016-08-09 Himax Display, Inc. MEMS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36745B2 (ja) * 2014-02-17 2017-11-2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DE102014109365B4 (de) * 2014-07-04 2022-09-15 HELLA GmbH & Co. KGaA Lichtmodul zur Anordnung in einem Scheinwerfer mit einer einjustierten Lichtbaugruppe und Verfahren hierzu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8632A (ja) 2003-12-26 2005-08-04 Seiko Epson Corp 光変調素子保持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3191A (zh) 2018-12-21
EP3423747B1 (de) 2020-01-01
AT518344B1 (de) 2019-02-15
US20190316752A1 (en) 2019-10-17
JP6591086B2 (ja) 2019-10-16
CN109073191B (zh) 2020-11-27
US10488007B2 (en) 2019-11-26
WO2017147632A1 (de) 2017-09-08
AT518344A1 (de) 2017-09-15
EP3423747A1 (de) 2019-01-09
JP2019512840A (ja) 2019-05-16
KR20180113611A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304B1 (ko) 차량 헤드라이트의 구성요소 하우징
CN108700271B (zh) 用于电子结构部件的保持装置
CN108700270B (zh) 用于机动车的照明单元
KR102340609B1 (ko) 자동차 헤드램프
CN109937321B (zh) 前灯装置
CN110319418B (zh) 具有微镜的用于机动车前照灯的光模块
US9897820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6732637B2 (ja) マイクロメカニカル部品および照明装置
CN107869695B (zh) 具有微反射镜矩阵的用于灯装置的单件式支撑件
CN112752923B (zh) 具有夹持的dmd芯片的dmd-发光模块
CN111656861B (zh) 线路装置、照明装置以及车辆探照灯
JP7469861B2 (ja) 灯具ユニット
KR101767503B1 (ko) 스캐닝 프로젝터
JP6843595B2 (ja) マイクロメカニカル部品、照明装置および対応する製造方法
JP2021125410A (ja) 灯具ユニット
KR102282008B1 (ko) Dmd 모듈
US20230097767A1 (en) Lamp unit
JP2021039868A (ja) 灯具ユニット
KR20240071670A (ko) 고안정성 램프 방열 시스템
KR20200053416A (ko) 자동차 헤드램프 광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