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076B1 -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076B1
KR102112076B1 KR1020200005344A KR20200005344A KR102112076B1 KR 102112076 B1 KR102112076 B1 KR 102112076B1 KR 1020200005344 A KR1020200005344 A KR 1020200005344A KR 20200005344 A KR20200005344 A KR 20200005344A KR 102112076 B1 KR102112076 B1 KR 10211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voltage
amplifier
circuit
public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만
이강찬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영상 filed Critical (주)하이텍영상
Priority to KR102020000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앰프; 앰프로부터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전기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 전압을 증폭하는 검측부; 증폭 전압을 임계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구동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앰프와 상기 검측부 간의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THAT SAVES ENERGY BY USING ELECTRONIC SWITCH}
본 발명은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 전력을 줄이고, 릴레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력선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관 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은 복수개의 릴레이를 복수개의 선로에 병렬로 연결하여, 각 선로를 절체 또는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수의 릴레이가 동시에 동작할 때,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반응 속도도 느려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게다가, 릴레이의 경우, 각각의 소비 전력은 200 mW ~ 500 mW 정도로 적은 편이나, 수십개의 릴레이를 이용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소비 전력이 합산되어, 무시하기 어려운 소비 전력으로 나타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1은 종래의 릴레이를 이용한 개폐기를 나타내는 회로이다.
릴레이를 이용한 개폐기(10)는 트랜지스터(11)가 통전되어, 직류 전원(14)에 의해 릴레이(12)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릴레이 접점(13)이 닫힘 상태가 되어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에 전기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릴레이(12)에 연결되는 환류 다이오드(15)는 릴레이(12)가 여자되는 경우에, 릴레이(12)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은, 릴레이(12)는 200 mW ~ 500 mW 정도의 소비 전력을 요구하며, 릴레이 접점(13)은 기계적인 접점으로 생성되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접점(13)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아크(Arc)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릴레이 접점(13)에 큰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비 전력을 줄이고, 릴레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력선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음원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앰프; 상기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따른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의 일단에 연결되는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따라 측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측정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 전압을 생성하는 검측부; 상기 증폭 전압을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증폭 전압과 상기 임계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앰프와 상기 검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앰프와 상기 검측부 간의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광원을 점등하여 빛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빛 에너지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앰프와 상기 검측부 간의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 회로에 구비되는 트랜지스터의 정전 용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는 스피드업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드업 회로는, 상기 구동 회로에 구비되어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상기 구동 전원의 음극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의 접점에 양극이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다이오드의 접점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에미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과 상기 구동 전원의 접점에 콜렉터가 연결되는 스피드업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회로는, 상기 구동 회로 또는 상기 스피드업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로부터 게이트에 전달되는 전압에 따라 통전되며, 소스가 연결되도록 대칭으로 설치되는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회로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회로를 통전시키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상기 구동 회로가 통전되는 경우에, 상기 직류 전원이 입력되어 점등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가 점등되어 발생하는 빛 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 전압을 입력 받고, 상기 증폭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개폐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 상기 앰프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대한 안전 영역을 나타내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전압과 상기 증폭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증폭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을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신호의 상태를 유지하는 지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통전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통전 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연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신호가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도록 생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상기 증폭 전압으로부터 이상 전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앰프 또는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앰프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스피커; 상기 앰프로부터 각각의 스피커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측정 전압을 생성하고, 각각의 측정 전압을 증폭하여 각각의 증폭 전압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검측부; 상기 앰프와 복수개의 검측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부; 및 상기 검측부로부터 복수개의 증폭 전압을 전달받고, 복수개의 증폭 전압의 이상 여부를 각각 판단하여 각각의 개폐부에 대한 복수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나의 제어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사전에 설정되는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증폭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생성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릴레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력선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릴레이를 이용한 개폐기를 나타내는 회로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3 내지 도5는 도2의 개폐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도2의 개폐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는 도1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전관 방송 시스템(1)은 앰프(100), 스피커(200), 검측부(300), 제어부(400) 및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앰프(100)는 음원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앰프(100)는 PA AMP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앰프(100)는 교류 전원의 형태로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스피커(200)는 앰프(10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따른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검측부(300)는 스피커(200)의 일단에 연결되는 측정 센서(310)를 이용하여, 앰프(10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따라 측정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측정 센서(310)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때, 측정 센서(310)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장은 측정 센서(310)의 1차측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일 수 있다.
이때, 전류가 측정 센서(310)의 1차측을 통과하는 것은 측정 센서(310)의 1차측이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 센서(310)의 1차측을 직접 통과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전류가 측정 센서(310)의 1차측을 통과하는 것은 측정 센서(310)의 1차측에 중심축을 통과하는 홀을 구비하고, 전류가 흐르는 회로가 1차측의 홀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측정 센서(310)의 2차측은 1차측에 흐르는 전류와 해당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각각 수직으로 나타나는 측정 전압이 생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측정 센서(310)의 2차측은 전류가 흐르는 1차측의 회로와 분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 센서(310)는 홀 센서(Hall Sens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검측부(300)는 측정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 전압을 생성하는 증폭기(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증폭기(320)는 OP AMP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증폭기(320)는 증폭 전압의 크기에 따라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로 흐르는 전기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배율로 측정 전압을 증폭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증폭 전압을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전압과 비교하고, 증폭 전압과 임계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앰프(10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임계 전압은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로 흐르는 전기 신호에 이상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는 안전 영역(SOA: Safe Operating Area)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안전 영역은 앰프(100), 스피커(200), 개폐부(500), 측정 센서(310) 및 선로 등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 영역은 전관 방송 시스템(1)의 회로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임계 전압은 안전 영역과 증폭기(320)에서 전압이 증폭되는 배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로 흐르는 전기 신호에 대한 안전 영역에 증폭기(320)의 배율을 적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로 흐르는 전기 신호에 존재할 수 있는 이상은 과전압, 과전류, 부족 전압 및 부족 전류 등의 현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상 현상은 낙뢰, 지락, 단락, 단선 등 여러가지 전기적 사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개폐부(500)는 앰프(100)와 검측부(30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앰프(100)와 검측부(300) 간의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500)는 통전 상태에서 발광하여 빛 에너지를 생성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 에너지를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500)는 광원이 점등하여 구동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압이 생성되는 경우에, 앰프(100)와 검측부(300)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앰프(100)에서 생성되는 전기 신호가 스피커(20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500)는 광원이 소등되어 구동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압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앰프(100)와 검측부(300)를 전기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앰프(100)와 스피커(200)가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5는 도2의 개폐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개폐부(500)는 앰프(100)와 검측부(30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앰프(100)와 검측부(300) 간의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500)는 구동 회로(510), 개폐 회로(520) 및 스피드업 회로(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510)는 제어부(400)에서 생성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광원을 점등하여 빛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구동 회로(510)는 광원이 점등되어 발생하는 빛 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3은 도2의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구동 회로(510)는 입력 전원(511), 구동 트랜지스터(512), 발광 소자(513) 및 구동 전원(5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전원(511)은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전원은 사전에 설정되는 크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512)는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 회로(510)를 통전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트랜지스터(512)는 베이스(Base)로부터 에미터(Emitter)로 흐르는 전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콜렉터(Collector)와 에미터에 일정한 전압이 걸리며,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소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트랜지스터(512)는 일반적인 스위치소자 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구동 트랜지스터(512)는 구동 트랜지스터(512)의 베이스에 구동 회로(510)의 통전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구동 트랜지스터(512)가 통전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구동 회로(510)의 통전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는 구동 트랜지스터(512)가 동작하도록 베이스에 입력되는 최소 전류의 크기를 만족하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512)는 구동 트랜지스터(512)의 베이스에 차단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구동 트랜지스터(512)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이때, 구동 회로(510)의 차단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는 구동 트랜지스터(512)가 동작하도록 베이스에 입력되는 최소 전류보다 작은 전류로 나타나는 전기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발광 소자(513)는 구동 트랜지스터(512)에 의해 구동 회로(510)가 통전되는 경우에, 입력 전원(511)으로부터 전달되는 직류 전원이 입력되어 점등할 수 있으며, 이때, 발광 소자(513)가 점등되어 빛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 소자(513)는 발광 소자(513)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점등되는 소자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발광 소자(513)는 LED, 백열등 등의 빛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구동 전원(514)은 발광 소자(513)가 점등되어 발생하는 빛 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전원(514)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이 가능한 소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동 전원(514)은 포토 다이오드(Photodiode), 태양 전지(Solar panel), 광 전지(Photovoltai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구동 회로(510)는 구동 회로(510)에 흐르는 전류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제7 저항(516)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510)는 입력 전원(511)으로 5 V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고, 390 Ohm의 제7 저항(516)을 이용하는 경우, 제7 저항(516)의 양단에 3.72 V, 발광 소자(513)에는 1.2 V가 인가될 수 있으며, 이때, 발광 소자(513)에는 9.53 mA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전원(514)은 10.30 V의 전원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 V로 동작하는 릴레이가 구비되는 릴레이 회로는 릴레이에 40 mA의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 소자(513)를 구비하는 구동 회로(510)가 릴레이 회로와 비교하여 소비 전류가 1/4배로 감소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개폐 회로(520)는 구동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앰프(100)와 검측부(300) 간의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4는 도2의 개폐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개폐 회로(520)는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는 스피드업 회로(530)로부터 게이트(Gate)에 전달되는 전압에 따라 통전되며, 이때,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의 소스와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소스가 연결되도록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개폐 회로(520)에 스피드업 회로(53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구동 전원(514)으로부터 게이트에 전달되는 전압에 따라 통전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는 게이트(Gate)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드레인(Drain)과 소스(Source)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개폐 회로(520)는 앰프(100)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가 극성이 변하는 교류 전류로 나타나는 경우에,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것은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소스로부터 드레인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에 전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 전류는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기생 다이오드(523, 524)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앰프(100)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방향에 따라 전관 방송 시스템(1)의 회로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와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소스를 연결하여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와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가 대칭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앰프(100)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회로 특성에 따라 전기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는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가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파형을 제거하는 제5 저항(527)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정전기, 서지 등의 사고로부터 전관 방송 시스템(1)의 요소를 보호하는 제3 저항(52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가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파형을 제거하는 제6 저항(52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정전기, 서지 등의 사고로부터 전관 방송 시스템(1)의 요소를 보호하는 제4 저항(526)을 구비할 수 있다.
스피드업 회로(530)는 개폐 회로(520)에 구비되는 트랜지스터의 정전 용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5는 도2의 스피드업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스피드업 회로(530)는 제1 저항(531), 제2 저항(532), 다이오드(533) 및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531)은 구동 회로(510)에 구비되는 구동 전원(514)의 양극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저항(532)은 구동 전원(514)의 음극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저항(531)은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가 과드라이브(Over Drive)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저항(532)은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의 베이스(Base)에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콜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를 흐르는 전류가 사전에 설정되는 파형의 형태로 나타나도록 베이스에 입력되는 전류를 바이어스(Bias)하는 저항일 수 있다.
다이오드(533)는 제1 저항(531)과 제2 저항(532)의 접점에 양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다이오드(533)의 양극은 애노드(Anode)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533)는 구동 전원(514)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가 차단된 경우에,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게이트에 잔존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음극(Cathode)의 전압이 양극(Anode)의 전압보다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의 에미터(Emitter)로부터 베이스(Base)로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게이트에 잔존하는 전기 신호는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에 의해 소모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와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가 빠르게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는 제1 저항(531), 제2 저항(532) 및 다이오드(533)의 접점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는 다이오드(533)의 음극에 에미터가 연결되며, 제2 저항(532)과 구동 전원(514)의 접점에 콜렉터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510)는 입력 전원으로 5 V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고, 390 Ohm의 제7 저항을 이용하고, 4.7 Ohm의 제1 저항(531) 및 820 KOhm의 제2 저항(532)을 이용하는 경우에, 구동 전원(514)에서 9.27 V의 전압이 생성될 수 있다.
도6a 및 도6b는 도2의 개폐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각 그래프의 상단에 위치하는 그래프는 구동 트랜지스터(512)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의 하단에 위치하는 그래프는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게이트(Gate)에 입력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이해할 수 있다.
도6a는 구동 회로(510) 및 개폐 회로(520)를 포함하는 개폐부(500)의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게이트(Gate)에 입력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는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통전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전환될 때, 게이트에 잔존하는 정전용량이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가 완전한 차단 상태로 전환되기까지 방전되는데 일정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는, 도6a와 같이 전기 신호의 왜곡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개폐부(500)에 스피드업 회로(53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기 신호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도6b는 구동 회로(510), 스피드업 회로(530) 및 개폐 회로(520)를 포함하는 개폐부(500)의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또는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게이트(Gate)에 입력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는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통전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전환될 때, 구동 전원(514)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가 차단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이오드(533)의 음극에서 나타나는 전압이 다이오드(533)의 양극에서 나타나는 전압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는 에미터로부터 베이스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통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1) 및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522)의 게이트에 잔존하는 정전 용량은 스피드업 트랜지스터(534)를 거쳐 방전될 수 있다.
이는, 도6b와 같이 왜곡이 거의 없는 전기 신호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7는 도1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어부(400)는 제어기(410), 비교기(420) 및 지연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410)는 검측부(300)로부터 검측 전압을 입력받고, 검측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개폐부(5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측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전압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기(410)는 사전에 안전 영역을 나타내는 전압의 범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검측 전압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은 과전압, 과전류, 부족 전압 및 부족 전류 등의 현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상 현상은 낙뢰, 지락, 단락, 단선 등 여러가지 전기적 사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거나, 또는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차단시키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것은 개폐부(500)에 구비되는 구동 트랜지스터(512)가 통전 상태가 되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크기의 전류를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은 개폐부(500)에 구비되는 구동 트랜지스터(512)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구동 트랜지스터(512)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어기(410)는 검측 전압으로부터 이상 전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앰프(100) 또는 개폐부(500)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41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이상 전압이 검측된 시점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전원을 차단하는 시점까지 동작 수행을 지연할 수 있으며, 제어기(41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간격에 따른 지연 이후에도 이상 전압이 검측되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앰프(100) 및 개폐부(500)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작 수행을 지연하는 것은 제어기(410)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410)는 외부로부터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통전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제어기(410)는 외부로부터 통전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에, 통전 명령에 따라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410)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기(410)는 검측 전압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410)는 검측 전압에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검측 전압에 이상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림은 청각, 시각 등을 이용하는 알림일 수 있으며, 진동 등의 촉감을 이용하는 알림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410)는 앰프(100) 및 개폐부(500)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비교기(420)는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로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대한 안전 영역을 나타내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전압(421)과 검측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임계 전압(421)은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로 흐르는 전기 신호에 이상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는 안전 영역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안전 영역은 앰프(100), 스피커(200), 개폐부(500), 측정 센서(310) 및 선로 등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 영역은 전관 방송 시스템(1)의 회로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임계 전압(421)은 안전 영역과 증폭기(320)에서 전압이 증폭되는 배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앰프(100)로부터 스피커(200)로 흐르는 전기 신호에 대한 안전 영역에 증폭기(320)의 배율을 적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비교기(420)는 OPAmp 등의 전자 소자를 이용하는 비교 회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로는 공지되어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연기(430)는 비교기(420)에서 검측 전압이 임계 전압(421)을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지연기(430)는 자기 유지 회로(Lock up circuit)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연기(430)는 비교기(420)로부터 검측 전압이 임계 전압(421)을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구동 트랜지스터(512)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구동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지연기(430)는 비교기(420)로부터 검측 전압이 임계 전압(421)을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구동 트랜지스터(512)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지연기(430)는 제어기(410)에서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에 구동 트랜지스터(512)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연기(430)는 제어기(410)로부터 개폐부(500)를 차단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에, 구동 트랜지스터(512)가 통전 상태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지연기(430)는 제어기(410)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신호가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도록 생성되는 경우에, 개폐부(500)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전관 방송 시스템(1a)은 하나의 앰프(10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스피커(200a ~ 200n)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기(410)의 좌측에 도시된 생략 기호는 하나의 제어기(410) 및 앰프(10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스피커(200a ~ 200n), 복수개의 검측부(300a ~ 300n), 복수개의 제어부(400a ~ 400n) 및 복수개의 개폐부(500a ~ 500n)를 포함하는 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관 방송 시스템(1a)은 복수개의 스피커(200 a ~ 200n), 복수개의 검측부(300a ~ 300n), 복수개의 개폐부(500a ~ 500n) 및 복수개의 제어부(400a ~ 400n)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검측부(300a ~ 300n)는 앰프(100)로부터 각각의 스피커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측정 전압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측정 센서(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 전압을 증폭하여 각각의 검측 전압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증폭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어부(400a ~ 400n)는 하나의 제어기(4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제어기(410)는 복수개의 검측부(300a ~ 300n)로부터 복수개의 검측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고, 복수개의 검측 전압의 이상 여부를 각각 판단하여 각각의 개폐부(500a ~ 500n)에 대한 복수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410)는 사전에 설정되는 제어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검측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생성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기(410)에서 폴링(Polling)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어부(400a ~ 400n)는 복수개의 비교기(420) 및 복수개의 지연기(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비교기(420)는 각각의 검측 전압과 각각의 임계 전압(421)을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임계 전압(421)은 서로 다른 비교기(420)에 대해,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개폐부(500a ~ 500n)는 앰프(100)와 복수개의 검측부(300a ~ 300n) 각각 설치되어, 제어기(41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달받는 구동 신호에 따라 앰프(100)와 각각의 스피커(200a ~ 200n) 간의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개폐부(500a ~ 500n)는 하나의 입력 전원(511)에 각각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개폐부(500a ~ 500n)는 복수개의 입력 전원(511)을 구비하여 각각의 입력 전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전관 방송 시스템 100: 앰프
200: 스피커 300: 검측부
310: 측정 센서 320: 증폭기
400: 제어부 420: 비교기
421: 임계 전압 500: 개폐부
510: 구동 회로 511: 입력 전원
512: 구동 트랜지스터 513: 발광 소자
514: 구동 전원 516: 제7 저항
520: 개폐 회로 521: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522: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523, 524: 기생 다이오드
525: 제3 저항 526: 제4 저항
527: 제5 저항 528: 제6 저항
530: 스피드업 회로 531: 제1 저항
532: 제2 저항 533: 다이오드
534: 스피드업 트랜지스터

Claims (12)

  1. 음원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앰프;
    상기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따른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의 일단에 연결되는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따라 측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측정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 전압을 생성하는 검측부;
    상기 증폭 전압을 전기적 사고에 의한 전기 신호의 이상으로부터의 안전 영역을 나타내는 임계 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증폭 전압과 상기 임계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앰프와 상기 검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앰프와 상기 검측부 간의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광원을 점등하여 빛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빛 에너지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회로를 통전시키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전기 신호가 정상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기 신호가 정상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가 베이스에 입력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에 입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구동 회로를 통전시키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동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압 따라 앰프와 검측부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동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앰프와 상기 검측부 간의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 회로에 구비되는 트랜지스터의 정전 용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는 스피드업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관 방송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업 회로는,
    상기 구동 회로에 구비되어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상기 구동 전원의 음극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의 접점에 양극이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다이오드의 접점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에미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과 상기 구동 전원의 접점에 콜렉터가 연결되는 스피드업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회로는,
    상기 구동 회로 또는 상기 스피드업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로부터 게이트에 전달되는 전압에 따라 통전되며, 소스가 연결되도록 대칭으로 설치되는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상기 구동 회로가 통전되는 경우에, 상기 직류 전원이 입력되어 점등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가 점등되어 발생하는 빛 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을 더 포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 전압을 입력 받고, 상기 증폭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개폐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
    상기 앰프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대한 안전 영역을 나타내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 전압과 상기 증폭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증폭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을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신호의 상태를 유지하는 지연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통전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통전 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신호가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도록 생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를 전기적으로 통전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상기 증폭 전압으로부터 이상 전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앰프 또는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앰프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스피커;
    상기 앰프로부터 각각의 스피커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측정 전압을 생성하고, 각각의 측정 전압을 증폭하여 각각의 증폭 전압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검측부;
    상기 앰프와 복수개의 검측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부; 및
    상기 검측부로부터 복수개의 증폭 전압을 전달받고, 복수개의 증폭 전압의 이상 여부를 각각 판단하여 각각의 개폐부에 대한 복수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나의 제어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전에 설정되는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증폭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생성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0200005344A 2020-01-15 2020-01-15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11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44A KR102112076B1 (ko) 2020-01-15 2020-01-15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44A KR102112076B1 (ko) 2020-01-15 2020-01-15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076B1 true KR102112076B1 (ko) 2020-05-18

Family

ID=7091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344A KR102112076B1 (ko) 2020-01-15 2020-01-15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995A (ja) * 1999-07-21 2001-02-09 Toa Corp スピーカ回線の異常検知装置
KR20150117021A (ko) * 2014-04-09 2015-10-19 주식회사 동성씨앤티 절전 기능과 스피커 보호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되는 절전 회로
KR101606441B1 (ko) * 2015-10-27 2016-03-25 (주)홀리랜드테크놀러지 전력 증폭기의 전원 온/오프시 출력단과 스피커 보호회로
KR102048266B1 (ko) * 2019-07-11 2019-11-25 (주)하이텍영상 스피커 선로의 단락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995A (ja) * 1999-07-21 2001-02-09 Toa Corp スピーカ回線の異常検知装置
KR20150117021A (ko) * 2014-04-09 2015-10-19 주식회사 동성씨앤티 절전 기능과 스피커 보호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되는 절전 회로
KR101606441B1 (ko) * 2015-10-27 2016-03-25 (주)홀리랜드테크놀러지 전력 증폭기의 전원 온/오프시 출력단과 스피커 보호회로
KR102048266B1 (ko) * 2019-07-11 2019-11-25 (주)하이텍영상 스피커 선로의 단락 검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3927B2 (ja) 短絡保護装置
US7964988B2 (en) Lighting controller of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7295414B2 (en) Power output device with protection function for short circuit and overload
JP4907078B2 (ja) 発光ダイオード用電気供給装置および同装置を有するランプ
JP2002297246A (ja) 電源分離回路及び方法
US20130021701A1 (en)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CN110785933B (zh) 半导体开关元件的短路保护电路
JP2007161012A (ja) 車両用発光装置
KR101769650B1 (ko) 게이트 전압 감지를 통한 igbt 고장 확인 회로
KR102112076B1 (ko) 전자스위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US6603353B2 (en) Switching power amplifier
KR0168053B1 (ko) 부하 접속 상태 검출 장치
JP3857948B2 (ja) 電源保護回路
JP5109061B2 (ja) 電流制限回路
WO2015180511A1 (zh) 接触器驱动电路
JP5268294B2 (ja) チョッパ回路の故障検出装置
WO2009034798A1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1798833B1 (ko) Led 누전차단기의 동작 방지를 위한 용량성 누설전류 저감장치
KR101017733B1 (ko) 부하를 구동하는 파워 앰프
JP2008236605A (ja) プッシュプル回路
JP2794806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増幅器
US8416550B1 (en) Solid state breaker circuit for direct current applications
JP2011213321A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装置
KR200327738Y1 (ko) 과전류 차단 장치
US20130043793A1 (en) Lightning-proof ac led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