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946B1 -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 Google Patents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946B1
KR102111946B1 KR1020200022851A KR20200022851A KR102111946B1 KR 102111946 B1 KR102111946 B1 KR 102111946B1 KR 1020200022851 A KR1020200022851 A KR 1020200022851A KR 20200022851 A KR20200022851 A KR 20200022851A KR 102111946 B1 KR102111946 B1 KR 10211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porter
cutting
contac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근
Original Assignee
송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근 filed Critical 송석근
Priority to KR102020002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2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and 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7/00Guide fences or stop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Measuring equipment thereon
    • B27B27/10Devices for moving or adjusting the guide fences or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03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8Discharg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판재 공정기계에 있어서, 기계의 후단의 측면에 판재이송레일(120)이 구비되고, 상기 판재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의 전방에 결합되어 판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프가 구비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바닥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이송된 판재를 절단하는 커팅날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팅날의 전방에 위치된 복수개의 먼지차단바가 제 1 제한선 및 제 2 제한선으로 하강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 바닥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공정 및 미공정의 판재가 안착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위치되어 판재를 이송하는 판재이송기; 를 포함하며 상기 판재이송기는 중앙에 위치되어 좌우 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부가 측면 및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구조가 형성된 이송기중심부재; 상기 이송기중심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끝단부가 연신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판재접촉면으로 형성되어 접촉부; 및 상기 이송기중심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끝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진 판재걸림부재가 형성된 하단걸림부; 를 포함하는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Automatic Machining Device for Built-in Furniture Board}
본 발명은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가구에 사용되는 판재를 가공하는 자동화 공정기계에 관한 것이다.
내장가구는 기능성가구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가구를 말한다. 내장가구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부터 캠핑카, 비행기 등 다양한 장소에 공간활용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장가구는 제작 시 재료의 종류를 고려하여 선택한 뒤 해당 판재를 공급을 받아 제작된다. 복수개의 판재를 조립하여 설치하므로 각각의 판재는 작용되는 장소에 맞는 크기로 절단이 필요하며, 용도나 조립을 위한 후가공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절단작업에는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판재를 소정의 폭으로 절단하는 장치, 드릴 비트를 이용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장치, 또는 컴퓨터 수치 제어(CNC)를 통해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는 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이 있다.
상기와 같은 판재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패널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절단 장치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절단 대상이 되는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패널을 운반하여 선반 상에 거치 시키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지지대에 패널을 맞대 지지시킨 상태로 절단 장치쪽으로 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특히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판재를 이송 및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날에 의한 절단력이 판재에 작용되는데, 이러한 절단력에 의해 패널이 유동되는 경우 절단의 정밀도를 저하시키고, 불량율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이 절단되는 동안 패널이 유동되지 않도록 정확한 클램핑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클램핑작업이 종래의 경우 작업자의 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가 누적되어 정밀도와 불량율이 상승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정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어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정밀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장가구 판재의 가공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자동화 공정기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재 공정기계에 있어서, 기계의 후단의 측면에 판재이송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판재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의 전방에 결합되어 판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프가 구비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바닥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이송된 판재를 절단하는 커팅날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팅날의 전방에 위치된 복수개의 먼지차단바가 제 1 제한선 및 제 2 제한선으로 하강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 바닥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공정 및 미공정의 판재가 안착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위치되어 판재를 이송하는 판재이송기; 를 포함하며 상기 판재이송기는 중앙에 위치되어 좌우 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부가 측면 및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구조가 형성된 이송기중심부재; 상기 이송기중심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끝단부가 연신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판재접촉면으로 형성되어 접촉부; 및 상기 이송기중심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끝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진 판재걸림부재가 형성된 하단걸림부; 를 포함하는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된 이송부, 커팅부, 공급부를 통해 절단작업 내지 이송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피로에 의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정밀도는 높아진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클램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커팅부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커팅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도 3a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이송부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이송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공급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커팅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판재이송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는, 내장가구에 사용되는 판재의 공정을 위해 판재이송레일(120)의 경로를 따라 판재를 이송하는 공급부(100)와, 공급부(100)에서 이송된 판재를 절단하는 커팅부(200)와, 커팅부(200)에서 절단된 판재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 및 이송부로 위치된 판재를 이송하는 이송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공급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클램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2a 및 2b를 참고하면, 공급부(100)는 이송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기(110)는 판재를 전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기(110)는 공급부(100)의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기(110)는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모터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송기(110)는 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된 이송기레일(110a)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기는 이송기레일(110a)이 설치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공급부(100)는 클램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30)는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클램프바디(131)와 하단지지단부(140) 및 상단압착롤러(150)가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30)는 이송기(110)의 일측면(전방)에 복수개 형성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130)는 클램프바디(131)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바디(131)의 외관은 두개의 수직한 패널이 형성되어 사이에 브릿지 부재(132)가 연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바디(131)의 후단에는 플랜지(133)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33)는 일측면(후방)이 이송기(1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플랜지(133)의 상부면에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이송기(1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130)와 이송기(110)는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볼트, 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130)와 이송기(11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또한, 클램프바디(131)는 토글부(131a)가 형성될 수 있다. 토글부(131a)는 클램프바디(131)의 전방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토글부(131a)는 라운딩 또는 챔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글부(131a)는 후술할 작업종료토글(250)과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글부(131a)의 표면은 내마모성 향상을 위한 코팅처리가 될 수 있다.
한편, 클램프바디(131)는 판재접촉부(131b)가 형성될 수 있다. 판재접촉부(131b)는 클램프바디(13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재접촉부(131b)는 판재와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판재접촉부(131b)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판재와 접촉 시 판재에 손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30)는 하단지지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지지단부(140)는 클램프바디(131)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하단지지단부(140)는 좌측과 우측에 대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단부(140)는'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재를 이송할 경우, 하단지지단부(140)에 의해 판재의 하부면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단지지단부(140)의 판재의 하부면이 접촉되는 부분은 롤러 형상의 부싱 등이 구비되어 마찰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클램프(130)는 상단압착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압착롤러(150)는 결합단부(150a)와 접촉단부(150b)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단부(150a)는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후단의 양끝단이 클램프바디(131)의 상단의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단부(150a)와 클램프바디(131)의 결합은 힌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압착롤러(150)는 결합단부(150a)의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결합단부(150a)는 일측에 액츄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단부(150a)의 회동은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결합단부(150a)의 전단에는 접촉단부(150b)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단부(150b)는 롤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단부(150b)의 좌측과 우측의 끝단에는 복수개의 돌기(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D)는 판재가 클램핑될 경우 접촉되는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클램프(130)는 상단압착롤러(150)의 동작으로 판재가 고정되어 클램핑 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커팅부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을 참고하면, 커팅부(200)는 공급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부(200)는 좌우측에 위치된 커팅부지지대(210)가 상단에 위치되는 커팅부상단부(220)를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팅부지지대(210)는 후측으로 공급부(100)의 이송기레일(110a)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커팅부지지대(210), 커팅부상단부(220) 및 바닥면(A1)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판재가 인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있다.
커팅부상단부(220)는 외관이 길이방향으로 긴 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팅부상단부(220)의 하부에는 먼지차단바(230)가 구비될 수 있다. 먼지차단바(230)는 복수개가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먼지차단바(230)는 소정의 두께로된 사각의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차단바(230)는 커팅부상단부(220) 내부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바닥면으로 하강이동 될 수 있다. 하강이동은 클램핑되어있던 먼지차단바(230)가 클램핑이 해제되어 자중에 의한 이동이 될 수 있다.
이때, 먼지차단바(230)의 하강위치는 공급되는 판재의 크기와 높이에 따라 제 1 제한선(L1) 및 제 2 제한선(L2)의 위치로 될 수 있다. 판재의 상측에 위치된 먼지차단바(230)는 하강위치가 제 1 제한선(L1)이 될 수 있다. 제 1 제한선(L1)은 공급되는 판재의 상단의 높이와 같거나 소정 낮은 위치가 될 수 있다.
반면, 판재의 외측에 위치된 먼지차단바(230)의 하강위치는 제 2 제한선(L2)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제한선(L2)은 커팅부(200)의 바닥면의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저차단바(230)는 하강동작되어 판재의 상부 및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팅부(200)와 이송부(200) 사이에는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 절단 시 커팅부(200)에서 이송부(300)로 먼지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커팅부상단부(220)의 하부에는 안전바(24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전바(240)는 작업자의 접근을 막아 사고를 예방하기위해 배치될 수 있다. 안전바(240)는 먼지차단바(230)의 일측(이송부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안전바(240)는 원통형의 바의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안전바(240)는 커팅부상단부(220)의 하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안전바(240)는 먼지차단바(230)와 함께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먼지방지구역 및 안전구역이 구획된 커팅부(200)는 하부에 구비된 절단날(K1)이 작동되어 판재의 일측이 절단될 수 있다. 절단날(K1)은 먼지차단바(230) 내지 안전바(24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절단날(K1)은 원형의 톱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날(K1)은 커팅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경로에 있는 판재가 절단될 수 있다.
도 3b는 커팅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커팅부(200)는 작업종료토글(250)이 구비될 수 있다.
작업종료토글(250)은 커팅부(200)의 일측면(후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종료토글(250)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작업종료토글(250)은'T'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종료토글(250)의 좌우측의 하단부는 커팅부의 후측면에 형성된 작업종료토글안착대(250a)에 거치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종료토글(250)은 상하 유동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3c는 도 3a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작업종료토글(250)은 이송기(110)가 인접하게 이동되었을 경우, 토글부(131a)가 하단에 접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종료토글(250)의 하단이 토글부(131a)에 접촉되어 상승이동될 수 있다. 작업종료토글(250)의 상승이동은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에 감지되어 공정종료의 신호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의 위치는 작업종료토글(250)의 상승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커팅부(200)의 절단작업은 종료될 수 있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이송부(300)는 커팅부(200)와 판재가 이송되는 바닥면(A1)이 동일한 위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부(300)의 바닥면(A1)은 미공정 및 공정된 판재가 이송을 위해 안착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300)는 작업자가 중심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작업공간(A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300)의 바닥면(A1)에는 복수개의 볼베어링(B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볼베어링(B1)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볼베어링(B1)은 접촉부분이 상측방향을 주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는 이송부(300)에서 볼베어링(B1)에 의해 구름 접촉(Rolling contact)되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부(300)의 바닥면은 커팅부(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이송부의 변형예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이송부(300)는 바닥면(A1)이 커팅부(200)의 바닥면(A1)과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300)의 바닥면(A1)의 하부에는 스테이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이지(310)는 이송부(300)의 바닥면(A1)을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 두개의 축이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지(310)는 판재의 공정 진행 상황에 따라 작동되어 이송부(300) 바닥면의 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판재가 공급되는 경우, 스테이지(310)는 이송부(300)의 바닥면이 커팅부(200)의 바닥면과 평행한 제 1 바닥면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바닥면상태는 판재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는 클램프(130)의 상단압착롤러(150) 및 하단지지단부(140)에 의한 클램핑 작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반면, 커팅부(200)에서 절단된 판재가 이송되는 경우, 스테이지(310)가 작동되어 이송부(30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되는 제 2 바닥면상태가 될 수 있다. 제 2 바닥면상태에 형성된 경사로 인해, 판재는 볼베어링(B1)에 접촉되어 공급부(100)에서 이송부(300)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이송부(300)의 외측에는 판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가드(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가드(320)는 경사에 의해 이동되는 판재의 이동 제한선을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가드(32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판재와 접촉 시 판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이송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송부(300)의 일측에는 판재이송기(400)가 구비될 수 있다.
판재이송기(400)는 가공 전/후의 판재를 이송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판재이송기(400)는 접촉부(420) 내지 하단걸림부(430)의 연동동작으로 판재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재이송기(400)는 이송기중심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기중심부재(410)는 판재이송기(400)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기중심부재(410)는 길이방향으로 긴 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기중심부재(410)는 좌우 대칭 형상이 될 수 있다. 판재이송기중심부재(410)의 좌우측으로 연장된 끝단은 제 1 단부(411)가 될 수 있다. 또한, 판재이송기중심부재(410)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단부는 제 2 단부(412)가 될 수 있다. 제 1 및 2 단부(411, 412)에는 일측에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힌지홀은 후술할 접촉부(420) 및 후술할 하단걸림부(430)의 회동축이 될 수 있다.
한편, 판재이송기(400)는 접촉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420)는 제 1 액츄에이터(421) 및 접촉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420)는 이송기중심부재(410)의 좌우측에 한쌍으로 대칭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421)는 이송기중심부재(4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츄에이터(421)는 접촉부재(422)가 동작되어 판재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421)의 구동축에는 접촉부재(422)가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재(422)는 제 1 액츄에이터(421)와 힌지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액츄에이터(421)의 작동에의해 접촉부재(422)는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422)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422)의 연장된 단부의 일측은 제 1 단부(411)와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재(422)와 제 1 단부(411)의 결합은 힌지구조가 될 수 있다.
한편, 접촉부재(422)의 끝단에는 판재접촉면(423)이 형성될 수 있다. 판재접촉면(423)은 고무 또는 연신율이 높은 소재로 미끄럼이 방지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재접촉면(423)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에 의해 판재와의 마찰력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판재이송기(400)는 하단걸림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걸림부(430)는 이송기중심부재(410)의 좌우측에 대칭형태로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하단걸림부(430)는 제 2 액츄에이터(431)와 하단걸림부재(432)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걸림부(430)는 접촉부(420)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제 2 액츄에이터(431)의 동작에의해 하단걸림부재(432)가 연동될 수 있다.
하단걸림부재(432)의 하측끝단에는 내측으로 굽어진 판재걸림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판재걸림부(433)는 접촉부(420)에 의해 상승된 판재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의 하부를 지지하게 될 수 있다.
도 6은 공급부(1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먼저 판재는 작업자에 의해 이송부(30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판재는 공급부(1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커팅부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와 같이 이송기(110)의 전방 이동으로 판재에 인접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130)가 판재의 일측면에 접촉되었을 경우, 상부압착롤러(150)는 회동 동작되어 판재가 클램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c)와 같이 이송기(110)는 판재와 함께 후측방향으로 소정거리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동되는 거리는 판재가 절단되는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은 커팅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판재가 이송기(110)에 의해 절단준비가 완료될 경우, 커팅부(200)의 먼지차단바(230) 및 안전바(240)가 하강될 수 있다. 먼지차단바(230)의 하강동작에 의해 공급부(100)와 이송부(300) 사이에 먼지방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b)를 참고하면, 하부에 구비된 절단날(K1)이 동작될 수 있다. 절단날(K1)은 먼지차단바(230)에서 공급부(100)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단날(K1)의 동작을 통해 판재의 일측면이 절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c)를 참고하면, 이송기(110)는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동되어 다음 절단작업이 준비될 수있다. 이때, 이송기(1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생산되는 판재의 크기가 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판재이송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커팅부(200)에 의해 절단된 판재는 이송부(30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측에 이동된 판재는 판재이송기(400)가 동작되어 접근될 수 있다. 판재의 상부에 접근된 판재이송기(400)는 접촉부(420)가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의 외측부에 접촉부재(422)가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 1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제 1 고정상태에서 판재이송기(400)의 상승으로 소정의 판재가 함께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상승된 판재는 하단걸림부(430)의 동작으로 하부면에 판재걸림부재(433)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는 하부면이 지지되는 제 2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제 1 및 2 고정상태가 된 판재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 공정은 판재의 절단면을 코팅하는 작업 및 래핑작업 등이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는 판재 공정의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피로누적에 따른 정밀도와 불량율 문제를 개선하는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공급부 110 : 이송기
130 : 클램프 131 : 클램프바디
131a : 토글부 131b : 판재접촉부
133 : 플랜지(133) 140 : 하단지지단부
140a : 결합단부 140b : 접촉단부
150 : 상단압착롤러 200 : 커팅부
230 : 먼지차단바 240 : 안전바
250 : 작업종료토글 250a : 토글안착대
300 : 이송부 310 : 스테이지
400 : 판재이송기 410 : 이송기중심부재
420 : 접촉부 430 : 하단걸림부
423 : 판재접촉면 433 : 판재걸림부
K : 커팅날 D : 돌기
A2 : 작업공간

Claims (5)

  1. 기계의 후단의 측면에 판재이송레일(120)이 구비되고,
    상기 판재이송레일(120)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기(110) 및
    상기 이송기(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판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프(130)가 복수개 배치되는 공급부(100);
    상기 공급부(100)와 바닥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이송된 판재를 절단하는 커팅날(K1)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팅날(K1)의 전방에 위치된 복수개의 먼지차단바(230)가 제 1 제한선(L1) 및 제 2 제한선(L2)으로 하강되는 커팅부(200);
    상기 커팅부(200)와 바닥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공정 및 미공정의 판재가 안착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이송부(300); 및
    상기 이송부(300)의 측면에 위치되어 판재를 이송하는 판재이송기(400); 를 포함하며,
    상기 판재이송기(400)는
    중앙에 위치되어 좌우 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부가 측면 및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구조가 형성된 이송기중심부재(410);
    상기 이송기중심부재(4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된 판재접촉면(423)이 끝단에 형성되는 접촉부(420); 및
    상기 이송기중심부재(4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끝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진 판재걸림부재(433)가 형성되는 하단걸림부(430); 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130)는
    후단이 상기 이송기(110)에 결합되는 플랜지(133)가 형성되어 전단의 상부에 라운딩 또는 챔퍼의 형태로 형성되는 토글부(131a) 및 판재와 접촉되는 판재접촉부(131b)가 형성된 클램프바디(131);
    상기 클램프바디(131)의 전방 하단에 결합되며,
    'ㄴ'형태로 형성되어 이송되는 판재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하단지지단부(140);
    상기 클램프바디(131)와 결합되는 결합단부(150a)와 롤러형상으로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D)가 형성되며 판재와 접촉되는 접촉단부(150b)를 포함하는 상단압착롤러(150); 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부(200)는
    후측면에 복수개가 지지되어 위치되는 작업종료토글(250)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종료토글(250)은 토글부(131a)의 접촉으로 상승되어 작업 종료 신호가 전달되며
    상기 판재이송기(400)는 상기 접촉부(420)와 하단걸림부(43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커팅부(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먼지차단바(230)의 일측에 위치된 안전바(24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종료토글(250)은 'T'형태로 형성되고, 좌우측 하단부가 작업종료토글안착대(250a)에 거치되어 상하 유동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300)는 작업자가 중심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작업공간(A2); 이 형성되는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이송기(400)는 판재가 이송될 경우,
    상기 판재접촉면(423)이 판재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판재가 고정되는 제 1 고정상태; 및
    상기 판재걸림부재(433)에 의해 판재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제 2 고정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커팅부(200)와 바닥면이 분리되어 바닥면의 하부에 스테이지(310)가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지(310)가 작동되어 바닥면(A1)의 경사가 가변되는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KR1020200022851A 2020-02-25 2020-02-25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KR10211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51A KR102111946B1 (ko) 2020-02-25 2020-02-25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51A KR102111946B1 (ko) 2020-02-25 2020-02-25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946B1 true KR102111946B1 (ko) 2020-05-18

Family

ID=7091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851A KR102111946B1 (ko) 2020-02-25 2020-02-25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9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930B1 (ko) * 1993-01-29 1997-06-19 가부시끼가이샤 니혼세이꼬오쇼 중공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장치
KR200173656Y1 (ko) * 1999-09-03 2000-03-15 안성순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101938599B1 (ko) *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KR20200005690A (ko) * 2018-07-05 2020-01-16 호 철 강 런닝소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930B1 (ko) * 1993-01-29 1997-06-19 가부시끼가이샤 니혼세이꼬오쇼 중공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장치
KR200173656Y1 (ko) * 1999-09-03 2000-03-15 안성순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101938599B1 (ko) * 2016-04-05 2019-04-10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자동화시스템
KR20200005690A (ko) * 2018-07-05 2020-01-16 호 철 강 런닝소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096B (zh) 汽车底盘的自动化螺钉连接装置
KR20190125845A (ko) 멀티홀 가공장치
KR20000048998A (ko) 기계공구의 설치 및 분리장치
JP7148597B2 (ja) 自動化生産ラインのためのコンベヤ装置、コンベヤ装置用部品搬送台車、およびコンベヤ装置の操作方法
JP6728296B2 (ja) フラットシーケンシングシステム線形アクチュエータの改善された固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788310B (zh) 一种上下料装置及自动化加工设备
KR102111946B1 (ko) 내장가구 판재 자동화 공정기계
KR910008198B1 (ko) 부품 공급장치
JP6476744B2 (ja) 搬送装置
US9914596B2 (en) Conveying device
CN103394954A (zh) 机器人上料基准料架
US73346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ing elongate members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CN109434467B (zh) 一种行李架自动化生产线
KR101701472B1 (ko) 절삭 가공 장치
JP2009227185A (ja) 車両組立ラインにおけるドア搬送装置およびドア搬送方法
JPH0716833B2 (ja) ロボツトを用いた組付装置
JPH0632278Y2 (ja) 油類自動排出機構を有した搬送車
KR102511714B1 (ko) 승객 컨베이어의 보수 용구
KR10221396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캐리어롤러장치
US6415910B1 (en) Foward feed device
CN220466661U (zh) 一种自动上料机构
NL2025369B1 (en) Datum line assembly, conveyor assembly, and method for transporting workpieces towards a working machine
KR200172972Y1 (ko)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JPH07315550A (ja) パレッ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