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612B1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612B1
KR102111612B1 KR1020140061842A KR20140061842A KR102111612B1 KR 102111612 B1 KR102111612 B1 KR 102111612B1 KR 1020140061842 A KR1020140061842 A KR 1020140061842A KR 20140061842 A KR20140061842 A KR 20140061842A KR 102111612 B1 KR102111612 B1 KR 10211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streaming
user
users
resource
stream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17A (ko
Inventor
김동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6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44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hardware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가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연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SYSTEM FOR SERVICING CLOUD STREAMING, METHOD OF SERVICING CLOUD STREAMING AND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여 리미트를 넘으면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소스 히스토리 및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구동에 있어 요구되는 고가의 하드웨어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개인이 웹에 접속해서 포토샵, 오피스 등 고사양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데이터 저장도 웹 상에서 이루어진다. 결국 하나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군에 여러 사람이 접속하여 개인 작업을 할 수 있다.
IT 기술 및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개인 소유의 단말 장치를 통해 처리하는 데이터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이러한 데이터 처리량 증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소형화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에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서버를 통해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그 실행 결과 화면만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고사양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소프트웨어 실행에 대한 요청만을 전송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소프트웨어의 실행 화면을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라고 한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은 제한적이고, 하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복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므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 관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즉, 특정 사용자가 과도하게 리소스를 사용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화면 끊김 등의 불편함을 겪게 된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057257A호, 2004년 7월 2일 공개 (명칭: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대응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동시접속자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사용자의 리소스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지연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비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여 다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들 중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추출부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 추출시에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추출 사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리소스 사용 제한은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 프레임 레이트의 제한 및 입력 처리의 제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는 경우, 정상 화면 갱신 주기보다 느리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입력 처리를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중 일부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부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상응하는 세션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들 중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 추출시에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사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리소스 사용 제한은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 프레임 레이트의 제한 및 입력 처리의 제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는 경우, 정상 화면 갱신 주기보다 느리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처리를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중 일부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상응하는 세션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동시접속자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리소스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사용자의 리소스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비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여 다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일 예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들 중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 추출시에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추출 사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리소스 사용 제한은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 프레임 레이트의 제한 및 입력 처리의 제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는 경우, 정상 화면 갱신 주기보다 느리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입력 처리를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중 일부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상응하는 세션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지만,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은 각각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및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단말 장치(120-1)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및 단말 장치(120-2) 사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모니터링부(210), 추출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한다.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부(210)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상응하는 세션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세션을 통해 다중 접속하고 있는 경우, 여러 사용자가 각각 하나의 세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부하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추출부(220)는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들 중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동시접속자수가 1000명을 초과하면,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출부(220)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추출부(220)는 사용자들 각각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소스의 양인 현재 리소스 사용량을 고려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때, 현재 리소스 사용량은 CPU 사용 점유율일 수 있다.
또는, 추출부(220)는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을 고려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오랫동안 커서를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등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예상과는 다른 행동에 의해서 비정상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를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비정상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들을 요주의 사용자로서 그 목록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출부(220)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 추출시에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한 대상 사용자마다 추출된 이유를 나타내는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리소스 사용 제한은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 프레임 레이트의 제한 및 입력 처리의 제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은 제한 대상 사용자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CPU 사용 점유율을 높일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는 경우, 정상 화면 갱신 주기보다 느리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초에 1번씩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상기 입력 처리를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중 일부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번 중 1번의 입력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1초에 1번만 입력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상기 추출 사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U 사용 점유율이 과도하게 높아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CPU 사용 점유율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단위 시간 동안 기설정된 기준보다 많은 입력을 전송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입력 처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는 제어부(310), 통신부(320), 입력부(330), 표시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 장치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330)는 표시부(3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33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3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요청하거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제공 받기 위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표시부(340)는 단말 장치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40)는 단말 장치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340)는 입력부(3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4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저장부(35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350)는 단말 장치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요청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부(3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며,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31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일 예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한다(S410).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상응하는 세션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세션을 통해 다중 접속하고 있는 경우, 여러 사용자가 각각 하나의 세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부하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와 비교하여(S420),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들 중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한다(S430).
예를 들어, 동시접속자수가 1000명을 초과하면,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들 각각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소스의 양인 현재 리소스 사용량을 고려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때, 현재 리소스 사용량은 CPU 사용 점유율일 수 있다.
또는,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을 고려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오랫동안 커서를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등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예상과는 다른 행동에 의해서 비정상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를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비정상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들을 요주의 사용자로서 그 목록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 추출시에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한 대상 사용자마다 추출된 이유를 나타내는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S440).
실시예에 따라, 리소스 사용 제한은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 프레임 레이트의 제한 및 입력 처리의 제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은 제한 대상 사용자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CPU 사용 점유율을 높일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는 경우, 정상 화면 갱신 주기보다 느리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초에 1번씩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처리를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중 일부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번 중 1번의 입력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1초에 1번만 입력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사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U 사용 점유율이 과도하게 높아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CPU 사용 점유율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단위 시간 동안 기설정된 기준보다 많은 입력을 전송하여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입력 처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동시접속자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사용자 및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비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여 다른 사용자의 지연을 방지하고,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2, ..., 120-N: 단말 장치
130: 네트워크 210: 모니터링부
220: 추출부 230: 제어부
310: 제어부 320: 통신부
330: 입력부 340: 표시부
350: 저장부

Claims (18)

  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들 중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되, 상기 리소스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들 중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예상과 다른 행동에 의해 비정상적인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를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예상과 다른 행동은
    상기 리소스를 점유하기 위해서 단위 시간 동안에 기설정된 기준보다 많은 입력을 전송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 추출시에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사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은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 프레임 레이트의 제한 및 입력 처리의 제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는 경우, 정상 화면 갱신 주기보다 느리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처리를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중 일부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상응하는 세션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들 중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되, 상기 리소스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들 중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예상과 다른 행동에 의해 비정상적인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를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예상과 다른 행동은
    상기 리소스를 점유하기 위해서 단위 시간 동안에 기설정된 기준보다 많은 입력을 전송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 추출시에 추출 사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사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사용 제한은
    CPU 사용 점유율의 제한, 프레임 레이트의 제한 및 입력 처리의 제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는 경우, 정상 화면 갱신 주기보다 느리게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처리를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중 일부만을 처리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상응하는 세션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세션을 별개의 사용자로 보아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 및 청구항 1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8.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수인 동시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리미트보다 크면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에 대한 리소스 사용 제한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 단말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이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인 리소스 히스토리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현재 리소스 사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되, 상기 리소스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들 중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예상과 다른 행동에 의해 비정상적인 리소스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를 상기 제한 대상 사용자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61842A 2014-05-22 2014-05-22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11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42A KR102111612B1 (ko) 2014-05-22 2014-05-22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42A KR102111612B1 (ko) 2014-05-22 2014-05-22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17A KR20150134717A (ko) 2015-12-02
KR102111612B1 true KR102111612B1 (ko) 2020-06-08

Family

ID=5488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842A KR102111612B1 (ko) 2014-05-22 2014-05-22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6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097A (ja) * 2008-01-25 200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ビス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216008A (ja) 2011-03-31 2012-11-08 Nec Corp 仮想計算機装置及び仮想計算機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202B1 (ko) 2002-12-26 2005-03-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대응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320386B1 (ko) * 2012-03-06 2013-10-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시스템에서의 가상 인스턴스 행동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671310B1 (ko) * 2012-05-30 2016-11-02 엔트릭스 주식회사 화면 가상화 기반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097A (ja) * 2008-01-25 200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ビス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216008A (ja) 2011-03-31 2012-11-08 Nec Corp 仮想計算機装置及び仮想計算機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17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7335A1 (en) Delivery of instructions in host applications
US9086897B2 (en) Method and architecture for virtual desktop service
CN108471376B (zh) 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9503310B1 (en) Methods and systems of dynamic management of resources in a virtualized environment
US20120072898A1 (en) On-premise deployment of virtual desktop service servers
US8763054B1 (en) Cross-platform video display
Biswas et al. Efficient mobile cloud computing through computation offloading
US8776152B1 (en) Cloud-based cross-platform video display
KR10147946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101755012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US11290514B2 (en) Method for content preparation templates for 5G common media application format based media streaming
US10021162B2 (en) Cloud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streaming service
KR1017498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자원 상황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40031630A1 (en) Platform-agnostic media framework
KR10147946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102111612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50102450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영상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9280358B1 (en) Configuring a computer for using mobile devices as input and output devices
KR101170322B1 (ko)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 컴퓨터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115314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467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166828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4845B1 (ko) 선택적 인코딩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위한 장치
KR101892952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04593A (ko) 휴대용 자급식 노드 컴퓨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