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952B1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952B1
KR101892952B1 KR1020140007456A KR20140007456A KR101892952B1 KR 101892952 B1 KR101892952 B1 KR 101892952B1 KR 1020140007456 A KR1020140007456 A KR 1020140007456A KR 20140007456 A KR20140007456 A KR 20140007456A KR 101892952 B1 KR101892952 B1 KR 10189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te
event
cloud streaming
rate variable
variabl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051A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9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반하여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불필요한 화면 갱신을 줄이고 키 입력 등의 이벤트 발생시 즉각적으로 갱신된 화면을 렌더링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서비스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OF CONTROLLING FRAME RATE BASED ON EVENTS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캡처/인코딩/센딩을 실행하는 스트리밍 파이프라인의 실행 주기인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구동시키고 구동화면을 비디오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하여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화면가상화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기설정된 프레임 주기에 따라 화면을 갱신한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서버 측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해당하는 화면을 캡처(capture)하고 인코딩(encoding)한 후 단말로 센딩(sending)하여 실행 결과가 스트리밍(streaming)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에서 키 입력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여 즉각적인 화면 갱신이 기대되는 경우에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측에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기다린 후에 화면 캡처/인코딩/센드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streaming pipeline)에 진입하게 되므로 단말 사용자는 화면 업데이트에 딜레이를 느낄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딜레이는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통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빠른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가 된다.
나아가, 고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캡처/인코딩/센드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을 구동하는 경우 실제 화면이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을 재전송하여 서버 부하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프레임 레이트 가변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072904호, 2012년 7월 4일 공개 (명칭: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키 입력 등과 반응하여 즉각적인 화면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화면 갱신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화면 갱신 주기를 적절히 증가시켜서 효과적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즉각적인 화면 갱신이 필요한 유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에 진입 후 화면 갱신 주기가 변경되도록 하고, 화면 갱신 주기를 증가시키는 유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에 진입하지 않음으로써 이벤트 유형에 따라 적절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화면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마다 적절한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플리케이션들마다 적절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화면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단말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가장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입력 감지 이벤트 및 가장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무입력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가장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입력 감지 이벤트 및 가장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무입력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키 입력 등과 반응하여 즉각적인 화면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화면 갱신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화면 갱신 주기를 적절히 증가시켜서 효과적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즉각적인 화면 갱신이 필요한 유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에 진입 후 화면 갱신 주기가 변경되도록 하고, 화면 갱신 주기를 증가시키는 유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에 진입하지 않음으로써 이벤트 유형에 따라 적절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화면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마다 적절한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설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면 갱신 주기 변경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들(120-1, ..., 120-N)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단말들(120-1, ..., 120-N)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상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단말들(120-1, ..., 120-N)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는 렌더링(rendering)까지 포함하여, 렌더링, 캡처, 인코딩 및 센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화면 갱신 주기는 화면이 갱신되는데 걸리는 시간일 수도 있고, 1초 동안 화면이 갱신되는 횟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갱신 주기의 단위는 s일 수도 있고, 1/s일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여,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capture), 인코딩(encoding) 및 센딩(sending)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streaming pipeline procedure)를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로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에 진입하지 아니하고,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발생하는 이벤트를 유형화하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이벤트 유형에 상응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함으로써 빠른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신속히 화면을 갱신하고, 화면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화면 갱신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화면 변화가 시작됨을 알리는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해당 이벤트를 반영하여 캡처-> 인코딩-> 센딩을 실행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가장 짧은 주기에 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해당 이벤트를 반영하여 캡처-> 인코딩-> 센딩을 실행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가장 긴 주기에 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말들(120-1, ..., 12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말들(120-1, ..., 12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들(120-1, ...,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및 단말들(120-1, ...,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단말들(120-1, ..., 12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단말들((120-1, ..., 120-N)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이벤트 감지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이벤트 감지부(2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
제어부(220)는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고,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capture), 인코딩(encoding) 및 센딩(sending)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streaming pipeline procedure)를 수행하여 단말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제어부(220)는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20)는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가장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입력 감지 이벤트(마우스 클릭, 마우스 포인트 이동, 키보드 입력 등) 및 가장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무입력 이벤트(기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 없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나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등의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화면 변화가 시작됨을 나타내는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즉시 해당 이벤트를 반영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을 실행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가장 짧은 주기에 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해당 이벤트를 반영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을 실행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가장 긴 주기에 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빠른 화면 변화가 시작됨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방향 키 입력, 마우스 클릭 및 더블 클릭 등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마다 이와 같은 이벤트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지정 이벤트의 경우 간단하게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나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등의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수도코드 1]
<HighFPS/>30
<ImmediateRendering/>
<Condition/>ArrowLeftLong, ArrowRightLong
상기 수도코드 1은 좌우 방향키를 길게 누르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즉시 스트리밍 파이프라인(렌더링,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을 수행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30으로 설정함을 의미한다.
화면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벤트는 5초 이상 화면 변화가 없는 경우 등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벤트도 역시 간단하게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나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등의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수도코드 2]
<LowFPS/>10
<Action> No ArrowKey Input
<Period/> 5
</Action>
상기 수도코드 2는 5초간 방향키 입력 없음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레임 레이트를 10으로 설정함을 의미한다.
통신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들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단말로 제공한다.
저장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4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4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어부(310), 통신부(320), 입력부(330), 표시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330)는 표시부(3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33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3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요청하거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제공 받기 위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표시부(340)는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40)는 단말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340)는 입력부(3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4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저장부(35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350)는 단말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요청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부(3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며,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31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S410).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가장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입력 감지 이벤트 및 가장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무입력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화면 변화가 시작됨을 나타내는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즉시 해당 이벤트를 반영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을 실행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가장 짧은 주기에 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해당 이벤트를 반영하여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을 실행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가장 긴 주기에 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나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등의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한다(S4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S430).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면 갱신 주기 변경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화면 갱신 주기 변경 단계(S420)는 먼저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한다(S510).
이 때, 발생한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는 어플리케이션마다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유형의 종류 및 개수도 어플리케이션마다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이벤트 유형이 N가지 종류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발생한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제1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이벤트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화면 갱신 주기가 제1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도록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한다(S520).
발생한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제2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이벤트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화면 갱신 주기가 제2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도록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한다(S530).
발생한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제N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이벤트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화면 갱신 주기가 제N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도록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한다(S54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시 프레임 레이트가 고정됨으로써 발생되는 화면 갱신 지연을 줄이고, 불필요한 화면 갱신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마치 단말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느끼게 하고, 불필요한 서버 리소스 소비를 줄임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단말 장치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N: 단말
130: 네트워크 210: 이벤트 감지부
220: 제어부 230: 통신부
240: 저장부 310: 제어부
320: 통신부 330: 입력부
340: 표시부 350: 저장부

Claims (13)

  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단말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입력 감지 이벤트 및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무입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7.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입력 감지 이벤트 및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무입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가변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 및 11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3.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에 상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화면 갱신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화면 갱신 주기마다 캡처, 인코딩 및 센딩의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즉시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가 현재 프레임 레이트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다음 화면 갱신 주기까지 상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프레임 레이트 가변 이벤트는
    빠른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입력 감지 이벤트 및 느린 프레임 레이트에 상응하는 무입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07456A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9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56A KR101892952B1 (ko)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56A KR101892952B1 (ko)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51A KR20150087051A (ko) 2015-07-29
KR101892952B1 true KR101892952B1 (ko) 2018-08-30

Family

ID=5387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456A KR101892952B1 (ko)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9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0866B2 (en) * 2006-02-21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rogram viewing in a wireless apparatus
US9582238B2 (en) * 2009-12-1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Decomposed multi-stream (DMS) techniques for video display systems
KR101312268B1 (ko) 2010-12-24 2013-09-25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KR101671310B1 (ko) * 2012-05-30 2016-11-02 엔트릭스 주식회사 화면 가상화 기반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51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56368A1 (zh) 推荐信息展示方法及装置
KR102310780B1 (ko)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US108391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in independent window by browser, and storage medium
WO2018161811A1 (zh) 一种基于h5的页面显示方法和终端
WO2018153207A1 (zh) 数据处理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US10298997B2 (en) Methods for uploading file to television set and playing file, television set and user equipment
US9871868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computer readable media, and systems for initiating co-use of applications
US10506292B2 (en) Video player call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4622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on between terminals
US10581950B2 (en) Local operation of remotely executed applications
US10547711B2 (en) Using off-screen user interface data during remote sessions
WO2017092321A1 (zh) 一种页面显示方法及装置
KR101755012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WO2019037566A1 (zh) 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631059B (zh) 数据处理方法、数据处理装置及数据处理系统
KR1017498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자원 상황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37257A1 (en) View switching
US20160283070A1 (en) Using reactive behaviors during remote sessions
KR101892952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벤트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60005B2 (en) Data consumption between heterogeneous web applications
CN103701849A (zh) 用于通过用户设备对移动设备进行操作的方法与设备
KR102163111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푸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874890B2 (en) Multi-entry point navigation for user interfaces
KR102150561B1 (ko) 사용자 활동 예측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6828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0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6

Effective date: 201807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