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314A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314A
KR20200115314A KR1020200036854A KR20200036854A KR20200115314A KR 20200115314 A KR20200115314 A KR 20200115314A KR 1020200036854 A KR1020200036854 A KR 1020200036854A KR 20200036854 A KR20200036854 A KR 20200036854A KR 20200115314 A KR20200115314 A KR 2020011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session
screen
client terminal
cloud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우라성
우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 복구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전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수립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에 대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ER INTERFACE SCREEN RECOVERY METHOD IN CLOUD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복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 절감등의 이유로 연결 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이 복구되는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비교적 낮은 성능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가상화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구동시키고 구동화면은 비디오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하여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화면 가상화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뉴 디스플레이와 같이 정적인 화면을 서비스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 전체를 캡처하고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정적인 부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캡처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이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여 다른 단말이 사용하게 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10-0091853호, 2010년 08월 19일 공개 (명칭: 동적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간에 수립된 세션을 특정 조건에 따라 해제하였다가 다시 복구하는 동작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유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케 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기능별, 표시 영역 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세션들을 수립하고 이들 세션들을 독립적으로 해제 및 복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세션 해제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제공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다시 복구함으로써, 세션 해제에 따른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세션(session) 복구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기 설정된 세션 해제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세션 복구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세션 복구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고,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해제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입력 신호의 수신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세션 해제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해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
세션 해제 요청은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가장 최근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입력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복구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요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제1 비디오 콘텐츠가 제2 비디오 콘텐츠로 전환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조건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제1 비디오 콘텐츠가 제2 비디오 콘텐츠로 전환되는 경우 충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기 설정된 세션 해제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세션 복구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세션 복구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고,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해제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입력 신호의 수신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세션 해제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해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
세션 해제 요청은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가장 최근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입력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복구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요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제1 비디오 콘텐츠가 제2 비디오 콘텐츠로 전환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세션 복구 조건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제1 비디오 콘텐츠가 제2 비디오 콘텐츠로 전환되는 경우 충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 복구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전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수립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에 대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및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 단말에 세션 복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정지 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정지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정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캡처(capture)하여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백업 데이터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들을 일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한 데이터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일 시점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대응되도록 백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전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수립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에 대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및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 단말에 세션 복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정지 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정지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정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캡처(capture)하여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백업 데이터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들을 일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한 데이터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일 시점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대응되도록 백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간에 수립된 세션을 특정 조건에 따라 해제하였다가 다시 복구하는 동작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유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케 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기능별, 표시 영역 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세션들을 수립하고 이들 세션들을 독립적으로 해제 및 복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세션 해제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제공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다시 복구함으로써, 세션 해제에 따른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세션 연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해제 후 세션 복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웹 브라우저 및 웹 서버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캡처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복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및 통신망(130)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운영 체제에 대응하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유형이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세션들을 수립하고, 세션 수만큼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화면은 비디오 콘텐츠가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영역과,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수립된 세션이 해제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세션이 해제 대상인 경우에 상기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표시될 화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복수의 세션들을 수립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영역에 대한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세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비디오 콘텐츠가 표시되는 제2 영역에 대한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세션을 각각 수립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기능별로 구분되는, 또는 표시 영역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세션들을 수립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복수의 세션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수립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수립된 비디오 콘텐츠 세션을 유지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간에 수립된 세션을 해제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식별정보,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들에 상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유휴 자원을 체크하고, 유휴 자원을 고려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과 수립된 세션을 동적으로 해제하고 세션이 해제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과 세션을 재 수립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은 각각 통신망(130)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 클라이언트 단말들(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입력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입력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콘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표시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저장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콘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저장부는 다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DB와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DB는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콘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콘텐츠 실행에 따른 콘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통신망(1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130)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130)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13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과 통신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콘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각각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 OS)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각각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각각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콘텐츠 실행에 따른 콘텐츠 사용 이력을 콘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각각의 제어부는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콘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와, 콘텐츠 사용 이력에 따른 정보인 콘텐츠 사용 정보를 함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송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전송하여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각각의 저장부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콘텐츠를 실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각각의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콘텐츠 실행 시,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수신한 후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망(13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통신망(130)은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통신망(130)에서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 단말들(120-1~ 120-N)들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단말 입력 수신부(21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20), 스트리밍부(230), 비디오 콘텐츠 세션 제어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250), 세션 복구 데이터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입력 수신부(210)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한다.
이 때, 키 입력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스트리밍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메뉴 버튼 또는 특정 명령을 수행하도록 생성된 버튼에 대한 입력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쇼핑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쇼핑 품목 카테고리 별 정보를 볼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카테고리 정보 제공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화면은 클라이언트 단말들 각각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월드 와이드 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는 단순히 문서의 내용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검색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웹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은 HTML을 읽어 제공하는 것으로, 읽은 정보를 앞 페이지 뒤 페이지 초기화면으로 자유자재로 넘겨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이트 가운데 필요한 페이지로 단숨에 찾아 들어갈 수 있는 즐겨 찾기 및 북 마크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비디오를 일 영역에 표시하는 하나의 요소로 포함하면서, 그 외의 영역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히 비디오만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비디오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화면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스트리밍부(2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모든 프레임을 캡처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과 같이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들을 각각 비교하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변화된 부분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프레임들 중 어느 두 프레임들 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들을 검출하고, 프레임들 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들 간의 변화가 많은 구간은 캡처할 이미지의 수가 많아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변화가 많은 구간은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고, 프레임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만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변화된 캡처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 세션 제어부(240)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비디오 콘텐츠 세션을 수립하거나, 이미 수립된 비디오 콘텐츠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250)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거나, 이미 수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250)는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과 수립된 비디오 콘텐츠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만을 독립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250)는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해제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제 대상인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쇼핑 상품 소개 비디오 화면과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멀티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쇼핑 상품 소개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세션과 웹 페이지(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각각 수립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단말이 두 개의 세션을 통해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더라도,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에는 웹 페이지 화면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며 비디오 플레이어 외에는 아무런 조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도 한 사용자에게 비디오 세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모두 유지하는 것은 제한적인 자원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입장에서는 자원 낭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HTML5 어플리케이션으로 비디오 플레이어와 웹 페이지를 구동하는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는 비디오 플레이어와 웹 페이지 각각에 대한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약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로 제한되어 있다면, 최대 50명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의 사용이 없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최대 서비스 사용자 수는 보다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플레이어와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5분 동안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5분 동안 웹 페이지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는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시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준을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에서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하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만이 해제된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특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재 수립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키 입력이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아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은 해제되었어도, 실제로 단말의 사용자는 키 입력만 하지 않았을 뿐 어플리케이션은 종료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고, 또한 비디오 세션은 유지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다시 수신되었을 때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이 해제된 상태라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현재 유휴 자원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새로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에 기존 세션을 통해 제공되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가 복구될 수 있도록 세션 복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해제 조건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최근 입력 다음의 추가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유휴 자원량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HTML5 어플리케이션으로 비디오 플레이어와 웹 페이지를 구동하는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는 브라우저 인스턴스들을 생성하고, 유휴 브라우저 인스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유휴 브라우저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다른 키 입력 및 세션 복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 페이지에 상응하는 화면을 보고 있었고 5분에 상응하는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던 브라우저 A와의 연결을 해제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7분에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첫 페이지에서 특정 메뉴를 클릭했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유휴 브라우저 B와 클라이언트 단말을 연결하여 특정 메뉴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여야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체크하고,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이며 현재 사용 중인 브라우저가 10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가 90개로 여유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브라우저의 연결 해제 및 재연결의 수행이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브라우저를 해제하고 재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인데 현재 모든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어도 접속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이미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들이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보다 빠르게 연결 해제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서비스의 접속자가 많아서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의 연결 해제 시 이에 관련된 안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현재 서버 사용량이 많은 것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세션 복구 데이터 저장부(260)는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과 수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정보,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기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디나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공받고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URL 등을 세션 복구 데이터로 저장해 두었다가 세션 복구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세션 복구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제공되어 클라이언트 단말의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될 때, 다른 키 입력과 함께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한정된 자원을 가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 및 클라이언트 단말(320) 간 세션 연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버(311)와 클라이언트 단말(320) 간 제1 세션이 수립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312) 와 클라이언트 단말(320) 간 제2 세션이 수립됨을 알 수 있다.
제1 세션은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버(311)가 비디오 콘텐츠 표시 영역(321)에 비디오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비디오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비디오 세션이고, 제2 세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312)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영역(322)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러(313)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러(313)에서 렌더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일 수 있다.
비록 도 3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가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320)과 세션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과 동시에 세션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해 두고,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세션 연결될 때마다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어플리케이션들을 하나씩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연결된 세션은 세션 연결을 해제할 때까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버(311)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312) 각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들은 서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별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버(311)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 단말(320)과 비디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버(311)는 별도의 비디오 콘텐츠 제공 사업자에 대응하는 서버로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버(311)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 단말(320)과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거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로부터 별도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320)과 비디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해제 후 세션 복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클라이언트 단말(42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420)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420)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411)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411)을 클라이언트 단말(4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러(410)는 어플리케이션(411)의 실행 화면을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411)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420)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420)은 어플리케이션(411)의 실행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420)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된 키 입력시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입력 대기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추가로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420)과 수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고, 어플리케이션(411)과의 연결도 해제될 수 있다.
이 후, 어플리케이션(411)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하는 또 다른 클라이언트(4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만약 연결이 해제된 클라이언트 단말(420)에서 키 입력이 발생한다면, 클라이언트 단말(420)의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412)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420)에 연결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이언트 단말(420)은 어플리케이션(412)의 실행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도 5는 웹 브라우저(511) 및 웹 서버(530)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먼저 클라이언트 단말(520)에서 키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를 통해 웹 서버(530)가 키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웹 브라우저(511)를 통해 웹 서버(53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520)의 요청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클라이언트 단말(520)의 요청을 받아 HTML이나 오브젝트를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클라이언트 단말(5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520)의 키 입력을 획득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키 입력에 상응하는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511)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클라이언트 단말(520)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 단말(520)과 웹 브라우저(511) 간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520)과 연결이 해제된 웹 브라우저(511)는 웹 서버(530)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다른 단말과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웹 브라우저(511)는 키 입력에 상응하는 결과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웹 서버(530)에 접속하여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520)에게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변화된 영역의 이미지만을 캡처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5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캡처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캡처하는 과정은 먼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화면의 변화가 적은 부분의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화면의 변화가 많은 부분에 대해서는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 후, 변화가 적은 부분의 프레임들 중 이전 프레임(610)과 현재 프레임(620)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이전 프레임(610)과 현재 프레임(620)을 비교하면, 두 프레임의 C 영역 및 D 영역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으나, 이전 프레임(610)의 A 영역 및 B 영역이 현재 프레임(620)에서는 A' 와 B'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체크하고, 변화된 A' 영역과 B' 영역을 변화된 영역으로 판단하고 캡처 이미지(630)로 캡처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캡처단에서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이전 프레임(610)과 현재 프레임(620)을 비교하였을 때, 변화된 부분이 여러 영역 확인되는 경우에는, 변화된 여러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영역을 캡처 이미지(630)로 캡처할 수 있다. 또한, 변화된 여러 영역을 모두 각각 캡처 이미지(630)로 인식하고 복수 개의 캡처 이미지(630)로 캡처하여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복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S710).
다음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S720).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후술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따라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한 스트리밍에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에 따르면, 현재 프레임을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스트리밍이 수행될 수 있다.
반면, 비디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비디오 콘텐츠 화면은 프레임간 변화가 큰 경우가 대부분이고 따라서, 비디오 세션을 통한 스트리밍에는 상술한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이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도 7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단계(S710) 이후에 비디오 세션의 수립 단계(S720)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비디오 세션의 수립 단계(S720) 이후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단계(S7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기 설정된 세션 해제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S730).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세션 복구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세션 해제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입력 신호의 수신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충족되는 제1 세션 해제 조건일 수 있다.
이 때, 입력 신호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특정 버튼에 커서를 옮기거나 해당 버튼을 누르고자 하는 조작을 수행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스트리밍 받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여러 메뉴 버튼들 중에서 쇼핑 상품 카테고리 별 정보를 볼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 버튼을 클릭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카테고리 정보 제공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발생함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세션 해제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해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충족되는 제2 세션 해제 조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션 해제 요청은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가장 최근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입력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세션 해제 조건은 상기 제1 세션 해제 조건 또는 상기 제2 세션 해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기 설정된 세션 복구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S740).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고,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할 수 있다.
상기 세션 복구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충족되는 제1 세션 복구 조건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세션 복구 조건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션 복구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충족되는 제2 세션 복구 조건일 수 있다.
이 때, 세션 복구 요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제1 비디오 콘텐츠가 제2 비디오 콘텐츠로 전환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세션 복구 조건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제1 비디오 콘텐츠가 제2 비디오 콘텐츠로 전환되는 경우 충족되는 제3 세션 복구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세션 복구 조건은 상기 제1 세션 복구 조건 또는 상기 제2 세션 복구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상기 세션 복구 조건은 상기 제1 세션 복구 조건 또는 상기 제3 세션 복구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상기 세션 복구 조건은 상기 제2 세션 복구 조건 또는 상기 제3 세션 복구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상기 세션 복구 조건은 상기 제1 세션 복구 조건, 상기 제2 세션 복구 조건 또는 상기 제3 세션 복구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조건에 따라 기능별, 표시 영역 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세션들을 수립하고 이들 세션들을 독립적으로 해제 및 복구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유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케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S810).
비록 도 8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S810)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고,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비디오 세션을 통해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 세션 복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백업 데이터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들을 일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한 데이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정지 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스트리밍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정지 이미지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이미지는 특정 애니메이션 영역들 별로 기 설정된 대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는 특정 애니메이션 영역들에서 재생되는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잘 표현하기 위해 애니메이션 제작자 등에 의해 별도로 만들어진 스틸 이미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캡처하여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이미지는 애니메이션 영역에서 반복 재생 중인 애니메이션을 일 시점을 기준으로 캡처하여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전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간 수립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에 대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820).
다음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할 수 있다(S83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일 시점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대응되도록 백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해제 전에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제공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서도 다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복구함으로써, 세션 해제에 따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간에 수립된 세션을 특정 조건에 따라 해제하였다가 다시 복구하는 동작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유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케 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을 갖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110, 310, 420, 5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N, 320, 420, 421, 520: 클라이언트 단말
130: 통신망 210: 단말 입력 수신부
22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30: 스트리밍부
240: 비디오 콘텐츠 세션 제어부
2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제어부
260: 세션 복구 데이터 저장부
311: 비디오 콘텐츠 제공 서버
31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313, 410: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러
321: 비디오 콘텐츠 표시 영역
322: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영역
411, 412: 어플리케이션 511: 웹 브라우저
530: 웹 서버 610: 이전 프레임
620: 현재 프레임 630: 캡처 이미지

Claims (20)

  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 복구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전에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수립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에 대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세션 복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정지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정지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이미지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캡처(capture)하여 획득된 이미지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상기 백업 데이터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들을 일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한 데이터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일 시점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백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상기 비디오 세션을 통해 상기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의 수립 전에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수립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에 대응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 비디오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세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백업(backup)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세션 복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정지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정지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이미지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역을 캡처(capture)하여 획득된 이미지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고,
    상기 백업 데이터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들을 일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한 데이터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일 시점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백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스트리밍되는 영역이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 화면 중 제2 영역은 상기 비디오 세션을 통해 상기 비디오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영역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KR1020200036854A 2019-03-26 2020-03-2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15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82 2019-03-26
KR20190034383 2019-03-26
KR20190034382 2019-03-26
KR1020190034383 2019-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14A true KR20200115314A (ko) 2020-10-07

Family

ID=726106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329A KR20210133229A (ko) 2019-03-26 2020-03-2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00036854A KR20200115314A (ko) 2019-03-26 2020-03-2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329A KR20210133229A (ko) 2019-03-26 2020-03-26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션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10133229A (ko)
WO (1) WO20201972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038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853A (ko) 2009-02-11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4101B1 (en) * 2005-09-30 2010-02-16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active sessions on a per user basis
US8589578B2 (en) * 2007-06-29 2013-11-19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treaming video over multiple network interfaces
EP2243292A4 (en) * 2007-11-16 2012-08-01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SITTING MANAGEMENT OF STREAMING MEDIA
US20130298170A1 (en) * 2009-06-12 2013-11-07 Cygnus Broadband, Inc. Video streaming quality of experience recovery using a video quality metric
US9805479B2 (en) * 2013-11-11 2017-10-31 Amazon Technologies, Inc. Session idle optimization for streaming ser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853A (ko) 2009-02-11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038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229A (ko) 2021-11-05
WO2020197281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4478B2 (en) Home cloud with virtualized input and output roaming over network
US9037975B1 (en) Zooming interaction tracking and popularity determination
US9922007B1 (en) Split browser architectur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o combine or split content layers based on the encoding of content within each layer
JP6467503B2 (ja) 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メモリボトルネックを防止するためのデータ圧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11724785A (zh) 小程序的语音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2460410A (zh) 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用户界面的装置和方法
CN111756847B (zh) 网站支持https协议的方法和装置
KR1024266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15314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8884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8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052043B (zh) 一种云桌面的视频传输方法、电子设备、装置及介质
US10042521B1 (en) Emulation of control resources for use with converted content pages
KR10244269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2198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웹 컨테이너 공유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일 세션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556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와 텍스트의 분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235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68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치환을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8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소스 정보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9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메모리 병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62093B1 (en) Companion advertisements on remote contro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