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198B1 -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198B1
KR102111198B1 KR1020180043452A KR20180043452A KR102111198B1 KR 102111198 B1 KR102111198 B1 KR 102111198B1 KR 1020180043452 A KR1020180043452 A KR 1020180043452A KR 20180043452 A KR20180043452 A KR 20180043452A KR 102111198 B1 KR102111198 B1 KR 10211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glass base
hole
polishing
ultrasonic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910A (ko
Inventor
박신규
김종만
Original Assignee
박신규
김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규, 김종만 filed Critical 박신규
Priority to KR102018004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19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45D29/12Polishing devices for nails manually ope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모재의 표면에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연마광택홀을 가공한 후 보강재를 유리모재에 접착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손톱광택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단순화에 의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킴은 물론 제조시간의 단축 및 작업 용이성에 의해 생산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초음파진동에 의해 연마광택홀을 가공할 수 있어 유리모재의 두께를 최소화함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가 있고 보강재에 의해 깨지거나 파손의 위험이 없으며 인쇄층에 의해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는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손톱광택기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nail polishing tool}
본 발명은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톱면을 연마하여 광택하는 손톱광택기의 제조공정의 단순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모재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깨지거나 파손의 위험이 없으며 세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광택기는 길게 자란 손톱을 절단한 후 절단된 손톱면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고 손톱의 연마 및 광택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대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표면을 샌딩가공하여 제조하는 방법과 화학적 부식을 이용하여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샌딩가공을 이용하여 요철면을 형성시킬 경우 일정하고 규칙적인 가공면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샌딩기를 이용하여야 함으로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 부식의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판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시킬 경우 일정한 강도를 갖는 손톱광택기를 얻을 수 없으며 반복사용에 의해 마모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이나 금속판 표면에 스펀지와 샌드페이퍼를 구비한 손톱광택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손톱광택기를 이용하여 손톱을 연마 광택한 후 손톱광택기 표면에 묻은 손톱분말을 털어내야 하는데 쉽게 털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은 물론, 물을 이용하여 손톱광택기 표면을 세척하더라도 스펀지와 샌드페이퍼가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의 세척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한 후에는 손톱광택기에 잔류하고 있는 물을 완전히 건조시켜야 재사용이 가능한 바, 플라스틱이나 금속판 표면에 접착된 스펀지와 샌드페이퍼에 잔류하는 물기를 건조하는 건조시간이 길어져 재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으며, 물기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손톱광택기를 재사용함에 따라 고객들에게 비위생적인 느낌을 전달하게 되어 결국, 손톱광택기를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유리모재를 이용한 손톱광택기가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등록특허 10-0723456호인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판형상의 유리 표면에 크롬을 코팅하는 공정과, 상기 크롬 코팅된 유리 표면에 UV접착제(PR액)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UV접착제(PR액)를 도포한 유리 표면에 소정의 문양이 배열되도록 인쇄된 필름을 적층 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표면에 적층된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문양을 제외한 나머지 필름부분만 유리와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필름에 접착된 유리를 약품에 세척하여 필름에 접착 안 된 유리 부분만 부식되도록 부식홈부와 평면부를 성형하는 부식공정과, 상기 부식공정을 거쳐 유리표면에서 필름을 제거하면 부식홈부와 평면부의 경계선이 절삭 칼날로 성형된 유리를 화학 열처리 강화방식으로 강도를 강화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유리재질에 의해 손톱의 연마 광택 후 묻어진 불순물을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닦아 바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반도체 제조공정의 포토레지스터 및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조공정이 복잡함에 따라 생산성은 물론 제조에 따른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부식공정에 의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물질을 배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매끄러운 유리표면에 감광성수지가 잘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표면에 먼저 크롬을 코팅하여 감광성수지가 크롬을 통하여 유리표면에 달라붙도록 하는 전처리기술에 의해 손톱광택기를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크롬코팅에 따른 장비가 고가이고 코팅 시간에 의해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23456호(2007.05.23.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82026호(2010.09.07. 등록)
본 발명은 유리모재를 이용하여 손톱광택기를 제조하여 사용 후 물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깨끗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조공정의 단순화에 의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은 물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은, 유리모재를 가공하는 제1공정; 제1공정에 의해 가공된 유리모재를 초음파진동홀성형기의 홀성형핀 하부측에 위치하는 제2공정; 제2공정 후, 초음파진동홀성형기의 홀성형핀을 유리모재 표면측으로 하강시켜 내측에 기둥부가 구비되도록 유리모재 표면에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연마광택홀을 가공하여 상기 기둥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연마광택홀의 가장자리에 의해 손톱연마광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공정; 제3공정 후, 표면에 인쇄층을 갖는 보강재를 연마광택홀이 표면에 가공된 유리모재의 이면에 접착하여 상기 유리모재를 보강하는 제4공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연마광택홀의 깊이는 20㎛ ~ 25㎛(마이크로) 깊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리모재의 두께는 1mm ~ 5mm 두께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보강재는, 금속, 목재, ABS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초음파진동홀성형기는, 상기 유리모재가 안착되어 유리모재의 둘레면을 밀착 고정하는 모재안착부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홀성형핀과; 상기 홀성형핀이 고정되고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초음파진동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홀성형핀은, 상기 유리모재의 표면에 연마광택홀을 가공하는 가공부와; 상기 가공부의 내측에 중공되어 상기 가공부에 의해 연마광택홀이 가공될 때 상기 연마광택홀 내측에 상기 기둥부가 가공되도록 하는 기둥가공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유리모재의 표면에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연마광택홀을 가공한 후 보강재를 유리모재에 접착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손톱광택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단순화에 의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킴은 물론 제조시간의 단축 및 작업 용이성에 의해 생산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초음파진동에 의해 연마광택홀을 가공할 수 있어 유리모재의 두께를 최소화함에 따른 원가절감을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보강재에 구비되는 인쇄층에 의해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의 연마광택홀이 가공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에 의해 가공된 연마광택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톱광택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톱광택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톱광택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공정(S1), 제2공정(S2), 제3공정(S3), 제4공정(S4)의 간단한 공정에 의해 손톱광택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공정(S1)은 유리모재(10)를 가공하는 공정이다.
즉, 연마광택홀(12)이 가공되는 유리모재(10)를 일정 두께 및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가장자리를 연마하는 공정으로 상기 유리모재(10)의 두께는 1mm ~ 5mm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모재(10)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더라도 초음파진동에 의해 연마광택홀(12)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반도체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연마광택홀(12)을 가공할 수 있어 유리를 이용하여 손톱광택기를 제조할 때 제조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공정(S2)은, 제1공정(S1)에 의해 가공된 유리모재(10)를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의 홀성형핀(23) 하부측에 위치하는 공정이다.
이 때 상기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는, 상기 유리모재(10)가 안착되어 유리모재(10)의 둘레면을 밀착 고정하는 모재안착부(21)를 갖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홀성형핀(23)과, 상기 홀성형핀(23)이 고정되고 승하강부(24)에 의해 승하강되는 초음파진동지그(25)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의 베이스(22)에 구비된 모재안착부(21)에 상기 유리모재(10)를 안착하여 올려놓음에 따라 홀성형핀(23) 하부측에 유리모재(10)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모재안착부(21)에 안착된 유리모재(10)는 모재안착부(21)에 인입되어 안착됨에 따라 유리모재(10)의 둘레면이 모재안착부(21)에 밀착되기 때문에 연마광택홀(12)이 유리모재(10) 표면에 가공될 때 유리모재(10)의 흔들거림과 유동됨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3공정(S3)은, 제2공정(S2) 후,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의 홀성형핀(23)을 유리모재(10) 표면측으로 하강시켜 내측에 기둥부(11)가 구비되도록 유리모재(10) 표면에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연마광택홀(12)을 가공하는 공정이다.
즉, 제2공정(S2)에 의해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의 모재안착부(21)에 안착된 유리모재(10) 표면측으로 홀성형핀(23)이 구비된 초음파진동지그(25)를 하강시켜 홀성형핀(23)이 유리모재(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초음파진동지그(25)의 초음파진동에 의해 홀성형핀(23)에 의해 유리모재(10) 표면에 연마광택홀(12)이 가공되도록 한다.
이 때, 유리모재(10) 표면에 연마가공 파우더를 공급하여 홀성형핀(23)의 초음파진동에 의해 유리모재(10) 표면에 연마광택홀(12)이 가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약 20초 정도 초음파진동을 통해 연마광택홀(12)이 가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성형핀(23)은, 상기 유리모재(10)의 표면에 연마광택홀(12)을 가공하는 가공부(23a)와, 상기 가공부(23a)의 내측에 중공되어 상기 가공부(23a)에 의해 연마광택홀(12)이 가공될 때 상기 연마광택홀(12) 내측에 상기 기둥부(11)가 가공되도록 하는 기둥가공부(23b)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유리모재(10) 표면에 가공된 연마광택홀(12)의 내측에 상기 기둥부(11)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유리모재(10) 표면에 가공된 기둥부(11)의 가장자리(11a)와 상기 연마광택홀(12)의 가장자리(12a)에 의해 손톱연마광택이 이루어진다.
상기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의 홀성형핀(23)에 의해 가공되는 연마광택홀(12)의 깊이(h)는 20㎛ ~ 25㎛(마이크로)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연마광택홀(12)의 깊이(h)가 20㎛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기둥부(11)의 가장자리(11a)와 상기 연마광택홀(12)의 가장자리(12a)에 의해 손톱연마광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연마광택홀(12)의 깊이(h)가 25㎛ 이상일 경우에는 손톱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4공정(S4)은, 제3공정(S3) 후, 표면에 인쇄층(30)을 갖는 보강재(40)를 연마광택홀(12)이 표면에 가공된 유리모재(10)의 이면에 접착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유리모재(10)의 이면 즉, 연마광택홀(12)이 표면에 가공된 유리모재(10)의 이면에 보강재(40)를 접착하여 얇은 두께의 유리모재(10)를 보강하여 유리모재(10)가 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40) 표면에 구비되는 인쇄층(30)에 의해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어 손톱광택기에 대한 다양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인쇄층(30)은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이 인쇄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보강재(40)는, 금속, 목재, ABS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공정(S1), 제2공정(S2), 제3공정(S3), 제4공정(S4)의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손톱광택기에 손잡이(5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50)를 파지하여 손톱면에 상기 연마광택홀(12)이 가공된 유리모재(10)의 표면을 밀착시키면서 반복적으로 긁어 사용자의 손톱을 광택하면 된다.
이 때, 손잡이(50)의 일측에 보강재(40)가 접착된 유리모재(10)를 위치하거나 또는 손잡이(50) 양측에 보강재(40)가 접착된 유리모재(10)를 각각 위치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공정(S4)인 표면에 인쇄층(30)을 가지는 보강재(40)를 유리모재(10)의 이면에 접척하는 공정은, 상기 제1공정(S1) 이후 진행될 수 있도 있다.
즉 상기 제1공정(S1)을 통해 유리모재(10)가 성형되면, 이 성형된 유리모재(10)에 상기 보강재(40)를 먼저 접착하고, 이후 제2공정(S2) 및 제3공정(S3)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손톱광택기 제조방법은 제1공정(S1)→제4공정(S4)→제2공정(S2)→제3공정(S3) 순으로 진행되며, 이에 따른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 : 제1공정 S2 : 제2공정
S3 : 제3공정 S4 : 제4공정
10 : 유리모재 11 : 기둥부
12 : 연마광택홀 20 : 초음파진동홀성형기
21 : 모재안착부 22 : 베이스
23 : 홀성형핀 23a : 가공부
23b : 기둥가공부 24 : 승하강부
25 : 초음파진동지그 30 : 인쇄층
40 : 보강재 50 : 손잡이

Claims (5)

  1. 유리모재(10)를 가공하는 제1공정(S1);
    제1공정(S1)에 의해 가공된 유리모재(10)를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의 홀성형핀(23) 하부측에 위치하는 제2공정(S2);
    제2공정(S2) 후,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의 홀성형핀(23)을 유리모재(10) 표면측으로 하강시켜 내측에 기둥부(11)가 구비되도록 유리모재(10) 표면에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연마광택홀(12)을 가공하여 상기 기둥부(11)의 가장자리(11a)와 상기 연마광택홀(12)의 가장자리(12a)에 의해 손톱연마광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공정(S3);
    제3공정(S3) 후,
    표면에 인쇄층(30)을 갖는 보강재(40)를 연마광택홀(12)이 표면에 가공된 유리모재(10)의 이면에 접착하여 상기 유리모재(10)를 보강하는 제4공정(S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공정(S3)의 초음파진동홀성형기(20)는,
    상기 유리모재(10)가 안착되어 유리모재(10)의 둘레면을 밀착 고정하는 모재안착부(21)를 갖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홀성형핀(23)과;
    상기 홀성형핀(23)이 고정되고 승하강부(24)에 의해 승하강되는 초음파진동지그(25)를 포함하고,
    상기 홀성형핀(23)은,
    상기 유리모재(10)의 표면에 연마광택홀(12)을 가공하는 가공부(23a)와;
    상기 가공부(23a)의 내측에 중공되어 상기 가공부(23a)에 의해 연마광택홀(12)이 가공될 때 상기 연마광택홀(12) 내측에 상기 기둥부(11)가 가공되도록 하는 기둥가공부(23b)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광택홀(12)의 깊이(h)는 20㎛ ~ 25㎛(마이크로) 깊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리모재(10)의 두께는 1mm ~ 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40)는, 금속, 목재, ABS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S1) 이후에 제4공정(S4)을 먼저 수행하고, 이어서 제2공정(S2) 및 제3공정(S3)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KR1020180043452A 2018-04-13 2018-04-13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KR10211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452A KR102111198B1 (ko) 2018-04-13 2018-04-13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452A KR102111198B1 (ko) 2018-04-13 2018-04-13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910A KR20190119910A (ko) 2019-10-23
KR102111198B1 true KR102111198B1 (ko) 2020-05-14

Family

ID=6846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452A KR102111198B1 (ko) 2018-04-13 2018-04-13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1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456B1 (ko) 2006-07-21 2007-05-31 김재영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982026B1 (ko) 2009-11-12 2010-09-13 심우열 손톱 광택구 제조방법
KR101207118B1 (ko) * 2010-09-29 2012-12-03 조국환 초음파 가공기
KR20150002132A (ko) * 2013-06-28 2015-01-07 정철진 절삭과 광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손발톱 연마 미용기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발톱 연마 미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910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456B1 (ko)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851606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자개문양 형성방법
AU2005274509A1 (en) Cleaning cloth
ATE512758T1 (de) Spülen nach einem auf einen wafer angewandten chemisch-mechanischen planarisierungsprozess
KR100846444B1 (ko) 손발톱 및 각질 소제를 위한 미용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05521565A5 (ko)
KR102111198B1 (ko) 손톱광택기 제조방법
KR20180023666A (ko) 손톱 손질도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손톱 손질도구
EP1344496A2 (en) Callus-removing skin-f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09407A (ja) 合成樹脂製のシンク
KR20200071499A (ko) 네일아트용 스티커
KR100519704B1 (ko) 손발톱연마용 줄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0288442Y1 (ko) 손발톱 연마구
DE502008001471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iziumwafern
KR101370762B1 (ko) 손발톱 손질용구용 연마 원단 및 연마 원단 제조방법
CN101434101A (zh) 加工石砖的方法和设备以及由此获得的砖
KR20160025182A (ko) 인쇄시트가 부착된 손톱 미용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928880B1 (ja) バレル研磨機の多角形槽とその内ゴム被着方法
KR101829542B1 (ko)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KR100720313B1 (ko) 핫픽스의 가공방법
RU2814962C1 (ru) Шлиф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1709071U (zh) 一种多重植砂的涂附磨具
JP2810486B2 (ja) 天然石材の表面処理方法
KR100674648B1 (ko) 각질제거 또는 손발톱연마를 위한 연마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94949Y1 (ko) 각질 연마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