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542B1 -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542B1
KR101829542B1 KR1020160095370A KR20160095370A KR101829542B1 KR 101829542 B1 KR101829542 B1 KR 101829542B1 KR 1020160095370 A KR1020160095370 A KR 1020160095370A KR 20160095370 A KR20160095370 A KR 20160095370A KR 101829542 B1 KR101829542 B1 KR 101829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ase material
plating
copper foil
nickel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485A (ko
Inventor
박일용
Original Assignee
신우유니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유니온(주) filed Critical 신우유니온(주)
Priority to KR102016009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5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45D29/12Polishing devices for nails manu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Landscapes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지기재의 일면 내지 양면에 동박이 코팅된 동박판재를 마련하고 동박판재에 수십여 개의 버퍼몸체가 배열 유지됨과 아울러 분리되지 않도록 라우터 내지 피어싱 가공한 다음 통상의 1차 니켈도금과 화이트 알루미나입자의 부착은 물론 2차 니켈도금 및 광택도금을 수행한 후 버퍼들을 따냄으로써 동도금을 수행하기까지의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이트 알루미나입자의 분포가 균일하고 고착상태 또한 확실하여 제품불량을 최소화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uffer for nails}
본 발명은 손톱이나 발톱을 다듬는 버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동박판재를 마련하고 이 동박판재에 다수의 버퍼들이 분리됨 없이 배열 유지되도록 라우터 가공을 한 다음 동박판재의 표면에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를 전기도금을 통해 부착시킴과 아울러 굳힌 다음 따냄으로써 제품불량을 최소화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용 버퍼(buffer)는 손톱은 물론 발톱을 손질할 때 사용하는 손발톱손질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버퍼는 합성수지판재의 양쪽표면에 샌드페이퍼를 부착한 것과, 금속판재의 양쪽표면에 돌가루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를 부착시켜 고착시킨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버퍼들 중에서 금속판재를 이용한 종래의 손톱용 버퍼가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674648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버퍼는 연마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연마구 본체의 표면에 실크스크린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되어 형성된 전도성잉크층과, 상기 전도성잉크층 위에 적층된 연마제층과, 상기 전도성 잉크층과 연마제층을 덮어씌우는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것이었다.
상기 특허문헌의 버퍼는 알루미늄 소재의 연마구 본체의 표면을 알칼리 탈지, 산세척, 수세 및 본달 딥(Bondal Dip) 처리를 포함하는 전처리를 행한 후, 전기도금장치를 이용하여 1차 니켈도금한 후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연마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1차 니켈도금된 기판의 표면에 실크스크린 장치를 이용하여 전도성잉크를 소정패턴으로 인쇄하여 전도성잉크층을 형성시키고, 전도성 잉크층이 건조되기 전에 연마제로서 화이트 알루미나를 전도성 잉크층 위에 붙이고 건조한다. 이후에, 1차 니켈도금과 동일한 조건으로 2차 니켈도금하여, 전도성 잉크층과 연마제층을 덮어씌우는 니켈도금층을 형성시키고, 수세 후 건조하는 것이었다.
상기한 특허문헌의 버퍼 제조방법은 복잡한 전처리과정은 물론, 1차 니켈도금, 전도성 잉크도포, 화이트 알루미나의 도포 부착 및 2차 니켈도금 등을 행하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이로 인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또 다른 종래의 버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버퍼(10)가 판재에 의해 소정형상의 금속판재(11)로 마련되되 금속판재(11)의 한쪽에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재(11)의 손잡이(12)와 선단(13)부위를 제외한 상하양면에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가 도포되어 고착된 연마부(14)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손톱용 버퍼 제조과정은, 먼저, 두루마리처럼 감긴 띠강으로부터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버퍼의 형상대로 블랭킹공정을 통해 따냄으로써 금속판재(11)를 얻는다, 이렇게 따낸 금속판재(11)에 연마재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배럴 내에 투입하여 소정시간동안 회전시키면서 금속판재(11)의 버어(burr) 및 유분을 제거한다. 이후에 3~5회에 걸쳐 수세한 후 탈수기 및 히터로 탈수 및 건조한다.
이후에 도 2와 같이 전도체이면서 H자형의 판형으로 된 도금지그(20)의 양쪽에 배열된 다수의 클립(21)마다 각각 세정된 금속판재(11)를 끼워 고정한 다음 황산동도금을 수행한다.
위와 같이 황산동도금이 완료된 후 각각의 금속판재(11) 선단부분에 고무 캡(22)을 씌운 다음 1차 니켈도금을 수행한다. 곧바로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를 뿌려 도포한 다음 2차 니켈도금을 수행한다. 이후에 수십여 분간 통전시켜 화이트 알루미나입자를 니켈도금에 의해 확실하게 고착시킨다.
이후에 수세 후 고무 캡(22)을 분리제거하고, 다른 도금장치를 이용하여 3차 광택니켈도금을 수행함으로써 광택을 낸 다음 수세 및 건조함으로써 완제품의 버퍼를 얻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위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이 너무 복잡하고 도금지그(20)의 클립(21)에 금속판재(11)를 끼우고 각각의 금속판재(11)에 고무 캡(22)을 씌우는 작업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없었으며, 수작업으로 인한 인건비가 가중되어 원가상승의 요인으로 대두되게 된다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도금지그(20)의 클립(21)에 끼워지는 금속판재(11)가 기울어지거나 삐딱하게 고정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금속판재(11)에 돌가루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는 사례, 즉 일부는 도포되지 않고 일부는 집중 도포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제품불량(통상 20~40%)이 쉽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674648 B1 (2007.01.19.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지기재의 일면 내지 양면에 동박이 코팅된 동박판재를 마련하고 동박판재에 수십여 개의 버퍼가 배열 유지됨과 아울러 분리되지 않도록 라우터 내지 피어싱 가공한 다음 통상의 1차 니켈도금과 화이트 알루미나입자의 부착은 물론 2차 니켈도금 및 광택도금을 수행한 후 버퍼들을 따냄으로써 동도금을 수행하기까지의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이트 알루미나입자의 분포가 균일하고 고착상태 또한 확실하여 제품불량을 최소화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버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재의 일면 또는 양면이 동박층에 통상의 방법으로 1차 니켈도금을 수행함과 동시에 화이트 알루미나입자를 부착하는 연마재부착단계, 이후에 2차 니켈도금을 수행하여 연마재를 확실하게 굳히는 굳힘 단계, 이후에 3차 니켈도금을 수행하면서 광택을 내고 세정하는 광택세정단계, 이후에 동박판재에서 각각의 버퍼를 따내어 마무리하여 완제품의 버퍼를 얻는 버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부착단계 이전에 수지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동박이 코팅된 동박판재를 마련하는 모재구비단계, 모재인 동박판재에 버퍼몸체의 손잡이 및 선단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적외선건조잉크로 도포하는 잉크도포단계, 이후에 모재를 라우터(router)를 이용하여 수십여 개의 버퍼몸체 형상이 배열 유지되도록 라우터 가공을 수행하는 라우팅단계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우터 가공은 모재 상의 버퍼몸체들이 모재에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이상의 브리지로 연결되고 상기 버퍼몸체들은 브리지를 통해 통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굳힘 단계 이후에는 버퍼몸체 및 연마재 전체를 광택을 부여하기 위하여 버퍼몸체의 표면에 도포된 적외선건조잉크를 제거하는 잉크제거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우팅단계는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다수의 버퍼몸체들이 배열 유지되도록 버퍼의 외곽을 따내는 피어싱 가공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손톱용 버퍼 제조방법은 니켈도금과 함께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의 부착 및 굳힘 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수지기재의 상하 양면에 동박이 코팅된 양면 동박판재를 마련하고 양면 동박판재에 수십여 개의 버퍼몸체 형상이 배열 유지되도록 라우터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동도금을 수행하기까지의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이트 알루미나입자의 분포 및 부착상태 등으로 인한 제품불량을 최소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일실시예의 버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도금지그에 도 1의 손톱용 버퍼를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톱용 버퍼 제조방법에 따라 제작된 버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퍼에 손잡이를 인서트 사출하여 성형한 완제품을 나탠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톱용 버퍼의 제조과정 중에서 도금직전까지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타당하다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버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버퍼에 손잡이를 인서트 사출하여 성형한 완제품을 나탠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로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톱용 버퍼(10a)는 수지기재(16)의 상하 양면에 동박(17)이 코팅된 소정형상의 버퍼몸체(15)로 마련되되 버퍼몸체(15)의 한쪽에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상기 버퍼몸체(15)의 손잡이(12)와 선단(13)부위를 제외한 상하양면에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가 도포되어 고착된 연마부(14)로 마련된다.
상기 연마부(14)는 수지기재(16)의 동박(17)면 위에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가 니켈도금층(19)에 의해 덮어씌워지는 형태로 고착된 것이다.
상기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는 동박(17)면 위에 니켈금속과 함께 고착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적합한 것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거친 것은 150~240메시(mesh)를 사용하고, 고운 것은 240~600메시를 사용한다.
상기 니켈금속층(19)은 동박(17) 면과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를 덮어씌워진 것이고 상기 니켈도금층(19)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방법인 전기도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니켈이 아닌 크롬도금층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2)에는 더욱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별도의 합성수지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손잡이부재(12a)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퍼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6의 (a)와 같이, 수지기재(16)의 상하양면에 0.06㎜의 동박(17)이 코팅된 두께 0.8㎜이고 가로 260㎜ x 세로 205㎜인 모재(100)를 마련하고, 상기 모재(100)를 실크스크린장치에 올려놓고 도 6의 (b)와 같이, 모재(100)의 길이방향으로 4열의 적외선건조잉크(110)를 도포한 후 건조시킨다. 상기 4열의 적외선건조잉크(110) 도포부분은 버퍼(10a)의 손잡이(12) 및 선단(13)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위와 같은 적외선건조잉크(110)의 도포 건조과정은 모재(100)의 상면을 먼저 수행하고 이어서 하면을 수행하여 양면에 걸쳐 적외선건조잉크(110)의 도포 건조과정을 수행한다.
이후에 모재(100)를 작업테이블에 세팅하고, 가공기의 하나인 라우터를 이용하여 도 6의 (c)와 같이 수십여 개의 버퍼몸체(15)들이 배열 유지되도록 라우팅 가공을 하였다. 이때, 라우터 가공은 모재(100) 상의 버퍼몸체(15)들이 모재(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나이상의 브리지(120)로 연결되고 상기 버퍼(10a)들은 브리지(120)를 통해 통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위와 같이 모재(100)에 라우팅작업을 수행한 후 2~4회 수세한 다음, 전기도금장치 내에 물 1,000ℓ당 유산니켈 18~22㎏, 염화니켈 4~6㎏, 붕산 3~5㎏을 함유하는 도금액에 침지한다. 이때, 도금액에 침지된 모재(100)의 수량은 10여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도금장치에 DC 정류기를 사용하여 +극에 금속니켈을 티타늄 소재의 망에 넣어주고 -극에 수세처리된 모재(100)를 걸어준 다음, DC전압 2~4V, 전류 95~105A의 조건에서 약 8~12분 정도 통전시키면서 도금액의 상면에서 연마재인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를 골고루 뿌려준다. 이때,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의 크기는 150~240메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를 뿌려주면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는 도금액의 하부로 가라앉으면서 침전되기 시작하고, 이렇게 침전 중에 니켈이온과 함께 버퍼몸체(15)를 이루는 수지기재(16)의 동박(17)표면에 골고루 적층되듯이 부착되게 된다.
위와 같이 금석도금을 한 후 다른 전기도금장치 내에 물 1,000ℓ당 유산니켈 18~22㎏, 염화니켈 4~6㎏, 붕산 3~5㎏을 함유하는 도금액에 침지한다. 상기 전기도금장치에 DC 정류기를 사용하여 +극에 금속니켈을 티타늄 소재의 망에 넣어주고 -극에 수세처리된 모재(100)를 걸어준 다음, DC전압 2~4V, 전류 95~105A의 조건에서 약 20~30분 정도 통전시켜 수지기재(16)의 동박(17)표면에서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가 박리되지 않도록 니켈도금을 통하여 더욱 견고하게 굳힌다.
이와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를 굳힌 후 전기도금장치에서 모재(100)를 꺼낸 다음 다시 가성소다 등의 알칼리 액에 담가서 모재(100) 및 버퍼몸체(15)의 표면에 도포된 적외선건조잉크(110)를 녹여 벗겨낸다.
위와 같이 적외선건조잉크(110)를 벗겨낸 후 광택전기도금장치 내에 물 1,000ℓ당 유산니켈 18~22㎏, 염화니켈 4~6㎏, 붕산 3~5㎏ 및 광택제(유-라이트) 6~8ℓ를 함유하는 광택도금액에 침지한다. 상기 전기도금장치에 DC 정류기를 사용하여 +극에 금속니켈을 티타늄 소재의 망에 넣어주고 -극에 수세처리된 모재(100)를 걸어준 다음, DC전압 2~4V, 전류 95~105A의 조건에서 약 8~12분 정도 통전시킨다. 이렇게 통전되는 과정에서는 모재(100)를 이루는 수지기재(16)의 동박(17)표면에 화이트 알루미나입자(18)를 견고하게 감싸고 있는 니켈도금표면에 다시 니켈이 도금되면서 광택제에 의해 광택이 나게 된다.
상기 광택도금장치에서 모재(100)를 꺼낸 후 수차례에 걸쳐 수세한 다음 건조하고 모재(100)로부터 버퍼(10a)들이 연결된 브리지(120)부분을 잘라냄으로써 완제품의 버퍼를 얻는다. 이때, 버퍼(10a)의 브리지(120)부분이 외곽으로 돌출되거나 버어(burr)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모재(100)의 한쪽으로부터 모재(100) 상에 수십여 개의 버퍼(10a)들이 배열 유지되도록 라우터를 이용하여 버퍼 형상대로 라우터 가공을 하였으나, 한 쌍의 상하금형을 이용하여 버퍼(10a) 주위의 수지기재를 따내는 피어싱(piercing)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손톱 및 발톱 등의 표면이나 그 끝단을 연마하거나 마무리함은 물론 발바닥 등의 굳은살을 제거하는 미용용구분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a: 버퍼 12: 손잡이
13: 선단 14: 연마부
15: 버퍼몸체 16: 수지기재
17: 동박 18: 화이트 알루미나입자
19: 니켈도금층 100: 모재
110: 적외선건조잉크 120: 브리지

Claims (3)

  1. 모재의 일면 또는 양면 동박층에 통상의 방법으로 1차 니켈도금을 수행함과 동시에 화이트 알루미나입자를 부착하는 연마재부착단계, 이후에 2차 니켈도금을 수행하여 연마재를 확실하게 굳히는 굳힘 단계, 이후에 3차 광택니켈도금을 수행하여 광택을 내고 세정하는 광택세정단계, 이후에 동박판재에서 각각의 버퍼몸체를 따내어 마무리하여 완제품의 버퍼를 얻는 버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부착단계 이전에 수지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동박이 코팅된 사각형의 동박판재를 마련하는 모재구비단계, 모재인 사각형의 동박판재에 수십여 개의 버퍼몸체들이 2열로 배열된 버퍼몸체의 손잡이 및 선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재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4열의 적외선건조잉크를 도포하는 잉크도포단계, 이후에 수십여 개의 버퍼몸체 형상이 배열 유지됨과 아울러 버퍼몸체들이 모재에서 분리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브리지로 연결되고 상기 버퍼몸체들은 브리지를 통해 통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라우터 가공을 수행하는 라우팅단계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단계는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다수의 버퍼몸체들이 배열 유지되도록 버퍼의 외곽을 따내는 피어싱 가공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KR1020160095370A 2016-07-27 2016-07-27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KR101829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70A KR101829542B1 (ko) 2016-07-27 2016-07-27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70A KR101829542B1 (ko) 2016-07-27 2016-07-27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485A KR20180012485A (ko) 2018-02-06
KR101829542B1 true KR101829542B1 (ko) 2018-02-23

Family

ID=6122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370A KR101829542B1 (ko) 2016-07-27 2016-07-27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5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49Y1 (ko) * 2002-07-31 2002-11-14 권혁수 각질 연마도구
KR101602544B1 (ko) * 2010-11-18 2016-03-10 캐보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투과성 영역을 포함하는 연마 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49Y1 (ko) * 2002-07-31 2002-11-14 권혁수 각질 연마도구
KR101602544B1 (ko) * 2010-11-18 2016-03-10 캐보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투과성 영역을 포함하는 연마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485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4557A1 (en) Polymer microwedg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101047366B1 (ko) 금속 소재의 이중 표면처리 방법
KR101829542B1 (ko) 손톱용 버퍼의 제조방법
KR101890194B1 (ko) 손톱 손질도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손톱 손질도구
KR200250150Y1 (ko) 굳은살 제거용구
JP5495981B2 (ja) 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KR101736291B1 (ko) 장신구 및 장신구 도금 방법
KR102048715B1 (ko) 칠보가 포함된 도금제 금속장식품의 제작방법
KR100454138B1 (ko) 각질 연마도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94949Y1 (ko) 각질 연마도구
KR101387612B1 (ko) 혁대용 버클 및 그 제조방법
EP104914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nlaid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wafer
CN110215023A (zh) 一种珠宝加工方法
CN101491801A (zh) 建筑铝型材焊接表面覆塑工艺
KR200429286Y1 (ko) 다이아몬드 입자가 부착된 브러시 공구
CN218140828U (zh) 一种外表面具有掐丝图文结构的物品
CN113687588B (zh) 制造钟表的钟表部件的方法
JPH0360556B2 (ko)
KR101777181B1 (ko) 논슬립 전착 제조방법
KR20030000879A (ko) 손톱 연마용 줄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6906B1 (ko) 표면가공용 다이아몬드 페이퍼의 제조방법
KR20110082314A (ko) 법랑상판이 부착된 법랑책상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법랑책상판
CN112575356A (zh) 接合线去除方法
GB1183643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urface-Cleaning Devices.
KR101408853B1 (ko) 내마모성이 향상된 치기공용 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