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33B1 -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33B1
KR102110933B1 KR1020187032945A KR20187032945A KR102110933B1 KR 102110933 B1 KR102110933 B1 KR 102110933B1 KR 1020187032945 A KR1020187032945 A KR 1020187032945A KR 20187032945 A KR20187032945 A KR 20187032945A KR 102110933 B1 KR102110933 B1 KR 10211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ember
flavor
heat source
ignition end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394A (ko
Inventor
타케시 아키야마
타카시 오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aper (AREA)
  • Packages (AREA)
  • Cook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향미원으로의 열의 전도가 과잉이 되지 않고, 또한 그 차이를 적게 함과 아울러, 향미 흡인기의 경량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 모양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착화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과, 상기 소정 방향에서 상기 연소형 열원에 대하여 상기 비착화단 측에 배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향미원을 유지하는, 측벽과 저판을 가지는 컵 형상의 컵 부재와, 상기 연소형 열원 및 컵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컵 부재와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컵 부재는, 상기 연소형 열원보다 비착화단 측에 상기 컵 부재의 저판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착화단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 또는 상기 비착화단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지 부재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컵 부재를 구성하는 적어도 측벽과 저판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에 의해 해결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본 발명은,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향미원을 유지하는 컵 부재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 대신에, 담배 등의 향미원을 연소시키는 일 없이, 향미를 맛보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이하, 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소형 열원과, 담배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향미원과,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가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에는, 열전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컨테이너에 의해, 연소형 열원과 향미원을 유지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 컨테이너는, 향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비착화단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멍이 설치된 저판(底板)을 가지는 컵 형상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는 향미원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로서, 열전도 부재에 의해 구성된 컵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이 컵 부재는, 연소형 열원의 삽입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소형 열원의 비착화단 측의 단면을 계지(係止)하는 계지 부분을 적어도 가지는 조부(爪部)를 가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5105831호 특허문헌 2 : 국제공개 제2015/174442호
특허문헌 1이나 2에 기재된 연소형 열원과 향미원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에 관해서는, 모두 금속과 같은 열전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점에서, 향미원으로의 열의 공급이 과잉이 되거나, 장소에 따라 열이 전해지는 방향이 불규칙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컵 부재를 이용한 향미 흡인기에서는 경량화나 코스트 삭감의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향미원으로의 열의 전도가 과잉이 되지 않고, 또한 그 차이를 적게 함과 아울러, 향미 흡인기의 경량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미 흡인기가 가지는 컵 부재로서,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착화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과,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소형 열원에 대하여 상기 비착화단 측에 배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향미원을 유지하는, 측벽과 저판을 가지는 컵 형상의 컵 부재와, 상기 연소형 열원 및 컵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컵 부재와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컵 부재는, 상기 연소형 열원보다 비착화단 측에 상기 컵 부재의 저판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착화단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 또는 상기 비착화단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지 부재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컵 부재를 구성하는 적어도 측벽과 저판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미원을 유지하는 컵 부재로서, 펄프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을 이용하고, 또한, 연소형 열원 및 컵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컵 부재와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향미원에 열이 급격하게 전해지거나, 열이 전해지는 쪽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향미 흡인기의 경량화와, 그 제조시의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a] 도 1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 도 1b는, 실시형태 1에서, 유지 부재(1)와 필터(5)의 위치 관계를 도 1a로부터 변경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컵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실시형태 3에 따른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컵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컵 부재(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유지 부재(1)와, 컵 부재(500)와, 연소형 열원(2)과, 향미원(3)과, 열전도 부재(4)와, 필터(5)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1에서,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의 연소를 수반하지 않는 향미 흡인기이다.
유지 부재(1)는,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유지 부재(1)는, 원통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을 가진다.
유지 부재(1)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의 종이를 원통 모양으로 만곡시켜 종이의 양단 연부(緣部)를 맞추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관(紙管)이다. 유지 부재(1)에 이용하는 종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지(厚紙)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평량 : 100∼300g/m2, 두께 : 150∼500㎛의 종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 부재(1)에 이용하는 종이로서, 평량 50∼100g/m2, 두께 : 90∼110㎛, 바람직하게는 100㎛의 종이를 2매 준비하여, 그들을 첩합(貼合)해서 이용해도 된다.
열전도 부재(4)는, 적어도 컵 부재(500)의 측면의 일부를 덮고, 유지 부재(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열전도 부재(4)가 존재함으로써, 유지 부재(1) 및 컵 부재(500)의 열에 의한 분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 부재(4)는, 컵 부재(500)의 비착화단 측의 단면(후술하는 저판(52))보다 비착화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컵 부재(500)로부터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放熱)할 수 있다. 한편, 열전도 부재(4)의 비착화단 측의 단부는, 필터(5)보다 착화단 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 부재(4)의 두께는 10∼50㎛, 바람직하게는 15∼30㎛를 들 수 있다. 열전도 부재(4)가 상기한 바람직한 두께의 범위이면, 향미원(3)으로부터 발생하는 흡인마다의 향미량의 평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열전도 부재(4)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유지 부재(1)와 열전도성 부재(4)는, 적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부재(1)로서의 판지에, 열전도성 부재(4)로서의 알루미늄이 부분적으로 적층된 알루미늄 첩합지(貼合紙)를 원통 모양으로 만곡시켜서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첩합지를 이용하는 경우, 알루미늄이 적층된 면이 내벽이 되도록, 원통 모양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에서는, 연소형 열원(2)의 일부와, 컵 부재(500)의 측면의 전면(全面)이 열전도성 부재(4)에 의해 덮여 있지만, 반드시 컵 부재(500)의 측면의 전면이 열전도성 부재(4)에 의해 덮일 필요는 없다.
실시형태 1에서, 컵 부재(500)와 열전도성 부재(4)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점착제가 개재하는(도시하지 않음) 태양(態樣)을 예로 들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점착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머로서는 비닐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폴리머를 얻기 위한 모노머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모노머로서 아세트산비닐을 이용함으로써, 향끽미로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컵 부재(500)와 열전도성 부재(4)를 고정화할 수 있다.
컵 부재(5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51)과, 저판(52)과, 플랜지(53)와, 리브(54)를 가진다. 실시형태 1의 컵 부재(500)는 측벽(51) 및 저판(52)에 의해 구성되는 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연소형 열원(2)을 유지함과 아울러, 향미원(3)을 유지하는 태양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컵 부재(500)는, 비착화단 측에 컵 부재(500)의 저판(52)이 배치됨과 아울러, 착화단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유지 부재(1)에 삽입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서, 컵 부재(500)의 크기로서는 저판(52)의 직경이 3∼10mm, 바람직하게는 4∼8mm,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의 길이(컵 부재(500)의 높이)로서, 5∼20mm, 바람직하게는 7∼12mm인 태양을 예로 들 수 있다.
측벽(51)은 통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저판(52)은, 측벽(51)에 의해 구성되는 한 쌍의 개구의 한쪽을 막는다. 또한, 측벽(51)의 비착화 측 단부는, 도 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저판(52)의 연부에서 접합하고 있는 태양뿐만 아니라, 저판(52)의 연부를 넘어 비착화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태양을 예로 들 수도 있다.
저판(52)에는, 통기 구멍(52a)이 설치되어도 된다. 통기 구멍(52a)은, 향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비착화단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멍이다. 통기 구멍(52a)의 구멍 지름은, 컵 부재가 유지하는 향미원의 입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0.4∼0.8mm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2에서는 통기 구멍(52a)이 10개 배치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52a)의 수 및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측벽(51)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0.3mm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저판(52)의 두께는, 측벽(51)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3∼1.0mm를 예로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mm이다.
또한, 저판(52)과 측벽(51)의 두께의 차는, 0.1mm 이상인 태양을 예로 들 수 있고, 0.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판(52)과 측벽(51)의 두께의 비는, 1.2 이상인 태양을 예로 들 수 있고,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판(52)의 두께의 범위는, 고온에 노출되는 컵 부재의 저판(52)의 내열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소형 열원이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긴 공동(空洞)(6)을 가지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또한, 측벽(51)의 두께에는, 후술하는 플랜지(53)나 리브(54)의 두께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2에서, 측벽(51)은 저판(52)과 대략 수직의 위치 관계에 있지만, 도 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착화단 측의 개구의 직경이, 저판(52)의 직경보다 커지는 관계가 되도록, 측벽(51)이 경사져서 테이퍼 모양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1에서, 플랜지(53)는 컵 부재(500)의 개구부의 외주(外周)로부터 컵 부재(500)의 외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5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1)에 의해 형성되는 통 모양의 지름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형상이며, 컵 부재(500)의 개구부의 외주 전체를 덮게 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또한, 플랜지(53)는, 컵 부재(500)의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간헐적으로 복수 설치되고, 또한 컵 부재(500)의 외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플랜지(53)는, 컵 부재(500)가 유지 부재(1)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1)의 개구의 외주에 걸린다(係止). 이에 의해, 컵 부재(500)의, 유지 부재(1)의 비착화단 측으로의 삽입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측벽(51)의 착화단 측 단부와 플랜지(53)가 접합하고 있지만, 측벽(51)의 착화단 측 단부는 유지 부재(1)의 착화단 측 단부를 넘어 착화단 측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랜지(53)가 유지 부재(1)의 착화단 측 단부에 걸림과 아울러 측벽(51)의 외주를 따라서 외측으로 튀어나오도록 플랜지(53)가 설치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컵 부재(500)의 내부 공간은, 컵 부재(500) 내부의 제1 공간(56)(이하, 제1 공간이라고도 한다)과, 컵 부재(500) 내부의 제2 공간(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공간(56)에는, 리브(54)와 같은 측벽(51)의 내벽 측에, 컵 부재 내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태양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공간에 돌출부로서 리브(54)가 등간격으로 3개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상기 컵 부재(500) 내에 배치된 돌출부가, 상기 연소형 열원(2)의 비착화단 측의 단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2)이 컵 부재(500)에 유지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소형 열원(2)은, 상기 컵 부재(500)와 바인더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리브(54)는, 컵 부재(500)의 측벽(51)의 내벽면으로부터 컵 부재(50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저판(52)으로부터 착화단 측으로 내벽면을 따라 연속하여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리브(54)의 길이방향의 길이(높이)는, 컵 부재(500)의 저판(52)으로부터 플랜지(53)까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리브(54)의 착화단 측의 두정부(頭頂部)의 위치가, 플랜지(53)보다 비착화단 측에 존재하는 태양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소형 열원이, 착화단 측에 위치하는 리브(54)의 두정부에서 계지(係止)됨으로써, 연소형 열원이 컵 부재(500)의 저판(52)까지 도달하는 일 없이, 그 삽입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컵 부재(500)의 제2 공간(55)은, 컵 부재의 개구로부터 리브(54)의 착화단 측의 두정부까지의 컵 부재(500) 내의 공간에 상당하고, 제1 공간(56)은, 리브(54)의 착화단 측의 두정부로부터 저판(52)까지 사이의 컵 부재(500) 내의 공간에 상당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이 제1 공간(56)에 향미원(3)을 수용하는 태양을 예로 들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 제1 공간의 체적은 제2 공간의 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공간과 제2 공간의 소정 방향의 길이(높이)는, 제1 공간 쪽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
컵 부재(500)에 있어서, 리브(54)와 같은 돌출부는, 컵 부재(500)의 내벽면을 따라 복수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3개, 4개 또는 5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복수개의 리브(54)는 컵 부재(500)의 내벽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가 3∼5개 정도 컵 부재(500)의 내벽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존재함으로써, 제1 공간(56)의 공간의 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연소형 열원(2)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는, 리브(54)와 같은 횡방향의 단면이 반원 모양인 것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리브(54)의 태양으로서는, 컵 부재(500)의 제1 공간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저판(52)으로부터 개구 방향을 향하여 일정, 증가 또는 감소하는 태양, 다시 말해, 리브(54)의 횡방향의 단면 형상이, 소정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태양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밖의 예로서 저판(52)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한 태양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의 태양은, 리브(54)의 횡방향의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든가, 혹은 변화시킨 것이다.
또한, 리브(54)와 같이 저판(52)으로부터 내벽면을 따라 착화단 측으로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연소형 열원을 계지하는 데에 필요한 크기의 돌기이면 된다. 돌출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컵 부재(500)를 구성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에서, 컵 부재(500)가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돌출부(리브(54))를 컵 부재(500)의 내벽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 인접하는 각 돌출부(리브)의 반원 모양 단면의 각 정점(頂点)(단면 형상이 반원 모양 단면이 아닌 경우나, 단면 형상이 소정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경우는, 컵 부재(500)의 개구부를 상부로 하여 바로 위에서 본 때의 각 돌출부의 컵 부재(500)의 내벽면으로부터의 최대 길이를 가지는 각 정점)을 잇는 최단거리 선(도 2의 점선)보다 컵 부재(500)의 내벽면측의 위치에, 통기 구멍(52a)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태양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컵 부재(500)의 저판(52)의 연부에 가까운 개소까지 통기 구멍이 설치되게 되어, 컵 부재(500) 내에서의 공기의 대류를 촉진해서, 효율적으로 향미원과 공기를 접촉시키거나, 비착화단 측으로의 향미의 송달 효율을 높이거나 하는 것에 기여한다.
실시형태 1에서, 컵 부재(500)(적어도 측벽(51)과, 저판(52)을 가진다)는,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컵 부재(500)가, 측벽(51)과 저판(52)에 더하여, 플랜지(53)나 리브(54)를 가지는 경우에도,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펄프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목재 펄프 등을 특단의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컵 부재에 있어서의, 펄프의 함유량은, 컵 부재 전량에 대하여 30∼70중량%인 태양을 예로 들 수 있고, 5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로서는 유기 바인더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분, 카복시알킬셀룰로오스 및 그 염류, 예를 들면, 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카복시에틸셀룰로오스-나트륨,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 냉수 가용성 폴리비닐알코올, 카복시메틸화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염, 부텐디올·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인더로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그 염을 이용하는 경우, 그 에테르화도(度)는 0.5∼1.0을 예로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5∼1.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5∼0.65이다. 에테르화도의 하한값이 0.5임으로써, 컵 부재의 강도나 그 성형시의 유동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한편, 에테르화도의 상한값이 1.0임으로써, 컵 부재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건조 속도가 뛰어나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그 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 CMC-Na)을 이용한 경우, 향끽미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 에테르화도가 0.55∼0.65의 CMC-Na를 이용하는 태양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컵 부재의 제조 시에는, 재료에 이형제를 더해도 된다. 이형제로서는, 금속 비누를 들 수 있다. 금속 비누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 수는, 12∼20 정도를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지방산으로서는 스테아린산이 바람직하다. 비알칼리 금속으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알루미늄, 스트론튬을 들 수 있고, 칼슘이 바람직하다.
금속 비누의 구체 예로서는,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트론튬, 라우린산 칼슘, 라우린산 마그네슘, 라우린산 아연, 라우린산 알루미늄, 라우린산 스트론튬의 단독 혹은 그들을 복수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것은, 스테아린산 칼슘이다. 스테아린산 칼슘을 이용하는 경우, 향끽미에의 영향이 적다.
이형제를 재료에 더하는 경우, 펄프와 바인더의 혼합물을 100중량%로 한 때에, 그들 혼합물에 대해, 0.3∼2.0중량%를 들 수 있다.
컵 부재(50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사출 성형을 들 수 있다. 펄프를 30∼70중량%, 바람직하게는 50∼70중량%, 바인더를 20∼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 (펄프와 바인더의 중량비로서, 25:75∼7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75∼45:55)를 포함하는 재료에, 펄프와 바인더의 합계 중량을 100으로 한 경우에 30∼100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물을 첨가한 후의 재료를 혼련하여 성형 재료를 조제할 수 있다. 사출 성형에서는, 이 성형 재료를 캐비티를 형성하는 형(型) 벽면의 온도가 120∼240℃, 바람직하게는 160∼220℃이 되도록 가열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고온의 금형의 캐비티 내에 상기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재료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을 거침으로써, 일체 성형품의 컵 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 컵 부재(500)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종래의 금속제 컵 부재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재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컵 부재(500)가 일체 성형품인 경우에는, 향미 흡인기의 제작에 관련되는 공정의 삭감으로 이어져, 코스트의 저감에 기여한다.
상기 컵 부재는 일체 성형으로 제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컵 부재의 재료를 미리 성형하여 얻은 부품을, 상기에서 예로 든 바인더(예를 들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상기 컵 부재를 얻어도 된다.
그 구체적인 태양을 상기 컵 부재(500)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1) 상기 컵 부재(500)의 저판(52)에 상당하는 부품과, 플랜지(53)를 가지는 측벽(51)에 상당하는 부품을 따로따로 성형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접착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2) 상기 컵 부재(500)의 저판(52)과 측벽(51)의 일부를 가지는 부품과, 측벽(51)의 나머지 부분과 플랜지(53)를 가지는 부품을 따로따로 성형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접착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51) 측에서 보아, 상하로 분할한 2개의 부품을 성형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접착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3) 상기 컵 부재(500) 중, 플랜지(53)를 제외한 부품과, 플랜지(53)에 상당하는 부품을 따로따로 성형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접착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4) 상기 컵 부재(500)에 관하여, 개구측(바로 상측)에서 보아 좌우로 이분할된 부품을 각각 성형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접착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5) 상기 컵 부재(500) 중, 리브(54)를 제외한 부품과, 리브(54)에 상당하는 부품을 따로따로 성형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접착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6) 상기 (1)∼(5)에서 예로 든 따로따로 성형하는 부품의 형상에 관해서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또한, 부품 수를 2점에서 3점 이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상기에서 예로 든 각 부품의 성형은, 상기에서 설명한 사출 성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연소형 열원(2)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연소형 열원(2)은, 긴 공동(6)을 가진다. 긴 공동(6)은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연소형 열원(2)을 관통한다. 긴 공동(6)이 연소형 열원(2)을 관통하고 있는 것에 의해, 대류 전열에 의한 향미원의 가열이 발생한다.
긴 공동(6)은, 그 횡방향 단면에 있어서, 연소형 열원(2)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형 열원(2)은, 착화단 측의 단면에, 긴 공동(6)과 연통하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해당 홈은, 연소형 열원(2)의 측면까지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홈의 태양으로서는, 착화단 측의 단면에서 직교하도록 2개 설치하는 태양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홈의 폭으로서는, 0.5∼0.8mm인 태양을 들 수 있고, 홈의 깊이로서는 2.0∼4.0mm 정도를 들 수 있다.
연소형 열원(2)은, 원주(圓柱) 모양이나 다각 기둥 모양의 형상인 태양을 예로 들 수 있다.
연소형 열원(2)은, 가연성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가연성 물질의 예로서는, 탄소 재료, 불연 첨가물, 바인더(유기 바인더 또는 무기 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탄소 재료로서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휘발성의 불순물을 제거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에서, 연소형 열원(2)은, 컵 부재(500)의 제2 공간(55)에, 그 일부가 끼워 넣어진다. 그때, 제2 공간(55)을 구성하는 측벽(51)의 내면의 일부, 예를 들면 개구부 부근의 1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2점에 바인더(예를 들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를 도포하여, 연소형 열원(2)과 상기 컵 부재(500)를 접착해도 된다. 연소형 열원(2)과 상기 컵 부재(500)를 접착함으로써, 연소형 열원(2)이 상기 컵 부재(50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컵 부재로서 금속을 재료로서 이용한 것에서는, 바인더와 금속의 친화성이 나쁘므로, 컵 부재와 연소형 열원의 접착이 곤란했다.
연소형 열원(2)은, 연소형 열원(2)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에, 30∼70중량%의 범위의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45중량%의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소형 열원(2)에 있어서의 탄소 재료의 범위가 상기의 것이면, 열량의 공급이나 재의 단속 등의 연소 특성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연소형 열원에 이용해도 되는 유기 바인더의 예로서는, CMC-Na(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염, EVA, PVA, PVAC 및 당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연소형 열원에 이용해도 되는 무기 바인더의 예로서는, 정제(精製) 벤토나이트 등의 광물계, 또는, 콜로이달실리카나 물유리나 규산칼슘 등의 실리카계 바인더를 이용할 수 있다.
연소형 열원은, 향미의 관점에서, 연소형 열원(2)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에, 1∼10중량%의 CMC-N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중량%의 CMC-Na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불연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규소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산염이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연소형 열원(2)은, 연소형 열원(2)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때에, 40∼89중량%의 불연 첨가물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불연 첨가물로서 탄산칼슘을 이용하는 경우, 연소형 열원(2)은, 45∼60중량%의 불연 첨가물을 포함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연소형 열원(2)은, 모든 개소에서 균일한 재료의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고, 연소형 열원을 구성하는 부위에 따라, 상이한 조성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1에서, 연소형 열원(2)의,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의 길이(소정 방향의 길이)는, 5∼30mm를 들 수 있고, 10∼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형 열원(2)의 횡방향의 크기(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3∼15mm를 들 수 있다. 연소형 열원(2)이 원통 형상인 경우, 횡방향 길이는 원통의 외경에 상당한다. 연소형 열원이 원통 형상이 아닌 경우, 횡방향 길이의 최대값을 횡방향의 크기로 한다.
실시형태 1에서, 유지 부재(1)로부터 연소형 열원(2)이 노출되는 길이(돌출 길이)는 5∼15mm인 태양을 들 수 있고, 5∼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지 부재(1)에 대한 연소형 열원(2)의 삽입 길이는 2∼10mm인 태양을 들 수 있고, 1∼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에서, 향미원(3)은, 소정 방향에서 연소형 열원(2)에 대하여 비착화단 측에 인접한다. 향미원(3)은, 복수의 향미편(香味片)에 의해 구성되는 태양이나, 단일 향미원으로 구성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향미원(3)으로서는, 예를 들면 담배 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향미편이 담배 원료로 구성되는 경우, 그 담배 원료는, 시가렛(지권(紙卷) 담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담배 가루여도 되고, 코담배에 사용되는 입상(粒狀) 담배여도 된다.
단일 향미원으로 구성되는 태양으로서는, 재생 담배 시트와 같은 담배 시트를 향미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향미원(3)은, 담배 원료에 더하여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에어로졸원이나, 원하는 향료를 포함해도 된다. 향미원(3)으로서 담배 원료를 이용하는 경우, 그 입경은 체 선별 입경으로 1.4mm pass∼0.71mm on을 들 수 있다. 향미원(3)으로서 담배 원료를 이용하는 경우의, 그 입경의 다른 태양으로서, 체 선별 입경으로 1.7mm pass∼1.18mm on을 예로 들 수도 있다.
실시형태 1에서, 향미원(3)은, 컵 부재(500) 내의 제1 공간(56)에 유지된다.
실시형태 1에서, 필터(5)는, 유지 부재(1)의 비착화단 측 단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필터(5)는 유지 부재(1)의 내부에서, 컵 부재(500)와의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필터(5)는, 컵 부재(500)와 맞닿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필터(5)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종이, 또는 다른 적절한 공지의 필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5)는, 휘발성의 향미 성분을 포함해도 되고, 향료를 내용물로 하는 캡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도 1a에서는, 필터(5)의 외주가 유지 부재(1)에 의해 덮인 태양을 나타낸다.
도 1b에 유지 부재(1)와 필터(5)의 위치 관계를 변경한 예를 나타낸다. 도 1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1)의 비착화단 측의 단부에 접하도록 필터(5)를 배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부재(1)의 비착화단 측의 단부와, 필터(5)의 착화단 측의 단부를 대향시키고, 유지 부재(1)의 외주 및 필터(5)의 외주를 덮도록 한 접합 부재(7)에 의해, 유지 부재(1)와 필터(5)를 결합해도 된다. 접합 부재(7)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나 필름, 금속 박막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종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합 부재에 이용하는 종이로서는, 예를 들면, 지권 담배에 있어서 권지와 필터를 결합하기 위해 이용하는 팁 페이퍼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열전도 부재(4)의 비착화단 측의 단부는, 접합 부재(7)의 착화단 측 단부보다 착화단 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도 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향미 흡인기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과 구성 요소는 동일하고, 향미 흡인기(101)는, 유지 부재(1)와, 컵 부재(501)와, 연소형 열원(2)과, 향미원(3)과, 열전도 부재(4)와, 필터(5)를 가진다.
이하, 실시형태 1과 상이한 컵 부재(50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컵 부재(501)는, 그 개구의 외주로부터 컵 부재(501)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컵 부재(501)의 측벽은, 컵 부재(501)의 착화단 측의 개구의 직경이, 저판의 직경보다 커지는 관계를 가지는 테이퍼 모양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컵 부재(501)의 치수나, 측벽 및 저판의 두께나 그들의 비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컵 부재(501)의 내벽면에 구비되어도 되는 돌출부나, 컵 부재(501)의 저판(52)에 설치되어도 되는 통기 구멍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1의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연소형 열원(2)과 컵 부재(501)는 맞닿아 있지 않으며, 연소형 열원(2)과 컵 부재(501)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한다. 연소형 열원(2)으로부터의 열은, 열전도성 부재(4)를 통하여 컵 부재(501)와, 그 내부에 유지되어 있는 향미원(3)에 전해진다. 연소형 열원(2)과 열전도성 부재(4)는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해 연소형 열원의 연소 위치가 열전도성 물질의 근방에 도달한 때에, 보다 확실하게 연소형 열원의 소화(消火)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소형 열원(2)과 컵 부재(501)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는 것에 의해, 컵 부재(501)의 과도한 축열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컵 부재(501)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컵 부재(500)와 마찬가지로, 측벽(51)과 저판(52)을 적어도 가지는 컵 부재(501)는, 펄프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 제조 방법이나 컵 부재를 구성하는 요소나 재료의 조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컵 부재(501)는 일체 성형품에 더하여, 미리 성형하여 얻은 복수의 부품을 접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열전도성 부재(4)와 컵 부재(501) 사이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가 개재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향끽미로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컵 부재(501)와 열전도성 부재(4)를 고정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에서, 유지 부재(1), 연소형 열원(2), 향미원(3), 열전도성 부재(4), 필터(5)의 재료나 위치 관계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컵 부재(500)로 얻어지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구성의 일부와, 실시형태 2의 구성의 일부를 적절히 조합하여 향미 흡인기를 제작해도 된다.
<실시형태 3>
도 4는 실시형태 3에 따른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이나 2와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동일하고, 향미 흡인기(102)는, 유지 부재(1)와, 컵 부재(502)와, 연소형 열원(2)과, 향미원(3)과, 열전도 부재(4)와, 필터(5)를 가진다.
실시형태 1이나 2에서는, 컵 부재(500)나 컵 부재(501)의 개구가 착화단 측에 위치하도록 컵 부재가 유지 부재(1) 내에 삽입되어 있었지만, 실시형태 3에서는 컵 부재(502)의 개구가 비착화단 측에 위치하도록 유지 부재(1)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서는, 연소형 열원(2), 향미원(3), 컵 부재(502)를 미리 정렬시켜, 그들을 유지 부재(1)로 감아 올려 제조(권상(卷上)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실시형태 3에 따른 컵 부재(502)를 나타낸다. 컵 부재(502)는, 측벽(51)과, 저판(52)을 가진다. 실시형태 3에서, 향미원(3)은 연소형 열원(2)과 컵 부재(502)의 저판(52) 사이에 유지되는 위치 관계를 가진다. 실시형태 3의 다른 태양에서는, 플랜지(53)가, 컵 부재(502)의 개구부로부터 컵 부재(502)의 외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는 형상으로 존재해도 된다. 그 경우, 플랜지(53)는, 유지 부재(1)의 비착화단 측 단부와 맞닿는 태양을 예로 들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컵 부재(502)의 측벽(51)의 착화단 측 단부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52)보다 착화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이 태양에서는, 컵 부재(502)의 착화단 측 단면의 주위를, 연신(延伸)된 측벽(51)이 둘러싸도록 주벽(周壁)을 형성하고 있다.
다른 태양으로서는, 컵 부재(502)의 측벽의 착화단 측 단부가 저판(52)의 연부까지 연장되어, 저판(52)의 연부와 접합되어 있는 태양을 예로 들 수도 있다.
실시형태 3에서, 컵 부재(502)의 저판(52)에는, 통기 구멍(52a)이 설치되어 있다. 통기 구멍(52a)의 배치에 관해서는, 가능한 한 측벽(51)의 근방까지 분산하여 설치되어 있는 태양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에 의하면, 컵 부재(501)의 공간 내에서의 공기의 대류를 촉진하여, 효율적으로 향미원과 공기를 접촉시키거나, 비착화단 측으로의 향미의 송달 효율을 높이거나 하는 것에 기여한다.
실시형태 3에서, 컵 부재(502)의 크기로서는 저판(52)의 직경이 3∼10mm, 바람직하게는 4∼8mm,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의 길이(컵 부재(502)의 높이)로서, 30∼80mm를 들 수 있다.
컵 부재(502)의 측벽(51) 및 저판(52)의 두께나 그들의 비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에 따른 컵 부재(50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컵 부재(500)와 마찬가지로, 펄프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 제조 방법이나 컵 부재를 구성하는 요소나 재료의 조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컵 부재(502)는 일체 성형품에 더하여, 미리 성형하여 얻은 복수의 부품을 접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서는, 열전도 부재(4)와 컵 부재(502)는 맞닿아 있다.
컵 부재(502)의 측벽(51)의 비착화단 측의 단부는, 필터(5)의 착화단 측 단면과 대향하여 접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에서는, 향미 흡인기(102)의 사용시에, 향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향미가, 컵 부재(502)의 내부의 공간과 필터(5)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구강 안까지 효율적으로 송달된다.
실시형태 3에서, 유지 부재(1)와 필터(5)는, 접합 부재(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접합 부재(7)는, 실시형태 1과 동일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필터(5)에는, 향료를 내용물로서 포함하는 캡슐(8)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컵 부재(502)의 측벽은, 컵 부재(502)의 비착화단 측의 개구의 직경이, 저판의 직경보다 커지는 관계를 가지는 테이퍼 모양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권상 제조에 의해 향미 흡인기를 제조하는 경우는, 컵 부재(502)의 측벽은 테이퍼 모양으로 경사져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3에서, 유지 부재(1), 연소형 열원(2), 향미원(3), 열전도성 부재(4), 필터(5)의 재료나 위치 관계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2의 구성의 일부와, 실시형태 3의 구성의 일부를 적절히 조합하여 향미 흡인기를 제작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종래의 향미 흡인기에 구비되어 있었던 향미원을 유지하기 위한 컵 부재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재료로 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펄프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 컵 부재를 향미원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채용함과 아울러, 연소형 열원 및 컵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컵 부재와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에 의해, 금속제의 컵 부재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향미원에 급격하게 열이 전해지거나, 열이 전해지는 쪽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향미 흡인기의 경량화나 제조시의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3)

  1.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착화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과,
    상기 유지 부재 내에서 상기 연소형 열원에 대하여 상기 비착화단 측에 배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향미원을 유지하는, 측벽과 저판을 가지는 컵 형상의 컵 부재와,
    상기 연소형 열원 및 컵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컵 부재와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컵 부재는, 상기 연소형 열원보다 비착화단 측에 상기 컵 부재의 저판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착화단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 또는 상기 비착화단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지 부재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컵 부재를 구성하는 적어도 측벽과 저판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재료의 일체 성형품인,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연소형 열원이,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연소형 열원을 관통하는 긴 공동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의 저판에 통기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는, 컵 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유지 부재의 개구의 외주에 걸리는(係止),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는, 그 내벽면에 컵 부재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연소형 열원의 비착화단 측의 단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이 컵 부재에 유지되는,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컵 부재의 내벽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의 저판에 복수개의 통기 구멍이 설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를 잇는 최단거리 선보다 상기 컵 부재의 내벽면 측의 위치에, 상기 통기 구멍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와 열전도성 부재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점착제가 개재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의 저판의 두께가 0.3∼1.0mm인,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부재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가 10∼50㎛인, 향미 흡인기.
KR1020187032945A 2016-04-27 2017-04-25 향미 흡인기 KR102110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3201 WO2017187555A1 (ja) 2016-04-27 2016-04-27 香味吸引器
JPPCT/JP2016/063201 2016-04-27
PCT/JP2017/016307 WO2017188226A1 (ja) 2016-04-27 2017-04-25 香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394A KR20180134394A (ko) 2018-12-18
KR102110933B1 true KR102110933B1 (ko) 2020-05-14

Family

ID=6016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945A KR102110933B1 (ko) 2016-04-27 2017-04-25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69509B2 (ko)
EP (1) EP3440948B1 (ko)
JP (1) JP6614595B2 (ko)
KR (1) KR102110933B1 (ko)
CN (1) CN109152420B (ko)
CA (1) CA3022397C (ko)
EA (1) EA033997B1 (ko)
TW (1) TWI655912B (ko)
WO (2) WO2017187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4945B (zh) * 2015-04-06 2020-08-04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味吸取器及内侧保持部件
US10314334B2 (en) 2015-12-10 2019-06-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11744296B2 (en) 2015-12-10 2023-09-0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11723399B2 (en) 2018-07-13 2023-08-1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detachable cartridge
WO2020074612A1 (en) * 2018-10-12 2020-04-16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US11330838B2 (en) 2019-07-19 2022-05-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older for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detachable cartridge
US11395510B2 (en) 2019-07-19 2022-07-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rotatable enclosure for cartridge
JP2023506279A (ja) * 2019-12-17 2023-02-1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炭素および結合剤を含む可燃性熱源を作製する方法
CN114845578B (zh) * 2019-12-17 2023-10-2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含点燃助剂和粘结试剂的可燃热源
CN114845574A (zh) * 2019-12-17 2022-08-02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含点燃助剂和粘结试剂的可燃热源
US11589616B2 (en) 2020-04-29 2023-02-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liding and axially rotating locking mechanism
US11439185B2 (en) 2020-04-29 2022-09-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liding and transversely rotating locking mechanism
US11825872B2 (en) 2021-04-02 2023-11-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protective sleeve
US11953362B2 (en) 2021-05-12 2024-04-09 Conrad Franklin Montville Dispens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2953A (ja) 2010-07-30 2013-08-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無煙型香味吸引具
JP2015510399A (ja) 2012-02-13 2015-04-09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2つの熱伝導要素を含む喫煙物品
WO2015174442A1 (ja) 2014-05-15 2015-11-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及びカップ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36A (ja) * 1974-07-01 1976-01-13 Toko Inc Chensen
US5105831A (en) * 1985-10-23 1992-04-2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conductive aerosol chamber
US4966171A (en) * 1988-07-22 1990-10-30 Philip Morris Incorporated Smoking article
US5183062A (en) 1990-02-27 1993-02-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US5156170A (en) 1990-02-27 1992-10-2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EP0444553A3 (en) * 1990-02-27 1993-04-1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US5027837A (en) 1990-02-27 1991-07-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US5247947A (en) 1990-02-27 1993-09-2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JP2003191931A (ja) * 2001-12-25 2003-07-09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IES20070633A2 (en) * 2006-09-05 2008-09-17 Oglesby & Butler Res & Dev Ltd A container comprising vaporisable matter for use in a vaporising device for vaporising a vaporisable constituent thereof
JP5103836B2 (ja) * 2006-09-13 2012-1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管の管端バリ除去方法
AT509046B1 (de) * 2010-03-10 2011-06-15 Helmut Dr Buchberger Flächiger verdampfer
JP2016103981A (ja) * 2013-03-08 2016-06-0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
KR101888282B1 (ko) * 2013-09-30 2018-08-13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향미 흡인구
JP6307961B2 (ja) 2014-03-18 2018-04-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2953A (ja) 2010-07-30 2013-08-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無煙型香味吸引具
JP2015510399A (ja) 2012-02-13 2015-04-09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2つの熱伝導要素を含む喫煙物品
WO2015174442A1 (ja) 2014-05-15 2015-11-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及びカップ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42558A (zh) 2017-12-16
CA3022397C (en) 2020-10-13
EP3440948A1 (en) 2019-02-13
EA033997B1 (ru) 2019-12-17
EP3440948A4 (en) 2019-12-18
CN109152420B (zh) 2021-02-12
EP3440948B1 (en) 2020-11-04
WO2017187555A1 (ja) 2017-11-02
JP6614595B2 (ja) 2019-12-04
EA201892439A1 (ru) 2019-04-30
US20190059450A1 (en) 2019-02-28
US10869509B2 (en) 2020-12-22
JPWO2017188226A1 (ja) 2019-01-10
WO2017188226A1 (ja) 2017-11-02
KR20180134394A (ko) 2018-12-18
CN109152420A (zh) 2019-01-04
CA3022397A1 (en) 2017-11-02
TWI655912B (zh)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933B1 (ko) 향미 흡인기
KR102095145B1 (ko) 향미 흡인기
US11160302B2 (en) Flavor inhaler and cup
JP6076461B2 (ja) 燃焼型熱源及び香味吸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