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300B1 -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 Google Patents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300B1
KR102109300B1 KR1020190115442A KR20190115442A KR102109300B1 KR 102109300 B1 KR102109300 B1 KR 102109300B1 KR 1020190115442 A KR1020190115442 A KR 1020190115442A KR 20190115442 A KR20190115442 A KR 20190115442A KR 102109300 B1 KR102109300 B1 KR 10210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ixing pin
pin member
groov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재 filed Critical 박용재
Priority to KR102019011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300B1/ko
Priority to PCT/KR2020/012549 priority patent/WO20210547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조립식 팔레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부재; 상기 기둥 부재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상판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상판 부재의 교차부에서 상기 상판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부재와 상판 부재에는 각각 동축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조체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주변에 걸리도록 구성된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Assembly-type pallet for loading article}
본 발명은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및 그 구성요소,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 적재 및 운반을 위한 조립식 팔레트 및 그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게차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팔레트(pallet)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대부분의 공장 및 부두에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목재로 된 팔레트는 부식성과 내구성이 약하여 화물 적재시 팔레트에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으며 파손 부위만의 교체가 어렵다.
목재로 된 팔레트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된 팔레트가 고안되었으나, 이러한 팔레트는 전체가 단일체로 되어 있거나 상·하판을 볼트 체결 방식으로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대형의 사출 성형기가 필요하거나, 체결/제작이 어렵고, 부분적인 교체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파손 부위만 교체/보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팔레트 전체를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자원 및 비용 손실이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팔레트는 비교적 복잡하거나 어려운 조립/제작 공정을 요구하고, 한번 제작하면 해체/분해가 어렵기 때문에, 유지 및 관리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팔레트는 자체 하중이 무거운 것으로 인해 물류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작/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파손 부위만 부분적으로 교체/보수할 수 있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지면서도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갖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부재; 상기 기둥 부재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상판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상판 부재의 교차부에서 상기 상판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부재와 상판 부재에는 각각 동축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조체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주변에 걸리도록 구성된 홈부가 구비된,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체결구조체는 상기 체결 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고정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정핀 부재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고정핀 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주변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중공부를 종단하는 분리면을 갖도록 나누어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외주면에 각각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 부재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하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하단부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하단과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부재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이탈방지 쐐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부재의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이 상호 이격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제1 이탈방지 쐐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제2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제2 이탈방지 쐐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에 상기 고정핀 부재를 삽입하여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삽입홈에서 상기 제1 이탈방지 쐐기부를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삽입홈에서 상기 제2 이탈방지 쐐기부를 분리시켜, 상기 고정핀 부재를 상기 체결 부재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핀 부재의 외주면 부분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이탈방지 쐐기부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의 양단부의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 부분 위쪽에 배치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면 상단부에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기 중공부에 상기 고정핀 부재를 삽입시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돌기부를 삽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핀 부재의 회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양단부에 그와 인접한 상기 고정핀 부재의 외주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 부분 위쪽에 배치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핀 부재의 탈거를 위한 돌기부의 회전 및 상승을 안내할 수 있는 탈거 가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탈거 가이드홈은 상기 탈거 가이드홈은 일측 분리면으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부재는 헤드부 및 그 아래로 연장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삽입부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양단에 상기 헤드부의 중심 방향으로 리세스된 제1홈 및 제2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부재 아래에 상기 기둥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판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하판 부재의 교차부에서 상기 하판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구조체는 상기 상판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체결을 위한 상기 체결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작/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파손 부위만 부분적으로 교체/보수할 수 있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지면서도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갖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편하고 보수(수리)가 용이하며 유지 및 관리 비용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 및 체결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조립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체결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핀 부재 및 체결 부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에 적용되는 체결구조체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부위별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에 적용되는 체결구조체를 탈거가 가능한 상태로 만들었을 때 부위별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체결 부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핀 부재 및 체결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체결 부재의 중공부에 고정핀 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및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내용을 보다 명료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은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팔레트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팔레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기둥 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기둥 부재(100)는,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Y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팔레트는 복수의 기둥 부재(100)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상판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판 부재(200)는, 예컨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팔레트는 복수의 기둥 부재(100)와 복수의 상판 부재(200)의 교차부에서 복수의 상판 부재(200)를 복수의 기둥 부재(100)에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100)는 그 상단부에 상부 지지보(upper supporting beam)(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지지보(110)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기둥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상부 지지보(110) 아래에 복수의 수직기둥부(115)가 상호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판 부재(200)는 상부 지지보(110) 상에 이와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판 부재(200)와 상부 지지보(110)의 교차부에 체결구조체(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팔레트는 복수의 기둥 부재(100) 아래에 복수의 기둥 부재(1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판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하판 부재(400)는, 예컨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팔레트는 복수의 기둥 부재(100)와 복수의 하판 부재(400)의 교차부에서 복수의 하판 부재(400)를 복수의 기둥 부재(100)에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체결구조체(도시 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구조체는 상판 부재(200)와 기둥 부재(100)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체(3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둥 부재(100)는 복수의 수직기둥부(115) 아래에 배치된 하부 지지보(lower supporting beam)(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 부재(100)는 상부 지지보(110)와 하부 지지보(120)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기둥부(115)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하판 부재(400)는 하부 지지보(120) 아래에 이와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판 부재(400)와 하부 지지보(120)의 교차부에 상기 제2 체결구조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둥 부재(100)와 복수의 상판 부재(200) 및 복수의 하판 부재(400)는 소정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기둥 부재(100)와 복수의 상판 부재(200) 및 복수의 하판 부재(40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팔레트는 우수한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지면서도 가벼운 중량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하판 부재(400)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하판 부재(400)와 하부 지지보(120)가 모두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수직기둥부(115)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구조체(300)는 무볼트 방식으로서 별도의 연장을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판 부재(200)와 기둥 부재(100)를 상호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체결구조체(300)를 사용해서 상판 부재(200)와 기둥 부재(100)를 체결한 이후에도, 즉,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도, 필요한 경우,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체결구조체(300)를 탈거하여 원하는 상판 부재(200)만 선택적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작/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파손 부위만 부분적으로 교체/보수할 수 있는 조립식 팔레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등을 참조하여, 체결구조체(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체결 원리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 및 체결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식 팔레트의 기둥 부재(100)는 그 상단부에 상부 지지보(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지지보(110)는 상하로 이격된 제1 하판요소(111) 및 제1 상판요소(112)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하판요소(111)와 제1 상판요소(112) 사이에서 이들을 지지하는 제1 지지요소(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요소(113)는 제1 하판요소(111)의 폭 방향으로의 양단부에 이와 대체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부가해서, 상부 지지보(110)의 일단 상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사이드월(sidewall)(1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판 부재(200)는 상부 지지보(110) 상에 이와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하 이격된 제2 하판요소(201) 및 제2 상판요소(20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판 부재(200)는 제2 하판요소(201)와 제2 상판요소(202) 사이에서 이들을 지지하는 제2 지지요소(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요소(203)는 제2 하판요소(201)의 폭 방향으로의 양단부에 이와 대체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양단부 사이의 소정 영역(들)에도 더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지지보(110)와 상판 부재(200)의 교차부에서, 제1 상판요소(112), 제2 하판요소(201) 및 제2 상판요소(202)에 각각 동축의 제1 관통홀(h1), 제2 관통홀(도 3a의 h2) 및 제3 관통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관통홀(h1∼h3)에 의해 이른바 '체결홀'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에 체결구조체(300)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구조체(300)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공부(H1)를 갖는 체결 부재(310)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체결 부재(310)의 중공부(H1)에 삽입되어 체결을 완료하는 고정핀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0)의 외주면에 홈부(G10)가 구비될 수 있고, 고정핀 부재(320)를 중공부(H1)에 삽입함에 따라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홈부(G10)의 위치가 이동하면서 제2 관통홀(도 3a의 h2) 및 제1 관통홀(h1) 주변의 제2 하판요소(201) 및 제1 상판요소(112)에 홈부(G10)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의 원리 및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조립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기둥 부재(100)의 상부 지지보(110)의 제1 상판요소(112) 상에 상판 부재(200)를 배치시켜, 제1 상판요소(112)의 상면에 제2 하판요소(201)의 하면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홀(h1), 제2 관통홀(h2) 및 제3 관통홀(h3)이 동축으로 배치되며, 이들에 의해 하나의 '체결홀'이 정의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체결구조체(300)의 체결 부재(310)를 제1 내지 제3 관통홀(도 3b의 h1∼h3)에 의해 정의된 상기 체결홀에 삽입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공부(H1)를 가질 수 있고, 외주면에 홈부(G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홈부(G10)는 대략 제1 관통홀(h1) 및 제2 관통홀(도 3b의 h2)의 높이 정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체결구조체(300)의 고정핀 부재(320)를 체결 부재(310)의 중공부(H1)에 삽입하여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고정핀 부재(320)를 중공부(H1)에 삽입함에 따라 체결 부재(310)의 하단부가 고정핀 부재(320)에 의해 외측으로 압력을 받고,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홈부(G10)의 위치가 이동하면서 제2 관통홀(도 3b의 h2) 및 제1 관통홀(도 3b의 h1) 주변의 제2 하판요소(201) 및 제1 상판요소(112)에 홈부(G10)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볼트를 조이거나 용접을 하는 등의 방식이 아닌 간단히 체결 부재(310)와 고정핀 부재(320)를 끼워 넣는 방법으로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체결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 부재(311)는 중공부(도 3a의 H1)를 종단하는 분리면을 갖도록 나누어진 제1 부분(311a) 및 제2 부분(311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 부재(311)는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 반으로 나눠진 제1 부분(311a) 및 제2 부분(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1a) 및 제2 부분(311b)의 외주면에 각각 제1 홈부(G1) 및 제2 홈부(G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홈부(G1) 및 제2 홈부(G2)는 도 3a에서 설명한 홈부(G1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홈부(G1) 및 제2 홈부(G2)는 동일한 높이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홈부(G1)와 제2 홈부(G2)를 합하여 하나의 홈부(도 3a의 G10)로 표현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1)를 상기한 체결홀(팔레트의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핀 부재(도 3d의 320)를 중공부(도 3d의 H1)에 삽입함에 따라 제1 부분(311a)의 하단부(lower portion)와 제2 부분(311b)의 하단부(lower portion)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제1 홈부(G1)와 제2 홈부(G2)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3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부(G1, G2)의 사이간격이 벌어지면서 제2 하판요소(201) 및 제1 상판요소(112)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 부재(311)는 제1 부분(311a)의 하단(lower end portion)과 제2 부분(311b)의 하단(lower end portion)을 연결하는 연결요소(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요소(10)는, 예컨대, 체결 부재(311)의 안쪽으로 접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요소(10)는 체결 부재(311)의 하단부(lower portion)가 체결홀(팔레트의 구멍)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체결부, 즉, 제1 부분(311a) 및 제2 부분(311b)의 하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결홀(팔레트의 구멍)에 체결 부재(311)를 삽입한 후 고정핀 부재(도 3d의 320)를 삽입하면, 체결 부재(311)의 하단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양측 체결부, 즉, 제1 부분(311a) 및 제2 부분(311b)를 연결하고 있던 연결요소(10)는 끊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핀 부재 및 체결 부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도면은 고정핀 부재(320)를, (B)도면은 체결 부재(310)를 보여준다. 편의상, (B)도면의 체결 부재(310)는 제1 부분(310a)과 제2 부분(310b) 각각이 절반으로 절단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핀 부재(320)의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삽입홈(g1)과 제2 삽입홈(g2)이 상호 이격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삽입홈(g1)의 일단과 이와 가까운 제2 삽입홈(g2)의 일단 사이에 삽입홈의 불연속 영역이 존재하고, 이와 유사하게, 제1 삽입홈(g1)의 타단과 이와 가까운 제2 삽입홈(g2)의 타단 사이에도 삽입홈의 불연속 영역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절반으로 나눠진 제1 부분(310a) 및 제2 부분(310b)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0)의 제1 부분(310a)의 내측면 하단부에 제1 이탈방지 쐐기부(w1)가 마련될 수 있고, 체결 부재(310)의 제2 부분(310b)의 내측면 하단부에 제2 이탈방지 쐐기부(w2)가 마련될 수 있다.
중공부(H1)에 고정핀 부재(320)를 삽입시 제1 삽입홈(g1)에 제1 이탈방지 쐐기부(w1)가 끼워질 수 있고, 제2 삽입홈(g2)에 제2 이탈방지 쐐기부(w2)가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 부재(320)를 중공부(H1)에 삽입하면, 쐐기부들(w1, w2)에 의해 고정핀 부재(3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조체는, 중공부(H1)에 고정핀 부재(320)를 삽입하여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고정핀 부재(320)를 의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삽입홈(g1)에서 제1 이탈방지 쐐기부(w1)를 분리시키고 제2 삽입홈(g2)에서 제2 이탈방지 쐐기부(w2)를 분리시켜, 고정핀 부재(320)를 체결 부재(310)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삽입홈(g1, g2) 각각의 양단부는 제1 및 제2 삽입홈(g1, g2)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 부분에 대해 소정의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s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삽입홈(g2)의 일단부는 그와 인접한 제1 및 제2 삽입홈(g1, g2) 사이의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 영역(이하, '제1 영역'이라 함)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s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둔각이라 함은 상기 제1 영역의 접평면에 대해 경사면(s1)이 둔각을 이룬다는 의미일 수 있다. 아울러, 경사면(s1)은 그와 인접한 삽입홈(g1 or g2)의 저면 영역과도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이탈방지 쐐기부(w1, w2) 각각의 양단부는 제1 및 제2 삽입홈(g1, g2)의 양단부의 경사면(s1)에 대응하는 경사면(s2)을 가질 수 있다. 고정핀 부재(320)를 회전시켜 탈거/분리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상기한 경사면들(s1, s2)에 의해 제1 삽입홈(g1) 및 제2 삽입홈(g2)에서 제1 이탈방지 쐐기부(w1) 및 제2 이탈방지 쐐기부(w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이탈방지 쐐기부(w1, w2)가 삽입홈(g1, g2)이 없는 부분으로 부드럽게(용이하게) 밀려 올라가 삽입홈(g1, g2)에서 분리될 수 있고,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핀 부재(320)는 제1 및 제2 삽입홈(g1, g2)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 부분 위쪽에 배치된 돌기부(p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도 5의 A)에서는 전방에 하나의 돌기부(p1)만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돌기부(p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돌기부(p1)의 반대쪽에도 동일한 돌기부(p1)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p1)는 고정핀 부재(320)의 회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양단부에 그와 인접한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s3)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둔각이라 함은 경사면(s3)에 인접한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 영역의 접평면에 대해 경사면(s3)이 둔각을 이룬다는 의미일 수 있다.
체결구조체의 탈거/해체를 위해 고정핀 부재(320)를 회전(예컨대, 대략 90° 만큼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핀 부재(320)의 하단부 양측에 마련된 돌기부(p1)가 체결 부재(310)의 제1 부분(310a) 및 제2 부분(310b)을 벌어지는 방향(즉, 바깥쪽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돌기부(p1)의 양측에 경사면(s3)이 있기 때문에, 경사면(s3)의 작용에 의해 제1 부분(310a) 및 제2 부분(310b)을 용이하게(부드럽게)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 쐐기부(w1, w2)가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 중 삽입홈(g1, g2)이 없는 외주면 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삽입홈(g1, g2)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분리)가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돌기부(p1)와 경사면들(s1, s2, s3) 그리고 '삽입홈(g1, g2)이 없는 외주면 부분'의 작용에 의해 체결구조체의 탈거/해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체결 부재(310)의 내측면 상단부에는 가이드홈(g5)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g5)은 양측의 돌기부(p1)의 위치에 맞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양측의 돌기부(p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두 개의 가이드홈(g5)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g5)은 제1 부분(310a)과 제2 부분(310b)의 경계부 또는 그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H1)에 고정핀 부재(320)를 삽입시 가이드홈(g5)을 통해 돌기부(p1)를 삽입시킴으로써, 고정핀 부재(320)의 삽입 위치를 정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로 고정핀 부재(320)를 삽입하면, 삽입홈(g1, g2)에 이탈방지 쐐기부(w1, w2)가 걸리게 되어 고정핀 부재(320)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핀 부재(320)는 헤드부(321) 및 그 아래로 연장된 삽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고, 헤드부(321)는 삽입부(322)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헤드부(321)의 직경 방향으로의 양단에 헤드부(321)의 중심 방향으로 리세스된 제1홈(g11) 및 제2홈(g1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홈(g11) 및 제2홈(g12)은, 예컨대, 두 개의 돌기부(p1)에 대해서 90° 만큼 회전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g11) 및 제2홈(g12)으로 소정의 도구/연장을 삽입하여 고정핀 부재(3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고정핀 부재(320)를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홈(g11, g12)으로 도구를 삽입한 후, 홈(g11, g12) 부근의 헤드부(321) 하면에 도구를 걸어서 고정핀 부재(32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홈(g11, g12) 부근의 헤드부(321) 영역에 걸림이 가능한 구조(소위 턱 구조)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에 적용되는 체결구조체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부위별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A)도면은 제1홈(g11)과 제2홈(g12)의 높이에서의 단면도(또는 top view 도면)이고, (B)도면은 돌기부(p1) 높이에서의 단면도이며, (C)도면은 삽입홈(g1, g2)과 쐐기부(w1, w2) 높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 및 (B)도면에서 제1홈(g11) 및 제2홈(g12)의 위치와 돌기부(p1)의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이 경우, (C)도면에서와 같이 삽입홈(g1, g2) 내에 쐐기부(w1, w2)가 걸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에 적용되는 체결구조체를 탈거가 가능한 상태로 만들었을 때 부위별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A)도면은 제1홈(g11)과 제2홈(g12)의 높이에서의 단면도(또는 top view 도면)이고, (B)도면은 돌기부(p1) 높이에서의 단면도이며, (C)도면은 삽입홈(g1, g2)과 쐐기부(w1, w2) 높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핀 부재(320)를 대략 90° 만큼 회전한 경우, (B)도면에서와 같이 돌기부들(p1)이 제1 부분(310a)과 제2 부분(310b)을 바깥족으로 밀어내게 되고, 결과적으로, (C)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 쐐기부(w1, w2)가 삽입홈(g1, g2)이 없는 부분으로 올라가 삽입홈(g1, g2)에서 분리되면서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분리)가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핀 부재 및 체결 부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310)는 중공부(H1)를 종단하는 분리면에 의해 분할된 제1 부분(310a)과 제2 부분(310b)을 포함하며, 제1 부분(310a) 및 제2 부분(310b)의 상기 중공부(H1)와 접하는 내주면에는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를 위한 탈거 가이드홈(g6)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탈거 가이드홈(g6)은 고정핀 부재(320)의 삽입부(322) 양측에 마련된 돌기부(p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거 가이드홈(g6)은 제1 부분의 일측 분리면으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g6a)와, 상기 제1 가이드부(g6a)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g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g6a)는 상기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를 위한 회전(예컨대, 대략 90° 만큼 회전)각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1 부분(310a)의 내주면에만 탈거 가이드홈(g6)이 보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는 제2 부분(310b)의 내주면에도 제1 부분(310a)의 탈거 가이드홈(g6)과 동일한 형태의 탈거 가이드홈(g6)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조체는, 체결 부재(310)의 중공부(H1)에 고정핀 부재(320)를 삽입하여 체결을 완료한 상태로부터,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를 위해 고정핀 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고정핀 부재(320)의 돌기부(p1)가 탈거 가이드홈(g6)의 제1 가이드부(g6a)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핀 부재(320)의 회전에 대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를 위한 회전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 부재(320)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체결 부재(310)의 중공부(H1)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에서, 고정핀 부재(320)의 돌기부(p1)가 제2 가이드부(g6b)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핀 부재(320)의 상승에 대한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이드부(g6b)의 상단부는 제1 부분(310a) 및 제2 부분(310b)의 내주면 상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종료된다. 따라서, 고정핀 부재(320)의 돌기부(p1)가 제2 가이드부(g6b)를 따라 상승하더라도 체결 부재(310)의 중공부(H1)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 부재(320)를 탈거하는 과정에서 돌기부(p1)가 제2 가이드부(g6b)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돌기부(p1)의 상단에는 고정핀 부재(320)의 외주면 영역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s4)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부(g6b)의 상단에는 상기 돌기부(p1)의 경사면(s4)에 대응하는 경사면(s5)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 부재(320)를 중공부(H1) 내에서 상승시켜 돌기부(p1)가 제2 가이드부(g6b)의 상단부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 부재(320)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한 경사면들(s4, s5)에 의해 돌기부(p1)가 제2 가이드부(g6b)로부터 이탈함과 동시에 고정핀 부재(320)의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조체를 이용한 체결/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탈거/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제작/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파손 부위만 부분적으로 교체/보수할 수 있는 조립식 팔레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조립식 팔레트의 체결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핀 부재 및 체결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A)도면은 고정핀 부재를, (B)도면은 체결 부재를 보여준다.
도 9의 (A)도면을 참조하면, 고정핀 부재(325)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삽입홈(g1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g15)은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삽입홈(g15)은 고정핀 부재(325)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동그랗게 형성되어 링 구조(불연속 구조가 아닌 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B)도면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315)는 제1 부분(315a) 및 제2 부분(315b)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중공부(H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부분(315a)의 외주면 하단부에 제1 홈부(G15)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부분(315b)의 외주면 하단부에 제2 홈부(G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부분(315a)의 내측면 하단부에 제1 이탈방지 쐐기부(도 10의 w15)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부분(315b)의 내측면 하단부에 제2 이탈방지 쐐기부(도 10의 w2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체결 부재(315)의 중공부(H1)에 고정핀 부재(325)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에서는 체결 부재의 일부를 절단/삭제함으로써 내부 구조(고정핀 부재 부분)가 보이도록 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공부(도 9의 H1)에 고정핀 부재(325)가 삽입될 수 있다. 중공부(H1)에 고정핀 부재(325)를 삽입함에 따라, 삽입홈(g15)에 제1 및 제2 이탈방지 쐐기부(w15, w25)가 걸리면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의 (B)도면에서 설명한 체결 부재(315)의 경우, 제1 부분(315a)의 상단부와 제2 부분(315b)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315a)의 하단과 제2 부분(315b)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연결요소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연결요소(10)와 유사할 수 있다. 제1 부분(315a)과 제2 부분(315b)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요소의 위치,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립식 팔레트 및 이에 적용되는 체결구조체의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기둥 부재 110 : 상부 지지보
111 : 제1 하판요소 112 : 제1 상판요소
115 : 수직기둥부 120 : 하부 지지보
200 : 상판 부재 201 : 제2 하판요소
202 : 제2 상판요소 300 : 체결구조체
310 : 체결 부재 310a, 311a : 제1 부분
310b, 311b : 제2 부분 320 : 고정핀 부재
400 : 하판 부재 H1 : 중공부
h1 : 제1 관통홀 h2 : 제2 관통홀
h3 : 제3 관통홀 G10 : 홈부
G1 : 제1 홈부 G2 : 제2 홈부
g1, g2 : 삽입홈 g11, g12 : 홈(헤드부 홈)
g5 : 가이드홈 g6:탈거 가이드홈
g6a : 제1 가이드부 g6b:제2 가이드부
p1 : 돌기부 s1, s2, s3, s4, s5 : 경사면
w1, w2 : 이탈방지 쐐기부

Claims (16)

  1.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부재; 상기 기둥 부재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상판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상판 부재의 교차부에서 상기 상판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부재와 상판 부재에는 각각 동축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조체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주변에 걸리도록 구성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체결구조체는 상기 체결 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고정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정핀 부재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고정핀 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주변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중공부를 종단하는 분리면을 갖도록 나누어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 부재의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이 상호 이격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제1 이탈방지 쐐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제2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제2 이탈방지 쐐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고정핀 부재를 삽입하여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삽입홈에서 상기 제1 이탈방지 쐐기부를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삽입홈에서 상기 제2 이탈방지 쐐기부를 분리시켜, 상기 고정핀 부재를 상기 체결 부재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외주면에 각각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 부재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하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하단부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구성된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하단과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요소를 더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부재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이탈방지 쐐기부가 마련된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핀 부재의 외주면 부분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탈방지 쐐기부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의 양단부의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 부분 위쪽에 배치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면 상단부에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기 중공부에 상기 고정핀 부재를 삽입시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돌기부를 삽입시키도록 구성된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핀 부재의 회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양단부에 그와 인접한 상기 고정핀 부재의 외주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 부분 위쪽에 배치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핀 부재의 탈거를 위한 돌기부의 회전 및 상승을 안내할 수 있는 탈거 가이드홈이 마련되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 가이드홈은 상기 탈거 가이드홈은 일측 분리면으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부재는 헤드부 및 그 아래로 연장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삽입부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양단에 상기 헤드부의 중심 방향으로 리세스된 제1홈 및 제2홈이 구비된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 아래에 상기 기둥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판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와 상기 하판 부재의 교차부에서 상기 하판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구조체는 상기 상판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체결을 위한 상기 체결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KR1020190115442A 2019-09-19 2019-09-19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KR102109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42A KR102109300B1 (ko) 2019-09-19 2019-09-19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PCT/KR2020/012549 WO2021054736A1 (ko) 2019-09-19 2020-09-17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42A KR102109300B1 (ko) 2019-09-19 2019-09-19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300B1 true KR102109300B1 (ko) 2020-05-11

Family

ID=7072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442A KR102109300B1 (ko) 2019-09-19 2019-09-19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9300B1 (ko)
WO (1) WO20210547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736A1 (ko) * 2019-09-19 2021-03-25 박용재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912A (ja) * 1999-06-21 2001-01-09 Nippon Stad Welding Kk ホルダ
JP2001200819A (ja) * 2000-01-19 2001-07-27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
JP2004019671A (ja) * 2002-06-12 2004-01-22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
JP3147757U (ja) * 2008-10-31 2009-01-15 ▲ユン▼哲 謝 貨物積載用パレット及びこれに使用する枠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428Y2 (ja) * 1993-06-29 1998-11-05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KR102109300B1 (ko) * 2019-09-19 2020-05-11 박용재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912A (ja) * 1999-06-21 2001-01-09 Nippon Stad Welding Kk ホルダ
JP2001200819A (ja) * 2000-01-19 2001-07-27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
JP2004019671A (ja) * 2002-06-12 2004-01-22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
JP3147757U (ja) * 2008-10-31 2009-01-15 ▲ユン▼哲 謝 貨物積載用パレット及びこれに使用する枠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736A1 (ko) * 2019-09-19 2021-03-25 박용재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4736A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706B2 (en) Plastic pallet
RU2151088C1 (ru) Пластмассовый поддон
CN101687569B (zh) 具有咬梢的塑料托盘及其制造方法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US7921784B2 (en) Snap-together pallet
US10239661B2 (en) Stackable plastic container
KR102109300B1 (ko)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KR101171138B1 (ko) 조립식 파렛트
KR101782987B1 (ko) 조립식 파레트
WO2018236207A1 (en) PALETTE SET
US8915390B2 (en) Shipping crate joint and method of forming a shipping crate
KR100842801B1 (ko) 조립식 파레트
JP6345566B2 (ja) パレット
JP6841423B2 (ja) パレット
KR20210135886A (ko) 조립식 목재 파레트
US20210284411A1 (en) Simplified pallet
KR20140007700A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0818353B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팔레트
KR101693331B1 (ko) 다용도 철재 파렛트
KR102606230B1 (ko) 파렛트 랙의 수직 기둥과 로드빔의 분리 방지용 안전핀
KR101570680B1 (ko) 팔레트
KR102238873B1 (ko) 화물 고정용 팰릿 조립체
EP3309086A1 (en) Dismountable and stackable crate
EP4234426A1 (en) Box pallet stacking system
GB2335409A (en) A modular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