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987B1 - 조립식 파레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987B1
KR101782987B1 KR1020150149476A KR20150149476A KR101782987B1 KR 101782987 B1 KR101782987 B1 KR 101782987B1 KR 1020150149476 A KR1020150149476 A KR 1020150149476A KR 20150149476 A KR20150149476 A KR 20150149476A KR 101782987 B1 KR101782987 B1 KR 10178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upport frame
protrusion
groov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857A (ko
Inventor
박용재
Original Assignee
(주)알포터
김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포터, 김우형 filed Critical (주)알포터
Priority to KR102015014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9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5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6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6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레트는 일단부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기둥부재 내에 삽입되는 제1고정부재와, 일단부는 하부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이용해 기둥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단순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파레트{ASSEMBLY TYPE PALLET}
본 발명은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기계 가공품이나 조립부품 등의 각종 화물을 안정되게 이송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화물과 함께 운송수단(항공기, 선박, 차량 등)에 적재 이송된다. 따라서, 파레트는 하물을 안정되게 받치면서도 화물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가볍게 제작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파레트는 주로 바닥면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받침대 및 그 상부에 상기 받침대와 직교상태로 배치되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결합된 다수개의 상판으로 구성되는데, 종래에는 주로 목재를 이용한 파레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고, 또한 플라스틱 소재의 파레트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목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파레트는 무엇보다도 파레트의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화물의 전체 하중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물류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현저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목재의 경우, 습기에 약하여 못으로 고정된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해 잦은 보수나 교체가 요구되고, 또한 견고성이 약하여 지게차 등의 적재수단을 이용하여 운송수단에 적재하는 경우 상판이 쉽게 부러지는 등의 문제로 인해 그 이용가치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또한 목재의 특성상 내구성이 약하여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소재의 파레트는 목재에 비해 내구성은 양호하나, 파레트 전체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어서 부분적인 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사용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근자에는 상기한 종래의 파레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벼운 소재, 예컨대 알루미늄을 이용한 파레트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36053호가 이러한 파레트의 하나이고,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레트는 다수개의 기초대(1)와, 그 상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상판(2)과, 상기 기초대(1)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받침대(3) 및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판과 평행을 이루는 다수개의 하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3)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캡(6)과 이 캡(6)의 공간부에 상부에서 삽입되는 보강부재(7)를 갖는 2중 구조로 하되, 상기 캡(6)의 저면과 하판(4)의 상부면은 상호 대응되는 요철 형상으로 상호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소재의 파레트는, 종래 목재나 플라스틱 소재의 파레트 보다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조립 견고성이 어느 정도 보강된 이점은 있으나, 이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어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즉, 상기 파레트는 기초대(1)와 상판(2), 상판(2)과 받침대(3), 받침대(3)와 하판(4)은 드라이버나 리벳건과 같은 별도의 체결공구를 이용해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과정이 번거롭다. 따라서, 파레트의 신속한 조립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밖에 없음은 물론 제품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 특히, 각 체결요소마다 복수의 체결부재(8)를 사용해야 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하게 되고, 체결부재(8)의 과도한 사용에 의해 파레트의 전체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각 부재가 부분적인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편, 기초대와 상판, 받침대, 하판을 용접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용접을 위해 알루미늄 자재의 최소 두께가 두꺼워져 파레트의 전체 하중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자재가 낭비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러개의 부품들을 용접으로 각각 고정하는 데에는 많은 공수가 요구되므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해 파레트를 조립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불완전한 조립을 미리 방지하고 조립 후에는 임의로 조립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식 파레트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사이 영역에 포크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기둥부재;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기둥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기둥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기둥부재 내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일단부는 하부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홈에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의 내측면에는 제1고정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단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와, 삽입돌기의 후단에 마련되어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와 삽입홈의 결합면에는, 결합과 동시에 서로 맞물려 제2고정부재가 분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와 경사돌기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와 경사돌기는 복수 마련되어 삽입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양측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면에는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경사돌기가 배치되며,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경사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가 제공된다.
또한, 불완전한 조립을 미리 방지하고 조립 후에는 임의로 조립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파레트 실시 구조를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파레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파레트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부분의 측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레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파레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파레트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립식 파레트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과, 기둥부재(140)와, 하부 플레이트(150)와, 단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기둥부재(140)와 하부 플레이트(150)를 지지프레임(12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다수 마련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질의 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120)과 마주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리브(11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질의 관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 플레이트(110)가 접하는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돌출리브(111)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1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돌출리브(111)에는 지지프레임(120)의 절개홈(121)으로 삽입되는 부분에 지지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제1삽입홀(1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0)에는 상기 제1삽입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삽입홀(12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은 상부 플레이트(110)의 돌출리브(111)가 지지프레임(120)의 절개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리브(111)의 제1삽입홀(112)과 지지프레임(120)의 제2삽입홀(122)에 삽입되는 고정핀(130)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 기둥부재(14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 다수 배치되어, 인접한 한 쌍의 기둥부재(140) 사이 영역에 포크 삽입공간(G)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질의 관형부재로 이루어져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기둥부재(140)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제1고정부재(160)가 결합되는 가이드홈(141)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둥부재(140)의 길이는 포크 삽입공간(G)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기둥부재(140)의 절단 길이를 조절하여 파레트의 이송을 위한 지게차나 핸드카의 포크 두께에 따라 포크 삽입공간(G)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맞춤형 제작이 용이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세 개의 지지프레임(120)이 배치되고,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 세 개의 기둥부재(140)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지지프레임(120)과 기둥부재(140)의 수량 및 위치는 적재물의 크기나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5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기둥부재(140)의 하부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질의 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판면에는 후술할 제2고정부재(170)의 삽입돌기(171)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151)이 형성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150)는 판면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보강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기둥부재(140)와 하부 플레이트(15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어 기둥부재(140) 내에 수용되는 제1고정부재(160)와, 일단부는 하부 플레이트(15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16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160)는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61)가 상기 레일홈(123)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후술할 제2고정부재(170)의 삽입돌기(171)가 삽입되는 삽입홈(16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62)의 양측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162)의 양측면에는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경사돌기(163)가 배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70)는 제1고정부재(160)의 삽입홈(162)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171)와, 삽입돌기(171)의 후단에 마련되어 하부 플레이트(15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73)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돌기(171)의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홈(162)의 경사돌기(163)와 맞물려 제2고정부재(170)가 분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72)가 다수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조립식 파레트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상부 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을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프레임(120)의 상면에 형성된 절개홈(121)에 상부 플레이트(110)의 돌출리브(111)를 삽입하면, 상부 플레이트(110)가 지지프레임(1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어서 상부 플레이트(110)의 제1삽입홀(112)과 지지프레임(120)의 제2삽입홀(122)에 고정핀(130)을 삽입하면, 고정핀(130)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이 고정된다.
즉, 지지프레임(1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플레이트(110)는, 돌출리브(111)가 절개홈(121)에 삽입되면서 지지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고정핀(130)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별도의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요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며, 제1삽입홀(112)과 제2삽입홀(122)에서 고정핀(130)을 제거하면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적재물과 충돌에 의해 파손 또는 변형되는 상부 플레이트(110)를 간편하게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어서, 지지프레임(120)에 기둥부재(140)와 하부 플레이트(15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홈(123)에 제1고정부재(160)의 결합돌기(161)를 삽입하고,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 기둥부재(14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제1고정부재(160)의 양측이 기둥부재(14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4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 기둥부재(140)를 조립하는 것과 동시에 제1고정부재(16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어서, 기둥부재(140)의 하부에 하부 플레이트(150)를 배치하고, 하부 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삽입공(151)으로 제2고정부재(170)의 삽입돌기(171)를 삽입하면, 삽입돌기(171)가 제1고정부재(160)의 삽입홈(162)으로 삽입 고정된다. 즉,
하부 플레이트(150)의 삽입공(151)에 삽입된 제2고정부재(170)의 삽입돌기(171)를, 기둥부재(140)에 위치고정된 제1고정부재(160)의 삽입홈(162)에 결합하면, 하부 플레이트(150)가 기둥부재(140)에 고정된다.
특히, 제1고정부재(160)의 삽입홈(162)에 제2고정부재(170)의 삽입돌기(171)를 삽입하면, 삽입홈(162)의 양측면에 형성된 경사돌기(163)와 삽입돌기(171)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72)가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제2고정부재(170)의 삽입돌기(171)가 제1고정부재(160)의 삽입홈(162)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62)의 양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경사면을 따라 동일한 크기의 경사돌기(163)가 다수 형성되고, 삽입돌기(171)의 양측면에는 경사돌기(163)에 대응하는 걸림돌기(172)가 형성되어 걸림돌기(172)에 대응하는 위치의 경사돌기(163)와 맞물리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2고정부재(170)의 삽입돌기(171)가 제1고정부재(160)의 삽입홈(162)에 완전하게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경사돌기(163)와 걸림돌기(172)가 서로 맞물리지 않게 된다.
즉, 제1고정부재(160)와 제2고정부재(170)의 불완전한 결합을 미리 방지함으로써 제1고정부재(160)와 제2고정부재(170)의 불완전한 결합에 의해 부재간의 조립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고정부재(160)와 제2고정부재(17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조립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상부 플레이트, 111:돌출리브, 112:제1삽입홀,
120:지지프레임, 121:절개홈, 122:제2삽입홀,
123:레일홈, 130:고정핀, 140:기둥부재,
141:가이드홈, G:포크 삽입공간, 150:하부 플레이트,
151:삽입공, 160:제1고정부재, 161:결합돌기,
162:삽입홈, 163:경사돌기, 170:제2고정부재,
171:삽입돌기, 172:걸림돌기, 173:지지부

Claims (7)

  1. 조립식 파레트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상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사이 영역에 포크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기둥부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기둥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기둥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기둥부재 내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일단부는 하부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홈에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의 내측면에는 제1고정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단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와, 삽입돌기의 후단에 마련되어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와 삽입홈의 결합면에는, 결합과 동시에 서로 맞물려 제2고정부재가 분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와 경사돌기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경사돌기는 복수 마련되어 삽입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양측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면에는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경사돌기가 배치되며,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경사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KR1020150149476A 2015-10-27 2015-10-27 조립식 파레트 KR10178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76A KR101782987B1 (ko) 2015-10-27 2015-10-27 조립식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76A KR101782987B1 (ko) 2015-10-27 2015-10-27 조립식 파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57A KR20170048857A (ko) 2017-05-10
KR101782987B1 true KR101782987B1 (ko) 2017-09-28

Family

ID=5874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476A KR101782987B1 (ko) 2015-10-27 2015-10-27 조립식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671B1 (ko) * 2017-07-13 2018-09-04 (주)알포터 조립식 파레트
KR101898456B1 (ko) * 2017-12-06 2018-09-13 (주)루맷 무용접 핀가이드 고정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필름 운송 보관용 케이스
KR102044443B1 (ko) * 2018-05-25 2019-11-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재 결합 조인트 구조
KR102329687B1 (ko) * 2020-04-06 2021-11-2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146B2 (ja) 1991-07-26 2000-04-04 株式会社資生堂 テトラエン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146B2 (ja) 1991-07-26 2000-04-04 株式会社資生堂 テトラエン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57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987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1894671B1 (ko) 조립식 파레트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KR200459255Y1 (ko) 파렛트 랙
KR101596151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1171138B1 (ko) 조립식 파렛트
KR20210135886A (ko) 조립식 목재 파레트
KR101866400B1 (ko) 조립식 파레트
US20200039686A1 (en) Plastic pallet having an integrally formed de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07700A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220970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팔레트
KR101682698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1632334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2030249B1 (ko) 유로폼
KR10209138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테이블
KR102109300B1 (ko)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KR102151311B1 (ko) 조립식 스태킹 랙
KR200450696Y1 (ko) 조립식 선반
KR101498071B1 (ko) 탑프레임
JP4732797B2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1224133B1 (ko) 조립식 팔레트
KR102145571B1 (ko) 조립식 지지체
KR101570680B1 (ko) 팔레트
KR200476984Y1 (ko)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KR101769697B1 (ko) 골판지를 이용한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