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84Y1 -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 Google Patents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84Y1
KR200476984Y1 KR2020140007706U KR20140007706U KR200476984Y1 KR 200476984 Y1 KR200476984 Y1 KR 200476984Y1 KR 2020140007706 U KR2020140007706 U KR 2020140007706U KR 20140007706 U KR20140007706 U KR 20140007706U KR 200476984 Y1 KR200476984 Y1 KR 200476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inforcing bar
reinforcing
side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희
Original Assignee
대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3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3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 양측과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부홈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이나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양측이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보강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며 보강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양측이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보조보강대로 구성된 보강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로 배열되는 본체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되, 본체의 양끝에 형성된 홈에는 길이가 긴 보강대를 결합하고 내부의 홈에는 길이가 짧은 보조보강대를 결합하여 다수의 본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A veneer board using modular pallet}
본 고안은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본체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여 본체에 형성된 양측의 홈에는 길이가 긴 보강대를 형성하고 내측에 형성된 홈에는 길이가 짧은 보조보강대를 결합시키며, 본체의 양측으로 밀착되면서 보강대 및 보조보강대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하부보강대를 고정시킴으로써, 파렛트의 강도를 우수하게 하면서 자재소모를 줄여 경제성을 우수하게 한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립식 파렛트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7760호와 같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을 통해 지지체를 십자형태 및 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지지체를 십자형태 및 사각형 형태로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지지체가 필요하게 되어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부품의 수량에 증가에 따른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부품의 수량 증가에 따른 유지,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건을 파렛트에 보관할 때, 상기 파렛트가 지지체를 통해서만 물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지지체가 물건의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물건을 제대로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를 홈을 통해서만 결합하게 되면서 홈부분에 크랙 등이 발생하게 되어 파렛트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는 상부 양측과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부홈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이나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양측이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보강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며 보강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양측이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보조보강대로 구성된 보강부로 이루어져,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로 배열되는 본체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되, 본체의 양끝에 형성된 홈에는 길이가 긴 보강대를 결합하고 내부의 홈에는 길이가 짧은 보조보강대를 결합하여 다수의 본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양측면으로 하부보강대를 고정시켜 본체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면서 파렛트의 제작시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단가 등을 감소시키면서 경제적으로 파렛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홈에 길이가 각각 다른 보강대 및 보조보강대를 결합함으로써, 본체를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면서 보강대의 사이로 외부보강대를 고정하여 본체의 지지력을 높여 물체를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로 배열되는 본체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되, 본체의 양끝에 형성된 홈에는 길이가 긴 보강대를 결합하고 내부의 홈에는 길이가 짧은 보조보강대를 결합하여 다수의 본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양측면으로 하부보강대를 고정시켜 본체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면서 파렛트의 제작시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단가 등을 감소시키면서 경제적으로 파렛트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홈에 길이가 각각 다른 보강대 및 보조보강대를 결합함으로써, 본체를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면서 보강대의 사이로 외부보강대를 고정하여 본체의 지지력을 높여 물체를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파렛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파렛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인 조립식 파렛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조립식 파렛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조립식 파렛트를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5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보강부(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분의 양측 끝 부분과 내측의 임의의 지점에 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임의의 지점에 하부홈(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본체(10)가 3개로 이루어지며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홈(12)는 조립식 파렛트(50)를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지게차(도면에 미도시)의 다리(도면에 미도시) 등이 삽입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강부(20)는 다수개로 배열된 본체(10)를 가로질러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홈(11)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 끝부분에 형성된 홈(11)에 끼워지게 되며, 양측부분이 최전면과 최후면에 설치된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보강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보강대(21)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 대로 설정한 후, 최전면과 최후면에 설치된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 임의의 지점에 형성된 홈(11)에 끼워지는 보조보강대(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보강대(22)는 최전면과 최후면에 설치된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보강대(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으로 외부보강대(23)를 설치하기 위해 보조보강대(22)의 길이를 보강대(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21)가 본체(1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결합되고 보조보강대(22)도 본체(1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최전면과 최후면에 설치된 본체(10)의 외측면으로 밀착되면서 보강대(21)의 사이로 밀착결합되는 외부보강대(23)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본체(10)를 배열하고 본체(10)를 가로지르는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 외에 본체(10)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본체(10)의 외측면으로 외부보강대(23)를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대(21) 및 외부보강대(23)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보강대(21) 및 외부보강대(23)의 내측으로 본체(10)가 위치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보강대(23)는 본체(10)의 외측면으로 밀착되게 되면서 본체(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면서 본체(10)에 밀착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홈(11)에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가 결합된 후, 3개로 구성된 본체(10) 중 중앙에 설치되는 본체(10)의 양측면으로 밀착되면서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의 하측으로 밀착되는 하부보강대(24)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술한 외부보강대(23)와 같이 본체(10)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대(24)의 양측이 보강대(21)의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이는,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50)를 사용자가 이동시키거나 사용할 때, 사용자의 신체나 임의의 물건, 벽 등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보강대(24)도 본체(10)에 밀착되어 형성됨으로써, 본체(1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외측과 내측으로 보강부(20)를 형성함으로써, 본체(1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에서는 하부보강대(24)를 3개로 구성된 본체(10) 중에서 가운데 위치한 본체(10)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모든 본체(10)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본체(10)에 하부보강대(24)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및 보강부(20)의 상측으로 물건 등을 용이하게 보관시킬 수 있도록 상측판(30)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측판(30)과 같은 경우는 현재 파렛트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 보강부(20), 상측판(30)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목재, 합성수지재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개의 본체(10)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일정간격 이격시켜 배열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홈(11) 중에서 일측에 형성된 홈(11)에 보강부(20)에 형성된 보강대(21)를 못이나 접착제와 같은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런 후,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홈(11)에 다른 보강대(21)를 끼우고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그러면, 본체(10)와 보강부(20)에 형성된 보강대(21)에 의해 본체(10)가 지면에 세워지면서 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홈(11)에 보강대(21)보다 길이가 짧은 보조보강대(22)를 끼우도록 하면서 고정부재를 통해 홈(11)에 보조보강대(22)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보강대(22)가 보강대(21)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조보강대(22)의 양측이 보강대(21)의 내측면에 밀착고정되게 된다.
상기 보조보강대(22)를 보강대(21)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길이로 제작할 경우 보강대(21)와 보조보강대(21)가 겹쳐지게 되면서 본체(10)와 높이 차이가 나타나게 되어 조립식 파렛트(50)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질 수 있게 때문에, 보조보강대(22)의 길이를 보강대(21)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보조보강대(22)가 본체(10)나 보강대(2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10)나 보강대(21)의 내측부분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에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를 설치한 후, 최전면과 최후면에 설치된 본체(10)의 외측면으로 외부보강대(23)를 고정부재를 통해 밀착,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보강대(23)도 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된 보강대(21)의 내측면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의 하측으로 본체(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부보강대(24)를 위치시키면서 3개소로 설치된 본체(10) 중 중앙의 본체(10)의 양측면으로 하부보강대(24)를 밀착시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본체(10) 및 보강부(20)의 상측으로 상측판(30)을 위치시키고 물품의 보관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50)를 제작할 때, 본체(10)와 보강부(20)만으로도 제작할 수 있어,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펫트(50)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가 많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와 동일한 방향 또는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부(20)를 통해 본체(1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어, 하중이 무거운 물건 등을 용이하게 보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측부분, 상측부분에 보강대(21), 보조보강대(22), 외부보강대(23)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의 하측으로 하부보강대(24)를 형성함으로써, 보강부(20)의 내구력 및 지지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50)에 실어진 물품의 하중이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로 전달되게 될 때, 하중에 의해 보강대(21)이 보조보강대(22)가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면서 물품 등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하부보강대(24)가 보강대(21), 보조보강대(22)를 하측부분에서 지지하게 되면서 보강대(21) 및 보조보강대(22)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보강부(20) 등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본체
11 : 홈 12 : 하부홈
20 : 보강부
21 : 보강대 22 : 보조보강대
23 : 외부보강대 24 : 하부보강대
50 :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Claims (4)

  1. 상부 양측과 내측으로 홈(11)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부홈(12)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이나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본체(10);
    상기 본체(10)를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며,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홈(11)에 결합되어 양측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보강대(21)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홈(11)에 결합되며 보강대(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양측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보조보강대(22)와, 상기 본체(10)에 밀착되면서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홈(11)에 결합된 한 쌍의 보강대(21)의 사이로 위치되는 외부보강대(23)와, 상기 보강대(21)와 보조보강대(22)의 하측으로 밀착되면서 본체(1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하부보강대(24)로 구성된 보강부(20);
    상기 본체(10)와 보강부(20)의 상측에 상측판(3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7706U 2014-10-23 2014-10-23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KR200476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06U KR200476984Y1 (ko) 2014-10-23 2014-10-23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06U KR200476984Y1 (ko) 2014-10-23 2014-10-23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84Y1 true KR200476984Y1 (ko) 2015-04-23

Family

ID=5343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706U KR200476984Y1 (ko) 2014-10-23 2014-10-23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8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617Y1 (ko) * 1999-10-07 2000-03-15 김삼옥 화물운반용 지재 팔렛트
KR200175616Y1 (ko) * 1999-05-14 2000-03-15 김삼옥 화물운반용 지재 팔렛트
KR20040012374A (ko) * 2002-08-02 2004-02-11 이성 골판지를 이용한 화물 적재용 팰리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616Y1 (ko) * 1999-05-14 2000-03-15 김삼옥 화물운반용 지재 팔렛트
KR200175617Y1 (ko) * 1999-10-07 2000-03-15 김삼옥 화물운반용 지재 팔렛트
KR20040012374A (ko) * 2002-08-02 2004-02-11 이성 골판지를 이용한 화물 적재용 팰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KR102196121B1 (ko) 해체 가능한 자가-조립 구조물
KR200464149Y1 (ko) 파렛트 적재 랙
JP3194802U (ja) 組立式パレット
US20060096508A1 (en) Modular pallet
KR100983828B1 (ko) 철재 팔레트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101890411B1 (ko) 팔레트랙용 타이빔
CA2735168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KR200476984Y1 (ko) 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파렛트
MX2008005625A (es) Tarima formada por multiples piezas.
KR101252180B1 (ko) 조립식 철재 팔레트
KR101852520B1 (ko) 고정편을 구비한 조립식 파렛트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KR101217386B1 (ko) 맞춤형 조립식 파레트
KR200480791Y1 (ko) 고강도 종이 팔레트
KR200476627Y1 (ko) 2-방향 파레트
KR200473315Y1 (ko) 파레트
KR101612531B1 (ko) 철재 파렛트
KR20140047794A (ko) 벽체용 앵글
KR200467760Y1 (ko) 합판 조립식 파렛트
KR200476631Y1 (ko) 4-방향 파레트
KR20160141514A (ko) 합판을 이용한 파렛트
KR200263820Y1 (ko) 철재 파레트
KR100714398B1 (ko) 조립식 플라스틱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