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680B1 - 팔레트 - Google Patents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680B1
KR101570680B1 KR1020150052176A KR20150052176A KR101570680B1 KR 101570680 B1 KR101570680 B1 KR 101570680B1 KR 1020150052176 A KR1020150052176 A KR 1020150052176A KR 20150052176 A KR20150052176 A KR 20150052176A KR 101570680 B1 KR101570680 B1 KR 10157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llet
connection
connection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희
염사성
최영환
Original Assignee
김재희
염사성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희, 염사성, 최영환 filed Critical 김재희
Priority to KR102015005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5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6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6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눕혀진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속 나열되고 상하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플레이트(10)와, 이들 상하로 이격된 수평플레이트들 사이의 일정위치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직립플레이트(20)를 서로 연결시키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공(11)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상기 직립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연결공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21)가 마련되며, 상기 서로 연결 고정된 상태의 연결공 및 연결부를 체결하는 체결구(3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평플레이트와 직립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팔레트를 형성하되, 수평플레이트에는 연결공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직립플레이트에는 연결부를 마련하여 연결공과 연결부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별도의 체결구로 이들의 결합이 견고히 체결되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팔레트가 조립이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하여 일부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팔레트의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도록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팔레트{PALLET}
본 발명은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플레이트와 직립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팔레트를 형성하되, 수평플레이트에는 연결공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직립플레이트에는 연결부를 마련하여 연결공과 연결부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별도의 체결구로 이들의 결합이 견고히 체결되도록 하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레트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삽입부가 마련된 소정 크기의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그 상면에 다양한 물품을 적재한 후 지게차의 포크가 팔레트의 저면을 들어 올려서 소정의 장소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운반도구를 말이다.
종래 기술의 팔레트는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수평플레이트가 상측부와 하측부를 이루고, 이들 상, 하측부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이들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수평플레이트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종래 기술의 상하 수평플레이트와 중앙의 연결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목재 팔레트인 경우 못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그 밖에 금속 팔레트인 경우는 용접이나 체결구에 의한 체결 방식을 통해 팔레트를 일체형으로 조립하였었다.
그러나, 종래의 팔레트용 플레이트의 연결방식은 못이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팔레트를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일례로 단일 플레이트의 손상 발생시 단일플레이트만을 교차하기 위한 부품 교체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체결구에 의한 체결방식은 공구 등이 소요되는 등 전반적으로 연결작업이 번거롭게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4981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플레이트와 직립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팔레트를 형성하되, 수평플레이트에는 연결공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직립플레이트에는 연결부를 마련하여 연결공과 연결부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별도의 체결구로 이들의 결합이 견고히 체결되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팔레트가 조립이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함은 물론 팔레트의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도록 하는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눕혀진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속 나열되고 상하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플레이트와, 이들 상하로 이격된 수평플레이트들 사이의 일정위치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직립플레이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상기 직립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연결공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서로 연결 고정된 상태의 연결공 및 연결부를 체결하는 체결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연결공은 내측면 일측에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직립플레이트의 연결부는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연결공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있는 연결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걸리는 고정돌기가 하단부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절취되어 양측으로 나눠지는 한 쌍의 기둥 구조로서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시 탄성적으로 오무라들었다가 연결공의 걸림턱에서 펼쳐져 걸리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의 걸림턱 저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의 걸림돌기의 상단부에 각각 서로 맞닿아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양측의 걸림돌기가 오무라들면서 상승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상면은 상기 연결공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의 상면만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이 노출된 상면에 다른 팔레트의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구의 상면이 고무재질로 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팔레트는 수평플레이트와 직립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팔레트를 형성하되, 수평플레이트에는 연결공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직립플레이트에는 연결부를 마련하여 연결공과 연결부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별도의 체결구로 이들의 결합이 견고히 체결되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팔레트가 조립이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하여 일부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팔레트의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도록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를 이용하여 조립한 팔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를 나타낸 팔레트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연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연결 후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눕혀진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속 나열되고 상하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플레이트(10)와, 이들 상하로 이격된 수평플레이트(10)들 사이의 일정위치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직립플레이트(20)를 서로 연결시키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상기 수평플레이트(10)의 일측에 관통공 구조의 연결공(1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플레이트(10)의 연결공(11)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상기 직립플레이트(20)의 일측에 상기 연결공(11)에 연결 고정되는 기둥 형상의 연결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1)는 직립플레이트(20)의 상면 및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연결공(11)은 양단부 및 중앙부에 직립 배치되어 있는 직립플레이트(20)에 대응하여 수평플레이트(10)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로 연결 고정된 상태의 연결공(11) 및 연결부(21)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체결하는 별도의 체결구(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평플레이트(10)의 연결공(11)은 내측면 일측에 연결부(21)의 걸림돌기(21b)가 걸리는 단턱 구조의 걸림턱(11a)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1a)은 상기 연결공(11)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립플레이트(20)의 연결부(21)는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21a)을 갖는 원관 형상으로 그 상단부에는 상기 연결공(11)의 걸림턱(11a)에 걸리는 걸림돌기(21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30)는 상단부에 상기 연결부(21)의 걸림돌기(21b) 상에 얹혀져서 걸리는 대직경 원판 구조의 헤드부와, 상기 걸림턱(11a)에 걸려있는 연결부(21)의 관통공(21a)을 관통하는 소직경 원관 구조의 몸통으로 이루어지고, 이 몸통의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연결부(21)의 저면(21c)에 걸리는 고정돌기(31)가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30)의 몸통은 그 하단의 고정돌기(31)가 연결부(21)의 관통공(21a)을 통해 하강시 오무라들었다가 저면(21c)에 다다르면 탄성적으로 펴져서 저면(21c)에 걸리도록 중앙이 관통된 유연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는 직경방향을 따라 소정폭만큼 절취되어 직경선을 기준으로 해서 양측으로 나눠지는 한 쌍의 반관체 기둥 구조로서, 각각의 기둥 구조가 어느 정도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연결공(11)으로 삽입시 탄성적으로 오무라들었다가 연결공(11)의 걸림턱(11a)에서 펼쳐져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공(11)의 걸림턱(11a) 저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21)의 걸림돌기(21b)의 상단부에는 각각 서로 맞닿아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양측으로 벌어져 있는 걸림돌기(21b)가 오무라들면서 상승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11a1,21b1)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30)의 상면(32)은 상기 연결공(11)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30)의 헤드부 상면(32)만 상기 수평플레이트(10)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이 노출된 상면에 다른 팔레트의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구(30)의 헤드부 상면(32)이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팔레트를 이용하여 팔레트를 조립하면, 우선 직립플레이트(20)를 등 간격으로 이격시켜 세군데에 수평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이들 직립플레이트(20)의 상면 및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플레이트(10)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연속해서 수평하게 나열시킨다.
이때, 상기 직립플레이트(20)의 각 연결부(21)와 이에 대응되는 수평플레이트(10)의 연결공(11)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수평플레이트(10)와 직립플레이트(20)를 결합시키면, 직립플레이트(20)의 연결부(21)가 수평플레이트(10)의 연결공(11)을 관통하여 진행되다가 연결공(11)의 걸림턱(11a)에 연결부(21)의 걸림돌기(21b)가 걸리면서 일차 결합이 완료된다.
이렇게 일차 결합이 완료되고 나면 별도의 체결구(30)를 이용하여 도면상 연결공(1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진행시켜 연결부(21)의 관통공(21a)을 관통한 후 고정돌기(31)가 연결부(21)의 저면에 걸리도록 하여 최종 체결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연결 작업을 수행하여 신속하고 수월하게 팔레트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팔레트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장착되어 있는 체결구(30)를 먼저 분리시키고 나서 연결부(21)를 연결공(11)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팔레트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수평플레이트와 직립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팔레트를 형성하되, 수평플레이트에는 연결공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직립플레이트에는 연결부를 마련하여 연결공과 연결부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별도의 체결구로 이들의 결합이 견고히 체결되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팔레트가 조립이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하여 일부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팔레트의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도록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플레이트 11 : 연결공
11a : 걸림턱 11a1 : 경사면
20 : 직립플레이트 21 : 연결부
21a : 관통공 21b : 걸림돌기
21b1 : 경사면 21c : 저면
30 : 체결구 31 : 고정돌기
32 : 상면

Claims (5)

  1. 눕혀진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속 나열되고 상하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플레이트와, 이들 상하로 이격된 수평플레이트들 사이의 일정위치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직립플레이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상기 직립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연결공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서로 연결 고정된 상태의 연결공 및 연결부를 체결하는 체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연결공은 내측면 일측에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직립플레이트의 연결부는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연결공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있는 연결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걸리는 고정돌기가 하단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절취되어 양측으로 나눠지는 한 쌍의 기둥 구조로서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시 탄성적으로 오무라들었다가 연결공의 걸림턱에서 펼쳐져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의 걸림턱 저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의 걸림돌기의 상단부에 각각 서로 맞닿아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양측의 걸림돌기가 오무라들면서 상승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상면은 상기 연결공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의 상면만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이 노출된 상면에 다른 팔레트의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구의 상면이 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KR1020150052176A 2015-04-14 2015-04-14 팔레트 KR10157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76A KR101570680B1 (ko) 2015-04-14 2015-04-14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76A KR101570680B1 (ko) 2015-04-14 2015-04-14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680B1 true KR101570680B1 (ko) 2015-11-20

Family

ID=5484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176A KR101570680B1 (ko) 2015-04-14 2015-04-14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6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90B1 (ko) 2004-11-02 2006-12-12 박일동 적재면적 가변 파렛트
KR100940877B1 (ko) * 2009-08-14 2010-02-09 이종근 조립식 파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90B1 (ko) 2004-11-02 2006-12-12 박일동 적재면적 가변 파렛트
KR100940877B1 (ko) * 2009-08-14 2010-02-09 이종근 조립식 파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364B2 (en) Assembly of pallet component and fasteners
JP6528794B2 (ja) ドライブチェーンのリンク組付装置及びリンク組付方法
KR20140000310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KR101782987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1570680B1 (ko) 팔레트
KR101384458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JP2021532031A (ja) デッキボードと金属製ブラケットを組み合わせた木製パレット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KR10170112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KR102109300B1 (ko) 물품 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JP6653941B2 (ja) 型枠押さえ具および型枠固定方法
CN104481991A (zh) 一种卡扣结构的拆卸装置
KR20140128073A (ko) 선체 블록 정렬 장치 및 선체 블록 정렬 방법
JP3170896U (ja) レーザ加工治具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JP2016050413A (ja) 立て起こし具及び立て起こし方法
KR101224133B1 (ko) 조립식 팔레트
KR102285410B1 (ko) 목재 팔레트 제작장치
KR101444377B1 (ko) 블록 접합용 가이드장치
KR101497550B1 (ko) 구조물 인양용 러그
KR101867511B1 (ko) 튜브 커넥터
KR101540399B1 (ko) 러그 지지체
JP7221144B2 (ja) パレット積み重ね用の治具
KR20120003532U (ko) 거푸집 판넬
KR20210115268A (ko) 디스플레이 패널·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하부 프레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