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855B1 - 공작기계의 베드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855B1
KR102107855B1 KR1020130162806A KR20130162806A KR102107855B1 KR 102107855 B1 KR102107855 B1 KR 102107855B1 KR 1020130162806 A KR1020130162806 A KR 1020130162806A KR 20130162806 A KR20130162806 A KR 20130162806A KR 102107855 B1 KR102107855 B1 KR 102107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ed
rib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738A (ko
Inventor
정상빈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8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드를 구비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베드의 하부에 상기 베드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베드의 하부에 상기 베드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평 리브 및 제2 수평 리브;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에 평행하고, 상기 베드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 리브; 및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리브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에는 X 자형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베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베드{Bed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공작기계에서 베드 하부 리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대형 공작기계의 베드의 무게는 줄이면서 강성과 냉각효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베드의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열응력 집중에 의해 발생하는 베드의 처침 현상을 최소화하여 공작물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며, 공작기계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베드에 관한 것이다.
터닝센터,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의 대부분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장치에 컴퓨터의 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으로 3차원 가공을 할 수 있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공작기계의 한 종류인 문형 머시닝센터(double colum type machine center)란 단순한 가공을 담당하는 선반 장치와 다르게 3차원 형상을 다수의 헤드 어태치먼트(head attachment)를 교환하여 직접가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문형 머시닝센터는 다양한 형상의 공작물을 다양한 공간과 각도에서 가공하기 위해 램 스핀들의 하단에 다양한 헤드 어태치먼트(head attachment)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공구가 상술한 다양한 헤드 어태치먼트의 선단에 장착되고, 공구를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헤드 어태치먼트의 선단에 툴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공작기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공작기계(1), 특히 문형 머시닝센터는 베드(2)가 지면에 설치되고, 테이블(3)의 베드(2)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베드(2)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 쌍의 칼럼(4)이 베드(2)의 양측에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크로스 레일(5)이 한 쌍의 컬럼(4)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컬럼(4)의 일부에 설치된다. 새들(6)이 크로스 레일(5)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크로스 레일(5) 상에 설치된다. 램 스핀들(7)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새들(4)의 일부에 설치된다. 헤드 어태치먼트(8)가 램 스핀들(2)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반(9)은 CNC를 통해 공작기계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반(9)을 통해 미리 입력된 PLC 프로그램에 의해 공작물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한다.
일반적으로 대형 공작기계에서 베드는 리브의 형상에 따라 베드의 무게와 베드의 강성이 결정된다. 종래에는 베드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리브를 형성함에 따라 베드의 무게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베드의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대형 공작기계의 베드는 리브가 하나의 연결부에 집중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베드의 다른 부분보다 늦게 냉각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응력 집중에 의해 베드의 처침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681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공작기계에서 베드의 하부 리브의 구조 개선을 통해 대형 공작기계의 베드의 무게는 줄이면서 베드의 강성과 냉각효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베드의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리브가 하나의 연결부에 집중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베드의 다른 부분보다 늦게 냉각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응력 집중에 의한 베드의 처침 현상을 최소화하여 공작물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며, 공작기계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는 베드의 하부에 상기 베드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베드의 하부에 상기 베드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평 리브 및 제2 수평 리브;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에 평행하고, 상기 베드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 리브; 및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리브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 사이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에는 X 자형 리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의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리브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의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에는 대각선 리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는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의 교차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X 자형 리브와 상기 대각선 리브의 선단이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의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의 수평 간격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의 수평 간격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의 수평 간격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는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의 교차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X 자형 리브의 선단이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에 각각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는 베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리브의 구조 개선을 통해 대형 공작기계의 베드의 무게는 줄이면서 베드의 강성과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는 리브의 구조 개선을 통해 베드의 무게를 감소시킴에 따라, 베드의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고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베드는 리브의 구조 개선을 통해 리브가 하나의 연결부에 집중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베드의 다른 부분 보다 늦게 냉가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응력 집중에 의한 베드의 처침 현상을 최소화하여 공작물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며, 공작기계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공작기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상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하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드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하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드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상방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하방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드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의 하방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드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에 대해 정리한다. 베드(100)는 상부(110)와 하부(120)로 이루어진다. 베드 상부(110)는 테이블이 안착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베드 하부(120)는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 측면부(121)는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1 수평 리브(151) 사이의 베드 하부(120)의 일부분을 의미하고, 중앙부(122)는 제1 수평 리브(151)와 제2 수평 리브(152) 사이의 베드 하부(120)의 일부분을 의미하며, 제2 측면부(123)는 제2 수평 리브(152)와 제2 수평 프레임(131) 사이의 베드 하부(120)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전단(124)은 제1 수직 프레임과 바로 인접한 수직 리브(160) 사이의 베드 하부(120)의 일부분을 의미하고, 후단(125)은 제2 수직 프레임과 바로 인접한 수직 리브(160) 사이의 베드 하부(120)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수평 중앙선(A)은 베드 하부(120)의 중앙부(122)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100)는 제1, 2 수평 프레임(130, 131), 제1, 2 수직 프레임(140, 141), 제1, 2 수평 리브(150, 151),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 및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 171, 172)로 이루어진다.
제1 수평 프레임(130)이 베드(100)의 하부(120)에 베드(100)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수평 프레임(131)이 베드(100)의 하부(120)에 베드(100)의 수평방향을 따라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문형 머시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의 경우에는 한 쌍의 컬럼을 설치하기 위해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2 수평 프레임(131)의 일부에 각각 돌출부(132, 1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 프레임(140)이 베드(100)의 하부(120)에 베드(100)의 수직방향을 따라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2 수평 프레임(131)의 일단에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수직 프레임(141)이 제1 수직 프레임(140)과 마주하면서, 베드(100)의 하부(120)에 베드(100)의 수직방향을 따라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2 수평 프레임(131)의 일단에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제1 수평 리브(150)와 제2 수평 리브(151)가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2 수평 프레임(131)에 평행하도록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2 수평 프레임(131)의 사이에 형성된다. 즉, 제1 수평 리브(150)가 제1 수평 프레임(130)에 평행하면서 제1 수평 프레임(13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제2 수평 리브(151)가 제1 수평 리브(150)와 이격되어 제2 수평 프레임(131)에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평 리브(150)와 제2 수평 리브(151)가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2 수평 프레임(131) 사이에 제1, 2 수평 프레임(130, 131)과 평행하게 설치됨에 따라 베드 하부(120)의 제1 측면부(121), 중앙부(122), 및 제2 측면부(123)가 공간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가 제1 수직 프레임(140)과 제2 수직 프레임(141)에 평행하고, 베드(100)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드 하부(120)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는 수직 리브(160)를 제외하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는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 171, 172)이 제1,2 수평 프레임(130, 131), 제1, 2 수직 프레임(140, 141), 제1 수평 리브(150, 151), 및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사이에 형성된다. 즉,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1 수평 리브(150) 및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은 제1 측면부에 베드 하부(120)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수평 리브(150)와 제2 수평 리브(151) 및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1)은 중앙부에 베드 하부(120)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2 수평 리브(151)와 제2 수평 프레임(131) 및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모듈(172)은 제2 측면부에 베드 하부(120)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중앙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2)에는 X자형 리브(180)가 각각 1개씩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드(100)의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 및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2)에는 대각선 리브(181)가 각각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드 하부(120)의 전단과 후단의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 172)에는 X자형 리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베드 하부(120)의 전단과 후단의 제1 측면부, 중앙부, 및 제2 측면부에 형성되는 X자형 리브의 선단이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에 각각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드 하부(120)의 전단과 후단은 상대적으로 하중을 많이 받는 곳으로 대각선 리브가 아닌 X자형 리브를 형성하고, 무게는 최소화하면서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드(100)의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1 수평 리브(150) 사이의 간격(L1) 및 제2 수평 리브(151)와 제2 수평 프레임(131) 사이의 간격(L3)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1 수평 리브(150) 사이의 간격(L1) 및 제2 수평 리브(151)와 제2 수평 프레임(131) 사이의 간격(L3)의 비율(L1:L3)은 1:1이 된다. 또한, 수평 중앙선(A)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수평 리브(150)와 제2 수평 리브(151) 사이의 간격(L2)은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1 수평 리브(150) 사이의 간격(L1) 및 제2 수평 리브(151)와 제2 수평 프레임(131) 사이의 간격(L3)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드(100)는 제1 수평 리브(150)와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 및 제2 수평 리브(151)와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의 교차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부(1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베드(100)의 복수 개의 연결부(190)에 X자형 리브(180)와 대각선 리브(181)의 선단이 각각 결합된다. 연결부(190)에 X자형 리브(180)와 대각선 리브(181)의 선단이 결합됨에 따라 베드(100)의 강성이 보강된다.
상술한 베드(100)의 경우 중앙부의 최대 처짐량은 0.000676mm이고,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의 처짐량은 0.00886mm이며, 전체 무게는 18516Kg으로, 종래 베드보다 강성은 더욱 증가되고, 무게는 감소하여 베드의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처짐량 감소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100)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1)의 수평 간격(D2)이 제1 수평 프레임(130)과 제1 수평 리브(150)와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의 수평 간격(D1) 및 제2 수평 리브(151)와 제2 수평 프레임(131)과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2)의 수평 간격(D3)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중앙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1)의 수평 간격(D2)이 제1 측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의 수평 간격(D1) 및 제2 측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2)의 수평 간격(D3) 보다 크게( D1, D3 < D2)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베드(100)는 제1 측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0)과 제2 측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2)에는 대각선 리브가 형성되지 않고, 중앙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모듈(171) 중 베드 하부의 전단의 리브 모듈(171)에는 1개의 X자형 리브(180)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되는 나머지 리브 모듈(171)에는 2개의 X자형 리브(1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베드(100)의 경우 중앙부의 최대 처짐량은 0.000717mm이고,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의 처짐량은 0.00875mm이며, 전체 무게는 16604Kg으로, 강성은 상술한 베드(100)와 거의 동일하고 유지하면서 무게는 더욱 감소시킴에 따라 베드의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처짐량 감소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베드(100)는 제1 수평 리브(150)와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 및 제2 수평 리브(151)와 복수 개의 수직 리브(160)의 교차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부(191)를 더 포함한다. X자형 리브(180)의 선단이 복수 개의 연결부(191)에 각각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 개의 연결부(191)에 X자형 리브(180)의 선단이 집중되어 복수 개의 연결부(191)가 다른 부분보다 냉각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부(191)의 열응력 집중에 의해 강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공작기계, 2 : 베드,
3 : 테이블, 4 : 컬럼,
5 : 크로스 레일, 6 : 새들,
7 : 램 스핀들, 8 : 헤드 어태치먼트,
9 : 조작반, 100 : 베드,
110 : 상부, 120 : 하부,
121 : 제1 측면부, 122 : 중앙부,
123 : 제2 측면부, 124 : 전단,
125 : 후단, 130 : 제1 수평 프레임,
131 : 제2 수평 프레임, 132 : 돌출부,
133 : 돌출부, 140 : 제1 수직 프레임,
141 : 제2 수직 프레임, 150 : 제1 수평 리브,
151 : 제2 수평 리브, 160 : 수직 리브,
170, 171, 172 : 리브 모듈, 180 : X자형 리브,
181 : 대각선 리브, 190, 191 : 연결부.

Claims (6)

  1. 베드를 구비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하부에 상기 베드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베드의 하부에 상기 베드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평 리브 및 제2 수평 리브;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에 평행하고, 상기 베드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 리브;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리브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 모듈; 및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의 교차부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에는 X자형 리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X자형 리브의 선단이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에 각각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리브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에는 대각선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의 교차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X자형 리브와 상기 대각선 리브의 선단이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베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의 수평 간격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의 수평 간격 및 상기 제2 수평 리브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 리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모듈의 수평 간격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베드.
  6. 삭제
KR1020130162806A 2013-12-24 2013-12-24 공작기계의 베드 KR102107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806A KR102107855B1 (ko) 2013-12-24 2013-12-24 공작기계의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806A KR102107855B1 (ko) 2013-12-24 2013-12-24 공작기계의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738A KR20150074738A (ko) 2015-07-02
KR102107855B1 true KR102107855B1 (ko) 2020-05-07

Family

ID=5378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806A KR102107855B1 (ko) 2013-12-24 2013-12-24 공작기계의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6618A (zh) * 2017-01-22 2017-05-31 东莞市汇高工业机械有限公司 一种高精度数控机床
CN109014974A (zh) * 2018-08-30 2018-12-18 机械科学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立式机床的床身及其立式机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767A (ja) * 2003-10-31 2005-05-26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185B1 (ko) * 2010-09-06 2017-09-12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터닝 센터 베드의 리브 구조체
KR101788867B1 (ko) 2010-12-17 2017-10-2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크로스 레일의 상하 밸런스를 위한 유압 실린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767A (ja) * 2003-10-31 2005-05-26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738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13452U (zh) 龙门式镗铣磨组合数控机床
JP5025036B2 (ja) 工作機械のラム案内装置
KR101430047B1 (ko) 2축 갠트리 로더의 새들 및 이를 적용한 2축 갠트리 로더
JP2002205231A (ja) 工作機械、特に切削放電加工機ならびにモジュール・セット
KR102107855B1 (ko) 공작기계의 베드
KR102231352B1 (ko) 2개의 스핀들을 구비하는 공작기계
CN105108502A (zh) 一种立柱加强型精密立式加工中心
KR102131240B1 (ko) 독립적인 위치제어가 가능한 더블 스핀들 구조를 갖는 머시닝센터
CN202668059U (zh) 一种并联式钻铣床
JP5435169B1 (ja) 工作機械
KR102068365B1 (ko) 공작기계의 자동 헤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CN205057408U (zh) 一种衬套立柱焊接工装
CN204913296U (zh) 一种工作台稳固型精密立式加工中心
KR102461198B1 (ko) 공작기계의 크로스 레일
CN204868364U (zh) 一种动柱式机床
CN108544245A (zh) 多动梁式数控机床
CN204075998U (zh) 一种用于磨床的立柱
KR101523690B1 (ko) 칼럼이송용 밀링머신의 헤드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삭용 기계장치
CN211030387U (zh) 一种多功能加工非金属的钻铣数控设备
KR102185506B1 (ko) 공작 기계
KR101389935B1 (ko) 금속 가공용 갠트리 타입의 공작기계 시스템
KR101882767B1 (ko) 공작기계의 밸런싱 웨이트 장치
CN208006563U (zh) 数控卧磨冷雕机
CN204913292U (zh) 一种底座稳固型精密立式加工中心
CN204913290U (zh) 一种高精度稳固型精密立式加工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