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804B1 -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 Google Patents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804B1
KR102107804B1 KR1020190144273A KR20190144273A KR102107804B1 KR 102107804 B1 KR102107804 B1 KR 102107804B1 KR 1020190144273 A KR1020190144273 A KR 1020190144273A KR 20190144273 A KR20190144273 A KR 20190144273A KR 102107804 B1 KR102107804 B1 KR 10210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gly
dementia
memory
cognitiv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9014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804B1/ko
Priority to CA3151414A priority patent/CA3151414A1/en
Priority to AU2020368789A priority patent/AU2020368789B2/en
Priority to CN202080058603.0A priority patent/CN114269768A/zh
Priority to PCT/KR2020/011579 priority patent/WO2021075707A1/ko
Priority to US17/023,248 priority patent/US202101150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16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romatic or cycloaliphat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05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101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2 to 4 carbon atoms, e.g. Val, Ile, Le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는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식 1]
Tyr-Gly-X1-X2
(상기 일반식에서 X1은 Ala, Tyr, Thr, Val, Gly, Ile 또는 Gln이고, X2는 Ala, Tyr, Ile, Val 또는 Gly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초기 개선 활성을 통하여 두뇌 및 인지기능 장애에 대하여 비교적 소량으로 투여하면서도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PEPTIDES FOR IMPROVING MEMORY COGNITIVE FUNCTION}
본 발명은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한 염기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인지기능 장애 개선 및 기억력 개선 등에 관한 초기 효과가 우수한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치매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인지기능, 지적능력, 감정 및 행동변화 등에서 뚜렷한 손상을 나타내는 복합 임상 증후군으로서, 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 능력 등의 대뇌피질 기능장애가 발생하여 일상,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태이다. 치매라고 정의할 때는 기억력을 포함하여 다른 인지기능 중 한 가지 이상의 장애가 있는 경우를 말하며, 단순히 기억력만 떨어진 경우는 치매라고 하지 않는다.
치매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나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에서부터 뇌출혈, 대사성질환인 간성뇌병증, 윌슨병(Wilson's Disease), 감염성 질환인 신경매독, 후천성면역결핍증, 알코올과 같은 약물중독, 뇌외상 등 다양한 병인이 있으며, 어떤 형태로는 중추신경계에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은 치매를 유발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가 50 내지 60 %로 가장 많으며, 뇌혈관 질환에 의한 치매가 그 다음이다.
기억 인지 장애는 알츠하이머 질환자들이 처음으로 겪는 증상이며 또한 가장 흔한 증상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초기에 환자들은 최근의 대화나 일의 내용을 자세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최근 기억(recent memory) 장애를 겪게 되는데, 이는 해마의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최근 기억을 저장하는 기능이 떨어진 데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먼 과거에 있었던 사건들에 대한 과거 기억(remote long-term memory)은 상대적으로 잘 유지된다. 그러나 병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장기기억의 저장과 관련된 대뇌피질이 손상되면서 이러한 과거의 기억도 점차 장애를 보이게 된다.
한편, 동맥경화에 이어 발생한 혈전에 의해 뇌동맥이 막혀 조직이 죽게 되는 지역이 해마(hippocampus)와 같은 중요 지역에서 발생하면 치매로 발전하게 되며, 혈관성치매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가는 혈관들이 막히거나 또는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하는 겉질밑 허혈성 혈관성 치매(subcortical ischemic vascular dementia, SIVD)(전체 혈관성 치매의 35 내지 67 % 차지)이다(Roman et al., Subcortical ischaemic vascular dementia. Lancet Neurol 2002;1:426-436). 겉질밑 허혈성 혈관성치매(SIVD)에서의 손상은 주로 백색질에서 일어나며 이러한 질환을 닮은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Hainsworth & Markus, Do in vivo experimental models reflect human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J Cerebral Blood Flow & Metabolism 2008;28:1877-1891). 혈관성 치매에 대해서는 백색질을 이루는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가 혈관성치매가 일어나는 조건에서 세포자살에 의해 죽는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를 억제하여 치료를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의 경우 외국계열 회사가 98 %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수입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더욱이 한 회사가 시장의 80 %를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한국 과학기술정보연구원. 치매치료제. p.116, 2002). 이는 국가경쟁력 측면에서도 치매 치료분야의 성장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효과적인 항건망제제 및 기억력 개선제의 개발은 알츠하이머 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초기 병증 개선 및 치료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기억인지력의 장애를 겪는 건망증, 치매환자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
KR 10-2019-0018897 A KR 10-2018-0094556 A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염기서열로 구성되면서 기억력 및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초기 개선효과가 탁월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초기 개선 활성을 통하여 두뇌 및 인지기능 장애에 대하여 비교적 소량으로 투여하면서도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는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식 1]
Tyr-Gly-X1-X2
(상기 일반식에서 X1은 Ala, Tyr, Thr, Val, Gly, Ile 또는 Gln이고, X2는 Ala, Tyr, Ile, Val 또는 Gly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는 하기의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식 2]
Ile-Gly-Z1-Z2
(상기 일반식에서 Z1은 Ala, Tyr, Val 또는 Gln이고, Z2는 Ala, Tyr, Val 또는 Gly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조성물은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및 하기의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식 1]
Tyr-Gly-X1-X2
(상기 일반식에서 X1은 Ala, Tyr, Thr, Val, Gly, Ile 또는 Gln이고, X2는 Ala, Tyr, Ile, Val 또는 Gly이다.)
[일반식 2]
Ile-Gly-Z1-Z2
(상기 일반식에서 Z1은 Ala, Tyr, Val 또는 Gln이고, Z2는 Ala, Tyr, Val 또는 Gly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상기 펩타이드 또는 상기 펩타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품은 상기 펩타이드 또는 상기 펩타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치매,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섬망, AIDS 유발 치매, 빈스완거 병,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성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다발성 경색성 치매, 픽병, 의미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또는 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는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식 1]
Tyr-Gly-X1-X2
(상기 일반식에서 X1은 Ala, Tyr, Thr, Val, Gly, Ile 또는 Gln이고, X2는 Ala, Tyr, Ile, Val 또는 Gly이다.)
특정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조합하여 실크 피브로인을 가수분해 하면서 특정한 시퀀스를 가지는 아미노산이 포함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가 나타날 뿐 아니라 매우 짧은 기간 내에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고, 일반적인 가수분해물과 달리 빠른 작용, 효과가 나타나는 아미노산 서열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해당 가수분해물을 분석하여 위와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와 일반식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가 혼합된 펩타이드 조성물과 같이 구성된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조성물의 경우에 의하여 위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하고,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상기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높은 정도의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가 나타날 뿐 아니라 매우 짧은 기간 내에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게 되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P1-1 내지 P1-6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P1-1 Tyr-Gly-Gln-Gly
P1-2 Tyr-Gly-Gly-Ala
P1-3 Tyr-Gly-Ala-Ala
P1-4 Tyr-Gly-Val-Gly
P1-5 Tyr-Gly-Val-Ile
P1-6 Tyr-Gly-Ile-Ala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일반식 1의 펩타이드는 상기 [표 1]에서 펩타이드 P1-2, P1-3, P1-5, P1-6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에 의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가 뛰어 날 뿐만 아니라 초기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단기간 내에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낼 수 있다.특히, 상기 펩타이드 P1-5, P1-6에 의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다 짧은 시간 내에 우수한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는 하기의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식 2]
Ile-Gly-Z1-Z2
(상기 일반식에서 Z1은 Ala, Tyr, Val 또는 Gln이고, Z2는 Ala, Tyr, Val 또는 Gly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조성물은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및 하기의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식 1]
Tyr-Gly-X1-X2
(상기 일반식에서 X1은 Ala, Tyr, Thr, Val, Gly, Ile 또는 Gln이고, X2는 Ala, Tyr, Ile, Val 또는 Gly이다.)
[일반식 2]
Ile-Gly-Z1-Z2
(상기 일반식에서 Z1은 Ala, Tyr, Val 또는 Gln이고, Z2는 Ala, Tyr, Val 또는 Gly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표 2]과 같이 P2-1 내지 P2-4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P2-1 Ile-Gly-Tyr-Val
P2-2 Ile-Gly-Val-Ala
P2-3 Ile-Gly-Ala-Tyr
P2-4 Ile-Gly-Gln-Gly
상기 [표 2]에 따른 펩타이드가 혼합되어 펩타이드 조성물을 구성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가 단기간 내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한편, 상기 펩타이드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100 중량부에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인지기능 및 개선효과의 활성이 빠르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상기 펩타이드 또는 상기 펩타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품은 상기 펩타이드 또는 상기 펩타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치매,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섬망, AIDS 유발 치매, 빈스완거 병,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성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다발성 경색성 치매, 픽병, 의미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또는 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오일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약학적 유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기억장애, 인지장애 또는 학습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염기서열로 구성되면서 기억력 및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초기 개선효과가 탁월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초기 개선 활성을 통하여 두뇌 및 인지기능 장애에 대하여 비교적 소량으로 투여하면서도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의 인지기억력 개선 효과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의 인지기억력 개선 효과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의 인지기억력 개선 효과 실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펩타이드의 합성 및 혼합]
실크 피브로인 가수분해물 중 단기간 내에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가수분해물을 분석하고, 빠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하는 펩타이드를 예측하였다.
이에 따라 예측된 펩타이드가 단기간 내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P1-1 내지 P1-6의 펩타이드를 외부기관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또한 각 펩타이드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의 P2-1 내지 P2-4을 합성하고, 하기의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합성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펩타이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P1-6 M1 M2 M3 M4
P1-6 100 100 100 100 100
P2-1 - 50 - - -
P2-2 - - 50 - -
P3-3 - - 50 -
P4-4 - - - - 50
(단위: 중량부)
[ 실험예 :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에 관한 실험]
실험예1 : 인지기능 개선에 대한 동물 모델 실험
A. 실험 동물의 준비
실험 동물은 웅성 백서 (Sprague Dawley, 140 내지 180 g, 대한실험동물센터)로서, 이들은 일정한 환경 (실내온도 25±1℃, 상대습도 60±10%)에서 일주일 동안 하나의 사육 상자 당 4 마리씩 넣어 물은 제한 없이 제공하였으며, 이때, 몸무게의 80%를 유지하도록 제한 급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총 50 마리를 사용하였다. 훈련 3일 전부터 5분씩 미로에 적응시켜 검사를 진행하였다.
B. 교대 지연 검사(delayed alternation test)
총 세 개의 통로(왼쪽, 오른쪽, 중앙부)가 있으며, 각 통로 입구는 실험자가 동물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칸막이를 설치한 'ㅠ'자가 모양의 미로를 준비하였다.
첫 시행에서는 출발 상자에 1분간 적응시켰다. 첫 시행은 '강제 선택 시행'으로, 칸막이로 한쪽 통로를 막아놓고 반대편 통로에 동물이 들어가면 칸막이로 후방을 막았다. 동물의 사지가 통로 입구를 통과하면 동물이 들어간 것으로 간주하였다. 60초간 동물이 해당 통로에서 먹이를 먹도록 하였다.
다음 시행부터는 '자유 선택 시행'으로 동물이 출발상자에서 출발하여 자유롭게 통로의 방향(왼쪽 혹은 오른쪽)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동물은 바로 이전의 시행에서 들어갔던 통로와 반대편 통로로 들어갔을 경우에만 먹이 보상을 하였다.
시행 간격은 5초 및 20초로 지연 시간(delay)를 두고 구성되며, 매 시행의 제한시간(cut-off time)은 60초로 하였다. 동물이 강화가 주어지는 통로에 정확하게 들어간 횟수와 통로까지 들어가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하루에 10 시행식 9일 동안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C. 투여 방법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합성 및 혼합된 P1-1 내지 P1-6와 M1 내지 M4를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실크 펩타이드 용액으로 제조하고 마우스의 복강 내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다
D. 인지 기억 평가 결과
P1-1 내지 P1-6와 M1 내지 M4를 투여한 군에 대해 T-maze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하기의 [도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3]는 시행 간격을 5초로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9일 간의 훈련 기간 동안 성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P1-1 내지 P1-6에 의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인지기억력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펩타이드 P1-2, P1-3, P1-5, P1-6에 의하는 경우 P1-1 및 P1-4에 비하여 인지기능 및 기억력 향상 효과가 높아진다는 점을 있다.
한편, P1-6의 경우 다른 합성 펩타이드에 비하여 투여 초기부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가 급격하게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M1 내지 M4와 같이 P2-1 내지 P2-4가 혼합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에 대한 상승작용이 생길 뿐만 아니라, 초기 개선 효과가 급격히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P2-2는 상대적으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가 우수한 편이지만, 이를 제외한 P2-1, P2-3 및 P2-4는 그 자체로서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가 개선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P2-1 내지 P2-4 전체가 [일반식 1]의 펩타이드와 혼합되어 펩타이드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의하여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와 초기 개선효과가 크게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식 1]의 펩타이드와 [일반식 2]의 펩타이드가 혼합되어 펩타이드 조성물을 이루는 경우 인지기억력 개선 효과 및 초기 활성이 빠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식품 또는 의약품의 경우 초기 활성이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와 초기 개선 효과를 향상시킨 식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NATURESENSE <120> PEPTIDES FOR IMPROVING MEMORY COGNITIVE FUNCTION <130> WP193115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1 <400> 1 Tyr Gly Gln Gly 1 <210> 2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2 <400> 2 Tyr Gly Gly Ala 1 <210> 3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3 <400> 3 Tyr Gly Ala Ala 1 <210> 4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4 <400> 4 Tyr Gly Val Gly 1 <210> 5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5 <400> 5 Tyr Gly Val Ile 1 <210> 6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6 <400> 6 Tyr Gly Ile Ala 1 <210> 7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1 <400> 7 Ile Gly Tyr Gly 1 <210> 8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2 <400> 8 Ile Gly Val Ala 1 <210> 9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3 <400> 9 Ile Gly Ala Tyr 1 <210> 10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4 <400> 10 Ile Gly Gln Gly 1

Claims (5)

  1. 서열번호 1, 3, 5 내지 8, 10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2. 삭제
  3. 서열번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4. 서열번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치매,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실행증, 섬망, AIDS 유발 치매, 빈스완거 병,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성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다발성 경색성 치매, 픽병, 의미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또는 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의약품.
KR1020190144273A 2019-10-16 2019-11-12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KR10210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73A KR102107804B1 (ko) 2019-11-12 2019-11-12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CA3151414A CA3151414A1 (en) 2019-10-16 2020-08-28 Peptide for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or alleviating cognitive impairment,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U2020368789A AU2020368789B2 (en) 2019-10-16 2020-08-28 Peptide for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or alleviating cognitive impairment,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202080058603.0A CN114269768A (zh) 2019-10-16 2020-08-28 用于改善记忆力和预防或改善认知功能障碍的肽及包含该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PCT/KR2020/011579 WO2021075707A1 (ko) 2019-10-16 2020-08-28 기억력 개선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US17/023,248 US20210115086A1 (en) 2019-10-16 2020-09-16 Peptide for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or alleviating cognitive dysfunctio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73A KR102107804B1 (ko) 2019-11-12 2019-11-12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804B1 true KR102107804B1 (ko) 2020-05-07

Family

ID=7073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73A KR102107804B1 (ko) 2019-10-16 2019-11-12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07A1 (ko) * 2019-10-16 2021-04-2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기억력 개선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997A2 (en) * 2005-12-01 2007-06-07 University Of Pittsburgh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Compound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poptosis
KR20080034559A (ko) * 2006-10-17 2008-04-22 주식회사 브레인가드 두뇌기능 향상과 뇌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KR101048657B1 (ko) * 2010-08-11 2011-07-12 월드웨이(주) 실크 아미노산 및 티로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2008494A1 (ja) * 2010-07-16 2012-01-19 独立行政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子宮体がんの検査方法、子宮体がんの検査薬、並びに子宮体がん抗原に対する抗体
KR101706296B1 (ko) * 2015-12-21 2017-02-13 주식회사 브레인온 기억력, 학습력, 인지력 향상용 조성물
KR20180094556A (ko) 2017-02-16 2018-08-24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또는 치매의 예방, 지연,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8897A (ko) 2017-08-16 2019-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과일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또는 인지기능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997A2 (en) * 2005-12-01 2007-06-07 University Of Pittsburgh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Compound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poptosis
KR20080034559A (ko) * 2006-10-17 2008-04-22 주식회사 브레인가드 두뇌기능 향상과 뇌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WO2012008494A1 (ja) * 2010-07-16 2012-01-19 独立行政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子宮体がんの検査方法、子宮体がんの検査薬、並びに子宮体がん抗原に対する抗体
KR101048657B1 (ko) * 2010-08-11 2011-07-12 월드웨이(주) 실크 아미노산 및 티로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706296B1 (ko) * 2015-12-21 2017-02-13 주식회사 브레인온 기억력, 학습력, 인지력 향상용 조성물
KR20180094556A (ko) 2017-02-16 2018-08-24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또는 치매의 예방, 지연,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8897A (ko) 2017-08-16 2019-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과일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또는 인지기능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saccia F. 등, Int. J. Pept. Protein Res., Vol.44, No.4, p.332-341 Abstract (1994.10.)* *
NCBI GenBank Accession No. NP_001106733.1 (2019.09.2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707A1 (ko) * 2019-10-16 2021-04-2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기억력 개선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chmer et al. Single-antibiotic therapy for streptococcal endocarditis
Ottani et al. Effect of γ-hydroxybutyrate in two rat models of focal cerebral damage
JP4824841B2 (ja) 脳機能改善用組成物および脳機能を改善する方法
CN108503690A (zh) 一种促进创伤后组织修复与再生的修复肽及其应用
KR102107804B1 (ko)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DE69733097T2 (de) Mittel zur Verbesserung der Knochenbildung und zur Inhibierung der Knochenresorption
KR102107807B1 (ko)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KR102107808B1 (ko)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JP7248840B2 (ja) くすぶり炎症抑制剤
CN101028098B (zh) 含有骨胶原肽的食品组合物
KR102107806B1 (ko)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펩타이드 조성물
JP2001158735A (ja) 歯周病の予防及び改善剤
WO2024022468A1 (zh) 鼠李糖在制备用于治疗或预防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中的用途、药物组合物及其应用
Gilda et al. Increased dental caries activity in the Syrian hamster following desalivation.
Kozlowski et al. Paradoxical effects of cortical impact injury on environmentally enriched rats
DE69823981T2 (de) Verwendung von Peptidverbindungen zur Behandlung von SLE
US20210115086A1 (en) Peptide for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or alleviating cognitive dysfunctio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136932A (ja) 脳機能改善用組成物および脳機能を改善する方法
JP2019532987A (ja) 合成のラクダ臓器抽出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WO2012036191A1 (ja) 脳機能改善用組成物および脳機能を改善する方法
JPH0587048B2 (ko)
KR102107816B1 (ko)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실크 유래 펩타이드 조성물
KR102107817B1 (ko) 인지장애 및 기억력 개선용 단백질 조성물
KR102107815B1 (ko) 기억력 개선용 실크 유래 펩타이드 조성물
Lang et al. No nerve growth factor response to treatment with memantine in adult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