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58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58B1
KR102106758B1 KR1020167003335A KR20167003335A KR102106758B1 KR 102106758 B1 KR102106758 B1 KR 102106758B1 KR 1020167003335 A KR1020167003335 A KR 1020167003335A KR 20167003335 A KR20167003335 A KR 20167003335A KR 102106758 B1 KR102106758 B1 KR 102106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engine
switch
exhaust gas
regener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129A (ko
Inventor
아키미치 이와타
카즈히사 요코야마
유우스케 코이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9107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090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9107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436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910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055238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01N3/025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adding fuel to exhaust gases
    • B60K2350/9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2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7Engine emissions
    • B60Y2300/476Regeneration of particl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30/00Influencing exhaust purification, e.g. starting of catalytic reaction, filter regeneration, or the like, by controlling engine operating characteristics
    • F01N2430/06Influencing exhaust purification, e.g. starting of catalytic reaction, filter regeneration, or the like, by controlling engine operat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uel-air ratio, e.g. by enriching fuel-air mix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4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422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measuring the elapsed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0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1N2900/102Travelling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 Y02T10/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주행 기체에 탑재하는 엔진과,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치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가 오퍼레이터의 뜻에 반해서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재생 스위치(329)를 갖는다. 우선, 엔진(5)의 누적 구동 시간이 소정 이상으로 경과했을 때에 미터 패널(246)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미터 패널(246)에 있어서의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표시 후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재생 스위치(329)가 수동 조작되었을 때에만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 제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원 발명은 엔진의 상부측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탑재한 농작업차 등의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요즘, 디젤 엔진(이하, 간단히 엔진이라 함)에 관한 고차원의 배기 가스 규제가 적용됨에 따라 엔진이 탑재되는 농작업 차량이나 건설 토목 기계에 배기 가스 중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정화 처리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로서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 등을 포집하는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08-3195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작업 차량과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을 탑재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배기 매니폴드와의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내의 배기 가스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엔진을 장시간 연속하여 저부하에서 운전했을 경우에 있어서는 배기 가스 온도가 낮아지는 점으로부터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내에 입자상 물질(PM)이 축적되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정화 능력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엔진의 부하 증대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재생 제어를 행하는 경우가 있어 상기 재생 제어가 자동적으로 실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재생 제어가 자동적으로 실행될 경우, 엔진이 자동적으로 고부하 상태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저부하에서의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에는 엔진이 오퍼레이터의 의사에 반한 동작을 행할 뿐만 아니라 엔진이나 작업기에 구동 트러블이 발생한다. 또한, 재생 제어에 따라서는 작업 차량의 주행 기체나 작업기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지만, 단순히 재생 제어의 실행을 오퍼레이터에게 요구하는 것만으로는 실제로 필요로 하는 조작을 오퍼레이터에 의해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제어를 수동 조작에 의해 실행시킬 경우, 오퍼레이터에게 수동 조작을 재촉하기 위해 경보 램프나 경보 버저에 의한 통지가 행해지지만, 이러한 재생 제어의 조작 스위치를 평소에 활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조작 스위치의 장소를 찾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알아차리지 못해 재생 제어의 실행을 위해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황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 기체에 탑재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치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의 운전 조작 상황을 표시하는 운전 조작 표시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내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재생 제어를 실행 가능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재생 스위치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누적 구동 시간이 소정 이상으로 경과했을 때에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가 표시되고,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표시 후에 상기 재생 스위치가 수동 조작되었을 때에만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개시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상기 재생 스위치가 연속 동작되었을 때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개시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여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는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 후에 상기 재생 스위치에서 수동 조작을 접수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만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지령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여 상기 재생 스위치가 점등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엔진 컨트롤러의 재생 제어 요구 출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재생 스위치의 수동 조작을 요구하기 위해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점멸 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재생 스위치를 점멸 또는 점등시킨다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재생 스위치가 그 점멸 주기를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점멸 표시에 있어서의 점멸 주기와 동기하여 점멸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는 그 중앙 표시 영역에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엔진 회전계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중앙 표시 영역의 외측이 되는 외측 표시 영역에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램프를 배치하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외측으로서,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표시 램프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상기 재생 스위치를 설치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는 상기 외측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표시 램프 근방이 되는 영역에 상기 엔진의 이상을 통지하기 위해 명멸하는 제 2 표시 램프, 상기 주행 기체의 주차 상태를 통지하기 위해 명멸하는 제 3 표시 램프 및 상기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있는 농작업기의 구동 상태를 통지하기 위해 명멸하는 제 4 표시 램프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의 부하를 증대시켜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할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를 점멸시킴과 아울러 상기 주행 기체가 주차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 3 표시 램프를 점멸시키고, 상기 농작업기가 정지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 4 표시 램프를 점멸시키도록 구성했다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할 때에 상기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재생 스위치 램프를 소등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를 점멸시키고, 상기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와 상기 재생 스위치 램프를 점멸시키도록 구성했다는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를 중앙 위치에 배치하는 조종 컬럼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외측에 상기 재생 스위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엔진 컨트롤러의 재생 제어 요구 출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표시시켜 상기 재생 스위치의 수동 조작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가 자동 모드에서 실행되지 않는 농작업차로서, 상기 재생 스위치의 동작이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인지, 또는 오조작인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상기 재생 스위치를 연속 동작시켰을 때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가 개시되도록 구성했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의하면 주행 기체에 탑재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치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의 운전 조작 상황을 표시하는 운전 조작 표시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내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재생 제어를 실행 가능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재생 스위치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누적 구동 시간이 소정 이상으로 경과했을 때에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가 표시되고,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표시 후에 상기 재생 스위치가 수동 조작되었을 때에만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개시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의사에 반해서 상기 엔진이 본의 아니게 자동 제어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상기 엔진이나 농작업부의 구동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스위치의 온 조작, 즉 오퍼레이터의 의사가 없으면 상기 재생 제어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토크 변동의 충격이나 엔진음의 변화를 오퍼레이터가 미리 상정할 수 있어 상기 재생 제어에 기인하는 오퍼레이터의 위화감을 없앤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오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상기 재생 스위치가 연속 동작되었을 때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개시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상정하지 않는 재생 제어 동작을 미연에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는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 후에 상기 재생 스위치에서 수동 조작을 접수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만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지령을 부여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면서 지장 없이 상기 각 재생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에 상기 재생 스위치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컨트롤러를 증설하여 상기 재생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상기 재생 조작 스위치를 저비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여 상기 재생 스위치가 점등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엔진 컨트롤러의 재생 제어 요구 출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재생 스위치의 수동 조작을 요구하기 위해서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점멸 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재생 스위치를 점멸 또는 점등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재생 제어 요구 경보에 의해 수동 조작이 촉구되고 있는 재생 스위치의 위치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를 시인한 상태에서 재생 스위치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스위치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의 조종을 위해서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재생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조작에 의해 재생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재생 제어의 실행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어 엔진이나 작업기에 있어서의 구동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재생 스위치가 그 점멸 주기를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점멸 표시에 있어서의 점멸 주기와 동기하여 점멸하므로 오퍼레이터는 조작 대상이 되는 재생 스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즉, 재생 스위치의 조작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의 조종을 위해서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작업 차량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재생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는 그 중앙 표시 영역에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엔진 회전계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중앙 표시 영역의 외측이 되는 외측 표시 영역에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램프를 배치하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외측으로서,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표시 램프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상기 재생 스위치를 설치한다는 것이므로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표시 영역 근방에 재생 스위치가 배치되게 되어 오퍼레이터는 재생 스위치의 조작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즉, 재생 스위치의 조작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의 조종을 위해서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작업 차량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재생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는 상기 외측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표시 램프 근방이 되는 영역에 상기 엔진의 이상을 통지하기 위해서 명멸하는 제 2 표시 램프, 상기 주행 기체의 주차 상태를 통지하기 위해서 명멸하는 제 3 표시 램프 및 상기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있는 농작업기의 구동 상태를 통지하기 위해서 명멸하는 제 4 표시 램프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의 부하를 증대시켜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할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를 점멸시킴과 아울러 상기 주행 기체가 주차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 3 표시 램프를 점멸시키고, 상기 농작업기가 정지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 4 표시 램프를 점멸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조건 중 어느 것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비작업 재생 제어가 요구되었을 때에 오퍼레이터는 비성립의 실행 조건을 인식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그 실행 조건을 성립시키기 위한 조작을 인식하여 빠르게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할 때에 상기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재생 스위치를 소등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를 점멸시키고, 상기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와 상기 재생 스위치를 점멸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재생 스위치 램프의 점멸의 유무만으로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비작업 재생 제어가 요구되었을 때에 오퍼레이터는 재생 스위치의 조작 타이밍을 인식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를 중앙 위치에 배치하는 조종 컬럼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외측에 상기 재생 스위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엔진 컨트롤러의 재생 제어 요구 출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표시시켜 상기 재생 스위치의 수동 조작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를 시인한 상태에서 재생 스위치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스위치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의 조종을 위해서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재생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조작에 의해 재생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재생 제어의 실행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어 엔진이나 작업기에 있어서의 구동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가 자동 모드에서 실행되지 않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재생 스위치의 동작이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인지, 또는 오조작인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상기 재생 스위치를 연속 동작시켰을 때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가 개시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 의한 오조작에 의거하는 재생 제어의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상정하지 않는 재생 제어 동작을 미연에 저지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력 전달계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캐빈 내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조종 좌석측으로부터 본 미터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엔진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엔진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컨트롤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엔진의 연료 계통 설명도이다.
도 14는 어시스트 재생 제어 및 리셋 재생 제어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비작업 재생 제어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비작업 재생 제어 시에 있어서의 램프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비작업 재생 제어 시에 있어서의 문자 표시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미터 패널의 별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종 좌석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예로 들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트랙터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 전방 차륜(3)과 동일하게 좌우 한쌍의 후방 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 레일식 디젤 엔진(5)(이하, 간단히 엔진이라 함)으로 후방 차륜(4) 및 전방 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는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타함으로써 전방 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원형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로부터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편의상 캐빈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주행 기체(2)는 전방 범퍼(12) 및 전방 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좌우의 기체 프레임(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6)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당히 변속하여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가 탑재되어 있다. 후방 차륜(4)은 미션 케이스(17)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장착된 후방 차축 케이스(18)를 통해 미션 케이스(17)에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 차륜(4)의 상방은 기체 프레임(16)에 고정된 펜더(19)로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작업부로서의 로터리 경운기(15)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승강 기구(2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로터리 경운기(15)는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한쌍의 좌우 로어 링크(21) 및 톱 링크(22)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15)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3)이 후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후측면에 후향으로 돌설된 엔진 출력축(24)에는 플라이휠(25)이 직결되도록 부착된다. 이 플라이휠(25)과 메인 클러치(140)를 통해 연결되어 후향으로 연장되는 주동축(26)이 미션 케이스(17)에 전향으로 돌설된 주변속 입력축(27)과, 양단에 자재 조인트를 구비한 신축식 동력 전달축(28)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향으로 돌출된 전방 차륜 전달축(도시하지 않음)과, 미션 케이스(17)의 전방측면으로부터 전향으로 돌출된 전방 차륜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은 전방 차륜 구동축(85)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29), 전후진 스위칭 기구(30),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31) 및 차동 기어 기구(58)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동력 전달축(28)을 통해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7)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유압식 무단 변속기(29)와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31)에서 적당히 변속된다. 이 변속 동력이 차동 기어 기구(58)를 통해 좌우의 후방 차륜(4)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술한 변속 동력은 전방 차륜 구동축(85)을 통해 전방 차축 케이스(13)로 전달됨으로써 좌우 전방 차륜(3)으로도 전달된다.
유압식 무단 변속기(29)는 주변속 입력축(27)에 주변속 출력축(36)을 동심 형상으로 배치한 인라인 방식의 것이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부(150)와, 상기 유압 펌프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로 작동하는 정용량형 변속용 유압 모터부(151)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펌프부(150)에는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각을 변경 가능하여 그 작동유 공급량을 조절하는 펌프 경사판(159)이 설치되어 있다. 펌프 경사판(159)에는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을 변경 조절하는 주변속 유압 실린더를 관련시키고 있다. 이 주변속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으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을 변경함으로써 유압 펌프부(150)로부터 유압 모터부(151)로 공급되는 작동유량이 변경 조절되어 유압식 무단 변속기(29)의 주변속 동작이 행해진다.
즉, 주변속 레버(290)(상세는 후술함)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작동하는 비례 제어 밸브(123)(도 12 참조)로부터의 작동유로 스위칭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면 도시하지 않는 주변속 유압 실린더가 구동하고, 이것에 따라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이 변경된다. 실시형태의 펌프 경사판(159)은 경사 대략 0(0을 포함하는 그 전후)인 중립 각도를 사이에 두고 일방(양)의 최대 경사 각도와 타방(음)의 최대 경사 각도 사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며, 또한 주행 기체(2)의 차속이 최저일 때에 어느 일방으로 경사진 각도(이 경우에는 음이며, 또한 최대 부근의 경사 각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이 대략 0(중립 각도)일 때에는 유압 펌프부(150)에서 유압 모터부(151)가 구동되지 않고 주변속 입력축(27)과 대략 동일 회전 속도로 주변속 출력축(237)이 회전한다.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하여 펌프 경사판(159)을 일방향(양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지게 했을 때에는 유압 펌프부(150)가 유압 모터부(151)를 증속 작동시켜 주변속 입력축(27)보다 빠른 회전 속도로 주변속 출력축(36)이 회전한다. 그 결과,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 속도에 유압 모터부(151)의 회전 속도가 가산되어 주변속 출력축(36)으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 속도보다 높은 회전 속도의 범위에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양의 경사각)에 비례하여 주변속 출력축(36)으로부터의 변속 동력(차속)이 변경된다. 펌프 경사판(159)이 양이며, 또한 최대 부근의 경사 각도일 때에 주행 기체(2)는 최고 차속이 된다.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하여 펌프 경사판(159)을 타방향(음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지게 했을 때에는 유압 펌프부(150)가 유압 모터부(151)를 감속(역전) 작동시켜 주변속 입력축(27)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주변속 출력축(36)이 회전한다. 그 결과,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 속도로부터 유압 모터부(151)의 회전 속도가 감산되어 주변속 출력축(36)으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의 범위에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양의 경사각)에 비례하여 주변속 출력축(36)으로부터의 변속 동력이 변경된다. 펌프 경사판(159)이 음이며, 또한 최대 부근의 경사 각도일 때에 주행 기체(2)는 최저 차속이 된다.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29)의 주변속 출력축(36)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받는다.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는 주행 기체(2) 전후진 스위칭을 위한 전진 기어(도시하지 않음) 및 후진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전진용 및 후진용 유압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진 기어 및 후진 기어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부변속 기구(31)로 동력 전달시킨다. 이 때, 전후진 스위칭 레버(리버서 레버)(252)를 어느 쪽으로도 경사 조작하지 않는 중립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전진용 및 후진용 유압 클러치는 모두 동력 차단 상태가 된다. 주변속 출력축(36)으로부터 전후 차륜(3, 4)을 향하는 회전 동력이 대략 0(메인 클러치(140) 오프와 동일한 상태)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도 1 및 도 2 참조)의 전진측 경사 조작에 의해 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6)(도 12 참조)가 구동하여 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주변속 출력축(36)에 의한 회전 동력이 전후진 스위칭 기구(30)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는 전진 기어를 통해 부변속 기구(31)로 동력 전달된다. 한편,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후진측 경사 조작에 의해 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8)(도 12 참조)가 구동하여 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주변속 출력축(36)에 의한 회전 동력이 전후진 스위칭 기구(30)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는 후진 기어를 통해 부변속 기구(31)로 동력 전달된다.
부변속 기구(31)는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받음과 아울러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를 경유한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출력한다. 부변속 기구(31)는 부변속용 저속 기어(도시하지 않음) 및 고속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저속 클러치(도시하지 않음) 및 고속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저속 기어 및 고속 기어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하여 후단의 각 기구로 동력 전달한다.
부변속 레버(258)(도 1 및 도 2 참조)의 저속측 경사 조작에 의해 고속 클러치 전자 밸브(136)(도 12 참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부변속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저속측으로 변위시킨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는 부변속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과 연결되어 있는 부변속 시프터(도시하지 않음)가 도시하지 않는 저속 클러치를 동력 접속 상태로 하게 되고,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저속으로 변속하여 차동 기어 기구(58)로 전달한다.
한편, 부변속 레버(258)의 고속측 경사 조작에 의해 고속 클러치 전자 밸브(136)(도 12 참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는 부변속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고속측으로 변위시킨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는 부변속 시프터(도시하지 않음)가 도시하지 않는 고속 클러치를 동력 접속 상태로 하게 되고,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고속으로 변속하여 차동 기어 기구(58)로 전달한다.
차동 기어 기구(58)는 부변속 기구(31)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받음과 아울러 부변속 기구(31)에서 변속된 변속 동력을 좌우의 후방 차륜(4)으로 전달한다. 이 때, 차동 기어 기구(58)는 차동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부변속 기구(31)에서 변속된 변속 동력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동 출력축(62) 각각으로 나누어 전달시킨다(차동 동작). 그리고, 차동 출력축(62)은 파이널 기어(63) 등을 통해 후방 차축(64)에 연결되어 있고, 후방 차축(64)의 선단부에 후방 차륜(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동 출력축(62)에는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 65b)가 관련되어 설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컬럼(245)의 우측에 있는 브레이크 페달(251)(도 2 참조)의 스텝핑 조작으로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 65b)가 제동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종 핸들(9)(도 1 및 도 2 참조)의 조타각이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선회 내측의 후방 차륜(4)에 대응한 오토 브레이크 전자 밸브[67a(67b)]의 구동으로 브레이크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선회 내측의 후방 차륜(4)에 대한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65b)]가 자동적으로 제동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턴 등의 작게 회전하는 선회 주행이 실행 가능해져 있다. 또한, 차동 기어 기구(58)는 상기 차동 동작을 정지(좌우의 차동 출력축(62)을 상시 등속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디퍼렌셜록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된 록핀을 디퍼렌셜록 페달(257)(도 2 참조)의 스텝핑 조작으로 차동 기어에 결합시킴으로써 차동 기어가 고정되어 차동 기능이 정지하고, 좌우 차동 출력축(62)이 등속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미션 케이스(17)는 그 내부에 PTO축(23)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하는 PTO 변속 기어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주변속 입력축(27) 및 PTO 변속 기어 기구 사이의 동력 전달을 계단(繼斷) 가능하게 하는 PTO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 PTO 변속 기어 기구 및 PTO 클러치의 동작에 의해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이 PTO축(23)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225)를 온 조작하면 PTO 클러치 유압 전자 밸브(104)(도 12 참조)의 구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PTO 클러치를 동력 접속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주변속 입력축(27)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도시하지 않는 PTO 기어 변속 기구로부터 PTO축(23)을 향해 출력된다. 이 때, PTO 변속 레버(256)를 변속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는 PTO 변속 기어 기구 내의 복수의 기어를 택일적으로 회전 동작함으로써 1속~4속 및 역전의 각 PTO 변속 출력이 PTO축(23)으로 전달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조종 좌석(8)과 그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는 엔진(5)의 후방부측을 둘러싸는 스티어링 컬럼(245)이 배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원형의 조종 핸들(9)이 스티어링 컬럼(24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핸들축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조종 핸들(9)에 있어서의 대략 환상의 스티어링휠(247)은 수평에 대하여 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경사진 자세가 되어 있다.
스티어링 컬럼(245)의 우측에는 엔진(5)의 출력 회전수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250)와, 주행 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브레이크 페달(251)이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컬럼(245)의 좌측에는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리버서 레버)(252)와, 동력 계단용 메인 클러치(140)를 오프 작동시키기 위한 클러치 페달(253)이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컬럼(245)의 배면측에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251)을 스텝핑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컬럼(245)의 좌측에서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하방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를 하측으로부터 덮는 오조작 방지체(리버서 가드)(261)가 스티어링 컬럼(245)으로부터 돌설된다. 이 오조작 방지체(261)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 하방에 배치됨으로써 작업 차량에 승강 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로의 접촉이 방지된다.
캐빈(7) 내의 바닥판(248) 중 스티어링 컬럼(245)의 우측에는 스로틀 레버(250)로 설정된 엔진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로 하여 이것 이상의 범위에서 엔진 회전수를 가감속시키기 위한 액셀 페달(255)이 배치되어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후술하는 PTO축(23)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PTO 변속 레버(256)와, 좌우의 후방 차륜(4)을 등속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디퍼렌셜록 페달(257)이 배치되어 있다. 조종 좌석(8)의 좌측에는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31)(도 3 참조)의 출력 범위를 저속과 고속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부변속 레버(258)가 배치된다.
조종 좌석(8)의 우측에는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꿈치를 올려 놓기 위한 암레스트(259)가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259)는 조종 좌석(8)과는 별체로 구성됨과 아울러 주행계 조작 수단인 주변속 레버(290)와, 작업계 조작 수단인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승강 다이얼)(300)을 구비한다. 주변속 레버(290)는 주변속 조작체로서의 전후 경동(傾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변속 레버(290)를 전방 경사 조작했을 때, 주행 기체(2)의 차속이 증가하는 한편, 주변속 레버(290)를 후방 경사 조작했을 때, 주행 기체(2)의 차속이 저하된다.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식의 것이다.
암레스트(259)의 하단 후방부는, 예를 들면 조종 좌석(8)이 적재되는 시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등에 세워 설치된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기복(상하)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폴더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레스트(259)는 기복 회동에 의한 회동 자세를 복수 단계(실시형태에서는 4단계)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암레스트(259)는 조종 좌석(8)의 전후 슬라이드와는 별개 독립되어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술한 기복 회전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면 조종 좌석(8)에 착좌하는 오퍼레이터의 체격이나 작업 자세에 따라서 암레스트(259)의 회동 자세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의 팔을 적확하게 지지하거나 무릎에 닿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259)를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했을 경우, 조종 좌석(8)의 전후 슬라이드 위치 조절 기능이나 암레스트(259)의 기복 회동 가능한 구성과 함께 장시간 작업에 의한 오퍼레이터의 피로 저감에 효과적이다.
또한, 암레스트(259)의 우측에는 각종 조작 수단이 설치되는 조작대(260)가 펜더(19) 상방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대(260)의 상면에는 경심 설정 다이얼(224), PTO 클러치 스위치(225) 및 경사 수동 스위치(228)가 배치되어 있다. 경심 설정 다이얼(224)은 로터리 경운기(15)의 목표 경운 깊이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다이얼식의 것이다. PTO 클러치 스위치(225)는 PTO 클러치(100)를 온오프 조작하여 PTO축(23)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15)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 수동 스위치(228)는 로터리 경운기(15)의 좌우 경사 각도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PTO 클러치 스위치(225)는 스위치를 한번 압하하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하된 위치에서 록킹되어 PTO축(23)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15)로의 동력 전달을 접속 상태로 하고, 다시 한번 더 압하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PTO축(23)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15)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 상태로 한다는 푸쉬 스위치이다. 경사 수동 스위치(228)는 좌우 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자기 복귀형(모멘터리형) 레버 스위치로서, 경사 수동 스위치(228)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로터리 경운기(15)의 좌우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
암레스트(259)는 전후로 긴 베이스부(암레스트 후방 부분)(281)와, 베이스부(281)로부터 전향으로 연장된 연출(延出)부(암레스트 전방 부분)(282)를 구비하고 있다. 연출부(282)는 조종 좌석(8)과 평행하게 늘어서도록 연장 설치된 베이스부(281)에 대하여 조종 좌석(8)과 멀어지는 방향(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굴곡시켜 배치되고, 암레스트(259) 전체로서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く자 형상의 형태가 되어 있다.
암레스트(259)는 연출부(282) 전단의 조종 좌석(8)측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몰된 전방 노치부(283)를 갖고, 상기 전방 노치부(283)에 있어서의 상면으로부터 주변속 레버(290)가 돌설되어 있다. 연출부(282)는 전방 노치부(283)의 후방(베이스부(281)와의 접속측)의 조종 좌석(8)측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모된 단차부(284)를 갖고, 상기 단차부(284)에 있어서의 상면에 후술하는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설정 다이얼)(226)과, 후술하는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선택 스위치)(227)가 배치된다.
또한, 단차부(284)의 상면의 높이 위치는 전방 노치부(283)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이며, 또한 베이스부(281)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그 팔이나 팔꿈치를 암레스트(259)의 베이스부(281)에 올려 놓아 연출부(282) 전방의 주변속 레버(290)를 조작했다고 해도 단차부(284)의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에 대하여 부주의하게 접촉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의 오조작을 각별히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은 엔진(5)의 최고 회전 속도 또는 주행 기체(2)의 최고 주행 속도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는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에 의해 설정하는 값을 엔진(5)의 최고 회전 속도 또는 주행 기체(2)의 최고 주행 속도 중 어느 것인지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위치 유지형(얼터네이트형) 스위치(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위치 유지형 록커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에 의해 회전 속도가 지정되면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에 의해 엔진(5)의 최고 회전 속도가 설정되게 된다. 한편,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에 의해 주행 속도가 지정되면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에 의해 주행 기체(2)의 최고 주행 속도가 설정되게 된다.
암레스트(259)의 베이스부(281)는 후방의 조종 좌석(8)측에 스위치 박스(286)가 메워 넣어져 있다. 스위치 박스(286)의 상면은 조종 좌석(8) 역측을 향해 개방되는 상면 덮개를 구비한다. 이 스위치 박스(286)는 통상 상면 덮개를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면 덮개의 상면이 암레스트(259)의 베이스부(281)의 상면 높이로 하여 오퍼레이터가 그 팔이나 팔꿈치를 상면 덮개 상에 올려 놓게 된다. 또한, 스위치 박스(286)는 경사 설정 다이얼(233), 최고 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을 갖는다. 즉, 상면 덮개를 개방했을 때, 스위치 박스(286)의 내측 상면에 있어서 각 설정 다이얼(233~235) 각각이 일렬로 배열된다. 경사 설정 다이얼(233)은 주행 기체(2)에 대한 로터리 경운기(15)의 상대적인 목표 좌우 경사 각도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최고 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은 로터리 경운기(15)의 최고 상승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은 로터리 경운기(15)는 로터리 경운기(15)의 하강 시에 있어서의 충격 저감을 위해 로터리 경운기(15)의 하강 시의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주변속 레버(290)를 전방측(조종 핸들(9)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주변속 포텐셔(222)가 주변속 레버(290) 검출하는 주변속 레버(290)의 조작 위치에 맞춰 펌프 경사판(159)(도 3 참조)을 양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주행 기체(2)의 주행 속도를 가속시킨다. 한편, 주변속 레버(290)를 후방측(조종 좌석(8)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주변속 포텐셔(222)가 주변속 레버(290) 검출하는 주변속 레버(290)의 조작 위치에 맞춰 펌프 경사판(159)(도 3 참조)을 음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주행 기체(2)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암레스트(259) 상에 팔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290)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속 레버(290)를 매우 조작하기 쉬워 트랙터(1)에 있어서의 주행 조작성의 향상에 높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단차부(284)의 위치는 암레스트(259) 상에 팔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손목 부근 등이 평면에서 볼 때에 거의 겹치지 않는 위치이다. 따라서, 암레스트(259) 상의 팔 등이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에 부주의하게 닿을 일이 없어(방해되지 않아)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의 오조작을 적게 할 수 있다.
주변속 레버(290)는 그 앞면에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배치하고, 그 측면(좌측면)에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도 12 참조)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290)는 그 좌측면에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도 12 참조)를 배치하는 한편, 그 우측면에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도 12 참조)를 배치하고 있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는 로터리 경운기(15)를 소정 높이까지 강제적으로 승강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는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미세 조절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는 액정 패널(330)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기 위한 것이다.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는 선회 시 및 후진 시의 주행 속도를 변경·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는 상하 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자기 복귀형(모멘터리형)의 레버 스위치이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상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로터리 경운기(15)가 최고 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에 의해 설정된 최고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는 한편,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하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로터리 경운기(15)가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서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한다.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는 자기 복귀형(모멘터리형) 록커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어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로터리 경운기(15)가 승강한다.
이와 같이 주변속 레버(290)가 자동 승강 스위치(229), 승강 미세 조정 스위치(230),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 및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구비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주변속 레버(290)에 대한 오른손 조작만으로 주행 상황에 맞춘 제어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즉, 주변속 레버(290)의 경동 조작을 하면서 자동 승강 스위치(229) 및 승강 미세 조정 스위치(230)를 조작함으로써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액정 패널(330)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고 싶은 경우에도 주변속 레버(290)로부터 손을 떼는 일 없이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의 조작을 하면 좋다. 또한, 주변속 레버(290)의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트랙터(1)를 선회 또는 후진시킬 경우에 미리 최적으로 설정한 주행 속도로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암레스트(259)의 연출부(282)에 있어서의 우측면(펜더(19)측의 측면)에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승강 다이얼)(300)이 삽입되어 있다.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그 외주면 중 연출부(282) 상면측에 외측(상측)으로 돌기시킨 손잡이부(조작용 돌기)를 구비한다.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손잡이부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최상위 위치이어도 그 상단이 연출부(282)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연출부(282) 우측면보다 외측(펜더(19)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암레스트(259)의 상측으로부터 손잡이부를 손가락 등으로 전후시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회전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레스트(259)의 우측(펜더(19)측)으로부터 외주면을 파지해도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상면 덮개(287) 상(암레스트(259) 상)에 팔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전방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어 전자 밸브(121)가 스위칭 작동하고, 도시하지 않는 단동식 유압 실린더를 단축 구동시켜 리프트암(193)(도 1 참조)을 하방을 향해 회동시킨다. 그 결과, 로어 링크(21)를 통해 로터리 경운기(15)가 하강 운동하게 된다. 반대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후방으로 경동 조작하면 제어 전자 밸브(121)가 스위칭 작동하고, 도시하지 않는 단동식 유압 실린더를 신장 구동시켜 리프트암(193)을 상방을 향해 회동시킨다. 그 결과, 로어 링크(21)를 통해서 로터리 경운기(15)가 상승 운동하게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암레스트(259)의 전방 부분인 연출부(282)의 상면에 주변속 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를 배치하고, 연출부(282)의 측면에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연출부(282)의 좌측(운전 좌석(8)측)에 주변속 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를 배치하고, 연출부(282)의 우측(펜더(19)측)에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의 운전 중이어도 주행계 조작 수단 및 작업계 조작 수단의 식별이 용이하여 오조작 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주행계 조작 수단인 주변속 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가 한데 모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조작성(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암레스트(259) 상에 있는 손을 팔꿈치를 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 주변속 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 간단히 손이 닿는다. 따라서, 암레스트(259) 상에 있는 손만으로 주변속 레버(290)를 조작하거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조작하거나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암레스트(259)에 팔을 올려 놓았을 때에 손목을 하방을 향해 구부리거나 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손의 자세로 연출부(282) 상의 주변속 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변속 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조작성이 각별히 향상됨과 아울러 손의 안정 지지에도 기여한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 패널(246)은 스티어링휠(247)의 전방 하측이 되는 위치에서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에 대면하도록 그 패널 표면을 후방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미터 패널(246)의 외측 가장자리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융기시킨 미터 커버(262)로 덮여 있다. 그리고, 미터 커버(262)로 덮인 미터 패널(246)은 스티어링 컬럼(245)의 전방 상부의 대시보드(263)의 후방면(배면)에 배치된다. 대시보드(263)는 스티어링 컬럼(245)과 함께 조종 컬럼을 구성하고 있다.
대시보드(263)의 배면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법선이 후방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인 미터 설치면(263a) 및 스위치 설치면(263b)의 2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터 설치면(263a)과 스위치 설치면(263b)은 법선의 경사가 다른 평면이며, 미터 설치면(263a)이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인 평면인 한편, 스위치 설치면(263b)이 상방을 향하도록 기울인 평면이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시보드(263)의 배면 상부에 배치되는 미터 설치면(263a)이 스티어링 컬럼(245)의 전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그 내측에 미터 패널(246)이 설치된다. 한편, 대시보드(263)의 배면 상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설치면(263b)은 스티어링 컬럼(245)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하측 전방 위치에서 미터 설치면(263a)에 비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스위치(264a~264d)가 설치된다. 스위치(264a~264d)에는, 예를 들면 차량 선회 시 또는 차량 후진 시에 로터리 경운기(15)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지정하기 위한 선회 상승 스위치나 후진 상승 스위치, 로터리 경운기(15)에 의한 경운 작업 시에 있어서의 수평 제어나 경운 깊이 제어를 자동으로 하기 위한 작업기 제어 스위치, 긴급 정지 램프를 점멸시키기 위한 해저드 램프 스위치, 작업등의 점등·소등을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램프 스위치 등이 할당된다.
미터 패널(246)은 운전 조작 표시 장치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 표시 영역에 엔진(5)의 회전수를 지침으로 나타내는 엔진 회전계(265)를 갖고, 엔진 회전계(265)의 좌우 외측(중앙 표시 영역의 외측)의 표시 영역에 LED 등에 의한 표시 램프(266a~266d, 267a~267d)를 갖는다. 상기 구성의 미터 패널(246)은 표시 램프(266a~266d, 267a~267d)와는 트랙터(1)의 각 부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고등 또는 트랙터(1)의 주행 상태 또는 로터리 경운기(15)의 작동 상태 등을 나타내는 표시등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표시 램프(266a~266d, 267a~267d) 중 하나가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 동작을 따라서 명멸하는 재생 램프(332)(도 12 참조)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미터 패널(246)은 엔진 회전계(265)의 하측에 후술하는 액정 패널(330)을 갖는다.
미터 커버(262)는 미터 패널(246)의 설치 부분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후방으로 융기시킨 구조를 갖는다. 즉, 미터 커버(262)는 미터 패널(246) 외측을 둘러싸도록 하여 후향으로 세워 설치한 내주측면(268)과, 내주측면(268) 외측의 좌우 및 상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コ자 형상의 후방 배면(269)과, 후방 배면(269)의 외주로서 대시보드(263)의 미터 설치면(263a)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외주 측면(270)을 갖는다.
미터 커버(262)의 후방 배면(269)은 미터 설치면(263a)에 대략 평행한 면이 된다. 그리고, 후방 배면(269) 중 좌측 표면에 스위치(271)가 설치됨과 아울러 후방 배면(269)의 우측 표면에 후술하는 재생 스위치(329)가 설치된다. 또한, 스위치(271)로서, 예를 들면 캐빈(7)(도 1 참조)에 설치되는 작업등의 점등/소등을 접수하는 워크 램프 스위치나 캐빈(7)의 프론트 글래스나 리어 글래스의 물방울을 제거하는 와이퍼(42, 43)(도 1 참조) 각각을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에 할당된다.
재생 스위치(329)는 모멘터리 동작 타입의 것이다. 즉, 재생 스위치(329)는 1회의 압하로 하나의 ON 펄스 신호를 발하는 논록킹 타입의 푸쉬 스위치이다. 오퍼레이터에 의한 재생 스위치(329)의 압하 시간은 리셋 재생 제어(상세는 후술함) 이후의 각 재생 제어의 실행 가부를 판별하는 기준의 하나로 채용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재생 스위치(329)는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내장한 램프 부착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종 컬럼의 일부가 되는 대시보드(263)에 있어서 운전 조작 표시부가 되는 미터 패널(246)의 외측이 되는 미터 커버(262) 상에 재생 스위치(32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에서는 미터 패널(246)은 엔진 회전계(265) 우측 영역의 최상부에 배치된 표시 램프(267a)가 재생 램프(332)(도 12 참조)에 할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 램프(267a)에 의해 후술하는 재생 요구 경보를 표시시키는 미터 패널(246) 근방에 재생 스위치(329)가 배치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미터 패널(246)의 표시를 시인한 상태에서 재생 스위치(329)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스위치(329)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스위치(329)는 재생 램프(332)(도 12 참조)로서 작용하는 미터 패널(246)의 표시 램프(267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운전 조작 표시부가 되는 미터 패널(246)에 있어서의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표시 영역의 근방에 재생 스위치(329)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표시 램프(267a)의 표시에 의해 재생 요구 경보가 통지되었을 때, 재생 스위치(329)의 조작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도 6의 구성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터 패널(246)의 우측 표시 영역에 있어서 재생 스위치(329)의 최근접 위치의 표시 램프(267a)를 재생 램프(332)로서 작용시킴과 아울러 표시 램프(267b~267d) 각각을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의 록 상태를 통지하는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도 12 참조), 엔진(5)의 이상을 통지하는 엔진 이상 램프(347)(도 12 참조), PTO 클러치 스위치(225)의 온 상태를 통지하는 PTO 램프(348)(도 12 참조)로서 작용시킨다. 또한, 표시 램프(267a~267d)는 도 6의 구성예에 한하지 않고 재생 스위치(329)의 배치에 가까운 미터 패널(246)의 우측 표시 영역에 있어서 재생 램프(332),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 엔진 이상 램프(347) 및 PTO 램프(348)를 조합하여 배치하는 것이면 다른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미터 패널(246)의 중앙 표시 영역에는 엔진 회전계(265)의 상측의 표시 영역에 LED 등에 의한 표시 램프(273)를 갖는다. 이 표시 램프(273)는 미터 패널(246)에 「N」자를 나타냄으로써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중립 상태를 통지하는 리버서 중립 램프(349)(도 12 참조)로서 작용한다.
이어서, 도 7~도 11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레일식 엔진(5)의 개략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엔진 출력축(24)을 따르는 양측부(엔진 출력축(24)을 사이에 둔 양측부)를 좌우, 냉각팬(56) 배치측을 전방측, 플라이휠(25) 배치측을 후방측, 배기 매니폴드(54) 배치측을 좌측, 흡기 매니폴드(53) 배치측을 우측이라 칭하고, 이들을 편의적으로 엔진(5)에 있어서의 사방 및 상하의 위치 관계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7~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원동기로서의 엔진(5)은 연속 재생식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DPF)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에 의해 엔진(5)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이 제거됨과 아울러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가 저감된다.
엔진(5)은 엔진 출력축(24)(크랭크축)과 피스톤(도시 생략)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51)을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51) 상에 실린더 헤드(52)를 탑재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52)의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3)를 배치한다. 실린더 헤드(52)의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54)를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24)을 따르는 양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3)와 배기 매니폴드(54)를 나누어 배치한다. 실린더 헤드(52)의 상면에 헤드 커버(55)를 배치한다.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24)과 교차하는 일측면,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블록(51)의 앞면에 냉각팬(56)을 설치한다. 엔진 출력축(24)의 전단측으로부터 냉각팬용 V 벨트(72a)를 통해 냉각팬(56)으로 회동 동력을 전달한다.
실린더 블록(51)의 후면에 플라이휠 하우징(57)을 설치한다. 플라이휠 하우징(57) 내에 플라이휠(25)을 배치한다. 엔진 출력축(24)의 후단측에 플라이휠(25)을 축지지한다. 작업 차량의 작동부에 엔진 출력축(24)을 통해 엔진(5)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51)의 하면에는 오일팬(59)을 배치한다. 오일팬(59) 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51)의 우측면에 배치된 오일 필터(60)를 통해 엔진(5)의 각 윤활부로 공급된다.
실린더 블록(51)의 우측면 중 오일 필터(60)의 상방(흡기 매니폴드(53)의 하방)에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327)를 부착한다. 전자 개폐 제어형 연료 분사 밸브(328)(도 13 참조)가 부착된 인젝터(340)를 엔진(5)에 설치한다. 각 인젝터(340)에 연료 공급 펌프(327) 및 원통 형상의 커먼 레일(341) 및 연료 필터(343)를 통해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344)(도 13 참조)를 접속한다.
연료 탱크(344)의 연료가 연료 필터(343)를 통해 연료 공급 펌프(327)로부터 커먼 레일(341)로 압송되어 고압의 연료가 커먼 레일(341)에 축적된다. 각 인젝터(340)의 연료 분사 밸브(328)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341)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340)로부터 엔진(5)의 각 기통으로 분사된다. 또한, 플라이휠 하우징(57)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1)를 설치하고 있다. 엔진 시동용 스타터(61)의 피니언 기어는 플라이휠(25)의 링 기어에 맞물려 있다. 엔진(5)을 시동시킬 때에는 스타터(61)의 회전력으로 플라이휠(25)의 링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엔진 출력축(24)이 회전 개시한다(소위, 크랭킹이 실행됨).
실린더 헤드(52)의 전면측(냉각팬(56)측)에는 냉각수 펌프(71)가 냉각팬(56)의 팬축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5)의 좌측, 구체적으로는 냉각수 펌프(71)의 좌측방에 엔진(5)의 동력으로 발전하는 발전기로서의 얼터네이터(73)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출력축(24)의 전단측으로부터 냉각팬용 V 벨트(72a)를 통해 냉각팬(56)과 냉각수 펌프(71)로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엔진 출력축(24)의 전단측으로부터 얼터네이터용 V 벨트(72b)를 통해 얼터네이터(73)로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라디에이터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 블록(51) 및 실린더 헤드(52)로 공급되어 엔진(5)을 냉각한다.
오일팬(59)의 좌우 측면에는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각 기관 다리 부착부(74)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기관 다리체(도시 생략)를 각각 볼트 체결 가능하다.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에 오일팬(59)을 협지시켜 오일팬(59)측의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 엔진 프레임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작업 차량의 양 엔진 프레임이 엔진(5)을 지지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53)의 입구부에는 EGR 장치(76)(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를 통해 에어 클리너를 연결한다. EGR 장치(76)는 주로 엔진(5)의 우측,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헤드(52)의 우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에 도입된 신기(외부 공기)는 상기 에어 클리너에 의해 제진 및 정화된 후, 터보 과급기(90)의 컴프레서 케이스(92) 및 EGR 장치(76)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53)로 보내져 엔진(5)의 각 기통으로 공급된다.
EGR 장치(76)는 엔진(5)의 배기 가스의 일부(EGR 가스)와 신기를 혼합시켜 흡기 매니폴드(53)로 공급하는 EGR 본체 케이스와, 에어 클리너에 EGR 본체 케이스를 연통시키는 흡기 스로틀 부재(78)와, 배기 매니폴드(54)에 EGR 쿨러(79)를 통해 접속되는 재순환 배기 가스관(80)과, 재순환 배기 가스관(80)에 EGR 본체 케이스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 부재(81)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흡기 매니폴드(53)의 흡기 도입측이 EGR 본체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즉, 흡기 매니폴드(53)의 흡기 도입측에는 흡기 스로틀 부재(78)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3)의 흡기 도입측에는 재순환 배기 가스관(80)의 출구측도 접속하고 있다. 재순환 배기 가스관(80)의 입구측은 EGR 쿨러(79)를 통해 배기 매니폴드(54)에 접속하고 있다. EGR 밸브 부재(81) 내에 있는 EGR 밸브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흡기 매니폴드(53)의 흡기 도입측으로의 EGR 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로부터 흡기 스로틀 부재(78)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53) 흡기 도입측으로 신기를 공급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4)로부터 흡기 매니폴드(53)의 흡기 도입측으로 EGR 가스를 공급한다. 에어 클리너로부터의 신기와 배기 매니폴드(54)로부터의 EGR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53)의 흡기 도입측에서 혼합된다. 엔진(5)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54)로 배출된 배기 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53)로부터 엔진(5)으로 환류함으로써 고부하 운전 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되어 엔진(5)으로부터의 NOx(질소 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한다.
실린더 헤드(52)의 좌측방이며, 배기 매니폴드(54)의 상방에는 터보 과급기(90)를 배치하고 있다. 터보 과급기(90)는 터빈휠 내장의 터빈 케이스(91)와, 블로어휠 내장의 컴프레서 케이스(92)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54)의 출구부에 터빈 케이스(91)의 배기 도입측을 연결한다. 터빈 케이스(91)의 배기 배출측에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배기 도입측의 외주부에 설치한 정화 입구관(86)을 연결한다. 즉, 엔진(5)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54)로 배출한 배기 가스는 터보 과급기(90)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 등을 경유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컴프레서 케이스(92)의 흡기 도입측은 급기관(95)을 통해 에어 클리너의 흡기 배출측으로 접속된다. 컴프레서 케이스(92)의 흡기 배출측은 과급관(96) 및 EGR 장치(76)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53)에 접속하고 있다. 즉, 에어 클리너에 의해 제진된 신기는 컴프레서 케이스(92)로부터 과급관(96)을 통해 EGR 장치(76)로 보내진 후, 엔진(5)의 각 기통으로 공급된다.
엔진(5)의 상면측 중 배기 매니폴드(54) 및 터보 과급기(90)의 상방, 즉 실린더 헤드(52)의 좌측방이며, 배기 매니폴드(54) 및 터보 과급기(90)의 상방에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길이 방향을 엔진(5)의 엔진 출력축(24)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자세를 설정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는 정화 입구관(86)을 갖는 정화 하우징(87)을 구비하고 있다. 정화 하우징(87)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88)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벌집 구조의 수트 필터(89)를 배기 가스 이동 방향으로 직렬로 정렬하고 있다. 디젤 산화 촉매(88) 및 수트 필터(89)는 정화 하우징(87)에 수용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정화 하우징(87)의 배기 가스 출구(93)에 배기관을 통해, 예를 들면 소음기나 테일 파이프를 연결하여 배기 가스 출구(93)로부터 소음기나 테일 파이프를 통해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 산화 촉매(88)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수트 필터(89) 내에 도입된다. 엔진(5)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은 수트 필터(89)에 포집되어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엔진(5)의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하여 엔진(5)의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트랙터(1)의 각종 제어(변속 제어, 자동 수평 제어 및 경운 깊이 자동 제어 등)를 실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엔진(5)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311)와, 스티어링 컬럼(조종 컬럼)(245)에 탑재된 미터 패널(246)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미터 컨트롤러(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312)와, 주행 기체(2)의 속도 제어 등을 행하는 본기 컨트롤러(313)와, 로터리 경운기(15)의 상태 제어 등을 행하는 작업기 컨트롤러(3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컨트롤러(311~314)는 각각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 외에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ROM,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기 위한 RAM, 시간 계측용 타이머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고, CAN 통신 버스(315)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엔진 컨트롤러(311) 및 미터 컨트롤러(312)는 전원 인가용 키 스위치(201)를 통해 배터리(202)에 접속되어 있다. 키 스위치(201)는 열쇠 구멍에 꽂아 넣은 소정의 열쇠로 회전 조작 가능한 로터리식 스위치이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시보드(263)의 스티어링 컬럼(245)의 우측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미터 컨트롤러(312)의 입력측에는 조종 핸들(9)의 회동량(조타 각도)을 검출하는 조타 포텐셔(210), 액정 패널(330)의 표시를 스위칭하는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 재생 동작을 허가하는 입력 부재로서의 재생 스위치(329)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미터 컨트롤러(312)의 출력측에는 미터 패널(246)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330),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 재생 동작 등에 관련되어 명동하는 경보 버저(331),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 동작에 관련하여 명멸하는 경보 램프로서의 재생 램프(332),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가 록 상태일 경우에 점등하는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 엔진(5)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점등하는 엔진 이상 램프(347),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온 상태일 경우에 점등하는 PTO 램프(348) 및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가 중립 상태에 있을 경우에 점등하는 리버서 중립 램프(349)를 접속하고 있다.
본기 컨트롤러(313)의 입력측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전후진 포텐셔(211), 주변속 출력축(36)의 출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주변속 출력축 회전 센서(212), 전후 차륜(3, 4)의 회전 속도(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213), 브레이크 페달(251)의 스텝핑의 유무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220), 오토 브레이크 전자 밸브(67a, 67b)를 스위칭 조작하는 오토 브레이크 스위치(221), 주변속 레버(29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주변속 포텐셔(222),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로 좌우 브레이크 페달(251)을 스텝핑 위치를 유지한 상태(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에 의한 록 상태)에서 온이 되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 및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접속하고 있다.
본기 컨트롤러(313)의 출력측에는 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6), 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8), 부변속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고속 클러치 전자 밸브(136), 주변속 레버(290)의 경동 조작량에 비례하여 주변속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123) 및 좌우의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 65b) 각각을 작동시키는 오토 브레이크 전자 밸브(67a, 67b)를 접속하고 있다.
작업기 컨트롤러(314)의 입력측에는 주행 기체(2)의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진자식 롤링 센서(214), 주행 기체(2)에 대한 로터리 경운기(15)의 상대적인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 작업부 포지션 센서(215), 유압식 승강 기구(20)와 좌우 로어 링크(21)를 연결하는 리프트암(도시하지 않음)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 리프트각 센서(216), 로터리 경운기(15)의 경운 깊이 변동에 따라 상하 회동하는 경운 리어 커버(195)(도 1 및 도 2 참조)의 상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 리어 커버 센서(217),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지션 다이얼 센서(223), 경심 설정 다이얼(224), PTO 클러치 스위치(225), 경사 수동 스위치(228), 자동 승강 스위치(229),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 경사 설정 다이얼(233), 최고 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 및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을 접속하고 있다.
작업기 컨트롤러(314)의 출력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PTO 클러치(100)를 작동하는 PTO 클러치 유압 전자 밸브(104), 유압식 승강 기구(20)의 단동식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전자 밸브(121) 및 재생 스위치(329)에 내장됨과 아울러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 동작에 따라서 명멸하는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컨트롤러(311)의 입력측에는 적어도 커먼 레일(341) 내의 연료 압력을 검출하는 레일압 센서(321), 연료 공급 펌프(327)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전자 클러치(342), 엔진(5)의 회전 속도(엔진 출력축(24)의 캠샤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 센서(322), 인젝터(340)의 연료 분사 횟수(1행정의 연료 분사 기간 중의 횟수)를 검출 및 설정하는 분사 설정기(333), 액셀 조작 도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334), 흡기 경로 중의 흡기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 온도 센서(335), 배기 경로 중의 배기 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배기 온도 센서(336), 엔진(5)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 수온 센서(323), 커먼 레일(341)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연료 온도 센서(324), EGR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EGR 온도 센서(337), 배기 필터(50) 내에 있어서의 수트 필터(89) 전후(상하류)의 배기 가스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센서(325) 및 배기 필터(50) 내의 배기 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DPF 온도 센서(326)를 접속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311)의 출력측에는 적어도 각 연료 분사 밸브(328)의 전자 솔레노이드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커먼 레일(341)에 축적된 고압 연료가 연료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및 분사 기간 등을 제어하면서 1행정 중에 복수회로 나누어 연료 분사 밸브(328)로부터 분사됨으로써 질소 산화물(NOx)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수트나 이산화탄소(CO2) 등의 발생도 저감된 완전 연소를 실행하여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 컨트롤러(311)의 출력측에는 엔진(5)의 흡기압(흡기량)을 조절하는 흡기 스로틀 부재(78) 및 흡기 매니폴드(53)로의 EGR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EGR 밸브 부재(81) 등도 접속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311)는 기본적으로 엔진 회전 센서(322)에서 검출한 회전 속도와 스로틀 위치 센서(334)에서 검출한 스로틀 위치로부터 엔진(5)의 토크를 구하고, 토크와 출력 특성을 사용하여 목표 연료 분사량을 연산하여 상기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커먼 레일(341)을 작동시키는 연료 분사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커먼 레일(341)의 연료 분사량은 주로 각 연료 분사 밸브(328)의 밸브 개방 기간을 조절하여 각 인젝터(340)로의 분사 기간을 변경함으로써 조절된다.
엔진(5)의 제어 방식(재생 제어 방식)으로서는 엔진(5)의 통상 운전만으로 배기 필터(50)가 자발적으로 재생하는 통상 운전 제어(자기 재생 제어)와, 배기 필터(50)의 막힘 상태가 규정 수준 이상이 되면 엔진(5)의 부하 증대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 온도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어시스트 재생 제어와, 포스트 분사를 사용하여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리셋 재생 제어와, 포스트 분사와 엔진(5)의 하이아이들 회전 속도를 조합하여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비작업 재생 제어(주차 재생 제어 또는 긴급 재생 제어라 해도 좋음)가 있다.
통상 운전 제어는 노상 주행 시나 농작업 시의 제어 형식이다. 통상 운전 제어에서는 엔진(5)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N)와 토크(T)의 관계가 출력 특성 맵의 자기 재생 영역에 있고, 배기 필터(50) 내에서의 PM 산화량이 PM 포집량을 상회하는 정도로 엔진(5)의 배기 가스가 고온이 되어 있다.
어시스트 재생 제어에서는 흡기 스로틀 부재(78)의 개방 정도 조절과 애프터 분사에 의해 배기 필터(50)를 재생시킨다. 즉, 어시스트 재생 제어에서는 EGR 밸브 부재(81)를 밸브 폐쇄함과 아울러 흡기 스로틀 부재(78)를 소정 개방 정도까지 밸브 폐쇄시킴(조임)으로써 엔진(5)으로의 흡기량을 제한한다. 그렇게 하면 엔진(5)의 부하가 증대되기 때문에 설정 회전 속도 유지를 위해 커먼 레일(341)의 연료 분사량이 증가하여 엔진(5)의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것에 맞춰 메인 분사에 대하여 약간 지각시켜 분사하는 애프터 분사에 의해 확산 연소를 활성화시켜 엔진(5)의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 결과, 배기 필터(50) 내의 PM이 연소 제거된다. 또한, 이후에 설명하는 재생 제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EGR 밸브 부재(81)는 밸브 폐쇄된다.
리셋 재생 제어는 어시스트 재생 제어가 실패했을 경우(배기 필터(50)의 막힘 상태가 개선되지 않고 PM이 잔류했을 경우)나 엔진(5)의 누적 구동 시간(TI)이 설정 시간(TI1)(예를 들면, 100시간 정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행해진다. 리셋 재생 제어에서는 어시스트 재생 제어의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포스트 분사를 함으로써 배기 필터(50)를 재생시킨다. 즉, 리셋 재생 제어에서는 흡기 스로틀 부재(78)의 개방 정도 조절과 애프터 분사에 추가하여 포스트 분사로 배기 필터(50) 내에 미연소 연료를 직접 공급하고, 미연소 연료를 디젤 산화 촉매(88)로 연소시킴으로써 배기 필터(50) 내의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킨다(약 560℃ 정도). 그 결과, 배기 필터(50) 내의 PM이 강제적으로 연소 제거된다.
비작업 재생 제어는 리셋 재생 제어가 실패했을 경우(배기 필터(50)의 막힘 상태가 개선되지 않고 PM이 잔류했을 경우) 등에 행해진다. 비작업 재생 제어에서는 리셋 재생 제어의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엔진(5)의 회전 속도(N)를 하이아이들 회전 속도(최고 회전 속도, 예를 들면 2200rpm)로 유지함으로써 엔진(5)의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킨 후에 배기 필터(50) 내에서도 포스트 분사에 의해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킨다(약 600℃ 정도). 그 결과, 리셋 재생 제어보다 더욱 바람직한 조건 하에서 배기 필터(50) 내의 PM이 강제적으로 연소 제거된다. 또한, 비작업 재생 제어에서의 흡기 스로틀 부재(78)는 조이는 것은 아니고 완전히 밸브 폐쇄시킨다. 비작업 재생 제어에서의 애프터 분사는 어시스트 재생 제어나 리셋 재생 제어보다 리타드(지각)시켜 행해진다.
비작업 재생 제어에서는 엔진(5)의 출력을 최대 출력보다 낮은 주차 시 최대 출력(예를 들면, 최대 출력의 80% 정도)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 경우, 엔진(5)의 회전 속도(N)를 하이아이들 회전 속도로 유지하므로 토크(T)를 억제하여 주차 시 최대 출력이 되도록 커먼 레일(341)의 연료 분사량을 조절한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엔진 컨트롤러(311)에 의한 배기 필터(50) 재생 제어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각 재생 제어는 미터 컨트롤러(312)의 지령에 의거하여 엔진 컨트롤러(311)가 실행한다. 즉, 도 14 및 도 15의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알고리즘(프로그램)은 미터 컨트롤러(312)의 ROM에 기억되어 있어 상기 알고리즘을 RAM에 호출하고나서 CPU에서 처리하고, CAN 통신 버스(315)를 통해 엔진 컨트롤러(311)에 지령을 발하고, 엔진 컨트롤러(311)가 미터 컨트롤러(312)의 지령을 처리함으로써 상술한 각 재생 제어가 실행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필터(50) 재생 제어에서는, 우선 키 스위치(201)가 온이면(S101: YES) 엔진 회전 센서(322), 냉각 수온 센서(323), 차압 센서(325) 및 DPF 온도 센서(326)의 검출값과, 흡기 스로틀 부재(78) 및 EGR 밸브 부재(81)의 개방 정도와, 커먼 레일(341)에 의한 연료 분사량을 판독한다(S102). 즉, 엔진 컨트롤러(311)가 엔진 회전 센서(322), 냉각 수온 센서(323), 차압 센서(325) 및 DPF 온도 센서(326)의 검출값과, 흡기 스로틀 부재(78) 및 EGR 밸브 부재(81)의 개방 정도와, 커먼 레일(341)에 의한 연료 분사량을 판독한다. 이들 정보를 미터 컨트롤러(312)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과거에 리셋 재생 제어 또는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하고나서의 누적 구동 시간(TI)이 설정 시간(TI1)(예를 들면, 50시간) 미만이면(S103: NO) 배기 필터(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104). PM 퇴적량 추정은 차압 센서(325)의 검출값과 배기 가스 유량 맵에 의거하는 P법과, 엔진 회전 센서(322)의 검출값과 연료 분사량과 PM 배출량 맵과 배기 가스 유량 맵에 의거하는 C법을 사용하여 행한다. PM 퇴적량이 규정량(Ma)(예를 들면, 8g/ℓ) 이상이면(S105: YES)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S106). 이 경우, 미터 컨트롤러(312)가 엔진 컨트롤러(311)에 대하여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 엔진 회전 센서(322)의 검출값과 연료 분사량과 PM 배출량 맵과 배기 가스 유량 맵에 의거하여 배기 필터(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107). PM 퇴적량이 규정량(Ma)(예를 들면, 6g/ℓ) 미만이면(S108: YES)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종료하여 통상 운전 제어로 리턴된다. PM 퇴적량이 규정량(Ma) 이상인 경우(S108: NO),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TI4)(예를 들면, 10분)을 경과한 경우에는(S109: YES) 리셋 재생 제어 전의 리셋 대기 모드인 스텝 S201로 이행한다.
스텝 S103으로 리턴되어 누적 구동 시간(TI)이 설정 시간(TI1) 이상인 경우(S103: YES), 리셋 대기 모드인 스텝 S201로 이행하여 리셋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 이 단계에서는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가 저속 점멸함과 아울러(예를 들면, 0.5㎐) 경보 버저(331)가 단속적으로 저속 명동한다(예를 들면, 0.5㎐). 이 때, 미터 컨트롤러(312)는 CAN 통신 버스(315)를 통해 엔진 컨트롤러(311)로부터 리셋 재생 요구를 실행하기 위한 지령 신호(재생 제어 요구 출력)를 받는다. 재생 램프(332)를 저속 점멸시킴과 동시에 경보 버저(331)를 저속 명동시킨다. 또한, 작업기 컨트롤러(314)는 CAN 통신 버스(315)를 통해 미터 컨트롤러(312)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받아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저속 점멸시킨다.
이렇게 스텝 S201에 있어서 미터 컨트롤러(312) 및 작업기 컨트롤러(314)가 엔진 컨트롤러(311)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받거나 또는 미터 컨트롤러(312)가 리셋 재생 요구를 행함으로써 경보 버저(331),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 각각이 구동된다. 이 때,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의 점멸 주기를 동기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의 구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 패널(246)의 표시 램프(264a)를 점멸 표시시킴과 동시에 표시 램프(264a) 근방의 재생 스위치(329) 내장의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점멸시키게 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경보 버저(331),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 각각의 구동에 의거하는 재생 제어 요구 경보에 의해 수동 조작이 촉진되어 있는 재생 스위치(329)의 위치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엔진 컨트롤러(311)가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이상으로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미터 컨트롤러(312)는 엔진 이상 램프(347)를 소등시킨 채의 상태로 한다.
또한, 스텝 S201에서는 미터 컨트롤러(312)는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를 리셋 재생 제어의 실행을 재촉하는 리셋 재생 요구 정보에 의한 표시로 스위칭함으로써, 예를 들면 액정 패널(330)에는 「재생 스위치를 길게 눌러 주십시오」의 문자 데이터 등의 조작 지시 표지가 표시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의 조작에 의해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가 리셋 재생 요구 정보로부터 통상 정보(통상 운전 시에 있어서의 표시 정보)로 리턴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여기서, 재생 스위치(329)를 온 조작하지 않고 액정 패널(330)의 화면에 리셋 재생 요구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를 조작하면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는 통상 정보와 리셋 재생 요구 정보에 소정 타이밍(예를 들면, 2초마다)으로 교대로 전이한다. 리셋 재생 제어를 요할 경우에 있어서 오퍼레이터는 통상 정보와 리셋 재생 요구 정보의 양방을 확인할 수 있어 노상 주행 중이나 농작업 중에 콤바인의 조종에 지장이 없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 후, 재생 스위치(329)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온 조작되었을 경우(S202: YES), 리셋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S203). 이 단계에서는 엔진 컨트롤러(311)로부터 리셋 재생 제어 실행의 통지 신호를 미터 컨트롤러(312) 및 작업기 컨트롤러(314)가 받아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점등시키는 한편, 경보 버저(331)를 명동 정지시킨다. 또한,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를 리셋 재생 요구 정보로부터 「리셋 재생중」이라는 문자 데이터 등의 통지 표지에 의한 리셋 재생 실행 정보로 전이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미터 패널(246)의 표시 내용(재생 램프(332)의 점등 또는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과 재생 스위치(329)(재생 스위치 램프(345)의 점등)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리셋 재생 제어의 실행 중인 취지를 간단히 시인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또한, 통지 표지를 표시시킬 경우에는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는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를 조작함으로써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를 리셋 재생 실행 정보로부터 통상 정보로 리턴된다.
리셋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 배기 필터(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하고(S204), PM 퇴적량이 규정량(Mr)(예를 들면, 10g/ℓ) 미만의 상태인 경우에는(S205: NO), 리셋 재생 제어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TI8)(예를 들면, 30분)을 경과하면(S206: YES) 리셋 재생 제어를 종료하여 통상 운전 제어로 리턴된다. 이 때, 리셋 재생 제어를 종료하기 위해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소등시킨다. 또한, 액정 패널(330)에 리셋 재생 실행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를 리셋 재생 실행 정보로부터 통상 정보로 전이시킨다. 한편, PM 퇴적량이 규정량(Mr) 이상이면(S205: YES) 리셋 재생 제어 실패로 간주하여 PM 과퇴적의 가능성이 염려되므로 비작업 재생 제어 전의 주차 대기 모드인 스텝 S301로 이행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차 대기 모드에서는 처음에 배기 필터(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301). 그리고, PM 퇴적량이 규정량(Mb)(예를 들면, 12g/ℓ) 미만이며(S302: NO), 또한 소정 시간(TI9)(예를 들면, 10시간) 내이면(S303: NO),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S304). 이 단계에서는 재생 스위치 램프(345)는 소등한 채이지만,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가 고속 점멸하여(예를 들면, 1.0㎐) 경보 버저(331)가 단속적으로 고속 명동한다(예를 들면, 1.0㎐). 또한, 후술하는 도 17의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가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을 예고하는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 지표의 표시로 스위칭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 지표는, 예를 들면 「농작업부를 정지」의 문자 데이터와 「안전한 장소에 주차」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 표시시키는 것이다.
한편, PM 퇴적량이 규정량(Mb) 이상이거나(S302: YES) 주차 대기 모드인채로 소정 시간(TI9)(예를 들면, 10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S303: YES) PM 과퇴적의 가능성이 염려되므로 배기 필터(50)의 이상을 통지한다(STEP401). 이 때, 엔진 이상 램프(347)가 고속 점멸하여(예를 들면, 1.0㎐) 경보 버저(331)가 고속 명동한다(예를 들면, 1.0㎐). 한편,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는 소등한 채가 된다. 또한,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가 「배기 필터 이상」의 문자 데이터와 「판매점에 연락」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하는 이상 경고 표지의 표시로 스위칭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술한 스텝 S304에서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한 후에는 미리 설정한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대기한다(S305). 스텝 S305에 나타내는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은 전후진 포텐셔(211)가 중립 위치(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중립 상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가 온(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에 의한 록 상태),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오프 상태, 엔진(5)이 로우아이들 회전 속도(무부하 시의 최저 한도의 회전 속도) 및 냉각 수온 센서(323)의 검출값이 소정값(예를 들면, 65℃) 이상(엔진(5)의 난기 운전 완료)이라는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의 성립에 대해서는 미터 패널(246)에 있어서의 표시 램프(267b, 267d, 273)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 PTO 램프(348) 및 리버서 중립 램프(349) 각각의 명멸 표시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가 오프일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를 점멸시켜 오퍼레이터에게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를 록 상태로 하도록 재촉하는 한편,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가 온일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를 점등시켜 오퍼레이터에게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가 록 상태인 것을 통지한다.
또한, 예를 들면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온일 경우에는 PTO 램프(348)를 점멸시켜 PTO 클러치 스위치(225)를 오프가 되도록 재촉하는 한편,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오프일 경우에는 PTO 램프(348)를 소등시켜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오프인 것을 통지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전후진 포텐셔(211)가 중립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리버서 중립 램프(349)를 점멸시켜 오퍼레이터에게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를 중립 상태로 하도록 재촉하는 한편, 전후진 포텐셔(211)가 중립 위치일 경우에는 리버서 중립 램프(349)를 점등시켜 오퍼레이터에게 전후진 포텐셔(211)가 중립 상태인 것을 통지한다.
스텝 S305에 있어서 상기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성립하면(YES)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S306). 이 단계에서는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가 저속 점멸하고(예를 들면, 0.5㎐), 엔진 이상 램프(347)가 고속 점멸하고(예를 들면, 1.0㎐), 경보 버저(331)가 단속적인 저속 명동으로 스위칭된다(예를 들면, 0.5㎐). 또한, 후술하는 도 17의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가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을 재촉하는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 정보에 의한 표시로 전이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즉, 액정 패널(330)에는 스텝 S201에 있어서의 리셋 재생 요구 정보에 의한 표시와 같이 「재생 스위치를 길게 눌러 주십시오」의 문자 데이터 등의 조작 지시 표지가 표시된다.
이렇게 스텝 S306에 있어서 미터 컨트롤러(312) 및 작업기 컨트롤러(314)가 엔진 컨트롤러(311)로부터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재생 제어 요구 출력)를 받거나 또는 미터 컨트롤러(312)가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를 행함으로써 경보 버저(331),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 각각이 구동된다. 이 때,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의 점멸 주기를 동기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의 구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 패널(246)의 표시 램프(264a)를 점멸 표시시킴과 동시에 표시 램프(264a) 근방의 재생 스위치(329) 내장의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점멸시키게 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경보 버저(331),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 각각의 구동에 의거하는 재생 제어 요구 경보에 의해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의 성립을 인식함과 동시에 수동 조작이 촉진되어 있는 재생 스위치(329)의 위치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램프(332)의 점멸 주기 및 경보 버저(331)의 명동 주기 각각이 고속으로부터 저속으로 전이함으로써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성립한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생 스위치(329)가 소정 시간 온이 되면(S307: YES)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S308). 즉, 미터 컨트롤러(312)가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재생 스위치(329)로의 온 조작을 접수한 것을 엔진 컨트롤러(311)로 통지함으로써 엔진 컨트롤러(311)가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재생 램프(332), 재생 스위치 램프(345) 및 엔진 이상 램프(347)를 점등시키는 한편, 경보 버저(331)를 명동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비작업 재생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미연에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17의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330)의 화면 표시를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 정보로부터 비작업 재생 실행 정보로 전이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즉, 액정 패널(330)에는 「배기 필터 재생중」의 문자 데이터와 「재생 종료까지 대기」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하는 비작업 재생 통지 표지가 표시된다. 즉, 재생 제어가 종료할 때까지 본기의 조작을 금지하는 취지를 표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미연에 저지할 수 있다.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는 배기 필터(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309). PM 퇴적량이 규정량(Ms)(예를 들면, 8g/ℓ) 미만이며(S310: YES), 또한 비작업 재생 제어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TI11)(예를 들면, 30분)을 경과하면(S311: YES) 비작업 재생 제어를 종료하여 통상 운전 제어로 리턴된다. PM 퇴적량이 규정량(Ms) 이상일 경우(S310: NO),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TI12)(예를 들면, 30분)을 경과하면(S312: YES) 비작업 재생 제어 실패로 간주하여 PM 과퇴적의 가능성이 염려되므로 배기 필터(50)의 이상을 통지하는 스텝 S401로 이행한다.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에 의한 록 상태의 해제 등에 의해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비성립인 상태가 되면(S313: YES) 비작업 재생 제어가 중단된 후에(S314) 스텝 S304로 이행하여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 또한, S312에 있어서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비성립인 상태에 의해 비작업 재생 제어의 중단의 가부가 판정되는 것으로 했지만,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 재생 스위치(329)가 압하된 경우에 비작업 재생 제어를 중단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것에 의해 엔진(5)을 정지시켜 배기 필터(50)의 비작업 재생 제어를 중단시키는 조작 등의 번거로운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배기 필터(50)의 비작업 재생 제어를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5)의 누적 구동 시간이 소정 이상으로 경과했을 때에 엔진 컨트롤러(311) 또는 미터 컨트롤러(312)가 리셋 재생에 의한 재생 제어 요구를 행하여 미터 컨트롤러(312)에 의해 미터 패널(246)로 재생 제어 요구 경보가 표시된다. 이 미터 패널(246)의 재생 제어 요구 경보에 의거하여 오퍼레이터가 재생 스위치(329)를 수동 조작했을 때에만 배기 필터(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 제어가 개시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으로 엔진(5)의 재생 제어동작이 실행되어 배기 필터(50)가 적정하게 재생된다. 즉, 오퍼레이터의 뜻에 반해 엔진(5)이 본의 아니게 자동 제어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엔진(5) 또는 농작업부의 구동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에 의한 배기 필터(50)의 재생 제어의 개시 지시가 재생 스위치(329)에 대한 길게 누르는 조작(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의 온 조작)이다. 즉, 재생 스위치(329)에 대한 동작이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인지, 또는 오조작인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재생 스위치(329)를 연속 동작시켰을 때에 배기 필터(50)의 재생 제어가 개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상정하지 않는 재생 제어 동작을 미연에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5)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311)와, 미터 패널(246)의 각 표시부(재생 램프(332)나 액정 패널(33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미터 컨트롤러(312)를 구비함과 아울러 각 컨트롤러(311, 312)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미터 컨트롤러(312)는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미터 패널(246)에 표시시킨 후에 재생 스위치(329)에서 수동 조작을 접수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만 엔진 컨트롤러(311)에 배기 필터(50)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지령을 부여한다.
또한, 배기 필터(50)의 재생 제어 중, 오퍼레이터가 키 스위치 오프 조작하여 엔진(5)을 정지시키고, 이어서 엔진(5)을 재시동시켰을 때에 배기 필터(50)의 재생 제어가 리셋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상정하지 않는 재생 제어 동작을 미연에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재생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 미터 컨트롤러(312)는 미터 패널(246)의 표시 램프(267a~267d 및 273)에 의한 재생 램프(332),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 엔진 이상 램프(347), PTO 램프(348) 및 리버서 중립 램프(349) 각각의 명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시킬 때에 있어서는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의 성립을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미터 컨트롤러(312)는 성립하지 않는 조건으로 맞춰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 PTO 램프(348) 및 리버서 중립 램프(349) 각각을 점멸시킨다.
도 16의 플로우 차트를 따라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시킬 때에 있어서의 미터 패널(246)의 표시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미터 컨트롤러(312)는 상기 스텝 S304로 엔진 컨트롤러(311)로부터의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받으면(S451: YES)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를 고속 점멸시킨다(S452). 그리고, 미터 컨트롤러(312)는 본기 컨트롤러(313)와 통신하여 전후진 포텐셔(211)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가 중립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53).
그리고,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가 전진측 또는 후진측에 있을 경우(S453: NO),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를 중립 상태로 할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기 위해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와 함께 리버서 중립 램프(349)를 점멸시킨다(S454). 이 때, 리버서 중립 램프(349)의 점멸 주기에 대해서는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의 점멸 주기와 동일 주기로 해도 상관없다. 한편,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가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S453: YES), 리버서 중립 램프(349)를 점등시킨다(S455).
이어서, 미터 컨트롤러(312)는 작업기 컨트롤러(314)와 통신하고, PTO 클러치 스위치(22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56).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온 상태일 경우(S456: NO),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와 함께 PTO 램프(348)를 점멸시킨다(S457). 이 때, PTO 램프(348)의 점멸 주기에 대해서는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의 점멸 주기와 동일 주기로 해도 상관없다. 한편,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오프 상태일 경우(S456: YES), PTO 램프(348)를 소등시킨다(S458).
이어서, 미터 컨트롤러(312)는 본기 컨트롤러(313)와 통신하고,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에 의한 록 상태 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59).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가 오프 상태일 경우(S459: NO),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와 함께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에 의한 록 상태로 할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기 위해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를 점멸시킨다(S460). 이 때,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의 점멸 주기에 대해서는 재생 램프(332) 및 엔진 이상 램프(347)의 점멸 주기와 동일 주기로 해도 상관없다. 한편,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가 온 상태일 경우(S459: YES),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를 점등시킨다(S461).
그 후, 미터 컨트롤러(312)는 상기 스텝 S306에 있어서의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를 받으면(S462: YES) 재생 램프(332) 및 재생 스위치 램프(345)를 저속 점멸시킴과 동시에 엔진 이상 램프(347)를 고속 점멸시킨다(S463). 그리고, 상기 스텝 S307과 같이 재생 스위치(329)로의 길게 누르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464). 이 때, 재생 스위치(329)가 소정 시간 온이 되면(S464: YES) 재생 램프(332), 재생 스위치 램프(345) 및 엔진 이상 램프(347)를 점등시킨다(S465).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재생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 미터 컨트롤러(312)는 미터 패널(246)의 액정 패널(330)에 문자 데이터를 표시하여 오퍼레이터에게 동작 상태를 통지함과 아울러 필요한 조작을 재촉한다. 특히,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시킬 경우, 엔진(5)의 회전 속도(N)를 하이아이들 회전 속도(최고 회전 속도, 예를 들면 2200rpm)로 유지할 필요가 있어 엔진(5)의 출력을 최대 출력보다 낮은 주차 시 최대 출력(예를 들면, 최대 출력의 80% 정도)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복수 조건에 의한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비작업 재생 제어가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어 액정 패널(330)에 있어서의 문자 데이터 표시에 의해 부족한 조건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여 필요한 조작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시킬 때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330)의 표시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미터 컨트롤러(312)는 상기 스텝 S304에서 엔진 컨트롤러(311)로부터의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받으면(S501: YES) 액정 패널(330)에 「농작업부를 정지」의 문자 데이터와 「안전한 장소에 주차」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 표시시키는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 지표를 표시시킨다(S502). 그리고, 미터 컨트롤러(312)는 본기 컨트롤러(313)와 통신하고, 전후진 포텐셔(211)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가 중립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3).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가 전진측 또는 후진측에 있을 경우(S503: NO),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를 중립 상태로 할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330)에 「리버서를 중립으로」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04).
이어서, 미터 컨트롤러(312)는 작업기 컨트롤러(314)와 통신하고, PTO 클러치 스위치(22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5). PTO 클러치 스위치(225)가 온 상태일 경우(S505: NO), PTO 클러치 스위치(225)를 오프로 할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330)에 「PTO 스위치를 오프로」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06).
이어서, 미터 컨트롤러(312)는 본기 컨트롤러(314)와 통신하고,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에 의한 록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7).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36)가 오프 상태일 경우(S507: NO),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에 의한 록 상태로 할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330)에 「주차 브레이크를 건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08).
이어서, 미터 컨트롤러(312)는 엔진 컨트롤러(311)와 통신하고, 냉각 수온 센서(323)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난기 운전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9). 냉각 수온 센서(323)에 의한 검출값이 소정값(예를 들면, 65℃)을 하회할 경우(S509: NO), 난기 운전을 완료시킬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330)에 「난기 운전을 한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10).
이어서, 미터 컨트롤러(312)는 엔진 컨트롤러(311)와 통신하고, 엔진 회전 센서(32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엔진(5)이 로우아이들 회전 속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1). 엔진(5)이 로우아이들 회전 속도로 동작하고 있지 않을 경우(S511: NO), 로우아이들로 엔진(5)을 동작시킬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330)에 「아이들링으로 한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12). 상기 스텝 S503, S505, S507, S509, S511 각각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켰을 경우,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이 성립하기 때문에 상기 스텝 S306에 있어서의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켜 액정 패널(330)에 「재생 스위치를 길게 눌러 주십시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시 표지를 표시시킨다(S513).
그 후, 상기 스텝 S307과 같이 재생 스위치(329)로의 길게 누르는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14). 이 때, 재생 스위치(329)가 소정 시간 온이 되면(S514: YES) 액정 패널(330)에는 「배기 필터 재생중」의 문자 데이터와 「재생 종료까지 대기」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하는 비작업 재생 통지 표지가 표시된다(S515).
또한, 미터 패널(246)의 구성예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즉, 미터 패널(246)은 운전 조작 표시 장치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 표시 영역에 엔진(5)의 회전수를 지침으로 나타내는 엔진 회전계(265)를 갖고, 엔진 회전계(265)의 좌우 외측(중앙 표시 영역의 외측)의 표시 영역에 LED 등에 의한 표시 램프(266a~266d, 274a~274d)를 갖는다. 이 때, 우측 외측의 표시 영역에는 최상단 우측에 표시 램프(274a)가, 중단 좌측에 표시 램프(274b)가, 최하단에 좌측으로부터 표시 램프(274c, 274d)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의 구성예에서는 표시 램프(274a~274d) 각각이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도 12 참조), PTO 램프(348)(도 12 참조), 재생 램프(332)(도 12 참조) 및 엔진 이상 램프(347)(도 12 참조)로서 작용한다.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미터 패널(246)에 있어서 재생 스위치(329)의 근접 영역이 되는 우측의 표시 영역에서 표시 램프(274c)의 재생 램프(332)가 명멸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재생 요구 경보의 통지를 인식함과 동시에 재생 스위치(329)의 조작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재생 램프(332)에 의한 표시 램프(274c)의 우측에 엔진 이상 램프(347)에 의한 표시 램프(274d)가 배치되기 때문에 표시 램프(274c, 274d)의 명멸 동작에 의해 요구되는 재생 제어가 리셋 재생 제어인지, 비작업 재생 제어 중 어느 것인지를 오퍼레이터가 간단히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램프(332)에 의한 표시 램프(274c)의 근방이 되는 우측의 표시 영역에 주차 브레이크 램프(346) 및 PTO 램프(348)가 되는 표시 램프(274a, 274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램프(274a, 274b)의 명멸 동작에 의해 비작업 재생 제어의 요구 시에 있어서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 중 어느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은지를 오퍼레이터가 간단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5 : 엔진 50 : 배기 필터
225 : PTO 클러치 스위치 236 :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245 : 스티어링 컬럼 246 : 미터 패널
261 : 오조작 방지체 262 : 미터 커버
263 : 대시보드 263a : 미터 설치면
263b : 스위치 설치면 264a~264d : 스위치
265 : 엔진 회전계 266a~266d : 표시 램프
267a~267d : 표시 램프 311 : 엔진 컨트롤러
312 : 미터 컨트롤러 313 : 본기 컨트롤러
314 : 작업기 컨트롤러 315 : CAN 통신 버스
322 : 엔진 회전 센서 323 : 냉각 수온 센서
324 : 연료 온도 센서 325 : 차압 센서
326 : DPF 온도 센서 329 : 재생 스위치
330 : 액정 패널 331 : 경보 버저
332 : 재생 램프 345 : 재생 스위치 램프

Claims (10)

  1. 주행 기체에 탑재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치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의 운전 조작 상황을 표시하는 운전 조작 표시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내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재생 제어를 실행 가능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재생 스위치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누적 구동 시간이 소정 이상으로 경과했을 때에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재생 제어 요구 경보가 표시되고,
    그 재생 제어 요구 경보의 표시 후에 상기 재생 스위치가 수동 조작되었을 때에만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개시하고,
    오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상기 재생 스위치가 연속 동작되었을 때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각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고,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컨트롤러는 상기 재생 제어 요구 경보를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 후에 상기 재생 스위치에서 수동 조작을 접수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만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지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재생 제어를 리셋 재생 제어로 하고,
    상기 엔진의 누적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일 때,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내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이 규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엔진의 흡기 스로틀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 온도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엔진의 누적 구동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을 경과한 경우나 상기 어시스트 재생 제어가 실행된 후에 있어서도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이 규정량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상기 재생 스위치에 대한 수동 조작을 재촉하는 리셋 재생 요구 정보가 표시되고,
    그 리셋 재생 요구 정보의 표시 후에, 오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상기 재생 스위치가 연속 동작되었을 때에, 포스트 분사를 사용하여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리셋 재생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가 실행된 후에 있어서도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이 규정량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운전 조작 표시 장치에, 작업 차량의 주차를 재촉하는 비작업 재생 요구 정보가 표시되고,
    미리 설정한 비작업 이행 조건이 성립한 후에, 오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한 조작 시간 이상으로 상기 재생 스위치가 연속 동작되었을 때에, 포스트 분사와 상기 엔진의 하이아이들 회전 속도를 조합하여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비작업 재생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03335A 2013-09-13 2014-09-12 작업 차량 KR102106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1076 2013-09-13
JP2013191076A JP6109021B2 (ja) 2013-09-13 2013-09-13 トラクタ
JPJP-P-2013-191077 2013-09-13
JP2013191077A JP6143618B2 (ja) 2013-09-13 2013-09-13 作業車両
JP2013191075A JP2015055238A (ja) 2013-09-13 2013-09-13 作業車両
JPJP-P-2013-191075 2013-09-13
PCT/JP2014/074190 WO2015037700A1 (ja) 2013-09-13 2014-09-12 作業車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034A Division KR102190720B1 (ko) 2013-09-13 2014-09-12 작업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129A KR20160055129A (ko) 2016-05-17
KR102106758B1 true KR102106758B1 (ko) 2020-05-06

Family

ID=526657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034A KR102190720B1 (ko) 2013-09-13 2014-09-12 작업 차량
KR1020167003335A KR102106758B1 (ko) 2013-09-13 2014-09-12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034A KR102190720B1 (ko) 2013-09-13 2014-09-12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10131B2 (ko)
EP (1) EP3045693B1 (ko)
KR (2) KR102190720B1 (ko)
CN (1) CN105531450B (ko)
WO (1) WO2015037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899B2 (ja) * 2014-09-24 2017-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US10378414B2 (en) * 2014-10-27 2019-08-13 Yanmar Co., Ltd. Work vehicle
EP3031685B1 (en) * 2015-10-09 2017-11-15 Komatsu Ltd.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control method
US10124779B2 (en) * 2016-05-20 2018-11-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upervising method for dynamic and large data loads in automotive systems
KR102625568B1 (ko) * 2017-06-29 2024-01-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12449662A (zh) 2018-07-19 2021-03-05 克拉克设备公司 用于具有升降门的驾驶室的显示器位置
US20220279718A1 (en) * 2021-03-04 2022-09-08 Deere & Company State-based mechanism for performing engine regeneration procedure
CN113371561B (zh) * 2021-05-31 2023-03-03 浙江金轴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升降机控制方法及系统
DE102021127049A1 (de) 2021-10-19 2023-04-20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Segelbetriebs eines Fahrzeugs
CN114263544B (zh) * 2021-12-28 2023-03-21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一种工程车辆驻车再生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2435A (ja) * 2010-06-02 2011-12-15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1256767A (ja) * 2010-06-08 2011-12-22 Yanmar Co Ltd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3113215A (ja) * 2011-11-29 2013-06-10 Kubota Corp 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117A (ja) 2003-01-31 2004-08-19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メータパネル
JP3952000B2 (ja) * 2003-10-16 2007-08-01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3824003B2 (ja) 2005-02-24 2006-09-2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08031955A (ja)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4961935B2 (ja) 2006-10-11 2012-06-27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用pto制御装置
US7793492B2 (en) * 2007-02-27 2010-09-14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iesel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operator interface algorithm
JP4774096B2 (ja) * 2008-11-17 2011-09-1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135286B2 (ja) 2009-05-21 2013-02-06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浄化システム
JP2012246900A (ja) * 2011-05-31 2012-12-13 Iseki & Co Ltd トラクタ
US8973351B2 (en) * 2011-11-29 2015-03-10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JP2013160056A (ja) 2012-02-01 2013-08-19 Kubota Corp 作業機
JP5912487B2 (ja) 2011-12-14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13181406A (ja) * 2012-02-29 2013-09-12 Iseki & Co Ltd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2435A (ja) * 2010-06-02 2011-12-15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1256767A (ja) * 2010-06-08 2011-12-22 Yanmar Co Ltd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3113215A (ja) * 2011-11-29 2013-06-10 Kubota Corp 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5693A1 (en) 2016-07-20
CN105531450A (zh) 2016-04-27
KR20160055129A (ko) 2016-05-17
KR102190720B1 (ko) 2020-12-14
CN105531450B (zh) 2018-06-22
EP3045693B1 (en) 2018-04-25
EP3045693A4 (en) 2017-05-03
US9810131B2 (en) 2017-11-07
WO2015037700A1 (ja) 2015-03-19
KR20200047752A (ko) 2020-05-07
US20160222858A1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758B1 (ko) 작업 차량
KR102070485B1 (ko) 엔진 장치
KR102332863B1 (ko) 작업 차량
JP5730679B2 (ja) エンジン装置
JP6080754B2 (ja) 作業車両
KR102056516B1 (ko) 작업 차량
JP6109022B2 (ja) 作業車両
JP6147216B2 (ja) エンジン装置
JP6143618B2 (ja) 作業車両
JP2015190325A (ja) 作業車両
JP6147217B2 (ja) エンジン装置
JP6109021B2 (ja) トラクタ
JP2015055238A (ja) 作業車両
JP2015148174A (ja) 作業車両
JP6010574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