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246B1 - 인쇄기용 경화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용 경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246B1
KR102106246B1 KR1020190149959A KR20190149959A KR102106246B1 KR 102106246 B1 KR102106246 B1 KR 102106246B1 KR 1020190149959 A KR1020190149959 A KR 1020190149959A KR 20190149959 A KR20190149959 A KR 20190149959A KR 102106246 B1 KR102106246 B1 KR 10210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oling
pat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9014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8Mechanisms for rendering the print visible to the operator
    • B41J29/19Mechanisms for rendering the print visible to the operator with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1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 B41J11/00214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인쇄물에 열을 조사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쇄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양을 조절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의 내측에는 반사부 냉각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측에는 개폐부 냉각로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 냉각로 및 상기 개폐부 냉각로는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용 경화 장치{CURING APPARATUS FOR PRINTER}
본 발명은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냉각 및 열원 제어가 용이한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이나 팜플렛, 광고지, 포장용 상자 등 각종 인쇄물에 있어서 최근에는 물과 기름의 반발성을 이용한 옵셋 인쇄 기술을 사용하는데, 옵셋 인쇄란 판에서 직접 인쇄물에 인쇄하지 않고 잉크를 고무 블랑켓에 전사한 다음 종이 또는 필름에 인쇄하는 것으로, 인쇄속도가 빠르고 많은 양의 인쇄물과 원색, 고급 인쇄물을 비교적 싼 값에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인쇄물의 경우, 옵셋인쇄 후 인쇄된 잉크를 건조한 다음 재단하여야 하는 바, 인쇄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인쇄 장치에 별도의 경화 장치가 설치되게 되며 경화 장치는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인쇄물을 건조하게 된다.
즉, 종래의 인쇄물 경화 장치는 종이 또는 필름에 다양한 인쇄를 하여 인쇄물을 생산하는 인쇄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쇄물의 배출구쪽에 열원을 구비한 상태로 설치되고, 컨베이어를 통해 인쇄물 경화 장치에 공급된 인쇄물이 열원을 통과하면서 건조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쇄물 경화 장치는 고온의 열원에 의해 장치가 가열되어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열원 제어가 어려워 고온의 열에 의해 인쇄물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냉각 및 열원제어가 용이한 인쇄물 경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냉각이 용이한 인쇄기용 경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원 제어가 용이한 인쇄기용 경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기용 경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인쇄물에 열을 조사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쇄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양을 조절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의 내측에는 반사부 냉각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측에는 개폐부 냉각로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 냉각로 및 상기 개폐부 냉각로는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반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는,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반사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반사부 냉각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의 상기 가열부의 상부와 대향하는 일면은 각각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공기 배출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는,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개폐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에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2 개폐부 냉각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공기 유입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상기 공기 유입로는 제1 수직 경로; 상기 제1 수직 경로의 내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경로; 및 수평 경로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가열부를 향해 연장 개구된 제2 수직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반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는,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반사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반사부 냉각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는,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개폐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에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2 개폐부 냉각로;를 포함하며, 냉각수는 상기 제1 반사부 냉각로로 유입되어 제1 개폐부 냉각로, 제2 개폐부 냉각로 및 제2 반사부 냉각로를 순차적으로 순환한후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는 제1 반사부 냉각로와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는 제1 수직 밸브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와 상기 제2 개폐부 냉각로는 수평 밸브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제2 개폐부 냉각로와 상기 제2 반사부 냉각로는 제2 수직 밸브에 의해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는 냉각 작용이 용이하여 장치 고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는 열원 제어가 용이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의 개략 부분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C-C'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서 반사부와 개폐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에 구비되는 송풍 덕트의 개략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1)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인쇄물에 열을 조사하는 가열부(200), 가열부(200)에서 조사된 빛을 인쇄물로 반사하는 반사부(300) 및 가열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개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가열부(200), 반사부(300), 개폐부(400), 송풍 덕트(600) 및 인쇄기용 경화 장치(1)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금속재, 수지재 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스테인레스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110), 측면 패널(120) 및 가이드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는 일예로서, 상부 커버(111) 및 상부 커버(111)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측부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10)는 길이 방향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ㄷ'자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 패널(120)은 커버(1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패널(120)은 수평 파트(121)와 수직 파트(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평 파트(121)에는 가이드 브라켓(130) 및 구동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측면 패널(120)의 수평 파트(121)에는 개폐부(4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40) 및 가이드 브라켓(130)이 연결될 수 있고, 커버(11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측면 패널(120)의 수평 파트(121)에는 가이드 브라켓(130)이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30)은 측면 패널(120)에 결합되어 가열부(200), 반사부(300) 및 개폐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브라켓(130)은 가열부(200), 반사부(300) 및 개폐부(40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때, 개폐부(400)는 가이드 브라켓(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브라켓(130)에는 개폐 플레이트 가이드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 가이드홀(131)은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브라켓(130)의 폭방향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두 개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400)는 양측 단부가 가이드 브라켓(130) 개폐 플레이트 가이드홀(131)에 삽입되어 개폐 플레이트 가이드홀(1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30)은 가열부 착탈 슬릿(1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 착탈 슬릿(132)은 가열부(20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열부 착탈 슬릿(132)은 가이드 브라켓(130)의 하측 일부가 절개되어 하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브라켓(130)의 폭방향 중심선(C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200)는 가열부 착탈 슬릿(132)을 따라 가이드 브라켓(130)의 중심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30)의 상부에는 반사부 연결 노즐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 연결 노즐홀(133)에는 반사부 연결 노즐(134)이 삽입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 브라켓(130)에 삽입된 반사부 연결 노즐(134)에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관(134a)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관(134b)이 연결될 수 있다.
가열부(200)는 인쇄물을 건조 및 경화 시키기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200)는 양측 단부가 가이드 브라켓(130)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브라켓(130)에 형성된 가열부 착탈 슬릿(132)을 통해 가열부(200)를 가이드 브라켓(13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가열부(200)를 가이드 브라켓(130)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가열부(200)는 고열을 생성하는 램프 또는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200)는 UV 램프(ultraviolet lamp)로 구비될 수 있다. 인쇄물이 컨베이어에 의해 가열부(200)로 이동하면, 가열부(200)는 인쇄물에 열을 조사하여 인쇄물을 건조 및 경화시킬 수 있다.
반사부(300)는 가열부(200)에서 발생한 열원을 반사시켜 인쇄물로 조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열부(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반사부(30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 금속재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반사부(300)는, 하우징(100)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반사 플레이트(310) 미치 하우징(100)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반사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 플레이트(310)와 제2 반사 플레이트(320)는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사 플레이트(310)와 제2 반사 플레이트(320) 상부에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공기 배출로(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 플레이트(310) 및 제2 반사 플레이트(320)의 가열부(200)의 상부와 대향하는 일면은 각각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가열부(200)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200)의 복사열 중 인쇄물로 전달되지 않고, 제1 반사 플레이트(310) 및 제2 반사 플레이트(320)로 조사된 열은 제1 반사 플레이트(310)와 제2 반사 플레이트(320)에 의해 인쇄물로 반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반사 플레이트(310) 및 제2 반사 플레이트(32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홈(310a, 320a)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홈(310a, 320a)은 제1 반사 플레이트(310) 및 제2 반사 플레이트(320)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부(300)의 내측에는 반사부 냉각로(3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 냉각로(340)는 제1 반사 플레이트(3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반사부 냉각로(341) 및 제2 반사 플레이트(32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반사부 냉각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 냉각로(341) 및 제2 반사부 냉각로(342)는 각각 반사부 연결 노즐(13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 냉각로(341)는 반사부 연결 노즐(134)을 통해 냉각수 공급관(134a)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반사부 냉각로(342)는 냉각수 배출관(134b)에 연결될 수 있다.
반사부(300)는 가열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가열부(200) 구동 시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반사부 냉각로(340)를 통해 냉각수를 유입시킴으로써 반사부(3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개폐부(400)는 가열부(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가열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400)는 하우징(100)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개폐 플레이트(410) 및 하우징(100)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개폐 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 플레이트(410) 및 제2 개폐 플레이트(420)는 구동부(14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개폐 플레이트(410)및 제2 개폐 플레이트(420)는 연결로드(430)에 의해 단부가 가이드 브라켓(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140)는 연결로드(43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가이드 브라켓(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4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폐 플레이트(410) 및 제2 개폐 플레이트(420)는 개폐 플레이트 가이드 홀(13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연결로드(430)에는 차폐 플레이트(432)가 구비될 수 있다. 차폐 플레이트(432)는 개폐 플레이트 가이드홀(13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개폐부(400)가 열린 경우, 개폐 플레이트 가이드홀(131)을 통해 가열부(200)에서 생성된 열과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개폐 플레이트(410) 및 제2 개폐 플레이트(420)는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폐 플레이트(410)와 제2 개폐 플레이트(420)의 하부에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공기 유입로(4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유입로(440)는 제1 수직 경로(441), 제1 수직 경로(441)의 내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경로(442) 및 수평 경로(442)의 연장된 단부에서 가열부(200)를 향해 연장 개구된 제2 수직 경로(4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재1 개폐 플레이트(410)의 제2 개폐 플레이트(420)와 대향하는 하측 단부 하측에는 제1 돌기(421)가 구비되고, 제2 개폐 플레이트(420)의 제1 개폐 플레이트(410)와 대향하는 하측 단부 상측에는 제2 돌기(4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400)가 닫힌 경우, 제1 돌기(411)와 제2 돌기(421)는 두께방향으로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로(440)에 수평 경로(443)가 포함되어, 개폐부(400)가 닫혀있는 경우 가열부(200)가 공기 유입로(4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플레이트(410) 및 제2 개폐 플레이트(420)에는 냉각 돌기(412, 422)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 돌기(412, 422)는 제1 개폐 플레이트(410) 및 제2 개폐 플레이트(422)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냉각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개폐부(400)의 내측에는 개폐부 냉각로(4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 부 냉각로(450)는 반사부 냉각로(340)와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 냉각로(450)는 제1 개폐 플레이트(410)의 내측에 형성되고, 반사부 냉각로(340)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개폐부 냉각로(451) 및 제2 개폐 플레이트(420)의 내측에 형성되고, 제1 개폐부 냉각로(451)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반사부 냉각로(340)에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2 개폐부 냉각로(4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사부 냉각로(340)와 개폐부 냉각로(450)는 복수의 밸브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연속된 냉각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 냉각로(341)와 제1 개폐부 냉각로(451)는 제1 수직 밸브(510)에 의해 연통되고, 제1 개폐부 냉각로(451)와 제2 개폐부 냉각로(452)는 수평 밸브(520)에 의해 연통되고, 제2 개폐부 냉각로(452)와 제2 반사부 냉각로(342)는 제2 수직 밸브(530)에 의해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직 밸브(510), 수평 밸브(520) 및 제2 수직 밸브(530)는 가요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40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냉각수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면, 냉각수는 냉가수 공급관(134a)을 통해 제1 반사부 냉각로(341)의 일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수는 제1 반사부 냉각로(341)를 따라 이동하여, 제1 수직 밸브(510)를 따라 제1 개폐부 냉각로(451)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제1 개폐부 냉각로(451)를 따라 이동하여 수평 밸브(520)를 통해 제2 개폐부 냉각로(45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개폐부 냉각로(452)로 유입된 냉각수는 제2 수직 밸브(530)를 통해 제2 반사부 냉각로(342)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냉각수 배출관(134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부(300) 및 개폐부(400)에 연속된 냉각로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부재에 냉각로를 형성하는 것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1)는 송풍 덕트(600) 및 석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석션부는 송풍 덕트(600)의 단부에 연결되어 송풍 덕트(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부는 하우징(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측면 패널(120)에 형성된 흡입구(120a)에 연결되어 송풍 덕트(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석션부는 진공펌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진공펌프의 상세구성은 공지 기술에 해당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송풍 덕트(600)는 반사부(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함으로써 냉각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송풍 덕트(600)는 예를 들어, 반사부(30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하부 덕트(610) 및 하부 덕트(610)의 개방된 상부에 연결되어 공기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상부 덕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 덕트(610)의 저면에는 반사부(300)의 하측 공간과 연통된 송풍 슬릿(6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 슬릿(611)은 복수 개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풍 슬릿(611)은 반사부(30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로(330)와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슬릿(611)은 흡입구(120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구 면적이 향상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석션부가 구동하는 경우 송풍 덕트(600)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속도는 흡입구(120a)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슬릿(611)의 개구면적을 흡입구(120a)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게 구비하여 송풍 덕트(600) 내부 전영역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부 덕트(6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천정면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 덕트부(621) 및 제1 덕트부(621)의 상측 단부와 연결되고 수평하게 연장 구비되는 제2 덕트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된 공기의 배출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석션부가 구동하는 경우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공기 배출로(330) 및 송풍 슬릿(611)을 따라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는 개폐부(4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로(440)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 덕트(600)를 구비하여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경화 장치(1)는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인쇄기용 경화 장치 100: 하우징
110: 커버 120: 측면 패널
130: 가이드 브라켓 140: 구동부
200: 가열부 300: 반사부
310: 제1 반사 플레이트 320: 제2 반사 플레이트
330: 공기 배출로 340: 반사부 냉각로
400: 개폐부 410: 제1 개폐 플레이트
420: 제2 개폐 플레이트 430: 연결 로드
440: 공기 유입로 450: 개폐부 냉각로
510: 제1 수직 밸브 520: 수평 밸브
530: 제2 수직 밸브 600: 송풍 덕트
610: 하부 덕트 620: 상부 덕트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인쇄물에 열을 조사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에서 조사된 빛을 인쇄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의 내측에는 반사부 냉각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측에는 개폐부 냉각로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 냉각로 및 상기 개폐부 냉각로는 연속되게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는,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제1 개폐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에 냉각수를 배출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제2 개폐부 냉각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의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하측 단부의 하측에는 제1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하측 단부의 상측에는 제2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가 닫힌 경우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두께 방향으로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로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수직 경로;
    상기 제1 수직 경로의 내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형성된 수평 경로; 및
    상기 수평 경로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가열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돌기와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제2 수직 경로;를 포함하는,
    인쇄기용 경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반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는,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반사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반사부 냉각로;를 포함하는,
    인쇄기용 경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의 상기 가열부의 상부와 대향하는 일면은 각각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인쇄기용 경화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공기 배출로가 형성되는,
    인쇄기용 경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반사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반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는,
    상기 제1 반사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반사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반사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반사부 냉각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 냉각로는,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개폐부 냉각로; 및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반사부 냉각로에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2 개폐부 냉각로;를 포함하며,
    냉각수는 상기 제1 반사부 냉각로로 유입되어 제1 개폐부 냉각로, 제2 개폐부 냉각로 및 제2 반사부 냉각로를 순차적으로 순환한후 배출되는,
    인쇄기용 경화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제1 반사부 냉각로와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는 제1 수직 밸브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제1 개폐부 냉각로와 상기 제2 개폐부 냉각로는 수평 밸브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제2 개폐부 냉각로와 상기 제2 반사부 냉각로는 제2 수직 밸브에 의해 연통하는,
    인쇄기용 경화 장치.
KR1020190149959A 2019-11-20 2019-11-20 인쇄기용 경화 장치 KR102106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59A KR102106246B1 (ko) 2019-11-20 2019-11-20 인쇄기용 경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59A KR102106246B1 (ko) 2019-11-20 2019-11-20 인쇄기용 경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246B1 true KR102106246B1 (ko) 2020-05-28

Family

ID=7091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59A KR102106246B1 (ko) 2019-11-20 2019-11-20 인쇄기용 경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49A (ko) * 2007-04-06 2008-10-09 이승규 Uv램프를 이용한 인쇄물 건조장치
KR20100008087A (ko) * 2008-07-15 2010-01-25 이승규 인쇄물 건조장치의 냉각시스템
KR20150135703A (ko) * 2014-05-23 2015-12-03 이재영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는 uv경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49A (ko) * 2007-04-06 2008-10-09 이승규 Uv램프를 이용한 인쇄물 건조장치
KR20100008087A (ko) * 2008-07-15 2010-01-25 이승규 인쇄물 건조장치의 냉각시스템
KR20150135703A (ko) * 2014-05-23 2015-12-03 이재영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는 uv경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292B1 (ko) 열 배출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US6439712B1 (en) Ink liquid fixing devic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ink liquid fixing device
US10843487B2 (en) Ink drying apparatus for drying ink by heat after printing
KR102016288B1 (ko) Uv led를 이용한 인쇄용 uv잉크 경화장치
EP2295252A1 (en) Recording apparatus
GB2258296A (en) U.v. dryers
JP2020016389A5 (ko)
KR100864574B1 (ko) Uv램프를 이용한 인쇄물 건조장치
KR102106246B1 (ko) 인쇄기용 경화 장치
KR102099541B1 (ko) 인쇄기용 경화 장치
DE1797639C3 (de) Luftführung bei einem mit fortschreitender streifenweiser Projektion arbeitenden Kopiergerat
KR20040030355A (ko) 인쇄 재료용 건조 장치
JP6230793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US74474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xhaust duct
JP2001088276A (ja) 乾燥装置
JP464990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360733A (ja) 紫外線照射装置
JP4117606B2 (ja) 紫外線硬化装置
JPH07256190A (ja) 紫外線照射装置
US11660879B2 (en) Ink jet printer
JP2000310931A (ja) 画像形成装置
US3762812A (en) Copy machine cooling and drying system
JPH11174941A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364930A1 (en) Inkjet printer
CN215571531U (zh) 一种uv固化机的光源系统的新型风冷散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