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219B1 - 확공용 비트 - Google Patents

확공용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219B1
KR102106219B1 KR1020180117470A KR20180117470A KR102106219B1 KR 102106219 B1 KR102106219 B1 KR 102106219B1 KR 1020180117470 A KR1020180117470 A KR 1020180117470A KR 20180117470 A KR20180117470 A KR 20180117470A KR 102106219 B1 KR102106219 B1 KR 10210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wing
piston
expansion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981A (ko
Inventor
김철규
권오봉
Original Assignee
우복이엔씨 주식회사
(주)동우기계
(주)이엔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복이엔씨 주식회사, (주)동우기계, (주)이엔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우복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21B10/32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cutter shif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21B10/327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the cutter being pivoted about a longitudin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0Drill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 E21B10/602Drill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the bit being a rotary drag type bit with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 E21B10/627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with plural detachable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확공용 비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확공용 비트는,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출입구(12)를 구비하는 원통상의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내측에서 지지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출입구(12)를 통하여 바디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다수의 윙비트(30,40);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2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20);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20)의 구동에 의한 피스톤(22)의 하강에 따라서, 상기 윙비트의 하단부가 출입구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연동링크(2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윙비트(30,40)는 상하에서 다단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하부의 윙비트(40)가 더 길게 성형되어 더 큰 굴착공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공용 비트{Bit for enlarging excavation hole}
본 발명은 굴착 공사에 사용되는 확공용 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직경으로 만들어진 굴착공의 지름을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확공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공사에서 굴착공을 만드는 것은 주로 비트에 의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비트를 이용하여 굴착공을 형성하는 것은 비트의 크기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어서, 굴착 가능한 굴착공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정 크기 이상의 굴착공은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비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굴착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윙비트를 구비하는 비트 어셈블리가 다양한게 제안된 바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4-0129354호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확공을 위한 윙비트를 구비하는 비트는, 윙비트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거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유압실린더가 고장나게 되면, 확공 중이던 윙비트를 접을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크기로 성형된 굴착공을 원하는 크기로 확공시키는 것이 용이한 확공용 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장치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확공용 부품을 손상없이 굴착공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확공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윙비트는,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출입구를 구비하는 원통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지지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출입구를 통하여 바디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다수의 윙비트;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한 피스톤의 하강에 따라서, 상기 윙비트의 하단부가 출입구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윙비트 펼침수단으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윙비트 펼침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피스톤에 고정된 연결링, 그리고 상기 연결링에 상단부가 핀 결합되고 윙비트의 상단 내측에 하단부가 핀 연결된 연동링크로 구성되어, 피스톤의 하강에 따라 윙비트의 하단부가 출입구를 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윙비트 펼침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피스톤에 고정된 확장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장링은 윙비트의 내측 상단부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윙비트의 하단부가 출입구를 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확장링의 하부에서 피스톤에 고정된 수축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소링은 윙비트의 내측 하단부를 끌어올림으로써 윙비트의 하단부가 출입구 내부로 들어오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윙비트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윙비트 펼침수단은, 외측단부에는 포크 형상을 가지고 피스톤에 고정된 연결링과, 상기 포크 내부에 설치되면서 윙비트의 상부 내측에 연결된 핀으로 구성되어, 피스톤의 하강에 의하여 핀을 통하여 윙비트의 하단부가 출입구의 외측으로 펼쳐진다.
본 발명에서, 다수의 윙비트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의 윙비트는 상부의 윙비트에 비하여 길게 성형되어, 펼쳐지면 상대적으로 큰 확공 작업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바디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어서, 예를 들면 바디 내부에 형성된 에어탱크에서 압축공기를 외측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구경 이상의 큰 굴착공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예를 들어 최초 부터 큰 직경의 햄머 및 비트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초대형 장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확공용 비트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제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다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확공 비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비록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윙비트를 펼치거나 접고 있으나, 유압실린더가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윙비트를 접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 중 유압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확공용 비트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확공용 비트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확공용 비트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확공용 비트의 동작 설명을 위한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 설명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확공용 비트는, 원통상의 바디(10)와 이러한 바디(10)에 설치되고 회동에 의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다수의 윙비트(30,40)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 형상의 바디(10)의 상부에는, 굴착공의 하부로 본 확공용 비트를 넣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2)는 실제로 지금까지 널리 적용되고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원통상의 바디(10) 내부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유압실린더(20)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20)의 하부에는 유압실린더(20)의 내부로 유압의 출입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피스톤(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윙비트(30,40)는 다단으로 설치되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2단으로 설치되고 있는며, 상부 윙비트(30)와 하부 윙비트(40)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윙비트(30)는 같은 높이에서 3개 정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 윙비트(30)도 동일하다. 이와 같은 윙비트(30,40)는 바디(10)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축(32,4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회동 지지점인 지지축(32,42)은 윙비트(30,40)의 상부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유압실린더(20)의 구동에 의하여, 피스톤(22)이 하강하면, 윙비트(30,40)는 지지축(32,42)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b) 및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의 윙비트(30)는 하부의 윙비트(40)보다 길이가 작아서 펼쳐진 외경이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윙비트(30,40)가 설치되는 부분의 바디(10)에는 윙비트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22)의 하강에 따라서 윙비트(30,40)가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기구적 구성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피스톤(22)에는 적절한 높이에 연결링(26)이 이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링크(24)가 연결링(26) 및 윙비트(30,40)의 내측 상단부와 각각 핀(Pa,Pa)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피스톤(22)의 하강에 의하여, 연결링(26)과 상단부가 핀 연결된 연동링크(24)는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32,42)를 중심으로 수평에 가깝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윙비트(30,40)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피스톤(22)의 하강에 따라서 다단이면서 각 단에서 다수로 구성되는 모든 윙비트(30,40)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져지면서 실질적으로 바디(10)의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의 윙비트(40)가 상부의 윙비트(30)에 비하여 더욱 외측을 점유할 수 있도록 길이가 크게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피스톤(22)의 하강에 따라서 윙비트(30,40)가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피스톤(22)의 상승에 따라서 윙비트(30,40)가 펼쳐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한 피스톤(22), 연결링(26), 연동링크(24) 및 윙비트(30,40)를 상하 방향을 역으로 설계하게 되면 피스톤의 상승에 따라서 윙비트(30,40)가 바디(10)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것이다.
그리고 윙비트(30,40)를 출입구(12)의 내측으로 접기 위해서는, 피스톤(22)이 상승해야 한다. 피스톤(22)의 상승에 따라서 연동링크(24)의 하단부는 핀(Pa,Pb)을 상승시키서, 윙비트(30,40)가 지지축(32,42)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바디(10)의 내부로 들어오게 한다. 그리고 도 1의 (a)에는 이러한 상태가 되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는 피스톤(22)의 하강에 따라 연동링크(24)가 윙비트(30,40)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의 실시 예의 구성도, 피스톤(22)의 하강에 따라서 윙비트(30,40)가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기구적 구성만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와 다를 뿐이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피스톤(20)에는, 각 층의 윙비트(30,40)를 출입구(12)을 통하여 출입시키기 위하여, 확장링(52) 및 축소링(5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확장링(52) 및 축소링(54)은 상이한 높이의 윙비트에 대해서도 각각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확장링(52) 및 축소링(54) 사이에는, 윙비트(30,40)의 내측단부(32,42)가 위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윙비트(30,4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도 피스톤(20)이 하강하면, 확장링(52)이 하강하면서 윙비트(30,40)의 내측 상단부(34,44)를 하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윙비트(30,40)는 지지축(32,42)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회동하게 되어, (b)를 경유하여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피스톤(20)이 상승하게 되면, 축소링(54)이 윙비트(30,40)의 내측 상단부(34,44)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윙비트(30,40)는 지지축(32,4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출입구(12)의 내측으로 들어오게 되어, (a)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윙비트(30,40)의 지지축(32,42)의 위치를, 윙비트의 자중에 의하여 바디(10) 내측으로 들어올 수 있는 위치에 설정하게 되면, 축소링(54)의 구성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피스톤(22)에는 연결링(26)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링(26)의 외측 단부는 포크(26a)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단으로 배치되는 윙비트(30,40)의 상단 내측에서 핀(Pc,Pd)과 포크(26a)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22)이 하강하면 포크(26a) 및 핀(Pc,Pd)를 통하여, 윙비트(30,40)가 지지축(32,4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윙비트(30,40)를 외측으로 펼치는 것이다. 그리고 피스톤(22)의 상승은 윙비트(30,40)를 출입구(12) 내측으로 들어오게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스톤(22)의 승하강은, 윙비트(30,40)를 바디(10)의 외측으로 펼치거나 바디(10)의 내부로 들어오게 한다. 그런데 윙비트(30,40)는 지지축(32,4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출입구(12)는 윙비트(30,40)의 회동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확공용 비트의 구동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햄머 및 비트를 이용하여 소정 직경을 가지는 굴착공을 형성하고,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공구를 제거한다. 다음에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확공용 비트를 투입하여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공의 최저면에 도착시킨다.
굴착공의 최저면에서는 유압실린더(20)에 고압의 오일을 공급하여 피스톤(22)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피스톤(22)의 하방 이동에 따라서 윙비트(30,40)가 외측으로 펼쳐지는 것은 위에서 충분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다단의 윙비트(30,40)가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부(2)를 통하여 외부장치(Rod)가 본 발명 비트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 확공용 비트가 회전하게 되면, 바디(10)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의 윙비트(30,40)는 굴착공의 내측면에 대하여 굴착공을 더욱 확장하는 확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윙비트(30,40)의 외측면 중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굴착이 수행되는 부분에는 다수의 팁이 장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윙비트(30,40)의 상면 및 외측면에는 다수의 팁이 설치되어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확공용 비트는 굴착공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확공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윙비트(30)는 하부 윙비트(40)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윙비트(30,40)를 설계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더 큰 지름을 가지는 굴착공으로 확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일정한 구간의 확공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굴착공의 단면이 (e)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확공 작업이 완료되면, 윙비트(30,40)를 접어서 바디(10)의 내측으로 접은 후, 굴착공에서 빼내게 된다. 그리고 윙비트(30,40)를 접는 것은 피스톤(22)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윙비트(30,40)가 출입구(12)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유압실린더(20)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이다.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의 유압이 손실되어 피스톤(22)을 상승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연결부(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드)를 통하여 확공용 비트를 들어올릴 수 있다. 확공용비트 전체가 들어올려지면, 펼쳐진 상태의 윙비트는 굴착면과의 반력에 의하여 출입구(12)의 내측으로 접혀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윙비트(30,40)가 출입구(12)의 내측으로 접혀 들어오는 것은, 바디와 같이 상승하는 윙비트(30,40)에 작용하는 굴착면의 반력(윙비트를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한 것이고, 여기서 윙비트(30,40)가 바디(10)의 내측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출입구(12)가 성형되어 있기 때문이다. 유압실린더(20)는 상하 방향으로만 피스톤(22)을 움직이고 있음과 같이 윙비트는 지지축(32,4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출입구(12)를 통과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굴착면의 반력으로 윙비트가 접혀져서 출입구(12) 내측으로 들어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10)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윙비트(30,40) 및 구동원으로써의 유압실린더(20)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되,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슬라임을 불어낼 수 있는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고 있는 실시 예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0)의 내부 일측에는 에어탱크(56)가 형성되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바디(10)의 내부 상단부에서 유압실린더(20)를 지지하는 지지판(58)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58)에 의하여 기밀 상태로 만들어진 에어탱크(56)는 연결파이프(54)를 통하여 분사노즐(5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52)은 바디(10)의 표면에서 상술한 윙비트(30,4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사조즐(52)의 공기 분출은 작업에서 발생하는 슬라임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분사노즐(52)에서 발생하는 공기 유동은 윙비트(30,40) 주변에 슬라임이 끼이게 되는 것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2 ..... 연결부
10 ..... 바디
12 ..... 출입구
20 ..... 유압실린더
22 ..... 피스톤
24 ..... 연동링크
26 ..... 연결링
30 ..... 상부 윙비트
32, 42 ..... 지지축
40 ..... 하부 윙비트
Pa, Pb, Pc, Pd ..... 핀

Claims (7)

  1.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출입구(12)를 구비하는 원통상의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내측에서 지지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출입구(12)를 통하여 바디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다수의 윙비트;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2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20);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20)의 구동에 의한 피스톤(22)의 하강에 따라서, 상기 윙비트의 하단부가 출입구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윙비트 펼침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윙비트 펼침수단은, 외측단부에는 포크 형상을 가지고 피스톤에 고정된 연결링과, 상기 포크 내부에 설치되면서 윙비트의 상부 내측에 연결된 핀으로 구성되어, 피스톤의 하강에 의하여 핀을 통하여 윙비트의 하부가 출입구(12)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확공용 비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윙비트는 다단으로 설치되고, 하부의 윙비트는 상부의 윙비트에 비하여 길게 성형되어, 펼쳐지면 상대적으로 큰 확공 작업이 가능한 확공용 비트.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바디의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바디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확공용 비트.






KR1020180117470A 2018-10-02 2018-10-02 확공용 비트 KR10210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70A KR102106219B1 (ko) 2018-10-02 2018-10-02 확공용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70A KR102106219B1 (ko) 2018-10-02 2018-10-02 확공용 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81A KR20200037981A (ko) 2020-04-10
KR102106219B1 true KR102106219B1 (ko) 2020-05-20

Family

ID=7029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470A KR102106219B1 (ko) 2018-10-02 2018-10-02 확공용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585B1 (ko) 2021-03-16 2022-02-08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539482B1 (ko) 2022-01-07 2023-06-02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541013B1 (ko) 2022-01-18 2023-06-13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타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660209B1 (ko) 2023-02-01 2024-04-24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내경 절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돌기 형성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90A (ja) * 2001-04-24 2002-11-08 Daiwa Kiko Kk 球根用拡大掘り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拡大ヘッド
JP2003035083A (ja) 2001-07-25 2003-02-07 Kawasaki Steel Corp 基礎杭施工用の掘削治具
JP2014114587A (ja) * 2012-12-10 2014-06-26 Daiwa Kiko Kk 油圧シリンダ式拡大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73A (ja) * 1993-06-22 1995-01-06 Yoshida Tekkosho:Kk 拡孔用削孔装置
KR20060006754A (ko) * 2005-12-31 2006-01-19 주식회사 동아지질 절첩식 선단확대 굴착비트
KR101465987B1 (ko) * 2012-10-25 2014-12-10 이광익 해머비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90A (ja) * 2001-04-24 2002-11-08 Daiwa Kiko Kk 球根用拡大掘り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拡大ヘッド
JP2003035083A (ja) 2001-07-25 2003-02-07 Kawasaki Steel Corp 基礎杭施工用の掘削治具
JP2014114587A (ja) * 2012-12-10 2014-06-26 Daiwa Kiko Kk 油圧シリンダ式拡大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81A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219B1 (ko) 확공용 비트
RU2446267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ы для манипуляций с трубами
KR100928029B1 (ko) 확장형 함마
US3357506A (en) Drilling buckets
KR101367359B1 (ko)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CN116044471A (zh) 四柱柔性单元式超前液压支架及巷道支护方法
KR102250110B1 (ko) 확공용 비트
US8210255B2 (en) Boring head with new protection hood
US2565777A (en) Automatic latch mechanism for portable extension masts
CN112709535A (zh) 旋挖钻机及其钻头
US3343614A (en) Bore hole forming apparatus
KR102154408B1 (ko) 확공용 비트
JP3332898B2 (ja) 圧入鋼管類の中掘装置
KR102307347B1 (ko) 다수의 에어햄머를 구비하는 확공장치
US11746606B2 (en) Method of mounting a Kelly bar on a drilling machine, relevant mounting tool and a drilling machine equipped with such mounting tool
KR101469155B1 (ko) 조합형 확경 함마
KR102262665B1 (ko) 다수의 에어햄머를 구비하는 확공장치
CN206053353U (zh) 一种混凝土布料机的起升装置
JP6570184B2 (ja) 掘削装置
RU2278945C2 (ru) Скважинный разъединитель
JP2021080646A (ja) 既設構造物の引抜装置および引抜工法
KR20170036515A (ko) 해상 설비의 자켓 시공용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 공법
JP4064320B2 (ja) 中空杭建込み施工用中掘り装置
CN214145372U (zh) 旋挖钻机及其钻头
KR101557340B1 (ko) 아치형 터널 구조물 시공용 리프트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