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359B1 -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 Google Patents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359B1
KR101367359B1 KR1020120106468A KR20120106468A KR101367359B1 KR 101367359 B1 KR101367359 B1 KR 101367359B1 KR 1020120106468 A KR1020120106468 A KR 1020120106468A KR 20120106468 A KR20120106468 A KR 20120106468A KR 101367359 B1 KR101367359 B1 KR 10136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vertical
moving plate
couple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일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이엔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엔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엔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0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16Plural down-hole drives, e.g. for combined percussion and rotary drilling; Drives for multi-bit drill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와 조립되는 연결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함마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 연결로드와 결합하는 로드연결아답타(110)가 구비되는 함마본체(100); 상기 함마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210)가 수직방향으로 신축(伸縮)하는 유압실린더(200);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신축에 따라 상기 함마본체(100) 내부를 따라 회전 및 승하강을 하는 이동판(300); 상기 이동판(3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이동판(300)에 자유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함마비트(410)가 장착되는 다수 개의 에어함마(400); 상기 에어함마(400) 각각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함마(400)의 몸체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마운트(510); 및, 상기 함마본체(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볼마운트(5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구비하여 상기 볼마운트(510) 각각을 수용하는 볼마운트지지블록(5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함마비트(410)는 상기 볼마운트(510)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판(300)이 최고점까지 상승하면 이웃하는 함마비트(410) 사이에 간격이 없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Rotational Moving Plate Type Expandable Hammer}
본 발명은 굴착기에 조립된 연결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함마에 관한 것으로서, 일차적인 굴착 작업 후 교체 작업 없이 함마본체에 장착된 개별 에어함마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굴착된 구멍의 하부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시에는 먼저 굴착기로 지반을 뚫고 그 구멍으로 강관이나 철골과 함께 콘크리트를 채워 지반에 매몰되는 기둥을 형성하는데, 건축물의 자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구멍을 깊게 파거나 구멍의 직경을 확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함마를 이용한 굴착의 경우 구멍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률적인 직경을 가질 수 밖에 없어 깊고 큰 구멍을 굴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장비 또한 대형화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굴착되는 구멍의 하단부만 국부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장비가 도입하여 해결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말뚝 선단부 확장용 가변식 굴착 함마(등록특허 제10-0990201호)"가 제안된 바 있다.
"말뚝 선단부 확장용 가변식 굴착 함마"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00)에 의하여 승하강블록(400)이 하강하면서 에어함마(200) 각각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여 함마비트(210)의 굴착 반경이 증가되는 구조인데 승하강불록(400)의 하강에 따라 에어함마(200)가 벌이지는 구조가 되기 위해서는 도1의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승하강블록(400)에 결합되는 에어함마(200)의 상단부와 에어함마(200)의 몸체가 통과하는 볼마운트(510)가 서로 비스듬하게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됨에 따라 도1의 저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승하강블록(400)이 최고점에 도달하더라도 함마비트(210) 사이에 상당한 간격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1차 천공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함마본체(100)가 회전하더라도 함마본체(100)의 바닥면 중앙부는 함마비트(210)의 이동 궤적(영역)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1차 천공은 별도의 일반적인 함마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난 후 이러한 확공형 함마로 교체하여 2차 확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공정을 지연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함마의 교체 없이 1차 천공 및 2차 확공 작업을 현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함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함마의 교체 없이 1차 천공 및 2차 확공 작업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확장형 함마를 제공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굴착기와 조립되는 연결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함마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 연결로드와 결합하는 로드연결아답타(110)가 구비되는 함마본체(100); 상기 함마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210)가 수직방향으로 신축(伸縮)하는 유압실린더(200);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신축에 따라 상기 함마본체(100) 내부를 따라 회전 및 승하강을 하는 이동판(300); 상기 이동판(3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이동판(300)에 자유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함마비트(410)가 장착되는 다수 개의 에어함마(400); 상기 에어함마(400) 각각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함마(400)의 몸체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마운트(510); 및, 상기 함마본체(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볼마운트(5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구비하여 상기 볼마운트(510) 각각을 수용하는 볼마운트지지블록(5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함마비트(410)는 상기 볼마운트(510)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에어함마(400)가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면 이웃하는 함마비트(410) 사이에 간격이 거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에어함마(400)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블록이 구비되지 않고 에어함마(4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이동판(300)의 회전 및 승하강에 의하여 에어함마(400)가 벌어지는 구조로서, 이동판(300)이 상승하면 에어함마(400)의 함마비트(410) 사이에 간격이 거의 없어지게 되어 1차 천공 작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판(300)이 회전 및 하강을 하게 되면 에어함마(400)가 벌어지게 되어 함마를 별도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2차 확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확장형 함마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일체형 이동판(300)이 사용된 경우의 단면구조를 도시하는데 (a) 에어함마(400)가 벌어지기 전 상태(단면 A-A 포함), 및 (b) 에어함마(400)가 벌어진 상태(단면 B-B 포함)를 각각 도시한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의 함마본체(100) 내측면에 형성된 제1나선형안내홈(120) 및 수직안내홈(130)을 도시한다.
도4는 이동판(300)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이동판(300)이 수직이동부재(330)와 회전이동부재(340)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스토퍼(610)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굴착기와 조립되는 연결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함마에 관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일체형 이동판(300)이 사용된 경우의 단면구조를 도시하는데 (a) 에어함마(400)가 벌어지기 전 상태(단면 A-A 포함), 및 (b) 에어함마(400)가 벌어진 상태(단면 B-B 포함)를 각각 도시한다.
함마본체(100)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체적인 뼈대 역할도 한다. 이러한 함마본체(100)의 상단부에는 굴착기의 연결로드와 결합되는 로드연결아답타(110)가 구비되어 있다.
로드연결아답타(110)의 구체적 형상은 연결로드의 하단부 형상에 맞추어 결정되는데, 이러한 로드연결아답타(110)의 구조나 기능은 일반적인 공지 기술에 해당하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함마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함몰된 슬러지배출통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슬러지배출통로가 구비되는 경우 굴착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는 에어함마(400)의 하단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슬러지배출통로를 따라 함마본체(100)의 상부로 이송되고 함마본체(100)와 연결된 오거스크류에 안착되어 지상으로 배출된다.
유압실린더(200)는 함마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210)가 수직방향으로 신축(伸縮)하면서 이동판(300)을 이동(회전 및 승하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피스톤로드(210)가 함마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고 유압실린더(200)의 몸체가 이동판(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런 방식으로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피스톤로드(210)가 이동판(300)에 결합되고 유압실린더(200)의 몸체가 함마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동판(300)은 유압실린더(2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200)의 신축에 따라 함마본체(100) 내부를 따라 회전 및 승하강을 한다.
도3은 함마본체(100) 내측면에 형성된 제1나선형안내홈(120) 및 수직안내홈(130)을 도시한다.
제1나선형안내홈(120)은 함마본체(10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판(300)이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도록 나선형으로 홈이 절개되어 있다.
수직안내홈(130)은 제1나선형안내홈(120)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이동판(300)의 수직 방향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홈이 절개되어 있다.
아울러 이동판(300)에는 도1의 단면A-A 및 단면B-B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나선형안내홈(120)과 수직안내홈(13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돌기(310)가 구비된다.
이동판(300)의 제1가이드돌기(310)가 제1나선형안내홈(120)의 내부 영역에 머무는 경우 이동판(300)은 승하강과 동시에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약 90도 정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나선형안내홈(120) 구간을 설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변경을 할 수도 있다.
이동판(300)의 제1가이드돌기(310)가 수직안내홈(130)의 내부 영역에 머무는 경우 이동판(300)은 승하강 운동만 가능하고 회전 운동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00)의 최고점에 머무는 경우 제1가이드돌기(310)는 제1나선형안내홈(120)의 내부 영역에 머물게 되는데, 유압실린더(200)의 피스톤로드(210)가 신장하여 이동판(300)이 하강하게 되면 이동판(300)의 제1가이드돌기(310)가 제1나선형안내홈(120)을 타고 내려오면서 자동적으로 이동판(300)의 회전을 유발하게 된다.
이동판(300)의 하강이 계속 진행되어 제1가이드돌기(310)가 제1나선형안내홈(120)의 영역을 벗어나 수직안내홈(130)의 영역으로 들어서게 되면 이동판(300)의 회전이 멈추게 되고 제1가이드돌기(310)가 수직안내홈(130)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이동판(300)은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면서 그대로 하강하게 된다.
상승의 경우는 상기 과정의 역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에어함마(400)는 이동판(3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데, 에어함마(400)의 상단부는 이동판(300)에 자유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에어함마(400)의 하단부에는 함마비트(410)가 장착된다.
에어함마(400)의 작동 원리는 일반적인 에어함마와 동일한 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에어함마(400)는 이동판(300)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결합방식은 별도 도면으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나 유니버셜조인트 방식, 볼마운트방식, 또는 유격이 허용된 핀결합 방식 등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유회동이 가능해야 되는 이유는 이동판(300)의 승하강과 회전에 다라 에어함마(400)의 자세 변동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볼마운트(510)는 에어함마(400) 각각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에어함마(400)의 몸체가 이러한 중공을 통과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에어함마(400)의 몸체와 중공 사이의 간격은 자유로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마운트지지블록(520)은 함마본체(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데, 볼마운트(5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구비하여 볼마운트(510) 각각을 수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볼마운트지지블록(520)에 의하여 볼마운트(510)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데, 이동판(300)이 최고점까지 상승하면 볼마운트(510)의 하부로 돌출되는 함마비트(410) 사이의 간격이 없어지도록 볼마운트(51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마비트(410) 사이의 간격이 없어지면 이동판(300)을 최고점까지 상승시킨 상태로 1차 천공 작업시 함마본체(100)가 회전하는 경우 함마비트(410)가 천공되는 구멍의 단면 전체를 뒤덮으며 지나가게 되어 천공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함마비트(4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1차 천공 작업시 함마본체(100)가 회전하더라도 함마비트(410)가 천공되는 구멍의 단면 가운데 일부 영역(간격으로 인해 함마비트(410)가 지나가지 않는 영역)을 지나가지 않음으로써 천공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게 된다.
에어함마(400)의 상단부는 이동판(300)에 자유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에어함마(400)의 몸체는 볼마운트(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볼마운트(510)는 함마본체(100)의 하단부에 결합된 볼마운트지지블록(520)에 자유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1(a)와 같이 이동판(300)이 최고점에 머문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00)의 피스톤로드(210)가 신장되면 이동판(300)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에어함마(400)의 상단부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 에어함마(400) 몸체의 일부도 볼마운트(5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볼마운트(510)는 에어함마(4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적절히 각도가 변하게 되고, 에어함마(400)의 상단부는 이동판(300)에 자유히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판(300)과 에어함마(400)의 움직임이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피스톤로드(210)가 계속 신장되면 이동판(300)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함마(400)도 함께 하강하면서 볼마운트(510)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동판(300)이 볼마운트(510)에 접근할수록 에어함마(400)는 점점 더 기울어지면서 함마본체(100)의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도1(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에어함마(400)가 벌어지게 되면 함마비트(410)도 벌어지면서 2차 확공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판(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00)이 수직이동부재(330)와 회전이동부재(34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직이동부재(330)는 수직 방향 승하강 운동만 하게 되고 회전은 수직이동부재(330)와 회전이동부재(340)의 상대적 운동에 의하여 발생된다.
수직이동부재(330)는 함마본체(100)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데, 중앙부에 회전유도공(331)이 관통된다.
이러한 회전유도공(331)에는 회전이동부재(340)의 제2나선형안내홈(342)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332)가 구비되어 수직이동부재(330)와 회전이동부재(340)의 상대적 운동 발생시 회전이동부재(340)가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이동부재(330)가 구비되는 경우 회전은 수직이동부재(330)와 회전이동부재(340)의 상대적 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바, 함마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수직이동부재(330)의 수직 방향 승하강을 안내하는 수직이동부재안내홈(140)만 구비되면 충분하다. 즉 제1나선형안내홈(120)이 불필요하고 수직 방향으로만 절개된 수직이동부재안내홈(140)만 필요하게 된다.
수직이동부재(330)에는 수직이동부재안내홈(14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이동부재가이드돌기(333)가 구비되어 수직이동부재(330)의 수직 방향 승하강을 안내하게 된다.
회전이동부재(340)는 수직이동부재(33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유도공(331)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는데, 에어함마(400)의 상단부는 이러한 회전이동부재(340)에 결합된다.
회전이동부재(34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둥부(341), 머리부(343) 및 에어함마결합부(344)로 구성된다.
회전기둥부(341)는 회전유도공(331)에 삽입되어 승하강하는 부분으로서 회전기둥부외주면에는 회전이동부재(340)가 수직이동부재(33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제2나선형안내홈(342)이 구비되는데, 제2나선형안내홈(342) 내부를 따라 회전유도공(331)에 구비된 제2가이드돌기(332)가 이동하는 구조이다.
머리부(343)는 회전기둥부(34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수직이동부재(330)의 상부로 노출되어 유압실린더(20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데, 머리부(343)는 회전유도공(3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에어함마결합부(344)는 회전기둥부(341)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에어함마(40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데, 에어함마결합부(344)는 회전유도공(3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이동판(300)가 구비된 경우 에어함마(400)의 승하강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회전이동부재(340)가 최고점에 머문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00)의 피스톤로드(210)가 신장되면 수직이동부재(330)가 멈춤 상태에서 회전이동부재(340)가 먼저 움직이면서 회전이동부재(340)의 회전기둥부(341)에 형성된 제2나선형안내홈(342)과 수직이동부재(330)의 회전유도공(331)에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332)의 작용으로 회전이동부재(340)가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스토퍼(610)의 작동으로 수직이동부재(330)의 상하 이동을 적절한 힘으로 붙잡아 줌으로써 수직이동부재(330)의 이동은 방지되는 것이다.
회전이동부재(340)의 회전 및 하강이 지속되어 회전이동부재(340)의 머리부(343)가 수직이동부재(330)의 상부면에 맞닿게 되면 유압실린더(200) 피스톤로드(210)의 신장력이 스토퍼(610)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어 회전이동부재(340)와 수직이동부재(330)가 일체로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체로 하강하는 과정에서는 수직이동부재(330)의 수직이동부재가이드돌기(333)가 함마본체(100) 내측면에 형성된 수직이동부재안내홈(140)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수직이동부재(330)는 회전하지 않고 하강만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과 하강에 따라 에어함마(400)가 하강하면서 벌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짐은 동일하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스토퍼수용홈(320)이 구비되고, 함마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이동판(300)이 상승하여 최고점에 도달하면 스토퍼수용홈(320)에 맞물리는 스토퍼(6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610)는 스토퍼스프링(620)에 의하여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스토퍼수용홈(320)에 스토퍼(610)가 맞물리면 스토퍼스프링(6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동판(300)의 하강이 방지된다.
즉 자중에 의한 하강은 방지되며 유압실린더(200)가 작동하는 경우에만 스토퍼(610)와 스토퍼수용홈(320)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판(300)이 수직이동부재(330)와 회전이동부재(340)로 구성될 경우 스토퍼수용홈(320)은 수직이동부재(3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다.
2차 확공 작업 도중 유압실린더나 유압라인의 고장이나 파손으로 인하여 볼마운트(510) 하부로 빠져나와 벌어져 있는 에어함마(400)를 다시 함마본체(100) 내부로 접어서 밀어 넣는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1차 천공된 구멍의 직경이 벌어져 있는 에어함마(400) 사이의 최대 거리보다 작아서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함마본체(100)를 지상으로 끌어올리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연결로드를 이용하여 함마본체(100)를 강제로 하강시켜 에어함마(400)가 함마본체(100) 내부로 접어 넣어야 하는데, 스토퍼(610)가 구비된 경우 에어함마(400)가 함마본체(100) 내부에 강제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이동판(300)이 상승하여 스토퍼수용홈(320)과 스토퍼(610)가 맞물리게 되면 더 이상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자중에 의한 하강이 방지되어 함마본체(100) 내부에 에어함마(400)가 수납된 상태로 함마본체(100)를 무사히 지상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아래의 부호는 종래 기술에 관한 도면인 도1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100:함마본체
110:로드연결아답타
120:제1나선형안내홈
130:수직안내홈
140:수직이동부재안내홈
200:유압실린더
210:피스톤로드
300:이동판
310:제1가이드돌기
320:스토퍼수용홈
330:수직이동부재
331:회전유도공
332:제2가이드돌기
333:수직이동부재가이드돌기
340:회전이동부재
341:회전기둥부
342:제2나선형안내홈
343:머리부
344:에어함마결합부
400:에어함마
410:함마비트
510:볼마운트
520:볼마운트지지블록
610:스토퍼
620:스토퍼스프링

Claims (5)

  1. 굴착기와 조립되는 연결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함마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 연결로드와 결합하는 로드연결아답타(110)가 구비되는 함마본체(100);
    상기 함마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210)가 수직방향으로 신축(伸縮)하는 유압실린더(200);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신축에 따라 상기 함마본체(100) 내부를 따라 회전 및 승하강을 하는 이동판(300);
    상기 이동판(3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이동판(300)에 자유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함마비트(410)가 장착되는 다수 개의 에어함마(400);
    상기 에어함마(400) 각각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함마(400)의 몸체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마운트(510); 및,
    상기 함마본체(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볼마운트(5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구비하여 상기 볼마운트(510) 각각을 수용하는 볼마운트지지블록(5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함마비트(410)는 상기 볼마운트(510)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판(300)이 최고점까지 상승하면 이웃하는 함마비트(410) 사이에 간격이 없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2. 제1항에서,
    상기 함마본체(100)에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이동판(300)이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제1나선형안내홈(120); 및,
    상기 제1나선형안내홈(120)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판(300)의 수직 방향 승하강을 안내하는 수직안내홈(130);
    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판(300)에는,
    상기 제1나선형안내홈(120)과 상기 수직안내홈(13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돌기(31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3. 제1항에서,
    상기 이동판(300)은,
    상기 함마본체(100)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중앙부에 회전유도공(331)이 관통된 수직이동부재(330); 및,
    상기 수직이동부재(33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상기 회전유도공(331)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는 회전이동부재(340);
    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이동부재(340)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이동부재(340)가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제2나선형안내홈(342)이 구비된 회전기둥부(341);
    상기 회전기둥부(34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이동부재(330)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도공(3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343); 및,
    상기 회전기둥부(34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함마(40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도공(3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에어함마결합부(344);
    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330)의 회전유도공(331)에는 상기 제2나선형안내홈(342)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3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4. 제3항에서,
    상기 함마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330)의 수직 방향 승하강을 안내하는 수직이동부재안내홈(140);
    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330)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안내홈(14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이동부재가이드돌기(3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5. 제1항에서,
    상기 이동판(3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스토퍼수용홈(320);
    상기 함마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판(300)이 상승하여 최고점에 도달하면 상기 스토퍼수용홈(320)에 맞물리는 스토퍼(610); 및,
    상기 스토퍼(610)를 탄성지지하는 스토퍼스프링(620);
    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수용홈(320)에 상기 스토퍼(610)가 맞물리면 상기 스토퍼스프링(6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이동판(300)의 하강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KR1020120106468A 2012-09-25 2012-09-25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KR10136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468A KR101367359B1 (ko) 2012-09-25 2012-09-25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468A KR101367359B1 (ko) 2012-09-25 2012-09-25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359B1 true KR101367359B1 (ko) 2014-02-26

Family

ID=5027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468A KR101367359B1 (ko) 2012-09-25 2012-09-25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22A (ko) * 2019-05-24 2020-12-02 김진현 다수의 에어햄머를 구비하는 확공장치
KR102275698B1 (ko) * 2020-12-22 2021-07-08 김영국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 공법 및 상기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 공법에 적용되는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용 파쇄장치 및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용 천공 형성을 위한 천공 가이드 유닛
KR102356585B1 (ko) 2021-03-16 2022-02-08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539482B1 (ko) 2022-01-07 2023-06-02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541013B1 (ko) 2022-01-18 2023-06-13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타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660209B1 (ko) 2023-02-01 2024-04-24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내경 절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돌기 형성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201A (en) 1979-08-27 1981-02-24 Dowis James W Drill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28029B1 (ko) 2009-06-22 2009-11-24 김미선 확장형 함마
KR100990201B1 (ko) 2010-05-26 2010-10-29 김미선 말뚝 선단부 확장용 가변식 굴착 함마
KR20100137340A (ko) * 2009-09-21 2010-12-30 김미선 확장형 함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201A (en) 1979-08-27 1981-02-24 Dowis James W Drill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28029B1 (ko) 2009-06-22 2009-11-24 김미선 확장형 함마
KR20100137340A (ko) * 2009-09-21 2010-12-30 김미선 확장형 함마
KR100990201B1 (ko) 2010-05-26 2010-10-29 김미선 말뚝 선단부 확장용 가변식 굴착 함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22A (ko) * 2019-05-24 2020-12-02 김진현 다수의 에어햄머를 구비하는 확공장치
KR102307347B1 (ko) 2019-05-24 2021-09-29 김진현 다수의 에어햄머를 구비하는 확공장치
KR102275698B1 (ko) * 2020-12-22 2021-07-08 김영국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 공법 및 상기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 공법에 적용되는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용 파쇄장치 및 슈퍼 크러싱 무진동 할암 작업용 천공 형성을 위한 천공 가이드 유닛
KR102356585B1 (ko) 2021-03-16 2022-02-08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539482B1 (ko) 2022-01-07 2023-06-02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20230107098A (ko)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20230107099A (ko)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541013B1 (ko) 2022-01-18 2023-06-13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타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2660209B1 (ko) 2023-02-01 2024-04-24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내경 절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돌기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359B1 (ko)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KR100990201B1 (ko) 말뚝 선단부 확장용 가변식 굴착 함마
KR101016699B1 (ko) 확장형 함마
KR101068578B1 (ko) 대구경 암반 천공 방법 및 장치
KR101229209B1 (ko) 하나의 굴착공에서 일반,확공을 병행할 수 있는 해머비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38916B1 (ko) 선단확공을 통한 역타공법
KR100928029B1 (ko) 확장형 함마
KR101643659B1 (ko) 슬라이드식 확장형 에어함마
KR101011143B1 (ko) 말뚝 선단의 기초부 형성과 인장부재의 고정정착부 형성을 위한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 공벽확장용 도구
US9033068B2 (en) Hammer bit
KR101469155B1 (ko) 조합형 확경 함마
KR101283494B1 (ko) 조합 타격식 확경 함마
CN109723074A (zh) 一种沉井可控式提吊下放方法
CN212742520U (zh) 一种高稳定性软土地质桩基安装用定位装置
KR100891129B1 (ko) 지중파일용 오거의 파일 케이스
KR100954446B1 (ko) 고정 거치식 더블 스핀들 구조의 회전 굴착장치
KR102307347B1 (ko) 다수의 에어햄머를 구비하는 확공장치
CN109595000B (zh) 一种金属矿山盲竖井井筒预注浆工程硐室群布置方式
KR200316588Y1 (ko) 심저부 벨링 장치
CN111733813A (zh) 一种一柱一桩人工与机械干作业组合成孔施工方法
KR101044485B1 (ko) 장심도 케이싱
KR102262665B1 (ko) 다수의 에어햄머를 구비하는 확공장치
KR20130140983A (ko) 직경 가변식 천공이 가능한 복합형 확경 해머
SU1733617A1 (ru) Отклонитель
KR101126152B1 (ko) 이중관 멀티 케이싱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