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205B1 -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205B1
KR102106205B1 KR1020180055082A KR20180055082A KR102106205B1 KR 102106205 B1 KR102106205 B1 KR 102106205B1 KR 1020180055082 A KR1020180055082 A KR 1020180055082A KR 20180055082 A KR20180055082 A KR 20180055082A KR 102106205 B1 KR102106205 B1 KR 102106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astening
flange
connec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413A (ko
Inventor
김현
배일환
이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를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는, 좌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체결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등받이의 우측부분이 체결되는 우측연결부와, 좌측등받이의 우측부분과 우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함께 체결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연결부는 차체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중간브라켓과,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중간브라켓에 삽입되는 중간연결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브라켓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에는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중간체결부시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제2 플랜지에는 중간연결축이 삽입되는 체결구멍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Seatback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를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등받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커버링에 손상이 가해질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보다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등받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승용차, 승합차, 레저용 차량 등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트렁크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부피가 큰 물건을 적재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들은 필요시 충분한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후방 시트가 등받이를 착석부 쪽으로 회전시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접이식 시트는 보통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 등받이를 선택적으로 접거나 양쪽 등받이를 함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이식 시트는 일반적으로 좌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을 차체에 연결하는 좌측연결부, 우측등받이의 우측부분을 차체에 연결하는 우측연결부, 좌측등받이의 우측부분 및 우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을 차체에 연결하는 중간연결부로 등받이 연결장치를 구성해, 좌측연결부와 중간연결부 사이에 좌측등받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우측연결부와 중간연결부를 사이에 우측등받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접이식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는 (i) 좌측등받이의 좌측에 구비된 로킹핀을 좌측연결부의 체결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좌측등받이의 우측에 구비된 체결부싱을 중간연결부의 수용홈에 끼워 좌측등받이를 장착하고, (ii) 우측등받이의 우측에 구비된 로킹핀을 우측연결부의 체결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우측등받이의 좌측에 구비된 체결부싱을 중간연결부의 수용홈에 끼워 우측등받이를 연결한 다음, (iii) 체결부싱이 삽입된 중간연결부를 덮개로 덮고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등받이를 차체에 장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등받이 연결장치는 일측에 구비된 로킹핀을 체결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타측에 구비된 체결부싱을 중간연결부의 수용홈에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체결부싱을 중간연결부에 끼우는 과정에서 중간연결부에 의해 시트의 커버링에 손상이 가해지기 쉽다. 또한, 등받이의 고정을 위해 복수의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 등이 요구되어, 조립공수가 많아지고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특허 제10-1656296호
본 발명은 차량 시트 등받이 연결장치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의 커버링에 손상을 가할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보다 단순한 방식으로 간단하게 차량 시트의 등받이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선된 구조의 등받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를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는, 좌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체결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등받이의 우측부분이 체결되는 우측연결부와, 좌측등받이의 우측부분과 우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함께 체결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연결부는 차체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중간브라켓과,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중간브라켓에 삽입되는 중간연결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브라켓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에는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중간체결부시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제2 플랜지에는 중간연결축이 삽입되는 체결구멍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의 수용홈은 상부가 개방된 U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의 체결구멍은 중간체결부시가 제1 플랜지의 수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중간연결축이 체결구멍을 거쳐 중간체결부시의 중심관통공을 통과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의 체결구멍은 중간체결부시가 제1 플랜지의 수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중간체결부시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연결부는, 좌측등받이의 좌측부분에 구비되는 좌측체결부시와, 차체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좌측체결부시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좌측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브라켓에는 좌측체결부시가 상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브라켓의 수용홈에는 좌측체결부시의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연결부는, 우측등받이의 우측부분에 구비되는 우측체결부시와, 차체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우측체결부시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우측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되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브라켓에는 우측체결부시가 상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브라켓의 수용홈에는 우측체결부시의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는, 등받이의 일측에 구비된 로킹핀을 측면에 구비된 체결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등받이의 타측에 구비된 체결부시를 중간연결부에 눌러서 끼우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중간연결축을 측면 방향에서 삽입해 등받이를 중간연결부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중간연결부에 의한 시트의 커버링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는, 중간연결축의 삽입을 통해 나란히 조립되는 양측 등받이가 예비조립된 상태로 조립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조립 공정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는 양쪽 등받이가 함께 장착되는 중간연결부의 중간브라켓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해서 위치하는 복수의 플랜지(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로 형태로 구성하고 있어, 이격된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중간연결축의 삽입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등받이 중간연결축의 삽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는 좌측연결부 및 우측연결부에 구성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이탈방지턱에 의해 등받이에 구비된 체결부시가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추가적인 볼트체결작업 없이도 등받이의 체결유지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조립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 및 이러한 등받이 연결장치가 구비된 차량 시트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중간연결부를 구성하는 중간브라켓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중간연결부에서 중간연결축이 삽입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간브라켓은 보강부재가 생략된 형태로 도시됨)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좌측연결부를 구성하는 좌측브라켓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를 이용해 차량 시트의 등받이를 장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좌측연결부에 좌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중간연결부에 좌측등받이의 우측부분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중간연결부에 우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중간연결부의 단면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의 우측연결부에 우측등받이의 우측부분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및 이러한 등받이 연결장치를 이용한 차량 시트의 등받이 장착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는 일반적으로 탑승자가 착석하는 착석부(100)와 착석부(100)의 후방에 위치되는 등받이[좌측등받이(110) 및 우측등받이(120)]로 구성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좌측 및 우측은 도면의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시트는 통상적으로 좌측등받이(110)와 우측등받이(120)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며, 후술하는 등받이 연결장치 등을 통해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의 등받이를 선택적으로 접거나 양측 등받이를 함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등받이는 일반적으로 쿠션커버가 시트백프레임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좌측등받이(110)는 좌측쿠션커버(112)가 좌측시트백 프레임(114)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등받이(120)는 우측쿠션커버(122)가 우측시트백프레임(124)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연결부(300)와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연결부(400)와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연결부(200)로 구성되어, 중간연결부(200)와 좌측연결부(300)를 통해 좌측등받이(11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중간연결부(200)와 우측연결부(400)를 통해 우측등받이(12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연결부(200)는, 좌측등받이(110)와 우측등받이(120) 사이의 위치에서 차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중간브라켓(200a)과, 좌측등받이 및 우측등받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중간브라켓(200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중간체결부시[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좌측등받이(110)에 구비된 중간체결부시(118)]와, 좌측등받이 및 우측등받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중간브라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중간연결축[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우측등받이(120)에 구비된 중간연결축(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 도 8 및 도 9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브라켓(200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간극(260)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플랜지(210) 및 제2 플랜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제1 플랜지(210)는 좌측등받이 및 우측등받이 중 중간체결부시가 구비되는 등받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좌측등받이(110)]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며, 제2 플랜지(220)는 좌측등받이 및 우측등받이 중 중간연결축이 형성되는 등받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우측등받이(120)]를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브라켓(200a)의 제1 플랜지(210)는 중간체결부시(118)를 수용하는 수용홈(240)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홈(240)은 중간체결부시(118)를 밀어서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U자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240)은 중간체결부시(118)의 원활한 탈장착을 위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강부재(230)를 통해 제1 플랜지(210)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브라켓(200a)의 제2 플랜지(220)는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연결축(126)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구멍(250)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멍(250)에는 중간연결축(126)의 원활한 체결을 도울 수 있도록 부싱 등의 연결부재가 게재된 상태로 구성되어도 좋다(도 2 및 도 9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체결부시(118)는 중간연결축(12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중심관통공(119)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중간브라켓(200a)의 수용홈(240)에 안착될 수 있는 리세스를 갖는 안착부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착플랜지(118a) 등을 통해 등받이의 시트백프레임[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좌측시트백프레임(114)]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연결축(126)은 중간체결부시(118)가 형성된 등받이 이외의 등받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우측등받이(120)]에 구비되어, 등받이를 중간연결부(100)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간체결부시(118)와 유사하게 중간연결축(126)은 장착플랜지(126a) 등을 통해 등받이의 시트백프레임[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우측시트백프레임(124)]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러한 구조의 중간연결부(200)를 이용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등받이(120)에 구비된 중간체결부시(118)를 중간브라켓(200a)의 제1 플랜지(210)에 형성된 수용홈(240)에 삽입한 다음[이 때, 중간체결부시(118)의 중심관통공(119)은 중간브라켓(200a)의 제2 플랜지(220)의 체결구멍(250)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장착됨], 우측등받이(120)에 구비된 중간연결축(126)을 중간브라켓(200a)의 제2 플랜지(220)에 형성된 체결구멍(250)과 중간체결부시(118)의 중심관통공(119)을 통과시켜 삽입함으로써 등받이를 중간연결부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양쪽 등받이를 중간연결부에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등받이 조립 과정에서 중간연결부에 의해 등받이의 커버링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체결부시(118)와 중간연결축(126)을 통해 중간연결부(200)에서 양쪽 등받이가 예비적으로 가결합된 상태로 조립 공정이 수행될 수 있어 조립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별도의 볼트체결작업 없이도 양쪽 등받이를 중간연결부에 장착할 수 있어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중간브라켓의 제1 플랜지(210)와 제2 플랜지(220) 사이의 간극(260)에 의해 중간연결축(126) 삽입 공간이 확보되어 중간연결축(126)의 원활한 삽입이 가능해 지게 된다.
다음으로, 좌측연결부(300)는,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는 좌측브라켓(300a)과, 좌측등받이(110)에 구비되며 좌측브라켓(300a)에 삽입되는 좌측체결부시(116)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브라켓(300a)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연결되는 베이스부(310)의 일측에 좌측체결부시(116)가 삽입되는 수용홈(320)이 구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320)은 상부에서 좌측체결부시(116)를 밀어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320)에는 좌측체결부시(116)의 원활한 장착을 위해 합성수지 등의 성형물로 형성된 보강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홈(320)에 삽입된 좌측체결부시(116)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이탈방지턱(34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체결부시(116)는 외주연에 좌측브라켓(300a)의 수용홈(320)에 안착될 수 있는 리세스 형상의 안착부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착플랜지(116a) 등을 통해 등받이의 시트백프레임[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좌측시트백프레임(114)]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러한 구조의 좌측연결부(300)를 이용한 좌측등받이(110) 좌측부분의 장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등받이(110)의 좌측에 구비된 좌측체결부시(116)를 상부로부터 좌측브라켓의 수용홈(320) 내로 가압하여 삽입하는 방식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으며, 장착된 좌측체결부시(116)는 수용홈(320)에 안착된 이후 이탈방지턱 (34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측연결부(400)는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는 우측브라켓(400a)과, 우측등받이(120)에 구비되며 우측브라켓(400a)에 삽입되는 우측체결부시(12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브라켓(400a)은 전술한 좌측브라켓(300a)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우측브라켓(400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연결되는 베이스부(410)의 일측에 우측체결부시(128)가 삽입되는 수용홈(420)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420)은 상부에서 우측체결부시(128)를 밀어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용홈(420)에는 우측체결부시(128)의 원활한 장착을 위해 합성수지 등의 성형물로 형성된 보강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홈(420)에 삽입된 우측체결부시(128)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이탈방지턱(44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체결부시(128)는 외주연에 우측브라켓(400a)의 수용홈(420)에 안착될 수 있는 리세스 형상의 안착부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착플랜지(128a) 등을 통해 등받이의 시트백프레임[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우측시트백프레임(124)]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0 참조).
이러한 구조의 우측연결부(400)를 이용한 우측등받이(120) 우측부분의 장착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등받이(120)의 우측에 구비된 우측체결부시(128)를 상부로부터 수용홈(420) 내로 가압하여 삽입하는 방식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장착된 우측체결부시(128)는 수용홈(420)에 안착된 이후 이탈방지턱 (44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를 이용해 차량 시트의 등받이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중간연결부(200)와 좌측연결부(300)를 이용해 좌측등받이(110)가 자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등받이(110)의 좌측에 구비된 좌측체결부시(116)가 좌측연결부(300)의 좌측브라켓(300a)에 구비된 수용홈(320)에 삽입되고(도 6 참조), 좌측등받이(110)의 우측에 구비된 중간체결부시(118)가 중간연결부(200)의 중간브라켓(300a)에 형성된 수용홈(240)에 삽입되도록(도 7 참조), 좌측등받이(110)가 중간연결부(200)와 좌측연결부(300)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좌측등받이(110)의 장착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등받이(110)의 좌측체결부시(116) 및 중간체결부시(118)가 좌측브라켓의 수용홈(320) 및 중간브라켓의 수용홈(240) 내로 삽입되도록 하부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등받이(110)의 장착이 완료되면, 좌측등받이(110)의 우측에 구비된 중간체결부시(118)는 중심관통공(119)의 중심축이 중간브라켓의 제2 플랜지(220)에 형성된 체결구멍(250)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위치되며, 좌측등받이(110)의 좌측체결부시(116)는 좌측브라켓의 수용홈(320)에 구비된 이탈방지턱(340)에 걸림결합되어 장착이 유지되게 된다.
다음으로는, 우측등받이(120)의 좌측에 구비된 중간연결축(126)이 중간브라켓(200a)의 제2 플랜지(220)에 형성된 관통구멍(250)과 제1 플랜지(210)의 수용홈(240)에 삽입된 중간체결부시(118)의 중심관통공(119)을 통해 삽입된다. 이러한 중간연결축(126)의 삽입은 좌측등받이(110)와 우측등받이(120)의 예비적인 가결합 상태를 형성하고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등받이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중간연결축(126)이 장착된 이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등받이(120)의 우측부분이 우측연결부(400)에 장착되게 된다. 이 때, 우측등받이(120)의 우측부분은 전술한 좌측등받이(110)의 좌측부분과 유사하게 우측등받이(120)의 우측에 구비된 우측체결부싱(128)을 우측연결부(400)의 우측브라켓(400a)에 구비된 수용홈(420) 내로 집입시켜 가압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수용홈(420) 내로 삽입된 우측체결부싱(128)은 우측브라켓(400a)의 수용홈(420)에 구비된 이탈방지턱(440)에 걸림결합되어 장착이 유지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연결장치는 중간연결부(200)와 좌측연결부(300)를 통해 좌측등받이(200)를 가압시켜 끼우고, 중간연결부(200)와 우측연결부(400)를 통해 우측등받이(120)를 가압시켜 끼우는 방식으로 쉽게 등받이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우측등받이(120)의 장착 전에 좌측등받이(110)의 우측부분과 우측등받이(120)의 좌측부분을 중간체결부시(118) 및 중간연결축(126)을 통해 가조립 상태로 만들어, 나란히 설치되는 좌측등받이(110) 및 우측등받이(120)의 조립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간연결축이 우측등받이에 구비되고 중간체결부시가 좌측등받이에 구비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중간연결축이 좌측등받이에 구비되고 중간체결부시가 우측등받이에 구비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2개의 등받이가 아닌 3개 이상의 등받이가 나란히 설치된 시트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착석부
110: 좌측등받이
112: 좌측쿠션시트
114: 좌측시트백프레임
116: 좌측체결부시
116a: (좌측등받이 좌측의) 장착플랜지
118: 중간체결부시
118a: (좌측등받이 우측의) 중간장착플랜지
119: 중심관통공
120: 우측등받이
122: 우측쿠션시트
124: 우측시트백프레임
126: 중간연결축
126a: (우측등받이 좌측의) 장착플랜지
128: 우측체결부시
128a: (우측등받이 우측의) 장착플랜지
200: 중간연결부
210: (중간연결부의) 제1 플랜지
220: (중간연결부의) 제2 플랜지
230: (중간연결부의) 보강부재
240: (중간연결부의) 수용홈
250: (중간연결부의) 체결구멍
260: (중간연결부의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의) 간극
300: 좌측연결부
310: (좌측연결부의) 베이스부
320: (좌측연결부의) 수용홈
330: (좌측연결부의) 보강부재
340: (좌측연결부의) 이탈방지턱
400: 우측연결부
410: (우측연결부의) 베이스부
320: (우측연결부의) 수용홈
330: (우측연결부의) 보강부재
340: (우측연결부의) 이탈방지턱

Claims (10)

  1.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를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이며,
    좌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체결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등받이의 우측부분이 체결되는 우측연결부와,
    좌측등받이의 우측부분과 우측등받이의 좌측부분이 함께 체결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연결부는, 차체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중간브라켓과,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중간브라켓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브라켓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중간체결부시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플랜지에는 상기 중간연결축이 삽입되는 체결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축은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감소된 직경으로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착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이격된 간극은 상기 중간연결축의 헤드부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두께는 상기 중간연결축의 헤드부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연결축을 상기 중간브라켓에 장착할 때 상기 중간연결축의 헤드부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간극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연결축이 상기 체결구멍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수용홈은 상부가 개방된 U자형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의 체결구멍은 상기 중간체결부시가 상기 제1 플랜지의 수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연결축이 상기 체결구멍을 거쳐 상기 중간체결부시의 중심관통공을 통과하여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의 체결구멍은 상기 체결부시가 상기 제1 플랜지의 수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체결부시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연결부는,
    상기 좌측등받이의 좌측부분에 구비되는 좌측체결부시와,
    차체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상기 좌측체결부시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좌측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브라켓에는 상기 좌측체결부시가 상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수용홈이 구비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브라켓의 수용홈에는 상기 좌측체결부시의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연결부는,
    상기 우측등받이의 우측부분에 구비되는 우측체결부시와,
    차체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상기 우측체결부시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우측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브라켓에는 상기 우측체결부시가 상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수용홈이 구비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브라켓의 수용홈에는 상기 우측체결부시의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KR1020180055082A 2018-05-14 2018-05-14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KR102106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082A KR102106205B1 (ko) 2018-05-14 2018-05-14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082A KR102106205B1 (ko) 2018-05-14 2018-05-14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413A KR20190130413A (ko) 2019-11-22
KR102106205B1 true KR102106205B1 (ko) 2020-04-29

Family

ID=6873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082A KR102106205B1 (ko) 2018-05-14 2018-05-14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996B1 (ko) 2012-11-28 2013-11-20 현대다이모스(주)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KR101817528B1 (ko) * 2016-07-25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및 그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276Y2 (ja) * 1991-11-19 1997-07-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分割シートバックのセンターヒンジ構造
JPH10315827A (ja) * 1997-05-19 1998-12-02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バックのセンタヒンジ構造
KR101656296B1 (ko) 2014-12-26 2016-09-12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마운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996B1 (ko) 2012-11-28 2013-11-20 현대다이모스(주)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KR101817528B1 (ko) * 2016-07-25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413A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740B2 (en) Composite vehicle seat frame
DE10342306B4 (de) Gassackvorrichtung für den Knieschutz
US7758129B2 (en) Attaching structure of split type seat back
JP3021505U (ja) 膨張可能拘留システムに組込まれる膨張可能クッション組立品
US10814756B2 (en) Vehicle seat
JP4388066B2 (ja) 冷間成形ラッチワイヤ
JP7473827B2 (ja) 車両用シート
US11634052B2 (en) Vehicle seat b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6205B1 (ko)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US6588850B2 (en) Construction of slide rail for automobile seat
KR101817528B1 (ko) 차량 시트의 등받이 연결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7661744B2 (en) Attaching structure of split type seat back for vehicle
CN108473105B (zh) 用于车辆的具有一体化的安全气囊的内衬装置
CN103025576A (zh) 车辆座椅安装结构
US8469451B2 (en) Vehicle seat having a rotatable back part
US5758919A (en) Motor vehicle
US11414039B2 (en) Side airbag device
US11993217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833946B2 (en) Vehicle seat
CN100441449C (zh) 三点式座椅带的加强结构
US10391907B2 (en) Headrest support device
JP3554444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FR2676693A1 (fr) Coussin pneumatique pour la protection des occupants d'un vehicule.
KR100534938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시트백 마운팅구조
CN109982891A (zh) 用于将车辆的座椅的滑动部紧固在支撑件上的可拆卸加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