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033B1 -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033B1
KR102105033B1 KR1020140022171A KR20140022171A KR102105033B1 KR 102105033 B1 KR102105033 B1 KR 102105033B1 KR 1020140022171 A KR1020140022171 A KR 1020140022171A KR 20140022171 A KR20140022171 A KR 20140022171A KR 102105033 B1 KR102105033 B1 KR 10210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
charge
discharge contro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449A (ko
Inventor
아츠시 사쿠라이
후미히코 마에타니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과제]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가 높고, 안정성이 높은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과전류 검출 단자와,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되어 이차 전지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과전류 검출 단자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전류 회로를 구비한 충방전 제어 회로.

Description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UNIT, AND BATTERY DEVIC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전압이나 이상을 검지하고,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터리가 이상 상태가 되거나, 배터리나 배터리에 접속한 기기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종래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배터리 장치는, 이차 전지(11)와,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와, 충방전 제어 회로(14)와, 저항(22, 31)과, 용량(32)과, 외부 단자(20, 21)로 구성되어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14)는, 제어 회로(15)와, 과전류 검출 회로(16)와, 과전류 검출 단자(19)와, 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1)와, 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2)와, DS 단자(45)와, 양극 전원 단자(44)와, 음극 전원 단자(43)로 구성되어 있다. 과전류 검출 회로(16)는, 비교 회로(18)와, 기준 전압 회로(17)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15)는, 저항(504, 505, 506, 507, 518, 528)과, 기준 전압 회로(509, 515, 516)와, 비교 회로(501, 508, 513, 514)와, 발진 회로(502)와, 카운터 회로(503)와, 논리 회로(510)와, 레벨 시프트 회로(511)와, 지연 회로(512)와, 논리 회로(520)와, NMOS 트랜지스터(517, 519)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종래의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면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량(I1),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에 의해 결정되고, I1×(R12+R13)로 표시된다.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은, 외부 단자(21)의 전압과 동일하다. 비교 회로(18)는,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과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이 높으면,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를 오프하고, 과전류 보호를 행한다.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을 IDOP,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을 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을 R13으로 한다.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역치 전압이 될 때의 외부 단자(21)의 전압은 V17이다. 이때,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는, 외부 단자(21)의 전압을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의 합계로 나눈 것이 되며, IDOP=V17/(R12+R13)로 표시된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4-10495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저항값의 편차, 과전류 검출 회로의 편차 때문에,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가 나쁘고 배터리 장치의 안전성이 낮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며, 충방전 제어 회로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조합한 후에, 과전류 검출 전류값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가 향상된 안전성이 높은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했다.
과전류 검출 단자와,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되어 이차 전지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과전류 검출 단자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전류 회로를 구비한 충방전 제어 회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이차 전지의 전압이나 이상을 검지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2 외부 단자와의 사이에 외부 저항이 접속되는 과전류 검출 단자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되어, 기준 전압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저항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전류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와 상기 정전류 회로와의 사이에 상기 비교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방전 제어 회로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조합한 후에, 배터리 장치 내의 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과전류 검출 전류값을 조절할 수 있고, 충방전 제어 스위치의 저항값이나 과전류 검출 회로의 편차에 대해, 상기 저항의 저항값을 최적화함으로써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며, 안전성이 높은 배터리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는 제5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 형태 1>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는, 이차 전지(11)와, 저항(31)과, 용량(32)과 충방전 제어 장치(10)와 외부 단자(20, 21)로 구성되어 있다. 충방전 제어 장치(10)는,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와, 충방전 제어 회로(14)와, 저항(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14)는, 제어 회로(15)와, 과전류 검출 회로(16)와, 정전류 회로(23)와, 과전류 검출 단자(19)와, 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1)와, 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2)와, 양극 전원 단자(44)와, 음극 전원 단자(43)로 구성되어 있다. 과전류 검출 회로(16)는, 비교 회로(18)와, 기준 전압 회로(17)로 구성되어 있다.
이차 전지(11)는, 양극은 외부 단자(20)와 저항(31)에 접속되고, 음극은 용량(32)과 음극 전원 단자(43)와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소스 및 백 게이트에 접속된다. 양극 전원 단자(44)는, 저항(31)과 용량(32)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는, 게이트는 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2)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는, 게이트는 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1)에 접속되고, 소스 및 백 게이트는 외부 단자(21) 및 저항(22)의 한쪽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22)의 다른쪽 단자는 과전류 검출 단자(19)에 접속된다. 비교 회로(18)는, 반전 입력 단자는 정전류 회로(23)의 한쪽 단자와 과전류 검출 단자(19)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는 기준 전압 회로(17)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며, 출력 단자는 제어 회로(15)에 접속된다. 기준 전압 회로(17)의 다른쪽 단자는 음극 전원 단자(43)에 접속되고, 정전류 회로(23)의 다른쪽 단자는 양극 전원 단자(44)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15)는, 제1 입력은 양극 전원 단자(44)에 접속되고, 제2 입력은 음극 전원 단자(43)에 접속되며, 제1 출력은 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1)에 접속되고, 제2 출력은 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42)에 접속된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어, 방전 전류가 흐르면,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량(I1),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에 의해 결정되고, I1×(R12+R13)로 표시된다.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는, 이차 전지의 양극으로부터 저항(31), 양극 전원 단자(44), 과전류 검출 단자(19), 저항(2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이차 전지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를 흐른다. 이로 인해,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은, 외부 단자(21)의 전압에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가 저항(22)에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전압을 가산한 전압이 된다. 비교 회로(18)는,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과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이 높으면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15)에 출력하고,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를 오프시켜 과전류 보호를 행한다.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을 IDOP,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 정전류 회로(23)의 전류값을 I23, 저항(22)의 저항값을 R22,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을 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을 R13으로 한다.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역치 전압이 될 때의 외부 단자(21)의 전압은, V17-(I23×R22)로 표시된다. 이때,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는, 외부 단자(21)의 전압을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의 합계로 나눈 것이 되며, IDOP=(V17-(I23×R22))/(R12+R13)로 표시된다. 이 식으로부터, 저항(22)의 저항값(R22)을 변화시킴으로써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IDOP)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이렇게 하여,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의 편차에 대해 IDOP가 설정값이 되도록 저항(22)의 저항값(R22)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를 이용하여 설명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Pch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정전류 회로(23)의 양극 전원 단자(44)의 접속을 음극 전원 단자(43)로 변경해도 같은 동작을 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배터리의 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 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는 저항(22)의 저항값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배터리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와의 차이는, 스위치 회로(24), 비교 회로(26), 기준 전압 회로(27)를 추가한 점이다.
비교 회로(26)는, 비반전 입력 단자는 기준 전압 회로(27)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는 과전류 검출 단자(19)에 접속되며, 출력 단자는 스위치 회로(24)에 접속되어 스위치 회로(24)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기준 전압 회로(27)의 다른쪽 단자는 음극 전원 단자(43)에 접속된다. 스위치 회로(24)의 한쪽 단자는 정전류 회로(23)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자는 과전류 검출 단자(19)에 접속된다.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접속이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지 않아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비교 회로(26)가 스위치 회로(24)를 오프하도록 제어하여 정전류 회로(23)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차단한다. 이렇게 하여,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어, 방전 전류가 흐르면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량(I1),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에 의해 결정되고, I1×(R12+R13)로 표시된다.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의 전위차가 상승하여, 기준 전압 회로(27)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비교 회로(26)는 출력 단자로부터 스위치 회로(24)를 온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 회로(24)가 온하면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는, 이차 전지의 양극으로부터 저항(31), 양극 전원 단자(44), 스위치 회로(24), 과전류 검출 단자(19), 저항(2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이차 전지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를 흐른다. 이로 인해,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은, 외부 단자(21)의 전압에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가 저항(22)에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전압을 가산한 전압이 된다. 비교 회로(18)는,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과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이 높으면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15)에 출력하고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를 오프시켜 과전류 보호를 행한다.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을 IDOP,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 정전류 회로(23)의 전류값을 I23, 저항(22)의 저항값을 R22,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을 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을 R13으로 한다.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역치 전압이 될 때의 외부 단자(21)의 전압은, V17-(I23×R22)로 표시된다. 이때,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는, 외부 단자(21)의 전압을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의 합계로 나눈 것이 되며, IDOP=(V17-(I23×R22))/(R12+R13)로 표시된다. 이 식으로부터, 저항(22)의 저항값(R22)을 변화시킴으로써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IDOP)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이렇게 하여,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의 편차에 대해 IDOP가 설정값이 되도록 저항(22)의 저항값(R22)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를 이용하여 설명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Pch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정전류 회로(23)의 양극 전원 단자(44)의 접속을 음극 전원 단자(43)로 변경해도 같은 동작을 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배터리의 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 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는,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를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저항(22)의 저항값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배터리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3은,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와의 차이는, 비교 회로(26), 기준 전압 회로(27)를 삭제한 점이다.
비교 회로(18)는, 반전 입력 단자는 과전류 검출 단자(19)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는 기준 전압 회로(17)에 접속되며, 출력 단자는 스위치 회로(24)와 기준 전압 회로(17)에 접속된다. 비교 회로(18)는,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검출 신호로, 스위치 회로(24)의 온 오프를 제어함과 더불어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제어한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지 않아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비교 회로(18)가 스위치 회로(24)를 오프하도록 제어하여 정전류 회로(23)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고,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낮은 전압(V17A)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어, 방전 전류가 흐르면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량(I1),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에 의해 결정되고, I1×(R12+R13)로 표시된다.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의 전위차가 상승하여,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A)보다 높아지면 비교 회로(26)는 출력 단자로부터 스위치 회로(24)를 온시킴과 더불어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높은 전압(V17B)으로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의 전류를 IA로 한다. 스위치 회로(24)가 온하면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는, 이차 전지의 양극으로부터 저항(31), 양극 전원 단자(44), 스위치 회로(24), 과전류 검출 단자(19), 저항(2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이차 전지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를 흐른다. 이로 인해,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은, 외부 단자(21)의 전압에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가 저항(22)에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전압을 가산한 전압이 된다. 비교 회로(18)는,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B)과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이 높으면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15)에 출력하고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를 오프시켜 과전류 보호를 행한다. 이때의 전류를 IB로 한다.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을 IDOP,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B, 정전류 회로(23)의 전류값을 I23, 저항(22)의 저항값을 R22,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을 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을 R13으로 한다.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역치 전압이 될 때의 외부 단자(21)의 전압은, V17B-(I23×R22)로 표시된다. 이때,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는, 외부 단자(21)의 전압을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의 합계로 나눈 것이 되며, IDOP=(V17B-(I23×R22))/(R12+R13)로 표시된다. 이 식으로부터, 저항(22)의 저항값(R22)을 변화시킴으로써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IDOP)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이렇게 하여,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B),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의 편차에 대해 IDOP가 설정값이 되도록 저항(22)의 저항값(R22)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IA 이상인 경우는,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B로 변화시키며, 스위치 회로(24)를 온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충방전 제어 회로(14)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와 IB의 대소 관계를 감시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IA 이상 IB 미만인 경우는, 충방전 제어 회로(14)가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와 IB의 대소 관계를 감시하여 비교 회로(18)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은 V17A가 되어 스위치 회로(24)는 오프한다.
그리고, 충방전 제어 회로(14)는 다시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와 IA의 대소 관계를 감시하게 된다.
그 후, 비교 회로(18)가 재차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B로 하여 스위치 회로(24)를 온시킨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비교 회로(18)의 출력 신호는 발진한다. 이로 인해, 제어 회로(15) 내부에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을 설치하고, 비교 회로(18)가 발진하고 있는 경우에는 과전류 보호를 행하지 않도록 해 둔다. 이렇게 하여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IA 이상 IB 미만인 경우는 과전류 보호를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IDOP)은, IB와 동일하다.
또한,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를 이용하여 설명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Pch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정전류 회로(23)의 양극 전원 단자(44)의 접속을 음극 전원 단자(43)로 변경해도 같은 동작을 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배터리의 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 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는,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를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을 소규모 회로로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가 적고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저항(22)의 저항값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배터리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4는, 제4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와의 차이는, 비교 회로(18)의 검출 신호에서, 비교 회로(18)의 오프셋 전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지 않아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비교 회로(18)가 스위치 회로(24)를 오프하도록 제어하여, 정전류 회로(23)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고, 비교 회로(1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걸리는 오프셋 전압을 낮은 전압(V18A)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어, 방전 전류가 흐르면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량(I1),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에 의해 결정되고, I1×(R12+R13)로 표시된다.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외부 단자(21) 사이의 전위차가 상승하여,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에 비교 회로(1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걸리는 오프셋 전압(V18A)을 가산한 V17+V18A보다 높아지면 비교 회로(26)는 출력 단자로부터 스위치 회로(24)를 온시킴과 더불어 비교 회로(1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걸리는 오프셋 전압을 높은 전압(V18A)으로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의 전류를 IA로 한다. 스위치 회로(24)가 온하면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는, 이차 전지의 양극으로부터 저항(31), 양극 전원 단자(44), 스위치 회로(24), 과전류 검출 단자(19), 저항(2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이차 전지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를 흐른다. 이로 인해,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은, 외부 단자(21)의 전압에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가 저항(22)에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전압을 가산한 전압이 된다. 비교 회로(18)는,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과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검출 단자(19)의 전압이 높으면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15)에 출력하고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를 오프시켜 과전류 보호를 행한다. 이때의 전류를 IB로 한다.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을 IDOP,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 정전류 회로(23)의 전류값을 I23, 저항(22)의 저항값을 R22,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을 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을 R13으로 하면,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역치 전압이 될 때의 외부 단자(21)의 전압은, V17-(I23×R22)로 표시된다. 이때,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는, 외부 단자(21)의 전압을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와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의 합계로 나눈 것이 되며, IDOP=(V17-(I23×R22))/(R12+R13)로 표시된다. 이 식으로부터, 저항(22)의 저항값(R22)을 변화시킴으로써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IDOP)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이렇게 하여,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저항값(R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의 저항값(R13)의 편차에 대해 IDOP가 설정값이 되도록 저항(22)의 저항값(R22)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IA 이상인 경우는,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 회로(1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걸리는 오프셋 전압을 V18A로 변화시키며, 스위치 회로(24)를 온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충방전 제어 회로(14)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와 IB의 대소 관계를 감시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IA 이상 IB 미만인 경우는, 충방전 제어 회로(14)가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와 IB의 대소 관계를 감시하여 비교 회로(18)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 회로(1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걸리는 오프셋 전압은 V18A가 되고 스위치 회로(24)는 오프한다. 그리고, 충방전 제어 회로(14)는 다시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와 IA의 대소 관계를 감시하게 된다.
그 후, 비교 회로(18)가 재차 검출 신호를 출력하여, 비교 회로(1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걸리는 오프셋 전압을 V18A로 하고 스위치 회로(24)를 온시킨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비교 회로(18)의 출력 신호는 발진한다. 이로 인해, 제어 회로(15) 내부에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을 설치하고, 비교 회로(18)가 발진하고 있는 경우에는 과전류 보호를 행하지 않도록 해 둔다. 이렇게 하여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IA 이상 IB 미만인 경우는 과전류 보호를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4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IDOP)은, IB와 동일하다.
또한, 비교 회로(18)의 비반전 입력 단자의 오프셋을 변경함으로써 설명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반전 입력 단자의 오프셋을 변경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를 이용하여 설명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Pch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정전류 회로(23)의 양극 전원 단자(44)의 접속을 음극 전원 단자(43)로 변경해도 같은 동작을 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배터리의 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 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 의해, 제4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는,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를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을 소규모 회로로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가 적고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저항(22)의 저항값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배터리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5는, 제5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는, 충방전 제어 회로(14)의 과전류 검출 단자를 과전류 검출 단자(50)로 하고, 충방전 제어 장치(10)의 내부에 저항(51, 52)을 설치한 점이다.
저항(52)은, 이차 전지(11)의 음극과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소스 사이에 접속된다. 저항(51)은,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의 소스와 충방전 제어 회로(14)의 과전류 검출 단자(50) 사이에 접속된다. 정전류 회로(23)는, 양극 전원 단자(44)와 과전류 검출 단자(50) 사이에 접속되고, 과전류 검출 회로(16) 내부의 비교 회로(18)는 과전류 검출 단자(50)와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비교하고 있다.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부하가 접속되어, 방전 전류가 흐르면 저항(52)의 2개의 단자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는, 외부 단자(20, 21) 사이에 흐른 전류량(I1), 저항(52)의 저항값(R52)에 의해 결정되고, I1×R52로 표시된다.
정전류 회로(23)의 전류는 이차 전지의 양극으로부터 저항(31), 양극 전원 단자(44), 과전류 검출 단자(50), 저항(51), 저항(52), 이차 전지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를 흐른다. 이로 인해, 과전류 검출 단자(50)의 전압은, I1/R52에 정전류 회로(23)로부터의 전류가 저항(51)에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전압을 가산한 전압이 된다. 비교 회로(18)는,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과 과전류 검출 단자(50)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검출 단자(50)의 전압이 높으면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15)에 출력하고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를 오프시켜 과전류 보호를 행한다.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을 IDOP,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을 V17, 정전류 회로(23)의 전류값을 I23, 저항(52)의 저항값을 R52, 저항(51)의 저항값을 R51로 하면, 비교 회로(18)가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역치 전압이 될 때의 저항(52)의 전압은, V17-(I23×R51)로 표시된다. 따라서 IDOP는 저항(52)의 전압을 저항(52)의 저항값으로 나눈 것이 되며, IDOP=(V17-(I23×R51))/R52로 표시된다. 이 식으로부터, 저항(51)의 저항값(R51)을 변화시킴으로써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설정값(IDOP)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이렇게 하여, 기준 전압 회로(17)의 전압(V17), 저항(52)의 저항값(R52)의 편차에 대해 IDOP가 설정값이 되도록 저항(51)의 저항값(R51)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2),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3)를 이용하여 설명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Pch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정전류 회로(23)의 양극 전원 단자(44)의 접속을 음극 전원 단자(43)로 변경해도 같은 동작을 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배터리의 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나, 충전 전류만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 의해, 제5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는 저항(51)의 저항값을 최적화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과전류 검출 전류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배터리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10 충방전 제어 장치
11 이차 전지
12 Nch 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13 Nch 충전 제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14 충방전 제어 회로
15 제어 회로
16 과전류 검출 회로
18, 501, 508, 513, 514 비교 회로
19 과전류 검출 단자
20, 21 외부 단자
23 정전류 회로
24 스위치
17, 27, 509, 515, 516 기준 전압 회로
41 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
42 방전 제어 신호 출력 단자
43 음극 전원 단자
44 양극 전원 단자
45 DS 단자

Claims (6)

  1.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이차 전지의 전압이나 이상을 검지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2 외부 단자와의 사이에 외부 저항이 접속되는 과전류 검출 단자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되어, 기준 전압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저항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전류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와 상기 정전류 회로와의 사이에 상기 비교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이차 전지의 충방전 경로에 설치된 충방전 제어 스위치와,
    상기 이차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고,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와,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의 과전류 검출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검출하는 과전류값에 기반하여 변경 가능한 외부 저항을 구비하는 충방전 제어 장치.
  6. 이차 전지와,
    청구항 5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KR1020140022171A 2013-02-26 2014-02-25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 KR102105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6207A JP6143492B2 (ja) 2013-02-26 2013-02-26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
JPJP-P-2013-036207 2013-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449A KR20140106449A (ko) 2014-09-03
KR102105033B1 true KR102105033B1 (ko) 2020-04-27

Family

ID=5137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171A KR102105033B1 (ko) 2013-02-26 2014-02-25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47469B2 (ko)
JP (1) JP6143492B2 (ko)
KR (1) KR102105033B1 (ko)
CN (1) CN104009513B (ko)
TW (1) TWI6086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3492B2 (ja) 2013-02-26 2017-06-07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
JP6301188B2 (ja) * 2014-05-14 2018-03-2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2015220771A (ja) * 2014-05-14 2015-12-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CN105811555A (zh) * 2014-12-31 2016-07-27 徐承金 带恒流放电功能的电子电路充电控制系统
JP6476061B2 (ja) * 2015-04-30 2019-02-27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の製造方法
JP6688568B2 (ja) * 2015-06-30 2020-04-2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バッテリ装置
US20180055090A1 (en) * 2016-08-31 2018-03-01 Altria Client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artridge identification
JP6966864B2 (ja) 2017-04-20 2021-11-17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JP7039124B2 (ja) * 2017-12-06 2022-03-22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
DE102018217154B4 (de) * 2018-10-08 2022-02-17 Vitesco Technologies GmbH System zum Erkennen eines Trockenlaufs einer Pumpe
KR20210093273A (ko) 2018-11-22 2021-07-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전지 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159A (ja) 2003-12-02 2005-06-23 Ricoh Co Ltd 過電流保護回路と充電式電池パック
JP2005278244A (ja) * 2004-03-23 2005-10-06 Ricoh Co Ltd 並列モニタ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8048478A (ja) 2006-08-11 2008-02-28 Seiko Instruments Inc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2148A (en) 1992-11-24 1998-04-21 Seiko Instruments Inc.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chargeable electric power source apparatus
JPH0775247A (ja) * 1993-09-06 1995-03-17 Taiyo Yuden Co Ltd 電池保護回路
US5789902A (en) 1996-02-22 1998-08-04 Hitachi Metals, Ltd. Bi-direction current control circuit for monitoring charge/discharge of a battery
US5936384A (en) * 1997-06-09 1999-08-10 Ricoh Company, Ltd. Charge and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with high withstand voltage
US6331763B1 (en) 1998-04-15 2001-1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on of rechargeable elements
US6242890B1 (en) 1998-06-09 2001-06-05 Seiko Instruments Inc.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chargeable electric power source apparatus
JP3855565B2 (ja) * 1999-11-02 2006-12-13 株式会社リコー 充放電保護回路および該充放電保護回路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US6501248B2 (en) * 2000-09-28 2002-12-31 Ricoh Company, Ltd. Charge/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having a charge-state overcurrent det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3468220B2 (ja) * 2000-12-26 2003-11-17 株式会社リコー 充放電保護回路、および該充放電保護回路を組み込んだバッテリーパック、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用いた電子機器
JP3922553B2 (ja) 2002-09-12 2007-05-30 株式会社リコー 充放電保護回路
US6879133B1 (en) 2004-03-26 2005-04-12 Motorola, Inc. Battery protection circuit
US7808212B2 (en) 2006-07-24 2010-10-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Temperature-based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for a battery
JP5194412B2 (ja) * 2006-09-19 2013-05-08 株式会社リコー バックゲート電圧生成回路、4端子バックゲート切り替えfet、該fetを用いた充放電保護回路、該充放電保護回路を組み込んだバッテリーパックおよ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9005559A (ja) * 2007-06-25 2009-01-08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JP5221100B2 (ja) 2007-10-22 2013-06-26 ローム株式会社 キャパシタ充電回路の制御回路、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パシタ充電回路、電子機器
TWI377758B (en) 2008-06-20 2012-11-21 Green Solution Tech Co Ltd The battery charging controller and battery module thereof
US8148946B2 (en) * 2008-10-10 2012-04-03 Mitsumi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having protection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JP5851821B2 (ja) * 2011-03-13 2016-02-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EP2562932B1 (en) 2011-08-25 2014-11-19 Nxp B.V. Integrated circuit
JP5891809B2 (ja) * 2012-01-23 2016-03-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池保護回路及び電池保護装置、並びに電池パック
JP5974500B2 (ja) 2012-01-25 2016-08-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保護機能付き充電制御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JP5870763B2 (ja) * 2012-03-02 2016-03-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監視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US9185768B2 (en) 2012-11-16 2015-11-10 Apple Inc. Short circuit protection
JP6143492B2 (ja) 2013-02-26 2017-06-07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
JP2014200164A (ja) 2013-03-11 2014-10-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バッテリ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159A (ja) 2003-12-02 2005-06-23 Ricoh Co Ltd 過電流保護回路と充電式電池パック
JP2005278244A (ja) * 2004-03-23 2005-10-06 Ricoh Co Ltd 並列モニタ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8048478A (ja) 2006-08-11 2008-02-28 Seiko Instruments Inc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03537A (zh) 2015-01-16
JP6143492B2 (ja) 2017-06-07
CN104009513B (zh) 2018-01-09
JP2014166071A (ja) 2014-09-08
US20140239909A1 (en) 2014-08-28
TWI608683B (zh) 2017-12-11
KR20140106449A (ko) 2014-09-03
US9647469B2 (en) 2017-05-09
CN104009513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033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
JP6301188B2 (ja)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KR101968341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9748789B2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charging/discharging control device, and battery device
TWI681582B (zh) 電池裝置
US9203119B2 (en) Battery device
KR101771719B1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JP2016208646A (ja) バッテリ装置
KR102628062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9673656B2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