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532B1 -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532B1
KR102104532B1 KR1020187007632A KR20187007632A KR102104532B1 KR 102104532 B1 KR102104532 B1 KR 102104532B1 KR 1020187007632 A KR1020187007632 A KR 1020187007632A KR 20187007632 A KR20187007632 A KR 20187007632A KR 102104532 B1 KR102104532 B1 KR 10210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data
terminal
portable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325A (ko
Inventor
유키히로 하나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05B19/4185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by local area network [LAN], network struc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73Real time modeling of plc behaviour, display pictogram of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87Selecting parameters or states to be displayed on panel, displaying st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38Internet, tcp-ip, web server see under S05B219-40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복수의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서,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작성에 이용하는 화면 데이터와, 화면의 구성을 휴대 단말마다 개별로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값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접속된 휴대 단말인 접속 단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디바이스값 및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면 작성부와,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접속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
본 출원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등의 FA(Factory Automation) 기기에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장 등의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FA 기기용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외부 접속되는 디바이스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기술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5047401호 공보
종래의 기술과 관련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대해서 휴대 단말을 접속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FA 기기에 접속되는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고 하는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 요청에 따르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여 휴대 단말에 설정하는 방법, 혹은 휴대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휴대 단말에 인스톨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같은 화면을 휴대 단말에 표시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휴대 단말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 및 휴대 단말용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도, 작성자의 작업 부담이 크고, 휴대 단말마다 개별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하게 되면, 그 작업 부담의 크기는 헤아릴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접속되는 장치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복수의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작성에 이용하는 화면 데이터와, 화면의 구성을 휴대 단말마다 개별로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값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진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접속된 휴대 단말인 접속 단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디바이스값 및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면 작성부를 가진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접속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접속되는 장치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용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화면 설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화면 설정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응한 디바이스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1)은 정보 처리 장치(10)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와, 제어 장치(30)와, 휴대 단말(40A)과, 휴대 단말(4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보 처리 장치(1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 제어 장치(30),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은, 네트워크(2)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네트워크(2)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를 포함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범용의 장치이며,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혹은 태블릿 등에 해당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제어 장치(30)에 접속되는 장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어 장치(30)에 접속되는 장치의 정보를 송신하는 웹 서버로서도 기능한다.
제어 장치(30)는, 예를 들면,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각종 설비 및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의 FA 기기이다. 제어 장치(30)는 공유 메모리(31)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30)는 공유 메모리(31)를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장치 외부에 있는 공유 메모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은, 제어 장치(30)가 제어하는 각종 설비 및 각종 기기의 정보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은, 웹 서버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기능을 가진다.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은, 웹 브라우저의 기능을 가지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범용의 휴대 장치이며, 예를 들면, 랩탑형의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혹은 스마트폰 등에 해당한다.
도 2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11a),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 및 화면 설정 테이블(11c)을 기억하는 기억부(11)와, 화면 데이터 생성부(12)와, 테이블 생성부(13)와, 통신부(14)를 가진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엔지니어링 툴로서 기능한다. 정보 처리 장치(10)에는, 도 11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정보 처리 장치(10)를 엔지니어링 툴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된다. 정보 처리 장치(10)를 엔지니어링 툴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정보 처리 장치(10)에 인스톨된 결과, 도 2에 나타내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12) 및 테이블 생성부(13)는,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12)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11a), 및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작성할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가 이용하는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는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작성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40A)의 화면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 및 휴대 단말(40B)의 화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구성요소를 공통화한 1개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의 화면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에는, 오브젝트 OB1에서부터 오브젝트 OB3 등의 복수의 오브젝트가 포함된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12)는 오브젝트 OB1에서부터 오브젝트 OB3 등의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구성과, 복수의 오브젝트의 각각이 가지는 항목마다 형식적인 초기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각각이 가지는 항목은, 오브젝트의 표시의 유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할 때의 크기를 의미하는 「오브젝트 크기」, 및 오브젝트를 표시할 때의 색을 의미하는 「오브젝트 색」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브젝트 OB1에서부터 오브젝트 OB3이 가지는 항목과 같은 값이 초기치로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표시」의 항목에 대해서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값 「1」이 설정되고, 「오브젝트 크기」의 항목에 대해서는 표시 사이즈의 값 「100」이 설정되고, 「오브젝트 색」의 항목에 대해서는 오브젝트의 표시색을 검정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 값 「0」이 설정되어 있다.
테이블 생성부(13)는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휴대 단말마다 개별로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값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디바이스값이 격납되어 있는 공유 메모리(31)의 어드레스에 해당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화면 설정 테이블(11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면 설정 테이블(11c)은 단말 식별자마다,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 표시시키는 화면의 구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를 가진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말 식별자로서, 휴대 단말(40A)에는 「m001」이 할당되어 있고, 휴대 단말(40B)에는 「m002」가 할당되어 있다.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는, 「오브젝트 표시」, 「오브젝트 크기」및 「오브젝트 색」 등의 각 항목과, 당해 각 항목에 대응지어진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테이블 생성부(13)는 단말 식별자마다, 「오브젝트 표시」, 「오브젝트 크기」및 「오브젝트 색」의 각 항목에 대한 디바이스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말 식별자 「m001」의 「오브젝트 OB1 표시」의 항목에 디바이스 「D100」이 대응지어지고, 단말 식별자 「m001」의 「오브젝트 OB1 크기」의 항목에 디바이스 「D200」이 대응지어지고, 단말 식별자 「m001」의 「오브젝트 OB1색」의 항목에 디바이스 「D300」이 대응지어져 있다. 한편, 단말 식별자 「m002」의 「오브젝트 OB1 표시」의 항목에 디바이스 「W1F0」가 대응지어지고, 단말 식별자 「m002」의 「오브젝트 OB1 크기」의 항목에 디바이스 「R0」이 대응지어지고, 단말 식별자 「m002」의 「오브젝트 OB1 색」의 항목에 디바이스 「D1000」이 대응지어져 있다.
통신부(14)는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11a),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 및 화면 설정 테이블(11c)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에 송신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21a),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 및 화면 설정 테이블(21c)을 기억하는 기억부(21)와, 화면 작성부(22)와,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기억부(21)에 격납하는 데이터 격납부(23)와, 통신부(24)를 가진다.
기억부(21)에 기억되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21a)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작성된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11a)에 대응한다. 기억부(21)에 기억되는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작성된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에 대응한다. 기억부(21)에 기억되는 화면 설정 테이블(21c)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작성된 화면 설정 테이블(11c)에 대응한다. 기억부(21)는 기억부의 일례이다.
화면 작성부(22)는 휴대 단말(40A) 또는 휴대 단말(40B)이 접속되면, 접속된 휴대 단말(이하, 접속 단말)에 대응하는 설정치를 화면 설정 테이블(21c)에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취득하고, 취득한 설정치 및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를 이용하여, 접속 단말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화면 작성부(22)가 제공하는 기능에 의해 실현되는 화면 데이터의 작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화면 설정 테이블(21c)에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응한 디바이스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면 작성부(22)는 접속 단말로부터 송신된 화면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를 취득한다. 화면 작성부(22)는 화면 설정 테이블(21c)을 참조하여,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취득한다. 화면 작성부(22)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값을 제어 장치(30)로부터 취득한다. 화면 작성부(22)는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와, 디바이스값을 이용하여, 접속 단말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여, 접속 단말에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 식별자 「m00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D100」에는 디바이스값=「1」이 격납되어 있고, 디바이스 「D200」에는 디바이스값=「100」이 격납되어 있고, 디바이스 「D300」에는 디바이스값=「224」가 격납되어 있다. 이에, 화면 작성부(22)는 접속 단말이 휴대 단말(40A)(단말 식별자=「m001」)인 경우, 휴대 단말(40A)용의 화면에 포함되는 오브젝트 OB1가 「표시 사이즈=100, 표시색=빨강」으로 표시되도록, 휴대 단말(40A)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화면 작성부(22)는 오브젝트 OB2가 「표시 사이즈=200, 표시색=하양」으로 표시되고, 오브젝트 OB3이 「표시 사이즈=100, 표시색=파랑」으로 표시되도록,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말 식별자 「m002」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W1F0」에는 디바이스값=「1」이 격납되어 있고, 디바이스 「R0」에는 디바이스값=「33」이 격납되어 있고, 디바이스 「D1000」에는 디바이스값=「0」이 격납되어 있다. 이에, 화면 작성부(22)는 접속 단말이 휴대 단말(40B)(단말 식별자=「m002」)인 경우, 휴대 단말(40B)용의 화면에 포함되는 오브젝트 OB1가 「표시 사이즈=33, 표시색=검정」으로 표시되도록, 휴대 단말(40B)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화면 작성부(22)는 오브젝트 OB2가 「표시 사이즈=400, 표시색=분홍」으로 표시되고, 오브젝트 OB3이 「표시 사이즈=200, 표시색=초록」으로 표시되도록,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
휴대 단말(40A)에서 표시되는 화면 SC1에 포함되는 오브젝트 OB1, 오브젝트 OB2 및 오브젝트 OB3은, 도 6에 나타내는 화면 설정 테이블(21c)에 설정된 디바이스값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크기로 표시된다. 한편, 휴대 단말(40B)에서 표시되는 화면 SC2에 포함되는 오브젝트 OB1, 오브젝트 OB2 및 오브젝트 OB3은, 도 6에 나타내는 화면 설정 테이블(21c)에 설정된 디바이스값에 기초하여, 도 8에 나타내는 크기로 표시된다. 도 7에 나타내는 화면 SC1과 도 8에 나타내는 화면 SC2를 비교하면, 휴대 단말(40A)에서 표시되는 화면상의 오브젝트 OB1, OB2, OB3의 각각의 크기와, 휴대 단말(40B)에서 표시되는 화면상의 OB1, OB2, OB3의 각각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화면 작성부(22)가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휴대 단말마다 상이한 표시 양태를 가지는 화면 표시가 실현된다. 도 7에 나타내는 화면 SC1과 도 8에 나타내는 화면 SC2에서는, 대응하는 각 오브젝트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디바이스가 할당된 결과, 대응하는 각 오브젝트가 각각 상이한 표시 양태가 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예를 들면, 대응하는 오브젝트 표시 양태가 동일한 경우,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대해서 동일한 디바이스가 할당된다.
데이터 격납부(23)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11a), 단말용 화면 데이터(11b) 및 화면 설정 테이블(11c)을,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21a),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 및 화면 설정 테이블(21c)로서 기억부(21)에 격납한다.
통신부(24)는 정보 처리 장치(10), 제어 장치(30),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과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도 9를 이용하여, 화면 표시 시스템의 처리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 제어 장치(30),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는 휴대 단말(40A)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에 접속했을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가 휴대 단말(40A)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여, 휴대 단말(40A)에 송신하는 경우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휴대 단말(40A)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에 로그인한다(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휴대 단말(40A)의 로그인 인증에 성공하면, 로그인에 성공했다는 취지를 휴대 단말(40A)에 응답한다(2). 도 9에서는, 휴대 단말(40A)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사이에서 로그인 인증을 실행하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로그인 인증을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로그인 후, 휴대 단말(40A)은 화면 데이터 요구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에 송신한다(3).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화면 작성부(22)는,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를 취득한다(4).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화면 작성부(22)는, 화면 설정 테이블(21c)을 참조하여, 화면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 「m00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취득한다(5).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화면 작성부(22)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값의 송신 요구를 제어 장치(30)에 송신하고(6), 제어 장치(30)로부터 송신된 디바이스값을 취득한다(7).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화면 작성부(22)는,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와 디바이스값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40A)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8). 그리고,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화면 작성부(22)는, 작성한 휴대 단말(40A)용의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40A)에 송신한다(9).
휴대 단말(40A)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면을 표시한다(10).
도 10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접속 단말로부터 화면 데이터 요구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0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판정의 결과, 접속 단말로부터 화면 데이터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101, Yes), 화면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를 취득한다(스텝 S102).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를 취득한다(스텝 S103).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화면 설정 테이블(21c)을 참조하여, 스텝 S102에서 취득한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취득한다(스텝 S104).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값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를 제어 장치(30)에 송신하고(스텝 S105), 디바이스값을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06).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판정의 결과, 디바이스값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6, No), 같은 판정을 반복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판정의 결과, 디바이스값을 수신했을 경우(스텝 S106, Yes), 스텝 S103에서 취득한 단말용 화면 데이터(21b), 및 디바이스값에 기초하여,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S107).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스텝 S107에서 작성한 화면 데이터를 접속 단말에 송신하고(스텝 S108),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101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판정의 결과, 접속 단말로부터 화면 데이터 요구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1, No),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상기 스텝 S102의 처리 절차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스텝 S103의 처리 절차를 실행해도 된다.
상기 스텝 S106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디바이스값을 수신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판정 결과를 미리 정해진 횟수 도출했을 경우, 혹은 디바이스값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일정시간 계속되었을 경우, 디바이스값의 취득을 중지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강제적으로 종료해도 된다. 이 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접속 단말에 대해서, 시간을 두고 화면 데이터 요구의 재송신을 행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 혹은 화면을 표시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식별자에 대응지어 디바이스를 설정함으로써, 화면의 구성을 접속 단말마다 변경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화면의 구성을 접속 단말의 유저마다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저 식별자 등의 유저에 대해서 고유하게 할당되는 정보에 대응지어 디바이스를 설정하면 된다. 혹은, 화면의 구성을 접속 단말의 유저에게 미리 할당되는 권한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저 식별자 및 당해 유저 식별자에 미리 g할당되는 권한의 정보에 대응지어 디바이스를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는 로그인하는 유저 식별자에 대응하는 권한을 특정하여, 특정한 권한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값을 취득하고, 접속 단말의 유저가 가지는 권한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1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처리 기능과 같은 처리 기능을 실현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 및 화면 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정보 처리 장치(10)로서의 컴퓨터(100)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0)를 가진다. 또, 컴퓨터(100)는 유저로부터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120), 및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130)를 가진다.
입력 장치(120)는, 예를 들면,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출력 장치(130)는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120)가 마우스를 가지는 경우에는, 출력 장치(130)가 가지는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와 협동하여, 포인팅 디바이스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0)가 터치 패드 등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가지는 경우에도, 마우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포인팅 디바이스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0) 및 출력 장치(13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을 가지는 입출력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컴퓨터(100)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등을 판독하는 매체 판독 장치(140)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50)를 가진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50)는, 예를 들면, 통신부(14)에 대응한다.
컴퓨터(100)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종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160)과, 기억 장치(170)를 가진다. 각 장치(110 내지 170)는 버스(180)에 의해 접속된다. 기억 장치(170)는, 예를 들면, 기억부(11)에 대응한다.
CPU(110)는 컴퓨터(100)에 탑재하는 연산 장치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CPU(110)를 대신하여,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전자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RAM(160)은 컴퓨터에 탑재하는 작업용 기억장치의 일례이며, RAM(160)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기억 장치(170)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와 같은 처리 기능을 발휘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171) 및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그램(172), 및 각 프로그램의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171) 및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그램(172)은, 정보 처리 장치(10)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휴대 단말(40A) 및 휴대 단말(40B)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엔지니어링 툴로서 기능시키는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의 일례이다.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CPU(110)는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171)을 기억 장치(170)로부터 읽어내 RAM(160)에 전개(展開)함으로써,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171)을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161)로서 기능시킨다. 마찬가지로, CPU(110)는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그램(172)을 기억 장치(170)로부터 읽어내 RAM(160)에 전개함으로써,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그램(172)을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세스(162)로서 기능시킨다.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161) 및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세스(162)는, 각각, 기억 장치(170)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읽어내 RAM(160)상의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에 전개하고, 이 전개한 각종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161)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1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응한다.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세스(162)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테이블 생성부(1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응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171) 및 화면 설정 테이블 생성 프로그램(172) 등은, 반드시 처음부터 기억 장치(170)에 기억시켜 둘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컴퓨터(100)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디스크(FD, flexible disk), CD-ROM, DVD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IC 카드 등의 「이동 가능한(可搬用) 물리 매체」에 각 프로그램 등을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100)가 이들로부터 각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해도 된다. 혹은, 각 프로그램 등을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프로그램 부품으로 분해하여, 공중회선, 인터넷, LAN, W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10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에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100)가 이들로부터 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해도 된다. 혹은, 각 프로그램 등을 1지점의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에 관리해 둠으로써, 각 프로그램 등의 변경 또는 갱신이 필요한 경우, 컴퓨터(100)는 당해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에 기억되는 각 프로그램 등을 갱신하는 것만으로 된다.
도 12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각종의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로서의 컴퓨터(20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201), RAM(Random Access Memory)(202), ROM(Read Only Memory)(203), 입력 인터페이스(204), 입력 디바이스(205), 출력 인터페이스(206), 출력 디바이스(207), 통신 인터페이스(208), 및 버스(209)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01), RAM(202), ROM(203), 입력 인터페이스(204), 입력 디바이스(205), 출력 인터페이스(206), 출력 디바이스(207), 및 통신 인터페이스(208)는, 버스(209)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RAM(202)은 읽고 쓰기 가능한 메모리 장치로서, 예를 들면, SRAM(Static RAM) 또는 DRAM(Dynamic 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 또는 RAM이 아니더라도 플래쉬 메모리 등이 이용된다. ROM(203)은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ROM(203)은 PROM(Programmable ROM) 등도 포함한다. ROM(203)은, 예를 들면, 기억부(21)에 대응한다.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화면 설정 테이블(21c)에 대응한다.
입력 인터페이스(204)는 입력 디바이스(205)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201)에 전달하는 회로이다. 출력 인터페이스(206)는 프로세서(201)의 지시에 따른 출력 디바이스(207)로의 출력을 실행시키는 회로이다. 통신 인터페이스(208)는 네트워크(2)를 통해서 실행하는 통신의 제어를 행하는 회로이다. 통신 인터페이스(208)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Network Interface Card) 등이다. 입력 인터페이스(204) 및 출력 인터페이스(206)는, 통합된 1개의 유닛이어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208)는, 예를 들면, 통신부(24)에 대응한다.
프로세서(201)는 ROM(2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 RAM(202)에 전개하여, RAM(202)에 전개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프로세서(201)가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의 실행 결과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술한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각종 처리가 실현된다. 프로세서(201)에 의한 명령의 실행시, RAM(202)은 프로세서(2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반드시 처음부터 ROM(203)에 기억시켜 둘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공중회선, 인터넷, LAN, W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20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에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200)가 이들로부터 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해도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세서(201)가 ROM(2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현하는 예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각종 처리의 각각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 회로를 연계시킨 와이어드 로직에 의해,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각종 처리를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화면 작성부(2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 회로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시스템 2: 네트워크
10: 정보 처리 장치 2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30: 제어 장치 40A, 40B: 휴대 단말
100, 200: 컴퓨터

Claims (7)

  1.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복수의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작성에 이용하는 화면 데이터와, 상기 화면의 구성을 상기 휴대 단말마다 개별로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값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접속된 상기 휴대 단말인 접속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디바이스값 및 상기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면 작성부와,
    상기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접속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상기 화면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복수의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서 공통화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휴대 단말을 고유하게 특정하는 단말 식별자에 대응지어,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를 기억하고,
    상기 화면 작성부는 상기 접속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를 고유하게 특정하는 유저 식별자에 대응지어,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를 기억하고,
    상기 화면 작성부는 상기 접속 단말의 상기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를 고유하게 특정하는 유저 식별자 및 당해 유저에게 미리 할당되는 권한의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를 기억하고,
    상기 화면 작성부는 상기 접속 단말의 상기 유저 식별자 및 상기 권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5.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복수의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작성에 이용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화면의 구성을 상기 휴대 단말마다 개별로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값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부와,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복수의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서 공통화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정보 처리 장치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복수의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엔지니어링 툴로서 기능시키는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작성에 이용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화면의 구성을 상기 휴대 단말마다 개별로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값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화면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고,
    상기 화면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복수의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서 공통화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7. 복수의 휴대 단말,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휴대 단말 및 상기 제어 장치에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면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작성에 이용하는 화면 데이터와, 상기 화면의 구성을 상기 휴대 단말마다 개별로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값의 격납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접속된 상기 휴대 단말인 접속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디바이스값 및 상기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면 작성부와,
    상기 접속 단말의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접속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수신한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복수의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서 공통화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시스템.
KR1020187007632A 2015-10-29 2015-10-29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 KR102104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629 WO2017072928A1 (ja) 2015-10-29 2015-10-29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情報処理装置、画面データ作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画面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325A KR20180042325A (ko) 2018-04-25
KR102104532B1 true KR102104532B1 (ko) 2020-04-27

Family

ID=5862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632A KR102104532B1 (ko) 2015-10-29 2015-10-29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10798B2 (ko)
JP (1) JP6261816B2 (ko)
KR (1) KR102104532B1 (ko)
CN (1) CN108351638B (ko)
DE (1) DE112015007076B4 (ko)
WO (1) WO2017072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3009B2 (ja) * 2018-03-01 2022-05-09 オムロン株式会社 表示装置、画面生成方法、および画面生成プログラム
CN113728286A (zh) * 2019-04-25 2021-11-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画面数据生成系统、画面数据生成方法及程序
JP7469854B2 (ja) * 2019-05-20 2024-04-17 シュナイダーエレクトリ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面作成装置
DE112019007441B4 (de) * 2019-07-11 2023-08-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ommunikationssystem,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Program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7397B2 (ko) 1973-08-30 1981-08-31
JPS6092101A (ja) * 1983-10-25 1985-05-23 Kawasaki Heavy Ind Ltd 二輪車用ソリツドホイ−ル
DE19809952A1 (de) 1998-03-07 1999-09-09 Draeger Medizintech Gmbh Verfahren zur Konfiguration von medizintechnischen Geräten zugeordneten Monitoren
CN1307495C (zh) * 2000-03-17 2007-03-28 迪吉多电子股份有限公司 控制用服务器装置、控制用终端装置、控制系统
JP2004110613A (ja) 2002-09-20 2004-04-08 Toshiba Corp 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対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JP5303116B2 (ja) * 2007-03-30 2013-10-02 発紘電機株式会社 画面編集装置、そのプログラム
JP5347993B2 (ja) * 2010-01-28 2013-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その表示方法
JP5561357B2 (ja) 2010-03-04 2014-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を備えた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並びにその作画データ作成手段
WO2012117539A1 (ja) * 2011-03-02 2012-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作画データの作成方法
CN102135886A (zh) * 2011-03-24 2011-07-27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页面内容共享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682973B2 (en) * 2011-10-05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and multi-device collaboration
JP5774450B2 (ja) 2011-11-14 2015-09-0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産業機器制御システム
WO2013080332A1 (ja) 2011-11-30 2013-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トデータ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CN103250111B (zh) * 2011-12-07 2015-11-25 三菱电机株式会社 可编程显示器用画面数据编辑装置
JP5866102B2 (ja) * 2012-06-12 2016-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5632035B2 (ja) * 2013-03-29 2014-11-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遠隔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遠隔作業支援プログラム
JP6307807B2 (ja) * 2013-07-29 2018-04-11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75555B2 (ja) * 2013-07-29 2016-03-02 株式会社デジタル 画像作成システム
WO2015121930A1 (ja) * 2014-02-12 2015-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作画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6343953B2 (ja) * 2014-02-13 2018-06-20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携帯端末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8758B2 (ja) * 2014-06-26 2017-01-25 株式会社デジタル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6786984B2 (ja) * 2016-09-16 2020-1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1638A (zh) 2018-07-31
JPWO2017072928A1 (ja) 2017-10-26
US10310798B2 (en) 2019-06-04
JP6261816B2 (ja) 2018-01-17
KR20180042325A (ko) 2018-04-25
DE112015007076T5 (de) 2018-07-26
DE112015007076B4 (de) 2023-06-07
WO2017072928A1 (ja) 2017-05-04
CN108351638B (zh) 2020-10-23
US20180225077A1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532B1 (ko)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
CN110050237B (zh) 数据收集装置、数据收集方法及记录介质
JP5051466B2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フィールド機器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95423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ebugging of an applica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over a network
CN108563579B (zh) 白盒测试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2015204615A (ja) 機器と移動デバイスとの間でインタラクト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6015694A5 (ko)
US20180011467A1 (en) Plc control data generation device, plc control data generation method, and plc control data generation program
US11165745B2 (en) Control system,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2019149723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2017104937A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との通信機能を備えた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0157103A (ja) 検証システムおよび動作検証装置
US201502813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101703756B1 (ko) Lin 통신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WO2020235174A1 (ja) 転送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JP2008165324A (ja)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
JP6385309B2 (ja) 共有画面管理装置および共有画面管理プログラム
CN106201508B (zh)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7183804A (ja) コンソール、操作管理装置、同時操作管理システムおよび複数装置の同時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5033B2 (ja) テスト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テスト制御方法、及びテスト制御プログラム
JP5951041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2018128874A (ja) 電子機器
JP6915583B2 (ja) セーフティ制御システムおよびセーフティ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KR101509522B1 (ko)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교육 시스템 및 그 컴파일 방법
JP2014127055A (ja) Plcの周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