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860B1 -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860B1
KR102102860B1 KR1020180062909A KR20180062909A KR102102860B1 KR 102102860 B1 KR102102860 B1 KR 102102860B1 KR 1020180062909 A KR1020180062909 A KR 1020180062909A KR 20180062909 A KR20180062909 A KR 20180062909A KR 102102860 B1 KR102102860 B1 KR 10210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body
cast steel
jig
cylinder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772A (ko
Inventor
고경나
변학성
Original Assignee
(주)신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광정밀 filed Critical (주)신광정밀
Priority to KR102018006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86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오토 얼라인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공하려는 분할 금형의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고, 분할 금형의 형상에 맞춰서 클램핑 핑거(실린더 로드) 교체 및 최적화를 통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가공간섭 억제를 통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질 수가 있고, 무엇보다 수작업으로 행해지고, 숙련된 작업자들이 아닌 경우 생산성 및 불량률이 높았던 것을 자동화 클램핑 지그를 통해 대량생산 및 완성된 제품의 불량률을 억제토록 하여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Automatic Clamping Device for Cutting Steel for Automotive Split Mold}
본 발명은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압클램핑을 통해 분할 금형의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고, 분할 금형의 형상에 맞춰서 클램핑 핑거(실린더 로드) 교체 및 최적화를 통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가공간섭 억제를 통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질 수가 있는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고난이도 형상의 자동차 부품에 대응하기 위해 금형 역시 고난도의 기술이 요구되어 졌으며, 그로인해 분할금형의 사용이 불가피해지고 있고 분할금형 주강의 개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자동차 또한 전자제품과 마찬가지로 다품종 소량생산체계로 접어들고 있으며, 그로인해 부품 제작을 위한 금형의 교체 역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자동파 부품 금형의 원활한 공급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어 분할 금형의 주강 생산 효율 증대가 이슈화되고 있다.
여기서, 분할금형은 치수 정밀도를 정확하게 하고 분할부분의 위치를 확실하게 결정하고 고정할 수 있어야 하며, 분할 선은 절단 육관에 직각을 유지해야 한다. 이때, 분할금형의 주강 정밀 조립을 위하여 조립 면을 평탄화 가공하게 되는데 그 형상이 매우 복잡하여 기준면 한 지점에 의지한 채로 숙련된 인력의 가공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주강 조립 면 평탄도 가공은 현재 순수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있어 생산성, 제품의 불량률 및 신뢰성 등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관련 업계의 경우 100%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작업인 만큼 숙련공의 기대치가 상승될 수밖에 없으며 숙련공의 가공 기술이전의 미흡, 전문 숙련공 부재 시 제품 생산 및 대응이 전면 중단 될 수 있는 불안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전용 지그 및 치구 개발을 수요처에서 권유하고 있으며, 관련업체 또한 필요성을 느끼고 개발에 무단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으나, 주강의 형상 특성상 가공 기준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고, 각각 다른 특성의 주강을 하나하나 대응하는 전용 지그는 효율적 측면에서 적절하지 못함에 따라, 지그 개발에 진전이 없는 상태이며 이에 개발에 많은 비용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67844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3519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분할금형 주강의 조립 기준면 가공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 공정 단순화, 자동화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상부 양측에 슬라이드홀(101a)이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드홀(101a)에 슬라이딩 되는 제1,2유동판(110, 120)이 구성되되, 상기 제1유동판(110)은 내부에 지그(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지그(2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111)가 구성되고, 상기 제2유동판(120)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지그(200)의 타측이 결합 구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부 양측에 슬라이드홀(201a)가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제1,2유동판(110, 120)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11)의 작동으로 좌우로 이동되는 제1지그몸체(201)와,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2지그몸체(203)와, 상기 지그몸체(203)의 상부 후면과 측면에 주강(j)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각각의 고정뭉치(210, 22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주강(j)의 하부와 맞닿는 지지뭉치(231)가 구성되어,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배치되는 주강(j)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실린더(23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모서리부분에 근접하게 각각 구성되되, 다축으로 구성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하며 주강(j)의 상측을 고정하는 상부실린더(24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상기 고정뭉치(210)와 대응되게 제2지그몸체(203)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주강(j)의 전면을 고정하는 전면실린더(25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상기 고정뭉치(220)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주강(j)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실린더(260)와, 제1지그몸체(201)의 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01a)에 안착되고 내부에 제2지그몸체(203)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71)가 구성되는 제3유동판(270)과,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01a)에 안착되며 일측이 상기 제2지그몸체(203)와 결합되는 제4유동판(280)으로 구성되는 지그(2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평탄 가공 작업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금형, 지그 소재 기업의 고용 및 매출 활성화가 가능하고, 클램핑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통해 평탄 가공 시 정밀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완성된 분할금형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주강의 형상의 전혀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상의 편리성을 부여하고, 각각의 주강에 맞는 지그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 효율성을 갖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베이스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유동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지그몸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지그몸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유동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돌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실린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확대도
도 12은 본 발명의 상부실린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사용상태도
도 1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지그몸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지그몸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측면실린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전면실린더와 하부실린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주강이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9은 본 발명의 도 17의 b, c, d, e를 나타내는 확대도
본 발명은 유압클램핑을 통해 분할 금형의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고, 분할 금형의 형상에 맞춰서 클램핑 핑거 교체 및 최적화를 통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가공간섭 억제를 통해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질 수가 있는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는 본체부(100), 지그(200)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려는 공장 등과 같은 장소에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01)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 양측에는 하기될 제1,2유동판(110, 120)의 하측 중앙부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드홀(101a)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홀(101a)의 경우 상부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부 양측에 하나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홀(101a)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제1,2유동판(110, 120)이 구성된다.
상기 제1유동판(110)은 도 1,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지그(200)의 제1지그몸체(201)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111)가 구성되고, 상기 제2유동판(120)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제1지그몸체(20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11)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제1지그몸체(201)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유동판(110, 120)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홀(10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돌기(부호없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에서는 제1유동판(110)만을 도시하였으며, 제2유동판(120)의 슬라이드돌기(도면부호없음)의 형상은 제1유동판(110)의 슬라이돌기의 형상과 동일하며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인 지그(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면서도 좌우 수평이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지그(200)는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로써, 도 1, 2 및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몸체(201)와 제2지그몸체(203)로 고정뭉치(210, 220), 하부실린더(230), 상부실린더(240), 전면실린더(250), 측면실린더(260), 제3유동판(270), 제4유동판(2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그몸체(201)는 도 1, 2,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부 양측에 상기 제3,4유동판(270, 280)이 각각 안착 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홀(201a)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와 다른 수평방향(전, 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제1,2유동판(110, 120)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11)의 작동으로 좌우로 이동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슬라이드홀(201a)은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제2지그몸체(203)는 도 1, 2,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상부에 구성되어 고정뭉치(210, 220), 하부실린더(230), 상부실린더(240), 전면실린더(250), 측면실린더(26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틀의 개념이다.
즉, 상기한 구성들의 끼움 또는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토록 하면서도, 상측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하기될 주강(j)이 위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면측면은 상기 제3,4유동판(270, 280)과 결합되어, 제3유동판(270)에 구성된 구동모터(271)의 회전에 따라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210, 220)는 도 1, 2, 6,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몸체(203)의 상부 후면과 측면에 주강(j)을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간격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그몸체(203)의 평면을 기준으로, 후방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고정몸체(210)가 구성되고, 측면에 구성되되, 왼쪽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고정몸체(220)가 구성되어,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주강(j)이 위치될 시 상기 주강(j)의 2측면과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뭉치(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돌기(211)들이 형성되어, 상기 주강(j)을 고정할 시, 상기 주강(j)과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매우 좁은 간격으로 돌기(211)들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10에서는 상기 돌기(211)의 형태를 예로써 설명하였고, 고정뭉치(220), 상부실린더(240), 전면실린더(250) 및 측면실린더(260)에 형성되는 돌기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고정뭉치(210)의 돌기(211)와 동일한 형태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구체적인 도시는 하지 않았으며, 하부실린더(230)에는 돌기들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뭉치(220)는 상기 제1지그몸체(203)의 후방에 배치되는 고정뭉치(21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짐에 따라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실린더(230)는 도 1, 2, 6, 11,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주강(j)의 하부와 맞닿는 지지뭉치(231)가 연장되게 구성되며, 상기 지지뭉치(231)의 중앙부에는 돌출된 형태로 돌출부(232)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돌출부(232)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배치되는 주강(j)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그몸체(203)의 평면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구성되되 모서리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성되어 4개로 구성되어, 주강(j)의 하부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뭉치(231)는 도 6 또는 11,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실린더(230)의 로드(도면부호없음)의 일측 둘레를 따로 연장부재에 의해 연장되어, 상기 하부실린더(230)의 작동을 함과 동시에 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뭉치(231)의 돌출부(2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실린더(230)의 로드 상측면보다 조금 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위치되는 주강(j)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실린더(230)의 로드와 맞닿지 않도록 하고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가공 품질의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실린더(230)의 돌출부(232)는 둥근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기들의 형상과는 전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이유는 단순히 주강(j)의 하부를 지지하기 ?문이다.
상기 상부실린더(240)는 도 1, 2, 6,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모서리부분에 근접하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실린더(230)와 이격되게 구성되되, 다축으로 구성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여 주강(j)의 상측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실린더(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그몸체(203)의 모서리부분의 외측에 위치되어 주강(j)의 상측 4개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실린더(240)의 더욱 상세한 구조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제2지그몸체(230)에 결합되는 결합부(241)가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41)와 일측이 제1축(244)으로 연결 구성되어 회동되는 제1회동부(243)가 구성되며, 상기 제1축(244)과 연결된 제1회동부(243)와 중앙부 일측이 제2축(246)으로 연결 구성되며 일측 끝단의 하부에는 실질적으로 주강(j)의 상측과 맞닿는 고정돌기(249)가 구성되어 회동하는 제2회동부(245)가 구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245)의 고정돌기(249)가 형성된 다른 끝단에 일측이 제3축(248)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축(248)이 연결된 타측이 상기 결합부(241)의 내부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3회동부(247)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실린더(240)는 상기 제1,2,3축(244, 246, 248)에 의해 회동하되, 제1,2회동부(243, 245)는 제1,2,3축(244, 246, 248)에 의해 회동하며, 제3회동부(247)은 수직으로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왜냐하면,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3회동부(247)는 모터 또는 유압, 공압 등 통상의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2회동부(243, 245)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회동부(247)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제2회동부(245)의 고정돌기(249)가 주강(j)의 상측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전면실린더(250)는 도 1, 2, 6, 13,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상기 고정뭉치(210)와 대응되게 제2지그몸체(203)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주강(j)의 전면을 고정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뭉치(210)는 제2지그몸체(203)의 후방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는 반면에, 전면실린더(250)는 제2지그몸체(203)의 전방에 한 쌍으로 배치되되 전, 후로 작동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주강(j)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면서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측면실린더(260)는 1, 2, 6, 13,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실린더(25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상기 고정뭉치(220)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주강(j)의 측면을 고정하게 되고, 그 작동으로는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되, 좌, 우방향으로 작동하며 전면실린더(250)와 다른 주강(j)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실린더(250)와 측면실린더(260)의 로드 끝단에는 돌기(251, 261)가 구성되어, 고정뭉치(210, 220)이 지지하는 다른 측면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가 있다.
상기 제3유동판(270)은 도 1, 2,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몸체(201)의 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01a)에 안착되고 내부에 제1지그몸체(203)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71)가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71)가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3유동판(27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자연스레 제2지그몸체(203)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제4유동판(280)은 도 1, 2,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01a)에 안착되며 일측이 상기 제2지그몸체(203)와 결합되어, 상기 제3유동판(270)에 의해 전, 후진 시 제3유동판(270)과 결합된 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과 같은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평탄 가공 작업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금형, 지그 소재 기업의 고용 및 매출 활성화가 가능하고, 클램핑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통해 평탄 가공 시 정밀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완성된 분할금형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주강의 형상의 전혀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상의 편리성을 부여하고, 각각의 주강에 맞는 지그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 효율성을 갖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본체부
101 : 베이스플레이트 101a : 슬라이드홀
110 : 제1유동판 111 : 구동모터 120 : 제2유동판
200 : 지그
201 : 제1지그몸체 201a : 슬라이드홀
203 : 제2지그몸체
210 : 고정뭉치 211 : 돌기
220 : 고정뭉치 221 : 돌기
230 : 하부실린더 231 : 지지뭉치 232 : 돌출부
240 : 상부실린더
241 : 결합부 243 : 제1회동부 244 : 제1축
245 : 제2회동부 246 : 제2축 247 : 제3회동부
248 : 제3축 249 : 고정돌기
250 : 전면실린더 251 : 돌기
260 : 측면실린더 261 : 돌기
270 : 제3유동판 271 : 구동모터
280 : 제4유동판

Claims (1)

  1. 상부 양측에 슬라이드홀(101a)이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드홀(101a)에 슬라이딩 되는 제1,2유동판(110, 120)이 구성되되, 상기 제1유동판(110)은 내부에 지그(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지그(2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111)가 구성되고, 상기 제2유동판(120)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지그(200)의 타측이 결합 구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부 양측에 슬라이드홀(201a)가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제1,2유동판(110, 120)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11)의 작동으로 좌우로 이동되는 제1지그몸체(201)와,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2지그몸체(203)와, 상기 지그몸체(203)의 상부 후면과 측면에 주강(j)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각각의 고정뭉치(210, 22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주강(j)의 하부와 맞닿는 지지뭉치(231)가 구성되어,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배치되는 주강(j)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실린더(23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모서리부분에 근접하게 각각 구성되되, 다축으로 구성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하며 주강(j)의 상측을 고정하는 상부실린더(24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상기 고정뭉치(210)와 대응되게 제2지그몸체(203)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주강(j)의 전면을 고정하는 전면실린더(250)와, 상기 제2지그몸체(203)의 상부에 상기 고정뭉치(220)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주강(j)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실린더(260)와, 제1지그몸체(201)의 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01a)에 안착되고 내부에 제2지그몸체(203)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71)가 구성되는 제3유동판(270)과, 상기 제1지그몸체(201)의 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01a)에 안착되며 일측이 상기 제2지그몸체(203)와 결합되는 제4유동판(280)으로 구성되는 지그(2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KR1020180062909A 2018-05-31 2018-05-31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KR10210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09A KR102102860B1 (ko) 2018-05-31 2018-05-31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09A KR102102860B1 (ko) 2018-05-31 2018-05-31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72A KR20190136772A (ko) 2019-12-10
KR102102860B1 true KR102102860B1 (ko) 2020-04-22

Family

ID=6900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909A KR102102860B1 (ko) 2018-05-31 2018-05-31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1572A (zh) * 2020-09-04 2021-01-05 衡阳市振洋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模具装配固定装置
CN113926924B (zh) * 2021-10-12 2024-01-19 宏德汽车零部件(武汉)有限公司 一种汽车车身铝板的加工模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219Y2 (ja) 1993-10-27 1999-04-26 トーソク株式会社 X−y移動テーブル
JP4914652B2 (ja) 2006-06-13 2012-04-11 株式会社オーケイエス 治具装置
KR101540801B1 (ko) 2013-11-27 2015-07-31 김득일 가공물 센터 홀 고정작업대
KR101559468B1 (ko) 2015-06-29 2015-10-12 유연태 공작기계용 부정형 가공품 고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696159B1 (ko) 2016-08-30 2017-01-13 장동단 주강 제품 고정용 지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197B1 (ko) 2005-10-14 2006-10-16 한맥기연 주식회사 머신센터용 가공지그
KR101167844B1 (ko) 2011-02-22 2012-07-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형의 내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금형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219Y2 (ja) 1993-10-27 1999-04-26 トーソク株式会社 X−y移動テーブル
JP4914652B2 (ja) 2006-06-13 2012-04-11 株式会社オーケイエス 治具装置
KR101540801B1 (ko) 2013-11-27 2015-07-31 김득일 가공물 센터 홀 고정작업대
KR101559468B1 (ko) 2015-06-29 2015-10-12 유연태 공작기계용 부정형 가공품 고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696159B1 (ko) 2016-08-30 2017-01-13 장동단 주강 제품 고정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72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400B1 (ko) 다차종 공용 펜더 장착 지그 장치
JP5987043B2 (ja) ワークの複数箇所を押圧するワーク固定装置
KR101845955B1 (ko) 차량용 3차원 파이프 원주용접용 수직형 용접장치
US8985564B2 (en) Workpiece holding fixture for machining multiple prismatic parts
KR102102860B1 (ko) 자동차 분할 금형용 이형주강의 가공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CN110125600B (zh) 焊接定位架及具有其工装
KR100764985B1 (ko) 차체 이송 대차용 클램핑 장치
CN100386180C (zh) 精密定位夹具
KR102466807B1 (ko) 모터 코어 조립용 자동화 시스템
KR101601117B1 (ko)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KR102102861B1 (ko) 분할금형용 이형주강 가공용 자동 클램핑 장치
KR101943732B1 (ko) 부시 자동 조립 장치
US6463781B2 (en) System for drawing outer cylinder of rubber bush
JP2705769B2 (ja) ワークのクランプ装置
KR102220697B1 (ko) 자동차의 차체 스킨부 굴곡 방지용 클램프 장치
KR101453832B1 (ko) 로봇핸드 툴체인저
KR20060129690A (ko) 파이프조인트 어셈블리의 리벳팅 방법
KR100968718B1 (ko) 롤러 헤밍 장치
CN110883556B (zh) 模具制造方法
CN208825920U (zh) 踏步右支架焊接总成专用夹具装置
KR101639193B1 (ko) 오토 툴링 머신
US20190126417A1 (en) Device for exchanging part of tool and hollow milling tool
KR102440578B1 (ko) 타이어 자동장착을 위한 허브 정위치 장치 및 이의 정렬방법
KR101727604B1 (ko) 이너 플런저 자동 연마 시스템
JPH04807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