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503B1 -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작동 부재의 제거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작동 부재의 제거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503B1
KR102102503B1 KR1020167011327A KR20167011327A KR102102503B1 KR 102102503 B1 KR102102503 B1 KR 102102503B1 KR 1020167011327 A KR1020167011327 A KR 1020167011327A KR 20167011327 A KR20167011327 A KR 20167011327A KR 102102503 B1 KR102102503 B1 KR 10210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ounting device
receiving element
receptacle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973A (ko
Inventor
윌리 헨리히
빅토르 크리머
Original Assignee
쿠스터 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스터 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스터 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7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8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with resilient bearings
    • F16C11/083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with resilient bearings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95Mounting of ball-joints, e.g. fixing them to a connecting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7/00Connecting-rods or like links pivoted at both ends; Construction of connecting-rod heads
    • F16C7/02Constructions of connecting-rods with constan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projections, studs, serrations or the like on at least on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입력 또는 출력 요소 상에서, 예를 들어 차량의 기어 변속 레버 또는 변속기 상에서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부분(10) 및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리셉터클(20)과 작동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1)로서, 리셉터클(20)은 상기 리셉터클(20) 내에 배열된 내부 수용 요소(40)와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30)를 가지며 상기 요소들 사이에는 탄성 댐핑 요소(50)가 배열된다. 차량의 내측으로 작동 부재 또는 변속기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의 전달이 최소로 감소되고 작동 부재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기술적으로 더 단순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전술된 타입의 장착 장치를 갖는 작동 부재 및 장착 장치를 개선하기 위하여, 댐핑 요소(50)는 개별 부분으로 구성되고 외부 또는 내부 수용 요소(30)를 대향하는 벽(51) 상에 웨이브 프로파일(52)의 형태로 간헐적으로 및/또는 교번하도록 구성되고 장착 부분(10)은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산 인서트(11)를 갖는다.

Description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작동 부재의 제거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DEVICE FOR REMOVABLE SECURING OF AN ACTUATING MEMBER TO AN INPUT OR OUTPUT ELEMENT}
본 발명은 입력 또는 출력 요소 상에서, 예를 들어 차량의 기어 변속 레버 또는 변속기 상에서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부분 및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리셉터클과 작동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배열된 내부 수용 요소와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를 가지며 상기 요소들 사이에는 탄성 댐핑 요소가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착 장치를 갖는 작동 부재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기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타입의 장착 장치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65,495 A1호 및 유럽 특허 제EP 2 278 178 B1호에 공지되었고, 이는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기어 셀렉터 레버 및 변속 레버의 단부 상에 작동 부재를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예를 들어 수동 변속기의 경우 구동 로드 또는 구동 케이블 조립체이고, 변속 레버를 구동할 때 운전자에 의해 가해진 변속 동작은 변속기 하우징 상에서 셀렉터 레버에 전달된다. 각각의 경우, 작동 부재의 일 단부는 출력 또는 입력 요소의 장착 요소, 예를 들어, 변속 레버의 장착 요소 또는 기어 셀렉터 레버의 구동 저널에 고정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장착 장치의 장착 부분에 연결된다. 내부에 배열된 내부 수용 요소 및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 사이에 배열된 리셉터클 내의 탄성 댐핑 요소는 기어 셀렉터 레버로부터 작동 부재 그 뒤에 작동 부재로부터 변속 레버로 변속기의 진동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차량 내부 또는 변속 레버 상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이 최대로 방지된다.
전술된 타입의 추가 장착 장치는 또한 유럽 특허 출원 제EP 1 798 431 A1호 및 독일 특허 출원 제DE 197 55 284 A1호로부터 공지된다.
독일 특허 출원 제DE 197 55 284 A1호는 저널 상에 배열된 조인트 볼을 갖는 볼-소켓 조인트를 개시하며, 이의 섹션은 베어링 쉘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에 따라 베어링 쉘은 하우징의 수용 보어 내로 원통형 외부 주변 표면과 함께 삽입되는 구형 캡의 형태인 내부 주변 표면을 갖는다. 여기서, 베어링 쉘은 수용 보어에 대해 배열되고 고무-탄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슬리브 내에서 외부 주변 표면 상에 매립된다. 작동 부재의 장착은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주변 표면 상에 외부 나사산이 제공되도록 구현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변속 레버(여기서 도시되지 않음)가 이 외부 나사산에 부착된다. 유럽 특허 출원 제EP 1 798 431 A1호는 또한 내부에 배열된 내부 수용 요소 및 외부 수용 요소를 갖는 리셉터클을 갖는 장착 장치를 개시하며, 이 요소들 사이에 탄성 댐핑 요소가 배열된다. 종래의 장착 장치의 경우에, 댐핑 요소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이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장착은 주입 몰딩에 의해 캡슐화를 통하여 구현된다.
독일 특허 출원 제DE 197 31 039 A1호는 차량의 가변속도 변속기에 제어 케이블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며, 장치는 제어 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 부분은 장치 내에 고정되는 수용 슬리브에 연결되고 장치는 또한 내부에 배열된 플라스틱 코어를 갖는 댐핑 요소를 가지며, 이의 개구는 변속기 장착 요소를 수용한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이 장착 장치는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 캡슐화를 통하여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장착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댐핑 요소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의 주행 편의 요건에 의해 측정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장착 장치는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 억제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또한 현 소음 수준에도 적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내부로 작동 부재를 통하여 변속기로부터의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의 전달이 최소로 감소되도록 전술된 타입의 장착 장치를 배열함으로써 작동 부재뿐만 아니라 장착 장치를 개선하는 데 있다. 동시에, 장착 장치에 대한 작동 부재의 장치는 기술적으로 단순화되어야 한다.
이 목적은 제18항에 따른 작동 부재뿐만 아니라 제1항에 따른 장치에 따라 구현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 형태는 종속항의 요지이다.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작동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댐핑 요소는 개별 부분으로 구성되고 외부 또는 내부 수용 요소를 대향하는 벽 상에 웨이브 프로파일의 형태로 간헐적으로 및/또는 교번하도록 구성되고 장착 부분은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산 인서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파형 외부 벽, 즉 외부 수용 요소를 대향하는 웨이브 프로파일을 가지며 장착 장치의 내부 수용 요소와 외부 수용 요소 사이에 배열된 댐핑 요소는 전달 부재에 대한 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전달이 고려되는 한 상당히 향상된 댐핑 특성을 갖는다. 이 요인은 특히 프로파일, 구체적으로 웨이브 프로파일로 인함이며, 외부 수용 요소를 향한 댐핑 요소의 접촉 표면은 교란 진동의 전달이 바람직하게는 억제되는 정도로 감소된다.
교란 진동의 억제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작동 부재를 장착 장치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고 장착 장치의 장착 부분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나사에 의해 작동 부재가 고정될 수 있는 나사산 인서트를 갖는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작동 부재는 장착 부분 내로 직접 사출-성형되고 나사산 인서트에 따라 장착 장치에 대한 작동 부재의 비용 효율적이고 유연하며 구체적으로 분리가능한 장착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프로파일은 댐핑 요소의 외부 벽 상에 주기적으로 구성되고 및/또는 교번하는 부분적인 원형, 구체적으로 반-원형 돌출부 및 오목부로 구성된다. 실험에 따르면, 이 방식으로 구성된 웨이브 프로파일은 댐핑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내부에 배열된 내부 수용 요소와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 사이의 댐핑 요소의 삽입 또는 장착 장치의 결합을 돕기 위하여, 댐핑 요소의 하나 이상의 림이 기울어지고 구체적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둥글게 처리된다(rounded off).
장착 장치를 자동 조립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댐핑 요소는 원통형 환형 부분으로 구성된다.
특히 비용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장착 장치는 외부 수용 요소와 장착 부분이 공유된 기저 몸체로서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됨으로써 구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와 작동 부재 사이의 각 운동의 보상을 돕기 위하여, 외부 수용 요소, 내부 수용 요소 및/또는 댐핑 요소는 중공 원통의 형태 및/또는 실질적으로 환형으로 성형된다. 이 방식으로,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의 종방향 축 또는 회전 축 주위에서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에 대해 작동 부재 또는 장착 장치의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장착 요소와 장착 장치 사이의 특히 경량이고 구체적으로 분리가능한 연결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 구현되는데, 내부 수용 요소는 부싱을 가지며, 상기 부싱 내에서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가 래치 및/또는 클립 연결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에 대한 작동 부재 또는 장착 장치의 회전 운동 자유도가 3개의 축으로 확장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부싱은 볼 헤드를 갖는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가 적소에 래칭 또는 클립고정될 수 있는 볼-소켓 조인트의 소켓으로서 구성된다.
게다가, 내부 수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부싱이 배열되는 원통형 슬리브를 갖는다. 이러한 내부에 수용된 슬리브 및 부싱으로 구성된 2-부분 구조물에 다라 슬리브에 의해 외부 수용 요소의 형상으로 그리고 부싱에 의해 장착 요소의 형상으로 내부 수용 요소가 적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장착 장치는 유연한 방식으로 다양한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 내측에서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조립 위치에 부싱을 고정하기 위하여, 슬리브는 테이퍼진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대응 테이퍼진 부싱이 포지티브 끼워맞춤(positive fit) 상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내부 수용 요소는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각각의 단부 상에 클로저 요소를 가지며, 상기 클로저 요소에 의해 내부 수용 요소, 구체적으로 슬리브 및/또는 부싱이 축방향으로 외부 수용 요소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부싱과 2개의 클로저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단일 부분, 특히 일 단부에 원형 칼라 또는 플랜지를 갖는 중공 원통의 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클로저 요소는 이의 단부에서 이들이 부싱 또는 슬리브보다 더 큰 반경방향 연장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포지티브 끼워맞춤이 평평한 측면 또는 전방 면 상에서 외부 수용 요소와 접촉하는 클로저 요소를 통하여 내부 수용 요소를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예를 들어, 2개의 클로저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커버 또는 플레이트 또는 천공된 디스크의 형태로 구성된다. 천공된 디스크 형상은 내부 또는 외부 수용 요소의 측면에 특히 적합하며, 이를 통하여 장착 요소, 특히 볼 조인트 헤드가 부싱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클로저 요소를 슬리브에 부착하기 위하여, 2개의 클로저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전방 면을 둘러싸는 요홈을 가지며 이 원형 요홈과 슬리브가 조립 위치에서 결합된다. 이는 예를 들어, 슬리브에 대해 허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나사산 인서트는 너트, 특히 다각형 너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는 표준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장착 장치의 제조 비용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장착을 보장되도록 장착 부분에서 작동 부재의 장착을 추가로 기술적으로 단순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장착 부분은 장착되는 작동 부재, 구체적으로 장착되는 작동 부재의 연결 탭에 대한 지지부 및/또는 가이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독립적인 사상은 일 단부, 바람직하게는 연결 탭의 영역에 배열된 전술된 타입의 하나 이상의 장착 장치를 갖는 작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너트 또는 나사산 인서트의 축은 리셉터클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진다. 이는 공구의 힘 인가 지점이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 내에 있기 때문에 차량 내의 장치의 조립 및 조절 중의 이점으로 변환된다.
작동 부재의 특히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서, 홀, 구체적으로 슬롯이 일 단부, 바람직하게는 연결 탭의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슬롯을 통하여 장치에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가 나사산 인서트 내로 나사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구성요소인 댐핑 요소가 제공된다.
도 1은 입력 또는 출력 요소 상에 작동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장치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댐핑 요소의 상면도.
도 4는 댐핑 요소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1 및 도 2는 입력 또는 출력 요소, 예를 들어 차량의 변속 레버(shifting lever) 또는 변속기(transmission)에 작동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1)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목적으로, 장착 장치(1)는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부분(10) 뿐만 아니라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리셉터클(20)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리셉터클(20)은 상기 리셉터클(20) 내에 배열된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30) 및 내부 수용 요소(40)를 갖는다.
선호되는 방식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외부 수용 요소(30)와 장착 부분(10)은 단일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공유된 기저 몸체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기저 몸체는 실질적으로 신장된 형상을 가지며, 이의 일 단부에 아일릿 형태의 대략 환형인 외부 수용 요소(30)를 가지며 다른 단부에서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부분(10)이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외부 수용 요소(30)와 내부 수용 요소(40) 사이에는 탄성 댐핑 요소(50)가 제공되며 상기 탄성 댐핑 요소는 외부 수용 요소(30)를 대향하는 외부 벽(51) 상에서 원형의 웨이브 프로파일(encircling wave profile, 52)을 갖는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 요소(40)는 4개의 부분, 즉 플레이트-형 클로저 요소(43), 천공된 디스크-형 클로저 요소(44), 슬리브(41) 및 부싱(42)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부싱(42)은 볼 헤드를 갖는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가 고정될 수 있는 볼-소켓 조인트의 소켓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조인트 소켓은 내부 수용 요소(40) 내에서, 즉 부싱(42) 내에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 요소가 고정될 수 잇는 래치 또는 클립 연결 수단을 가지며, 이에 따라 재차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 부싱(42)은 테이퍼진 통로(46)를 갖는 원통형 슬리브(41) 내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조립 위치에서 대응 테이퍼진 부싱(42)이 슬리브(41)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상반된 축방향으로, 슬리브(41) 내의 부싱(42)은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41)가 결합되고 전방 면을 둘러싸는 요홈(45)을 갖는 플레이트-형 클로저 요소(43)에 의해 고정된다. 반경방향으로, 클로저 요소(43)는 슬리브(41)보다 더 큰 연장부를 가지며 이의 중첩 영역에서 이는 외부 수용 요소(30)와 접촉하여 그 결과 내부 수용 요소(40)는 축방향으로 외부 수용 요소(30)에 대해 포지티브 끼워맞춤(positive fit)으로 고정된다.
플레이트-형 클로저 요소(43)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슬리브(41)와 단일 부분으로 구성되는 또 다른 클로저 요소(44)가 있다. 슬리브(41)와 클로저 요소(44)는 천공된 디스크-형 클로저 요소(44)로 구성되는 원형 칼라 또는 플랜지를 갖는 중공 실린더를 형성한다. 천공된 디스크-형 수용 요소(40) 내의 개구로 인해,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가 부싱(4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접근부가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부분(10)은 지지부(13)뿐만 아니라 장착되는 작동 부재(여기서 도시되지 않음), 특히 장착되는 작동 부재의 연결 탭을 수용하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14)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장착 부분(10)에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 부분(10)은 나사산 인서트(11)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나사산 인서트(11)는 다각형 관통 너트(12)이며, 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이다. 게다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2)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기저 몸체(60) 내로 사출 성형에 의해 통합된다. 또한, 나사산 인서트(11)는 기저 몸체(60) 내의 정합 개구 내로 삽입, 클립고정, 래칭 또는 글루잉될 수 있다. 나사산 요소의 다각형 외부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방지 보호부를 제공한다.
장착되는 작동 부재의 길이 조절을 허용하기 위하여(도시되지 않음), 특히 연결 탭의 영역에서 작동 부재는 슬롯을 가지며 이에 따라 작동 부재에 대한 장착 장치(1)의 연속적 가변식 조절 및 사전-고정이 허용된다.
도 3은 외부 수용 요소(30)를 대향하는 외부 벽(51) 상에서 원형 웨이브 프로파일(52)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댐핑 요소(50)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웨이브 프로파일은 주기적, 특히 교번하는 반-원 돌출부(53)와 오목부(54)로 구성된다. 실험에 따르면, 이 방식으로 구성된 댐핑 요소(50)는 작동 부재를 통하여 변속기로부터 차량의 셀렉터 레버로 진동이 전달될 때 현저히 향상된 댐핑 특성을 갖는다. 댐핑 특성은 또한 개선되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댐핑 요소(50)가 재료 차단(material interruption) 없이 실질적으로 환형 단면을 갖는 개별 부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댐핑 요소(50)는 고무 또는 고무-형 합성 탄성중합체로 구성된다.
특히,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요소(50)의 전방 면 상에서 림(55, 56)이 기울어진다. 이는 내부 수용 요소(40)와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30) 사이에 댐핑 요소(50)의 삽입을 돕는다.
또한, 차량의 모두 3개의 축, 구체적으로 또한 차량에 대해 상향 배향된 Z-축, 즉 본 발명에 따라서 수직 차량 축에 대해 댐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돌출부 또는 프로파일형 단부 섹션이 댐핑 요소의 전방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예를 들어, 원형 환형 돌출부가 댐핑 요소의 하나 이상의 전방 면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환형 돌출부의 직경이 댐핑 요소(50)의 원통형 부분의 벽 두께보다 크다.
도 4는 도면부호(50)로 지정된 댐핑 요소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전방 면(58) 상에는 전방 면(58)을 향하여 외부 벽(51)으로부터 테이퍼지고 댐핑 요소(50)의 외부 벽을 초과하여 연장되는 돌출부(57)가 제공된다.
돌출부(57)에 따라, 댐핑은 차량의 Z-축 방향으로 구현된다(도 4에 도시되지 않음).
돌출부(57)는 마주보는 전방 면(58) 상에서 오프셋 배열되고 이 방식으로 댐핑 요소는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요소가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때 몰드가 간단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차량(도 4에서 도시되지 않음)의 Z-축 방향으로 댐핑을 구현하는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댐핑 요소를 대향하는 클로저 요소(43)의 측면(도 4에 도시되지 않음) 또는 슬리브(41)의 원형 칼라(도 4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 연성 구성요소를 배열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방식으로 구성된 슬리브 또는 클로저 요소의 제조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었고 예를 들어 2-구성요소 부분의 형태로 수행된다. 이는 연성 구성요소가 클로저 요소(43) 또는 슬리브(41)의 오목한 표면 상으로 사출 몰드 내에서 사출 성형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연성 구성요소는 댐핑 요소(50)를 대향하는 클로저 요소(43)의 측면 상에서 또는 슬리브(41)의 칼라를 둘러싸도록 배열된 너브(nub) 또는 웨지 또는 웹(web)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너브 또는 웨지 또는 웹의 개수는 변화할 수 있다.
역으로, 기저 몸체(60)뿐만 아니라 부싱(42), 슬리브(41) 및 클로저 요소(43, 44)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고 및/또는 유리-보강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로 제조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의 사용은 제조 엔지니어링의 유리한 관점(vantage point)뿐만 아니라 감소 중량에 대한 아이(eye)에 있어서 매우 선호된다.
1 장착 장치
10 장착 부분
11 나사산 인서트
12 너트
13 지지부
14 가이드
20 리셉터클
30 외부 수용 요소
40 내부 수용 요소
41 슬리브
42 부싱
43 클로저 요소
44 클로저 요소
45 요홈
50 댐핑 요소
51 댐핑 요소의 외부 벽
52 웨이브 프로파일
53 돌출부
54 오목부
55 림
56 림
57 돌출부
58 전방 면
60 기저 몸체

Claims (21)

  1. 차량의 기어 변속 레버 또는 변속기 상에서 작동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1)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부분(10) 및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리셉터클(20)을 포함하고,
    리셉터클(20)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배열된 내부 수용 요소(40)와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30)를 가지며 상기 요소들 사이에는 탄성 댐핑 요소(50)가 배열되며, 댐핑 요소(50)는 개별 부분으로 구성되고 외부 또는 내부 수용 요소(30, 40)를 대향하는 벽(51) 상에 웨이브 프로파일(52)의 형태로 간헐적으로 또는 교번하도록 구성되고, 장착 부분(10)에서, 나사산 인서트(11)가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부재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프로파일(52)은 간헐적으로 또는 교번하도록 구성된 부분적인 원형 또는 반-원형 돌출부(53) 및 오목부(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댐핑 요소(50)의 하나 이상의 림(55, 56)이 기울어지거나, 경사지거나(canted) 또는 둥글게 처리되는(rounded off)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수용 요소(30)와 장착 부분(10)은 단일 부분 또는 공유된 기저 몸체(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외부 수용 요소(30), 내부 수용 요소(40) 또는 댐핑 요소(50)는 중공 원통의 형태 또는 환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 수용 요소(40)는 부싱(42)을 가지며, 상기 부싱 내에서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가 래치 또는 클립 연결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부싱(42)은 볼 헤드를 갖는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가 적소에 래칭 또는 클립고정될 수 있는 볼-소켓 조인트의 소켓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내부 수용 요소(40)는 부싱(42)이 배열되는 원통형 슬리브(4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슬리브(41)는 테이퍼진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에 의해 조립 위치에서 테이퍼진 부싱(42)이 슬리브(41) 내에서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내부 수용 요소(40)는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30)에 대해 축방향으로 각각의 단부 상에 클로저 요소(43, 44)를 가지며, 상기 클로저 요소에 의해 내부 수용 요소(40) 또는 슬리브(41) 또는 부싱(42)이 축방향으로 외부 수용 요소(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부싱(42)과, 2개의 클로저 요소(43, 44)들 중 하나 이상이 단일 부분 또는 일 단부에 원형 칼라 또는 플랜지를 갖는 중공 원통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2개의 클로저 요소(43, 44)들 중 하나 이상이 커버 또는 플레이트 또는 천공된 디스크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2개의 클로저 요소(43, 44)들 중 하나 이상이 원형 요홈(45)을 가지며 이 원형 요홈과 슬리브(41)가 조립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나사산 인서트(11)는 너트(12)일 수 있으며, 상기 너트는 다각형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나사산 인서트(11)의 축은 리셉터클(20)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너트(12)는 장착 부분(10) 또는 기저 몸체(60) 내로 사출 성형에 의해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장착 부분(10)은 장착되는 작동 부재 또는 장착되는 작동 부재의 연결 탭에 대한 가이드(14) 또는 지지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8. 일 단부 또는 연결 탭의 영역에 배열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장착 장치(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홀 또는 슬롯이 일 단부 또는 연결 탭의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슬롯을 통하여 장착 장치(1)에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가 나사산 인서트(11) 내로 나사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부재.
  20. 제2항에 있어서, 원형의 환형 돌출부는 댐핑 요소(50)의 하나 이상의 전방 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21. 차량의 기어 변속 레버 또는 변속기를 가지는 차량의 변송기용 변속 장치에 있어서,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부분(10) 및 입력 또는 출력 요소의 장착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가지고,
    리셉터클(20)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배열된 내부 수용 요소(40)와 아일릿-형 외부 수용 요소(30)를 가지며 상기 요소들 사이에는 탄성 댐핑 요소(50)가 배열되며,
    댐핑 요소(50)는 외부 또는 내부 수용 요소(30, 40)를 대향하는 벽(51) 상에 개별 부분으로 구성되고, 웨이브 프로파일(52)의 형태로 간헐적으로 또는 교번하도록 구성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장착 부분(10)에서, 나사산 인서트(11)가 작동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부재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장치.
KR1020167011327A 2013-10-23 2014-10-17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작동 부재의 제거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 KR102102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3104768.6 2013-10-23
DE202013104768U DE202013104768U1 (de) 2013-10-23 2013-10-23 Vorrichtung zum lösbaren Anbinden eines Betätigungsgliedes an einen Geber oder Nehmer
PCT/EP2014/072345 WO2015059056A1 (de) 2013-10-23 2014-10-17 Vorrichtung zum lösbaren anbinden eines betätigungsgliedes an einen geber oder neh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973A KR20160073973A (ko) 2016-06-27
KR102102503B1 true KR102102503B1 (ko) 2020-04-21

Family

ID=4978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327A KR102102503B1 (ko) 2013-10-23 2014-10-17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작동 부재의 제거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60245332A1 (ko)
EP (1) EP2962003B1 (ko)
JP (1) JP6397905B2 (ko)
KR (1) KR102102503B1 (ko)
CN (1) CN105683595B (ko)
DE (1) DE202013104768U1 (ko)
ES (1) ES2672742T3 (ko)
WO (1) WO2015059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8015B2 (en) * 2018-12-06 2021-04-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osition mount system
CN112682419B (zh) * 2021-03-16 2021-05-18 长岛高能聚氨酯有限公司 一种铝质关节球销总成及其生产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985A (ja) * 2003-07-01 2005-01-27 Honda Motor Co Ltd 防振型ボールジョイ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0208A (en) * 1952-11-18 1955-06-07 Columbus Auto Parts Universal joint
US3350042A (en) * 1965-10-11 1967-10-31 Clevite Corp Corrugated resilient mount
JPS5125902B2 (ko) * 1972-01-28 1976-08-03
JPS5137365A (ko) * 1974-09-27 1976-03-29 Toshio Hata
JPH01150242U (ko) * 1988-04-11 1989-10-17
JPH0720739Y2 (ja) * 1989-06-20 1995-05-15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ペダルアームの軸受部構造
US5265495A (en) * 1992-09-21 1993-11-30 Teleflex Incorporated Isolated shifter terminal assembly
DE19755284A1 (de) * 1997-12-22 1999-06-24 Schaeffler Waelzlager Ohg Kugelgelenk
DE10127630C2 (de) * 2000-06-13 2003-04-30 Kuester Automotive Control Sys Vorrichtung zur Längeneinstellung, insbesondere einer Fernbetätigung in Kraftfahrzeugen
DE10206085B4 (de) * 2002-02-13 2004-02-05 Dura Automotive Systems Gmbh Anschlußeinrichtung für ein Winkelgelenk
FR2895042B1 (fr) * 2005-12-15 2008-02-29 Dura Automotive Systems Soc Pa Dispositif de liaison a rotule entre deux elements d'une tranmission mecanique
EP2278178B1 (en) 2009-07-14 2013-02-27 Fulvio Orsolini Ball joint for connecting mechanical ele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985A (ja) * 2003-07-01 2005-01-27 Honda Motor Co Ltd 防振型ボールジョイ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7263B2 (en) 2021-11-30
US20160245332A1 (en) 2016-08-25
WO2015059056A1 (de) 2015-04-30
JP6397905B2 (ja) 2018-09-26
US20190368537A1 (en) 2019-12-05
CN105683595A (zh) 2016-06-15
KR20160073973A (ko) 2016-06-27
JP2016533938A (ja) 2016-11-04
EP2962003A1 (de) 2016-01-06
ES2672742T3 (es) 2018-06-15
EP2962003B1 (de) 2018-03-14
CN105683595B (zh) 2019-05-28
DE202013104768U1 (de)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772B2 (en) Device for damping vibrations of an airbag or an airbag apparatus
US10359091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US9709116B2 (en) Vibration isolating device
US10374482B2 (en) Motor mounting device
KR102102503B1 (ko) 입력 또는 출력 요소에 작동 부재의 제거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
KR101760265B1 (ko) 스핀들 드라이브
KR20210064267A (ko) 부시(bush)
KR20010020401A (ko) 전기 모터용 감결합 장치
CN108702061B (zh) 用于支撑电动机的组件,特别是在机动车辆加热、通风和/或空调装置中
KR20140139977A (ko) 하우징 커버, 특히 플라스틱 오일 섬프
US8118515B2 (en) Coupling rod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0200309226A1 (en) Vibration absorber
KR101933068B1 (ko) 샤프트 엔드를 지탱하고 중심 맞추기 위한 센터링 슬리브
US10451080B2 (en) Centrifugal fan having combined sealing and vibration isolation
KR101302247B1 (ko) 세탁기
WO2017110353A1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支持装置
CN109844372B (zh) 用于滚珠丝杠传动装置的螺母
KR101680168B1 (ko) 진동 절연을 위한 케이블 고정 장치
WO2019087913A1 (ja) 端末支持装置および端末支持装置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2020045931A (ja) 筒型防振装置
KR20190002804A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KR102417526B1 (ko) 차량용 마운트의 인슐레이터
WO2022239272A1 (ja) 防振装置
CN220134469U (zh) 连接接头
KR20170114696A (ko) 마운트 너트 인서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