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947B1 -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947B1
KR102100947B1 KR1020190179276A KR20190179276A KR102100947B1 KR 102100947 B1 KR102100947 B1 KR 102100947B1 KR 1020190179276 A KR1020190179276 A KR 1020190179276A KR 20190179276 A KR20190179276 A KR 20190179276A KR 102100947 B1 KR102100947 B1 KR 10210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rison
label
ai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성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53Moulding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e.g. ribs, high pol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벨 부착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도록 하여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용기의 성형시 라벨이 부착되는 지점에 일정 깊이의 라벨부착홈을 형성하고, 라벨부착홈에는 엠보싱면이 형성되어 라벨의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시 라벨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라벨의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A Labeling Type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Recycling and Method and Device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벨 부착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도록 하여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용기의 성형시 라벨이 부착되는 지점에 일정 깊이의 라벨부착홈을 형성하고, 라벨부착홈에는 엠보싱면이 형성되어 라벨의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시 라벨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라벨의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되는 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 등으로 인한 각종 환경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미국의 한 연구팀에 의하면 플라스틱 대중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1950년부터 2015년까지 생산된 총량이 무려 85억톤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2만5000개를 합한 무게에 해당한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으며 재활용을 위해 분리 수거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폐기되는 플라스틱 중 재활용이 용이한 것으로 분류되는 제품은 10&가 채 되지 않으며, 80% 이상의 플라스틱이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제품으로 분류되고 있고, 이의 상당 부분이 플라스틱 용기에 부착되거나 인쇄되는 라벨 등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용기의 경우 화장품에 대한 설명과 광고, 외관 디자인 등을 위해 용기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인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용기에 직접 인쇄하거나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금형 내에 라벨지를 삽입하여 용기 성형과 함께 라벨지를 부착하는 인몰드 성형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모두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4883호(2019.05.22. 공개)"화장품용기의 조립방법 및 화장품용기의 외부커버 상부면에 인몰드라벨을 부착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라벨 부착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도록 하여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용기의 성형시 라벨이 부착되는 지점에 일정 깊이의 라벨부착홈을 형성하고, 라벨부착홈에는 엠보싱면이 형성되어 라벨의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시 라벨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라벨의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패리슨 바닥에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지지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내부패리슨을 삽입하여 내부패리슨에 대한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 바닥에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바닥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잔량이 남지 않는 화장품 용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패리슨이 용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점에 형성된 접촉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외부 패리슨에 대한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용기 외형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성형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회오리를 발생시켜 패리슨 내에 분출되도록 하고 분출된 공기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성형공간 전체에 퍼지도록 함으로써 패리슨의 확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라벨이 부착되는 용기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라벨부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라벨부착홈은 굴곡되도록 형성되어 라벨이 부착되는 엠보싱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은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와, 상기 용기성형단계에서 성형된 화장품 용기의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라벨부착홈을 단차지게 형성하는 단차형성단계와, 상기 단차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라벨부착홈 상에 굴곡되는 엠보싱면을 형성하는 엠보싱면형성단계와, 상기 엠보싱면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엠보싱면 상에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은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와, 상기 용기성형단계에서 성형된 화장품 용기의 둘레를 따라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성형단계는 압출기에 의해 원료 수지를 압출하여 원통형의 패리슨을 형성하는 패리슨형성단계와, 패리슨을 성형금형에 삽입한 상태에서 패리슨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용기 모양으로 성형하는 블로우성형단계와, 상기 블로우성형단계에서 형성된 용기를 냉각하여 성형을 완료하는 냉각완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우성형단계는 성형금형의 내측으로 오목돌출면이 형성된 돌출단이 돌출된 상태에서 패리슨을 삽입하여 패리슨 내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성형단계는 용기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패리슨을 성형금형 내에 삽입하는 외부패리슨삽입단계와; 상기 외부패리슨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외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공기주입단계와; 상기 제1공기주입단계에 의해 형성된 외부패리슨 내에 지지체를 삽입하는 지지체삽입단계와; 상기 지지체가 삽입된 외부패리슨 내에 내부패리슨을 삽입하는 내부패리슨삽입단계와; 상기 내부패리슨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외부 용기와 지지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공기주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삽입단계는 외부 패리슨의 바닥 전체에 안착되며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지지체를 외부패리슨 내에 삽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주입단계는 성형금형 내측에 형성되는 접촉센서에 의해 외부패리슨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단계와, 접촉정보를 주입제어부로 전송하는 접촉정보전송단계와, 접촉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공기주입을 종료하는 공기주입종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종료단계는 용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점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접촉센서로부터 모두 접촉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장치는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성형부와, 상기 용기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화장품 용기의 둘레를 따라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성형부는 원료 수지를 압출하여 패리슨을 형성하는 압출기와, 내부에 화장품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패리슨이 삽입되는 성형금형과, 상기 성형금형 내에 삽입된 패리슨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금형은 화장품 용기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성형공간과, 상기 성형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화장품 용기 상에 라벨부착홈을 형성하는 돌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부는 성형공간 내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주입관과, 상기 공기주입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공기분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관은 공기주입관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주입관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주입관의 하단까지 이동하도록 하는 수직이동관과; 상기 수직이동관을 중심으로 측면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수직이동관의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분출공과 연통되어 회오리를 일으키며 외부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회오리형성관;을 포함하고, 상기 회오리형성관은 수직이동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지점에서 상하측을 향해 경사져 한 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이동관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지점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은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와, 상기 용기성형단계에서 성형된 화장품 용기의 둘레를 따라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성형단계는 압출기에 의해 원료 수지를 압출하여 원통형의 패리슨을 형성하는 패리슨형성단계와, 패리슨을 성형금형에 삽입한 상태에서 패리슨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용기 모양으로 성형하는 블로우성형단계와, 상기 블로우성형단계에서 형성된 용기를 냉각하여 성형을 완료하는 냉각완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우성형단계는 성형금형의 내측으로 분리홈형성단이 돌출된 상태에서 패리슨을 삽입하여 패리슨 내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은 라벨의 부착력을 검사하는 라벨검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검사단계는 무게추가 형성된 고정클립을 클립이동부에 의해 이동시켜 라벨에 연결하는 클립연결단계와, 고정클립이 라벨에 연결된 후 라벨이 용기로부터 떨어져 무게추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는 낙하시간측정단계와, 측정된 낙하시간에 따라 라벨 부착력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이상감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연결단계는 고정클립을 용기에 부착된 라벨에 밀착시키는 클립밀착단계와, 고정클립이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를 회전시키는 용기회전단계와, 고정클립이 상기 분리홈형성단에 의해 형성된 용기의 분리홈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삽입감지단계와, 삽입이 감지되는 경우 고정클립을 통해 라벨을 파지하도록 하는 클립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장치는 라벨의 부착력을 검사하는 라벨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검사부는 화장품 용기가 이동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화장품 용기에 부착된 라벨을 파지하여 라벨의 부착력을 시험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분리홈에 삽입되어 라벨을 파지하는 파지집게와, 일단이 상기 파지집게와 연결되고 타단에 무게추가 형성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에 형성되어 파지집게에 의해 파지된 라벨을 당기는 무게추와, 상기 파지집게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결와이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는 바닥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바닥에 떨어지는 시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벨검사부는 고정클립을 이동시켜 용기에 밀착시키는 클립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이동부는 고정클립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수단과, 고정클립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과, 상기 고정클립을 집는 클립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이동부재가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좌우이동레일과, 좌우이동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후이동수단이 고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좌우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이동부재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전후지지대와, 상기 전후지지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립집게가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라벨 부착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도록 하여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용기의 성형시 라벨이 부착되는 지점에 일정 깊이의 라벨부착홈을 형성하고, 라벨부착홈에는 엠보싱면이 형성되어 라벨의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시 라벨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라벨의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패리슨 바닥에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지지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내부패리슨을 삽입하여 내부패리슨에 대한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 바닥에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바닥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잔량이 남지 않는 화장품 용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 패리슨이 용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점에 형성된 접촉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외부 패리슨에 대한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용기 외형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성형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회오리를 발생시켜 패리슨 내에 분출되도록 하고 분출된 공기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성형공간 전체에 퍼지도록 함으로써 패리슨의 확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스틱의 블로우 성형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a) 및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도 5의 블로우성형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도 6의 제1공기주입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다른 제조방법을 위한 제조장치의 용기성형부에 의해 외부패리슨삽입단계 및 제1공기주입단계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다른 제조방법을 위한 제조장치의 용기성형부에 의해 내부패리슨삽입단계 및 제2공기주입단계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공기주입부의 종단면도(a) 및 횡단면도(b)
도 11은 주입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정면도(a) 및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도 13의 라벨검사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제조장치의 용기성형부에 의해 외부패리슨삽입단계 및 제1공기주입단계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6은 라벨검사부의 작동상태도
도 17은 도 16의 파지집게의 평면도
도 18은 클립이동부의 작동상태도
도 19는 검사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0은 종래 화장품용기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장품 용기(P)는 라벨(L)이 부착되는 용기(P)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라벨부착홈(P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P)는 샴푸, 로션, 크림, 오일 등의 화장품류를 수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도록 하면서, 라벨(L)이 부착되는 라벨링 타입으로 제조되도록 하여 용기(P)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 화장품 용기(P1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P)는 재활용시 라벨의 제거가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라벨(L)이 부착되는 둘레를 따라 엠보싱면(P11)이 형성된 라벨부착홈(P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장품 용기(P)는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제조된 용기(P)의 둘레를 따라 라벨(L)을 부착하여 용기(P)의 제조를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벨부착홈(P1)은 화장품 용기(P)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라벨(L)이 부착되는 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P)에는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대한 설명과 광고, 외관 디자인 등을 위해 용기 둘레 전체를 따라 라벨(L)이 부착되므로, 상기 라벨부착홈(P1)은 일정 폭으로 용기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라벨부착홈(P1)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벨(L)이 부착되는 일정 지점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라벨부착홈(P1)은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엠보싱면(P11)을 포함하여 재활용시 라벨(L)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엠보싱면(P11)은 상기 라벨부착홈(P1) 상에 굴곡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라벨(L)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가진 상태에서 라벨(L)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엠보싱면(P11)은 라벨(L)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재활용시 별도의 장치에 의해 라벨(L)을 용기(P)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면(P11)은 용기(P)의 원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입된 라벨부착홈(P1) 상에 형성되어 라벨(L)이 부착되므로 용기(P)의 사용중 라벨(L)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면(P11)은 라운드지게 굴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라벨(L)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더욱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은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S1)와, 상기 용기성형단계(S1)에서 성형된 화장품 용기의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라벨부착홈(P1)을 단차지게 형성하는 단차형성단계(S2)와, 상기 단차형성단계(S2)에 의해 형성된 라벨부착홈(P1) 상에 라운드지게 굴곡되는 엠보싱면(P11)을 형성하는 엠보싱면형성단계(S3)와, 상기 엠보싱면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엠보싱면(P11) 상에 라벨(L)을 부착하는 라벨링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플라스틱의 블로우 성형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원료공급단계(a), 압출단계(b), 패리슨삽입단계(c), 공기주입단계(d), 냉각단계(e), 성형완료단계(f)를 포함하며, 압출기(100)에 원료수지가 공급되어 원통형의 패리슨(200)이 압출되고, 성형금형(300) 내에 패리슨(200)을 삽입한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용기(400)가 성형되며, 냉각 과정을 거쳐 성형이 완료된다. 상기 용기성형단계(S1)는 종래 블로우 성형공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차형성단계(S2)는 상기 용기성형단계(S1)에서 성형된 용기(P)의 둘레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여 라벨부착홈(P1)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절삭 가능한 공구에 의하여 용기(P)의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는 라벨부착홈(P1)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면형성단계(S3)는 라벨부착홈(P1) 상에 라운드지게 굴곡되는 엠보싱면(P1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엠보싱면형성단계(S3) 역시 별도의 절삭공구에 의해 용기의 둘레를 절삭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벨링단계(S4)는 상기 엠보싱면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엠보싱면(P11)에 라벨(L)을 부착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인 라벨 부착과정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벨링단계(S4)는 용기(P) 둘레를 따라 별도의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층에 라벨(L)을 접촉시킴으로써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라벨링단계(S4)에서 부착되는 라벨은 용기(P)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되어 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P)의 폐기 후 재활용시에는 용기(P)에 형성된 엠보싱면(P11)을 통해 용이하고 신속하며 깔끔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다른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조방법은 라벨부착홈(P1) 및 엠보싱면(P11)의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단차형성단계(S2) 및 엠보싱면형성단계(S3)를 포함하는 대신, 블로우성형단계(S12')에서 라벨부착홈(P1) 및 엠보싱면(P11)이 모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용기성형단계(S1') 및 라벨링단계(S4')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링단계(S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용기성형단계(S1')는 일 실시예와 달리 성형금형(12)의 내측으로 오목돌출면(122a)이 형성된 돌출단(122)이 돌출된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기성형단계(S1')에서 라벨부착홈(P1) 및 엠보싱면(P11)이 모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용기의 바닥에 바닥수용홈(P3)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P)는 뚜껑에 튜브 등이 삽입되어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용기(P)의 바닥에 바닥수용홈(P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잔량없이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성형금형(12) 내에 접촉센서(124)를 설치하여 패리슨의 확장이 용기(P)의 형상에 맞게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리슨에 대한 공기의 주입시 패리슨 전체에 걸쳐 공기가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성형공간으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패리슨의 확장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용기성형단계(S1')는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P)를 형성하는 단계로, 원료 수지를 압출하여 패리슨을 형성하는 패리슨형성단계(S11'), 패리슨을 성형금형(12)에 삽입하고 패리슨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P)의 외형을 형성하는 블로우성형단계(S12'), 블로우성형단계(S12')에서 형성된 용기(P)를 냉각하여 성형을 완료하는 냉각완료단계(S13')를 포함한다.
상기 패리슨형성단계(S11')는 원료 수지를 압출기(11)에 공급하여 패리슨을 형성하는 단계로, 일 예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의 패리슨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리슨형성단계(S11')에 의해 형성되는 패리슨은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원통형의 압출물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패리슨형성단계(S11')는 외부패리슨(112)을 형성하는 외부패리슨형성단계(S111')와 내부패리슨(111)을 형성하는 내부패리슨형성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리슨형성단계(S111')는 용기(P)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패리슨(112)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종래와 같이 압출기(11)에 의해 원통형의 외부패리슨(112)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패리슨형성단계(S111')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패리슨(112)은 성형금형(12) 내에 삽입되어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용기(P)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내부패리슨형성단계(S112')는 내부패리슨(111)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외부패리슨형성단계(S111')와 동일하게 압출기(11)에 의한 압출에 의해 원통형의 내부패리슨(111)이 형성된다. 내부패리슨형성단계(S112)는 외부패리슨(112)의 공기주입이 이루어지고 난 후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되어 외부패리슨(112)의 내측에 밀착 결합된다. 이때 내부패리슨(111)은 외부패리슨(112)의 바닥에 지지체(123)가 삽입된 후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되도록 하여 화장품 용기(P) 내에 바닥수용홈(P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블로우성형단계(S12')는 패리슨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P)를 성형하는 과정으로,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한다. 상기 블로우성형단계(S12')는 외부패리슨(112)에 먼저 공기를 주입한 다음 외부패리슨(112) 내에 지지체(123)와 내부패리슨(111)을 삽입하여 내부패리슨(111) 내에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닥수용홈(P3)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P)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성형금형(12)의 내측으로는 라벨부착홈(P1)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단(122)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단(122) 상에는 오목돌출면(122a)이 형성되어, 상기 블로우성형단계(S12')에서는 엠보싱면(P11)을 가진 라벨부착홈(P1)이 형성된 외부패리슨(112)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로우성형단계(S12')에서의 공기주입은 특유의 구성을 가지는 공기주입부(13)에 의해 패리슨 전체에 걸쳐 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과적인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고 정확한 용기 외형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용기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로우성형단계(S12')는 외부패리슨삽입단계(S121'), 제1공기주입단계(S122'), 지지체삽입단계(S123'), 내부패리슨삽입단계(S124'), 제2공기주입단계(S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리슨삽입단계(S121')는 상기 외부패리슨형성단계(S111')에서 형성된 외부패리슨(112)을 성형금형(12) 내에 삽입하는 단계로, 압출기(11)로부터 압출되는 외부패리슨(112)이 양측으로 분할된 성형금형(12)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공기주입단계(S122')는 성형금형(12) 내에 삽입된 외부패리슨(112) 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로, 외부패리슨(112) 내에 공기주입부(13)가 삽입되어 외부패리슨(112)을 확장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성형금형(12) 내의 외부패리슨(112)은 성형금형(12) 내의 성형공간(12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며, 용기(P)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금형(12) 내측에는 오목돌출면(122a)을 가진 돌출단(122)이 형성되므로, 제1공기주입단계(S122')에서 공기주입을 완료하고 나면 외부패리슨(112) 상에는 엠보싱면(P11)이 형성된 라벨부착홈(P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형금형(12)의 내측에는 접촉센서(124)가 형성되어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패리슨(112)이 성형공간(121) 전체에 걸쳐 부풀어 오른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접촉센서(124)는 공기의 주입 위치로부터 가장 먼 용기(P)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접촉센서(124)에서 모두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도록 하여 용기(P)의 외형 형성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공기주입단계(S122')는 접촉감지단계(S122a'), 접촉정보전송단계(S122b'), 공기주입종료단계(S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단계(S122a')는 접촉센서(124)에 의해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이 감지되는 단계로, 외부패리슨(112)이 성형공간(121)에 맞게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접촉센서(124)는 공기가 가장 늦게 주입되는 용기(P)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되므로 외부패리슨(112)이 성형공간(121) 전체에 걸쳐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접촉정보전송단계(S122b')는 접촉감지단계(S122a')에서 감지되는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정보를 공기주입부(13)로 전송하는 단계로, 공기주입부(13)에서는 접촉센서(124)의 감지신호에 따라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공기주입종료단계(S122c')는 접촉정보전송단계(S122b')에서 전송되는 접촉신호에 따라 제1공기주입단계(S122')에서의 공기 주입을 중단하는 단계로, 복수의 접촉센서(124)에 의해 모두 접촉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도록 한다. 따라서, 용기(P) 외형의 형성과 함께 공기의 주입을 중단하도록 하여 공기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P) 모서리까지 모두 부풀어 오르는 경우에만 공기의 주입이 중단되므로 용기(P) 외형의 올바른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삽입단계(S123')는 상기 제1공기주입단계(S122')에서 부풀어 오른 외부패리슨(112) 내에 지지체(123)를 삽입하는 과정으로, 내부패리슨(111)이 형성하는 바닥의 모양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삽입단계(S123')에서 삽입되는 지지체(123)는 용기(P)의 바닥에 상응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일정 높이를 가지며, 바닥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삽입단계(S123')에서는 외부패리슨(112)의 바닥에 지지체(123)를 삽입하고, 그 위에 내부패리슨(111)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용기(P)의 바닥은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바닥수용홈(P3)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P)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은 바닥수용홈(P3)으로 모여지게 되고, 바닥수용홈(P3)까지 튜브가 삽입되어 내용물을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용기(P)에 내용물의 잔량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패리슨삽입단계(S124')는 지지체(123)가 삽입된 외부패리슨(112) 내에 내부패리슨(111)을 삽입하는 과정으로, 상기 내부패리슨형성단계(S112')에서 형성되는 내부패리슨(111)이 성형금형(12) 내의 외부패리슨(112)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2공기주입단계(S125')는 내부패리슨(111) 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으로, 공기주입부(13)를 통한 공기의 주입을 통해 내부패리슨(111)이 외부패리슨(112) 및 지지체(123)에 압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화장품 용기(P)는 바닥에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바닥수용홈(P3)을 형성한 상태로 성형이 완료된다.
상기 냉각완료단계(S13')는 제2공기주입단계(S125')의 종료 후 용기(P)를 냉각시켜 성형을 완료하는 과정으로, 상온에서의 냉각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공기주입부(13)를 통한 냉기의 공급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의 고화를 통해 용기(P)의 성형이 완료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P)의 다른 제조방법을 위한 제조장치를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장품 용기 제조장치는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성형부(1)와, 상기 용기성형부(1)에 의해 성형된 화장품 용기의 둘레를 따라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부(2)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성형부(1)는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P)를 제조하는 구성으로, 원료 수지를 압출하여 패리슨을 압출하는 압출기(11), 패리슨을 내부에 삽입하여 용기(P)의 모양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금형(12), 성형금형(12) 내에 삽입된 패리슨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13), 공기주입부(13)에 의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주입제어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기(11)는 원료수지, 바람직하게는 PET 소재의 플라스틱을 형성하는 원료 수지를 압출하여 원통형의 패리슨을 형성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내부패리슨(111)과 외부패리슨(11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11)는 종래 압출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내부패리슨(111)과 외부패리슨(112)은 동일한 원통형으로 압출되어 성형금형(12) 내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부패리슨(111)은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되어 용기(P)의 내벽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지지체(123)가 삽입된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되어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패리슨(111)은 공기의 주입에 따라 부풀어 올라 외부패리슨(112)에 밀착 결합하며, 결합을 위해 내부패리슨(111)의 외측에 점착물질을 도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패리슨(112) 바닥에 지지체(123)가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패리슨(111)이 부풀어올라 밀착되므로, 용기(P)의 바닥에는 지지체(123)의 형상에 맞게 바닥수용홈(P3)이 형성되며, 바닥수용홈(P3)에 내용물이 모여지게 된다.
상기 외부패리슨(112)은 용기(P)의 외벽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성형금형(12) 내에 삽입되어 공기의 주입을 통해 성형금형(12)의 성형공간(12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상기 성형금형(12)은 공기의 주입을 통해 용기(P)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용기(P) 외형의 형상을 갖는 성형공간(121)을 포함하도록 하고, 일 지점에는 성형공간(121)측으로 돌출단(122)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며,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되는 지지체(123)와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공간(121)은 패리슨이 삽입되어 공기의 주입을 통해 용기의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용기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성형공간(121)은 내부패리슨(111) 및 외부패리슨(112)에 대한 공기의 주입에 따라 성형공간(12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단(122)은 용기(P)의 둘레를 따라 라벨부착홈(P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성형금형(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단(122)은 그 내측 표면에 라운드지게 굴곡되는 오목돌출면(122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벨부착홈(P1) 상에 엠보싱면(P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엠보싱면(P11)에 부착된 라벨(L)은 재활용시 엠보싱면(P11)과 라벨(L)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엠보싱면(P11)은 용기(P)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입된 라벨부착홈(P1)에 형성되므로 라벨(L)이 사용 중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라운드진 엠보싱면(P11)을 통해 라벨(L)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적인 접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3)는 공기 주입에 의해 확장된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되어 용기(P) 내에 바닥수용홈(P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외부패리슨(112)의 바닥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체(123)는 별도의 장비에 의해 외부패리슨(112) 내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패리슨(112)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123)는 용기(P)의 바닥에 상응하는 크기 및 모양,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면(123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체(123)는 원형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상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경사면(12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에 상응하는 형상의 바닥수용홈(P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체(123)가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패리슨(111)이 외부패리슨(112) 내에 삽입되며, 내부패리슨(111)은 공기의 주입에 의해 확장되어 외부패리슨(112) 및 지지체(123)에 밀착된다. 따라서, 용기(P)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바닥이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바닥수용홈(P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P) 내의 내용물이 바닥수용홈(P3)에 모일 수 있도록 하고, 바닥수용홈(P3)에 튜브 등을 위치시켜 내용물의 잔량 없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센서(124)는 성형금형(12)의 성형공간(121)측에 형성되어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용기(P)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점에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P)는 상부에 너비가 좁아지는 입구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용기에는 너비가 좁아지는 부분과 바닥부분에 용기(P)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모서리 부분에는 공기주입부(13)에 의한 공기의 주입시 외부패리슨(112)의 확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용기의 성형에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성형금형(12)의 내측으로 외부패리슨(112)의 절곡이 이루어지는 모서리 부분에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124)를 포함하도록 하여 외부패리슨(112)이 모서리부분까지 완전히 확장될 때까지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P)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124)는 모서리 지점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접촉센서(124)에서 모두 외부패리슨(112)이 접촉되는 경우에만 공기의 주입을 중단하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용기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주입부(13)는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의 모양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성형금형(12)의 상측을 통해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 내로 삽입되어 공기를 주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부(13)는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의 확장이 모두 이루어진 후 내부패리슨(111) 내에 냉기를 공급하여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P)의 성형을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부(13)는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 전체에 고르고 신속한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공기주입관(131)을 바닥까지 연장하여 형성되도록 하며, 공기주입관(131)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공기분출공(132)을 통해 사방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공기주입부(1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회오리를 일으키며 서로 충돌하면서 사방으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 전체에 대한 고르고 신속한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용기(P)의 외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관(131)은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외부패리슨(112) 및 내부패리슨(111)의 바닥 끝까지 형성되어 공기의 고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관(131)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수직이동관(131a)과 수직이동관(131a)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분기되어 회오리를 일으키며 사방을 향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회오리형성관(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관(131a)은 공기주입관(131)의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를 공급받으며, 복수의 지점에서 회오리형성관(131b)이 분기되어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관(131a)은 공기주입관(131) 하단에 형성되는 바닥분출공(132b)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닥분출공(132b)을 통해 용기(P)의 바닥을 향한 공기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오리형성관(131b)은 수직이동관(131a)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분기되어 공기가 회오리를 일으키며 성형공간(121)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회오리를 일으키며 사방으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형공간(121) 전체에 고르고 신속하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오리형성관(131b)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관(131a) 상에 복수의 지점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관(131a)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오리형성관(131b)은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분기되는 상방회오리관(131b-1) 및 하방회오리관(131b-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방회오리관(131b-1) 및 하방회오리관(131b-2)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들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며 사방으로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분출공(132)은 공기주입부(13)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패리슨 내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구성으로, 공기주입관(131)과 연결된다. 상기 공기분출공(132)은 공기주입관(131)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분출공(132a)과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분출공(13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분출공(132a)은 회오리형성관(131b)과 연결되고 바닥분출공(132b)은 수직이동관(131a)과 연결된다. 특히 바닥분출공(132b)은 용기(P)의 바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내부패리슨(111)의 확장시 바닥분출공(132b)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가 바닥의 중심을 향하게 되므로 바닥수용홈(P3)의 형성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입제어부(14)는 공기주입부(13)를 통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특히 외부패리슨(112)에 대한 공기의 주입시 접촉센서(124)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공기의 주입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센서(124)는 성형금형(12)에 접촉되는 외부패리슨(112)을 감지하며, 외부패리슨(112)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패리슨(112)이 모서리 부분까지 확장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주입제어부(14)는 접촉센서(124)에 의해 외부패리슨(112)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접촉정보수신모듈(141)과 공기주입종료모듈(142)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정보수신모듈(141)은 접촉센서(124)로부터 외부패리슨(112)이 접촉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접촉센서(124)로부터 접촉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공기주입종료모듈(142)은 접촉정보수신모듈(141)에 의해 접촉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외부패리슨(112)에 대한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접촉센서(124)에서 모두 접촉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도록 한다.
상기 라벨링부(2)는 상기 용기성형부(1)에서 성형이 완료된 용기(P)에 라벨을 부착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라벨부착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벨링부(2)는 용기(P)의 둘레를 따라 별도의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층에 라벨(L)을 접촉시킴으로써 라벨(L)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벨링부(2)는 용기(P)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라벨(L)을 부착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P)의 폐기 후 재활용시에는 라벨부착홈(P1)에 형성된 엠보싱면(P11)을 통해 용이하고 신속하며 깔끔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P')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장품 용기(P')는 라벨이 부착되는 지점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는 분리홈(P2)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화장품 용기(P')는 라벨(L)이 부착되는 용기(P)의 둘레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일 실시예의 라벨부착홈(P1)과는 달리 일 지점에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리홈(P2)을 포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화장품 용기(P')는 용기(P')의 재활용시 분리홈(P2)에 집게와 같은 별도의 분리수단을 삽입하여 라벨(L)의 용이하고 신속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홈(P2)은 라벨(L)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라벨(L) 전체를 쉽게 파지하여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홈(P2)은 라벨(L)의 상하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벨(L)의 분리시 라벨(L)이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고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홈(P2)은 라벨(L)의 더욱 용이한 분리를 위해 삽입홈(P21) 및 파지홈(P22)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P21) 및 파지홈(P22)은 양측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삽입홈(P21)이 파지홈(P22)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P21)에 삽입된 집게 등이 파지홈(P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라벨(L)을 쉽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삽입홈(P21) 만이 형성되는 경우네느 집게와 라벨(L)이 겹쳐져 라벨(L)을 파지할 수 없게 되거나 집게 등이 삽입홈(P21)에 걸려 제대로 오므려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파지홈(P22)의 추가적인 형성을 통해 삽입홈(P21)에 삽입되는 집게 등이 파지홈(P22)을 통해 라벨(L)을 더욱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P')의 제조방법을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조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P')의 다른 제조방법과 같이 용기성형단계(S1'''), 라벨링단계(S4''')를 포함한다. 다만, 용기성형단계(S1''')에서는 성형금형(12)에 돌출단(122) 대신에 분리홈형성단(125) 이 형성된 상태에서 패리슨에 대한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기(P')에 분리홈(P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제조방법은 분리홈(P2)의 존재에 의해 라벨(L)의 정상 부착 여부를 쉽게 시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검사단계(S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라벨검사단계(S5''')는 라벨의 부착력을 검사하는 과정으로, 상기 라벨링단계(S4''')를 통과하는 용기(P') 중 일부를 추출하여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라벨검사단계(S5''')는 라벨링단계(S4''')를 통과하는 용기(P)의 일정 개수 중 하나씩 별도의 이동레일(31)을 통해 추출하여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라벨이 정상적으로 부착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실크 인쇄나 인몰드 인쇄 방식이 아닌 라벨링 방식으로 화장품 용기(P')를 제작하므로 실크 인쇄나 인몰드 인쇄 방식에 비해 라벨이 분리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라벨검사단계(S5''')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라벨의 부착력을 시험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라벨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라벨검사단계(S5''')는 용기(P')에 부착된 라벨(L)을 무게추(323)가 형성된 고정클립(32)에 의해 파지하여 라벨(L)이 완전히 분리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라벨(L)의 부착력을 검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부착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정 개수 전의 용기(P)를 추가적으로 검사하여 부착력의 이상이 발생되기 시작한 지점을 찾도록 함으로써 라벨(L)의 부착력에 이상이 있는 불량 용기(P)가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라벨검사단계(S5''')는 클립연결단계(S51'''), 낙하시간측정단계(S52'''), 이상감지단계(S53'''), 추가회수단계(S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연결단계(S51''')는 라벨(L)의 부착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정클립(32)을 라벨(L)에 연결시키는 단계로, 고정클립(32)이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P')를 회전시켜 고정클립(32)이 분리홈(P2)에 삽입되도록 하고, 라벨(L)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연결단계(S51''')는 클립밀착단계(S511'''), 용기회전단계(S512'''), 삽입감지단계(S513'''), 클립고정단계(S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밀착단계(S511''')는 고정클립(32)을 용기(P')에 밀착시키는 단계로, 더욱 정확하게는 용기(P')의 라벨(L)에 밀착된다. 상기 라벨링단계(S4''')를 거친 용기(P') 중 일부는 이동레일(31)을 따라 라벨검사단계(S5''')를 거치게 되는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31)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클립(32)을 이동시켜 용기(P')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립밀착단계(S511''')에서는 고정클립(32)이 라벨(L)의 상하 높이에 맞추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회전단계(S512''')는 클립밀착단계(S511''')에서 고정클립(32)이 용기(P')의 라벨(L)에 밀착되도록 한 후 용기(P')를 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동레일(31)에 형성된 회전판(312)을 회전시키도록 하며, 고정클립(32)이 용기(P')에 형성된 분리홈(P2)에 삽입될 때까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삽입감지단계(S513''')는 분리홈(P2)에 고정클립(32)이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로, 고정클립(32)을 이동시키는 클립이동부(33)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클립(32)은 용기(P')의 회전에 따라 용기(P')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P')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며, 분리홈(P2)에 도달하는 경우 고정클립(32)에 형성된 돌출날(321a)에 의해 라벨(L)을 뚫고 들어가 분리홈(P2)에 삽입되는데, 상기 삽입감지단계(S513''')에서는 이를 감지하도록 하여 고정클립(32)이 라벨(L)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립고정단계(S514''')는 고정클립(32)이 분리홈(P2)에 삽입됨과 동시에 라벨(L)의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고정클립(32)의 파지집게(321)에 의해 라벨(L)을 파지하도록 한다. 상기 클립고정단계(S514''')는 삽입감지단계(S513''')에서 분리홈(P2)에 대한 고정클립(32)의 삽입이 감지되는 경우 파지집게(321)를 오므릴 수 있도록 하며, 이는 클립이동부(33)의 후술할 클립집게(333)가 파지집게(321)를 놓음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분리홈(P2)은 삽입홈(P21)과 파지홈(P22)으로 분리 형성되므로 라벨(L)의 효과적인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낙하시간측정단계(S52''')는 상기 클립연결단계(S51''')에서 라벨(L)에 대한 고정클립(32)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 고정클립(32)에 형성된 무게추(323)가 바닥으로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로, 고정클립(32)이 라벨(L)에 고정된 시점부터 무게추(323)가 무게추수용홈(313)에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도록 한다. 라벨(L)에 연결된 고정클립(32)은 무게추(323)의 무게에 의해 라벨(L)을 당기게 되고, 일정 시간이 지다면 라벨(L)은 용기(P')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무게추수용홈(313)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낙하시간측정단계(S52''')에서는 이 낙하시간을 측정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라벨(L)이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낙하시간측정단계(S52''')는 고정클립(32)이 라벨(L)에 고정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클립고정정보수신단계(S521''')와 무게추(323)가 무게추수용홈(313)에 낙하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낙하정보수신단계(S5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의 차이에 따라 낙하시간을 산출하도록 한다. 이때, 클립고정정보수신단계(S521''')는 클립집게(333)가 파지집게(321)를 놓아 파지집게(321)가 라벨(L)을 파지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낙하정보수신단계(S522''')는 무게추(323)에 형성된 센서모듈(323a)이 무게추수용홈(313)과 접촉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이상감지단계(S53''')는 라벨(L) 부착력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로, 상기 낙하시간측정단계(S52''')에서 측정되는 무게추(323)의 낙하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부착력 이상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추가회수단계(S54''')는 상기 이상감지단계(S53''')에서 라벨(L) 부착력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라벨(L)이 부착된 일정 개수 전의 용기(P')를 추가적으로 회수하여 부착력의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동레일(31)을 통해 추가적인 용기(P')의 유입과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라벨검사단계(S5''')는 라벨(L)이 부착되는 용기(P') 100개 중 하나 꼴로 라벨(L) 부착력의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라벨(L)의 부착력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추가회수단계(S54''')에서는 20개 전의 용기의 라벨 부착력을 다시 검사하도록 하고, 그럼에도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시 20개 전 용기의 라벨 부착력을 검사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라벨의 부착력이 정상인 경우에는 그 사이 10개 전의 용기를 검사하고 정상인 경우 5개전의 용기를 검사하는 등의 방식으로 점차 그 범위를 좁혀가도록 하여 어느 지점에서부터 라벨 부착의 불량이 발생하였는지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불량이 발생하기 시작한 지점이 찾아지면 그 사이의 용기(P')에 대해서는 라벨링단계(S4''')를 다시 점검하여 다시 라벨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P')의 제조장치를 도 15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조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P)의 제조장치와 동일한 용기성형부(1) 및 라벨링부(2)를 포함하며, 용기성형부(1)는 압출기(11), 성형금형(12), 공기주입부(13), 주입제어부(14)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성형금형(12)은 돌출단(122) 대신 분리홈형성단(125)을 포함하여 용기(P')에 라벨부착홈(P1) 대신 분리홈(P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는 라벨검사부(3)를 포함하여 라벨(L)의 정상부착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홈형성단(125)은 용기(P) 외면에 분리홈(P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성형금형(12)이 내측 일 지점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홈형성단(125)은 라벨(L)이 부착되는 용기(P) 표면에 일정 깊이 함입되는 분리홈(P2)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라벨(L)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라벨(L)의 분리시 분리홈(P2)에는 라벨(L)을 파지하기 위한 집게 등의 구성이 삽입되도록 하여 라벨(L)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홈형성단(125)은 라벨(L)이 부착되는 지점에 라벨(L)의 높이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벨(L) 전체에 걸쳐 분리홈(P2)이 형성되도록 하여 라벨(L) 전체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홈형성단(125)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홈(P2)이 라벨(L) 상하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에 상응하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리홈(P2)은 라벨(L)의 분리시 라벨(L)이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고 깔끔하게 분리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홈형성단(125)은 삽입홈형성단(125a) 및 파지홈형성단(125b)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형성단(125a)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P21)을 형성하도록 삽입홈(P21)에 상응하는 높이로 성형공간(121)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파지홈형성단(125b)은 파지홈(P22)을 형성하도록 파지홈(P22)에 상응하는 높이로 성형공간(121)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P21)은 파지홈(P22)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홈(P21)에 삽입된 집게 등이 파지홈(P22)에 의해 발생된 공간을 통해 라벨(L)을 쉽게 파지할 수 있게 되며, 만약 삽입홈(P21)만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집게와 라벨(L)이 겹쳐져 라벨(L)을 파지할 수 없게 되거나 집게 등이 삽입홈(P21) 걸려 제대로 오므려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라벨검사부(3)는 라벨의 부착력을 검사하는 구성으로, 라벨링부(2)를 통과하는 용기(P') 중 일부를 추출하여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라벨검사부(3)는 라벨링부(2)를 통과하는 용기(P')의 일정 개수 중 하나씩 별도의 이동레일(31)을 통해 추출하여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라벨이 정상적으로 부착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실크 인쇄나 인몰드 인쇄 방식이 아닌 라벨링 방식으로 화장품 용기를 제작하므로 실크 인쇄나 인몰드 인쇄 방식에 비해 라벨이 분리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라벨검사부(3)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라벨의 부착력을 시험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라벨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라벨검사부(3)는 용기(P')에 부착된 라벨(L)을 무게추(323)가 형성된 고정클립(32)에 의해 파지하여 라벨(L)이 완전히 분리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라벨(L)의 부착력을 검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부착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정 개수 전의 용기(P')를 추가적으로 검사하여 부착력의 이상이 발생되기 시작한 지점을 찾도록 함으로써 라벨(L)의 부착력에 이상이 있는 불량 용기(P')가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라벨검사부(3)는 이동레일(31), 고정클립(32), 클립이동부(33) 및 검사제어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31)은 라벨(L)의 부착력이 검사될 용기(P')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단(311)을 통해 용기(P')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이동레일(31)은 용기(P')의 상하측으로 형성되어 용기(P')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수용단(311)도 상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레일(31)에는 회전판(312)이 형성되어 용기(P')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동레일(31)의 일측에는 무게추수용홈(313)이 형성되어 라벨(L)의 분리에 따라 떨어지는 무게추(3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클립(32)은 라벨(L)을 파지하여 용기(P')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용기(P')의 표면에 형성된 분리홈(P2)에 삽입되어 라벨(L)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클립(32)이 용기(P')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판(312)의 회전에 따라 용기(P')를 회전시키고, 고정클립(32)이 분리홈(P2)의 위치에 도달하면 라벨(L)을 뚫고 들어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클립(32)에 의해 파지된 라벨(L)이 용기(P')로부터 분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라벨(L) 부착력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클립(32)은 파지집게(321), 연결와이어(322), 무게추(323), 와이어지지단(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집게(321)는 라벨(L)을 파지하여 고정클립(32)이 라벨(L)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라벨(L)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상기 파지집게(32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양측으로 분할되어 오므리거나 벌려질 수 있도록 하며, 타측이 클립이동부(33)의 후술할 클립집게(333)에 의해 잡히는 경우 벌려지고 클립집게(333)로부터 놓아지는 경우 자동으로 오므려져 라벨(L)을 잡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지집게(321)는 클립집게(333)에 의해 잡혀 벌려지거나 놓아져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단(321b)이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집게(321)는 누름단(321b)이 클립집게(333)에 의해 잡혀 벌려진 상태로 용기(P')에 밀착되며, 분리홈(P2)에 삽입되는 순간 클립집게(333)로부터 놓아져 라벨(L)을 파지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라벨(L)과 맞닿는 파지집게(321)의 하측에는 돌출날(321a)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돌출날(321a)은 용기(P')에 밀착되므로 분리홈(P2)에 도달하는 순간 라벨(L)을 뚤고들어가 분리홈(P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32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집게(321)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끝단에는 무게추(323)가 형성된다.
상기 무게추(323)는 연결와이어(322)의 끝단에 형성되어 라벨(L)을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클립집게(333)가 파지집게(321)를 놓는 경우 무게추(323)의 무게에 의해 라벨(L)이 당겨져 용기(P')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무게추(323)는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323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모듈(323a)은 무게추수용홈(313)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낙하시간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지지단(324)은 연결와이어(322)의 하측에 형성되어 연결와이어(32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파지집게(32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무게추(323)가 파지집게(32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무게추(323)가 다른 구성들에 간섭되지 않고 무게추수용홈(313)으로 낙하되어 정확한 낙하시간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이동부(33)는 고정클립(32)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고정클립(32)이 용기(P')의 라벨(L)에 맞게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클립(32)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이동부(3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3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수단(331),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332), 고정클립(32)을 파지하는 클립집게(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수단(331)은 고정클립(3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①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이동수단(331)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좌우이동레일(331a)과, 좌우이동레일(331a)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331b), 이동부재(331b)와 연결되어 좌우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좌우구동실린더(331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331b)에는 전후이동수단(332)의 전후지지대(332a) 및 전후실린더(332c)가 고정되어 좌우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전후이동수단(332)은 고정클립(3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고정클립(32)이 용기(P')의 중앙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클립(32)을 용기(P') 측으로 이동시켜 용기(P')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후이동수단(332)은 고정클립(32)이 용기(P')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며, 도 16의 ②와 같이 용기(P')가 회전하면서 고정클립(32)이 분리홈(P2)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전후이동수단(332)에 의해 가압되는 힘에 의해 고정클립(32)의 파지집게(321)가 라벨(L)을 뚫고 분리홈(P2)에 삽입되어 라벨(L)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이동수단(332)은 이동부재(331b)에 고정되어 전후 방향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전후지지대(332a)와, 전후지지대(332a)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부재(332b)와, 고정부재(332b)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실린더(332c)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332b)에는 클립집게(333)가 형성되어 함께 전후 방향으로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클립집게(333)는 파지집게(321)를 잡거나 놓는 구성으로,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스텝모터 등에 의해 전동식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32b)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클립집게(333)는 파지집게(321)를 잡은 상태에서 고정클립(32)이 라벨(L)과 밀착되도록 하고 파지집게(321)가 분리홈(P2)에 삽입되는 순간 파지집게(321)를 놓아 파지집게(321)가 라벨(L)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사제어부(34)는 라벨검사부(3)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고정클립(32)을 용기(P')에 밀착시켜 라벨(L)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라벨(L)이 용기(P')로부터 분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라벨(L) 부착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사제어부(34)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밀착모듈(341), 용기회전모듈(342), 삽입감지모듈(343), 클립고정모듈(344), 고정정보수신모듈(345), 낙하시간측정모듈(346), 이상감지모듈(347), 추가회수지시모듈(3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밀착모듈(341)을 고정클립(32)을 이동시켜 용기(P')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클립집게(333)가 파지집게(321)를 잡은상태에서 좌우이동수단(331) 및 전후이동수단(332)의 작동 조절을 통해 고정클립(32)이 용기(P')의 라벨(L)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회전모듈(342)은 클립밀착모듈(341)에 의해 고정클립(32)이 용기(P')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P')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판(312)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용기회전모듈(342)은 고정클립(32)이 분리홈(P2)에 삽입될 때까지 회전판(312)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삽입감지모듈(343)은 고정클립(32), 더욱 정확하게는 파지집게(321)가 분리홈(P2)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전후이동수단(332)의 움직임을 통해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수단(332)은 전후실린더(332c)의 작동을 통해 고정클립(32)이 용기(P')에 밀착되어 가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고정클립(32)이 분리홈(P2)으로 삽입되는 순간 파지집게(321)가 용기(P')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부재(332b) 및 전후실린더(332c)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감지모듈(343)은 전후실린더(332c)의 이동 또는 작동압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고정클립(32)이 분리홈(P2)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클립고정모듈(344)은 분리홈(P2)에 삽입된 고정클립(32)이 라벨(L)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클립집게(333)가 파지집게(321)를 놓도록 하여 파지집게(321)가 라벨(L)을 파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정보수신모듈(345)은 상기 클립고정모듈(344)에 의해 고정클립(32)이 라벨(L)에 고정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파지집게(321)의 작동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정보수신모듈(345)에 의해 고정정보가 수신되면 이 시간이 낙하시간 측정의 시점이 된다.
상기 낙하시간측정모듈(346)은 라벨(L)이 용기(P')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무게추(323)가 무게추수용홈(313)으로 낙하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모듈(323a)에 의해 감지되는 접촉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정보수신모듈(345)에 의해 고정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으로부터 걸린 시간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이상감지모듈(347)은 무게추(323)의 낙하시간이 설정된 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라벨(L) 부착력의 이상으로 진단하는 구성으로, 이상이 진단되는 경우 일정 개수 전에 라벨이 부착된 용기(P')를 다시 검사하도록 한다.
상기 추가회수지시모듈(348)은 이상감지모듈(347)에서 라벨 부착력의 이상으로 진단되는 경우 일정 개수 전의 용기를 검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부착력의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라벨(L)이 부착되는 용기(P') 100개 중 하나 꼴로 라벨(L) 부착력의 검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라벨(L)의 부착력에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추가회수지시모듈(348)은 20개 전에 라벨이 부착된 용기의 라벨 부착력을 다시 검사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시 20개 전 용기의 라벨 부착력을 검사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라벨의 부착력이 정상인 경우에는 그 사이 10개 전의 용기를 검사하고 정상인 경우 5개전의 용기를 검사하는 등의 방식으로 점차 그 범위를 좁혀가도록 하여 어느 지점에서부터 라벨 부착의 불량이 발생하였는지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불량이 발생하기 시작한 지점이 찾아지면 그 사이의 용기(P')에 대해서는 라벨링부(2)를 다시 점검하여 다시 라벨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라벨검사부(3)에 의한 라벨 부착력 검사과정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클립(32)을 좌우이동수단(331)에 의해 ①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기(P')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시 전후이동수단(332)에 의해 용기(P')에 압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판(312)의 회전에 따라 용기(P')를 ②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파지집게(321)가 분리홈(P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파지집게(321)가 분리홈(P2)으로 삽입되어 라벨(L)을 파지하면, 무게추(323)에 의해 라벨(L)이 용기(P')용기(P')분리되기 시작하며, 라벨(L)이 완전히 분리되어 무게추(323)가 ③의 방향으로 낙하하면 무게추수용홈(313)에 낙하하는 순간 센서모듈(323a)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어 낙하시간이 측정되고 라벨(L) 접착력의 이상 여부가 감지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P': 화장품 용기
P1: 라벨부착홈 P11: 엠보싱면
P2: 분리홈 P21: 삽입홈 P22: 파지홈
P3: 바닥수용홈
S1: 용기성형단계
S11: 패리슨형성단계 S111: 외부패리슨형성단계
S112: 내부패리슨형성단계 S12: 블로우성형단계
S121: 외부패리슨삽입단계 S122: 제1공기주입단계
S123: 지지체삽입단계 S124: 내부패리슨삽입단계
S125: 제2공기주입단계 S13: 냉각완료단계
S2: 단차형성단계 S3: 엠보싱면형성단계
S4: 라벨링단계
S5: 라벨검사단계
S51: 클립연결단계 S511: 클립밀착단계 S512: 용기회전단계
S513: 삽입감지단계 S514: 클립고정단계 S52: 낙하시간측정단계
S53: 이상감지단계 S54: 추가회수단계
1: 용기성형부
11: 압출기 111: 내부패리슨 112: 외부패리슨
12: 성형금형 121: 성형공간 122: 돌출단
122a: 오목돌출면 123: 지지체 123a: 바닥면
123b: 하향경사면 124: 접촉센서 125: 분리홈형성단
125a: 삽입홈형성단 125b: 파지홈형성단
13: 공기주입부 131: 공기주입관 131a: 수직이동관
131b: 회오리형성관 131b-1: 상방회오리관 131b-2: 하방회오리관
132: 공기분출공 132a: 측면분출공 132b: 바닥분출공
14: 주입제어부 141: 접촉정보수신모듈 142: 공기주입종료모듈
2: 라벨링부
3: 라벨검사부
31: 이동레일 311: 수용단 312: 회전판 313: 무게추수용홈
32: 고정클립 321: 파지집게 321a: 돌출날 321b: 누름단
322: 연결와이어 323: 무게추 323a: 센서모듈
324: 와이어지지단 33: 클립이동부 331: 좌우이동수단
331a: 좌우이동레일 331b: 이동부재 331c: 좌우구동실린더
332: 전후이동수단 332a: 전후지지대 332b: 고정부재
332c: 전후실린더 34: 검사제어부 341: 클립밀착모듈
342: 용기회전모듈 343: 삽입감지모듈 344: 클립고정모듈
345: 고정정보수신모듈 346: 낙하시간측정모듈
347: 이상감지모듈 348: 추가회수지시모듈

Claims (6)

  1. 블로우 성형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와, 상기 용기성형단계에서 성형된 화장품 용기의 둘레를 따라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성형단계는, 압출기에 의해 원료 수지를 압출하여 원통형의 패리슨을 형성하는 패리슨형성단계와, 패리슨을 성형금형에 삽입한 상태에서 패리슨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용기 모양으로 성형하는 블로우성형단계와, 상기 블로우성형단계에서 형성된 용기를 냉각하여 성형을 완료하는 냉각완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우성형단계는, 성형금형의 내측으로 오목돌출면이 형성된 돌출단이 돌출된 상태에서 패리슨을 삽입하여 패리슨 내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고,
    상기 블로우성형단계는,
    용기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패리슨을 성형금형 내에 삽입하는 외부패리슨삽입단계와; 상기 외부패리슨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외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공기주입단계와; 상기 제1공기주입단계에 의해 형성된 외부패리슨 내에 지지체를 삽입하는 지지체삽입단계와; 상기 지지체가 삽입된 외부패리슨 내에 내부패리슨을 삽입하는 내부패리슨삽입단계와; 상기 내부패리슨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외부 용기와 지지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공기주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삽입단계는, 외부 패리슨의 바닥 전체에 안착되며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지지체를 외부패리슨 내에 삽입하도록 하고,
    상기 제1공기주입단계는, 성형금형 내측에 형성되는 접촉센서에 의해 외부패리슨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단계와, 접촉정보를 주입제어부로 전송하는 접촉정보전송단계와, 접촉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공기주입을 종료하는 공기주입종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종료단계는, 용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점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접촉센서로부터 모두 접촉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공기의 주입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79276A 2019-12-31 2019-12-31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KR10210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76A KR102100947B1 (ko) 2019-12-31 2019-12-31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76A KR102100947B1 (ko) 2019-12-31 2019-12-31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947B1 true KR102100947B1 (ko) 2020-04-14

Family

ID=7029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276A KR102100947B1 (ko) 2019-12-31 2019-12-31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334A (ko) 2020-08-27 2022-03-11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라벨 제거가 용이한 재활용 용기
SE2250277A1 (en) * 2022-03-01 2023-09-02 Borgert Torbjoern Method of producing attachable containers and containers so produce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936A (ja) * 2000-02-10 2001-08-14 Sekisui Seikei Ltd ラベル貼り付け面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
KR100633386B1 (ko) * 2004-04-16 2006-10-16 주식회사 미도켐 용기의 제작을 위한 압출 중공 성형 방법
KR20070120386A (ko) * 2006-06-19 2007-12-24 강성일 다층 포장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기
JP2019188646A (ja) * 2018-04-20 2019-10-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方法、ブロー成形型、ブロー成形用転写シート、およびブロー成形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936A (ja) * 2000-02-10 2001-08-14 Sekisui Seikei Ltd ラベル貼り付け面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
KR100633386B1 (ko) * 2004-04-16 2006-10-16 주식회사 미도켐 용기의 제작을 위한 압출 중공 성형 방법
KR20070120386A (ko) * 2006-06-19 2007-12-24 강성일 다층 포장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기
JP2019188646A (ja) * 2018-04-20 2019-10-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方法、ブロー成形型、ブロー成形用転写シート、およびブロー成形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334A (ko) 2020-08-27 2022-03-11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라벨 제거가 용이한 재활용 용기
SE2250277A1 (en) * 2022-03-01 2023-09-02 Borgert Torbjoern Method of producing attachable containers and containers so produc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947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라벨링 타입의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US10518485B2 (en) Method for producing plastics containers
CN102892566A (zh) 用于检测注塑零件中的插入物的方法
CN104081596A (zh) 用于用缆线套管装配缆线的方法和用于缆线处理设备的密封件或类似的缆线装配部件的转移单元
CN104447151A (zh) 一种电雷管自动装配线
WO2012006386A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ly monitoring process for forming plastic blow-molded containers
CA2330554C (en) Insert-bonded cylindrical articles, and a molding method and a molding apparatus therefor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N113167689A (zh) 用于测试具有盖主体的封闭盖的安全密封件的保证条的连接的设备
JP2008517290A (ja) 型内の熱可塑性容器の一特性の容量による測定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た型
US20200298463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inspecting a process of forming plastic preforms into plastic containers and in particular plastic bottles
CN209580451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吹瓶机
CN105291391A (zh) 基于图像识别处理的注塑机粘模检测方法以及装置
CN107803976A (zh) 一种用于模具型腔内的测压装置及注塑模具
AU6298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jection molding
CN209409215U (zh) 一种注塑机的顶杆脱模机构
IT201700006070A1 (it) Macchina migliorata di stampaggio di contenitori per stiro-soffiaggio e metodo di verifica
JP3417271B2 (ja) 包装体の欠陥検査装置
KR100545134B1 (ko) 취출기의 인서트 불량품 선별장치 및 방법
CN104785453A (zh) 管件自动全检机的检测上料机构
CN203359009U (zh) 一种贴标系统
JP3417270B2 (ja) 包装体の欠陥検査方法
JPH106374A (ja) 成形品を射出成形する方法
CN206871483U (zh) 一种包装机缺包检测装置
CN210590236U (zh) 一种自动上磁机
CN215784994U (zh) 一种可以自动检出产品缺陷的自动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