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507B1 - 목관악기용 리가춰 - Google Patents

목관악기용 리가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507B1
KR102100507B1 KR1020190092010A KR20190092010A KR102100507B1 KR 102100507 B1 KR102100507 B1 KR 102100507B1 KR 1020190092010 A KR1020190092010 A KR 1020190092010A KR 20190092010 A KR20190092010 A KR 20190092010A KR 102100507 B1 KR102100507 B1 KR 10210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igature
insertion hole
mouthpie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학
Original Assignee
이봉학
김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학, 김보현 filed Critical 이봉학
Priority to KR102019009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만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제 1 삽입공을 형성하되, 원주방향 양측 단부에 조임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에 대하여 별개의 부재이며, 상기 제 1 패널의 제 1 삽입공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목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배치될 제 2 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패널; 및 상기 제 1 패널의 조임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관악기용 리가춰{Ligature for tube instrument}
본 발명은 목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색소폰, 클라리넷 등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악기에 이용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에 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이중 패널 구조의 목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이다.
리가춰는 클라리넷이나 색소폰 같은 악기에서 마우스피스의 표면에 대하여 진동하는 리드 부재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리가춰의 구조와 형상은 악기의 음색에 영향을 주게 된다. 리가춰 디자인의 목적은 리드를 진동시키는 최대 자유도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리가춰는 얇은 단일 금속제 패널을 마우스피스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하여 상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체를 용접결합하고 상기 결합체에 결합볼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결합한 후 상기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삽입하여 상기 결합체에 형성된 2개의 결합공에 각각의 조임 볼트를 사용하여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하는 리가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리가춰의 경우, 금속재인 단일 패널을 이용하여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하는 구조이었다. 이 경우 단일 패널을 이용한 리가춰는 단순히 리드의 진동을 잡아주고 잡아주는 정도에 따라 리드의 떨림 진동수를 제어하는 단순한 작용으로 인하여 목관악기의 부드러운 음색이나 깊은 음색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목관악기에서 리가춰의 음색과 울림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공명 구조를 가진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는 만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제 1 삽입공을 형성하되, 원주방향 양측 단부에 조임부를 각각 구비하는 금속재의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에 대하여 별개의 부재이며, 상기 제 1 패널의 제 1 삽입공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목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배치될 제 2 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재의 제 2 패널; 및 상기 제 1 패널의 조임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패널은 서로 각을 이루어 연결된 인접하는 다수의 평면 표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격 공간은 제 1 패널의 인접하는 평면 표면부들 간의 절곡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와 상기 제 2 패널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는 상기 제 2 패널의 두께보다 크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패널은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면을 동시에 커버하여 고정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에서 돌출된 융착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단부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체결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의 폭은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널의 폭은 원주방향을 따라 그 폭이 일정하다.
상기 제 2 패널의 표면은 웨이브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의 마주하는 조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2 패널의 제 2 삽입공을 향하여 원주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패널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지지 패널은 상기 제 2 삽입공의 일측면으로부터 마주하는 타측면으로 연장되는 지지 패널 본체, 상기 지지 패널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패널의 마주하는 조임부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 패널 연장부, 상기 지지 패널 연장부를 상기 조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은 상기 제 1 패널의 각각의 평면 표면부가 만나는 절곡부에는 평면 표면부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의 만입홈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 2 패널의 내측면 중 조임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제 2 패널의 내측면을 향하여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실리콘, 경화재 및 에보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는 제 1 패널의 조임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첫째,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가진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내외 구조로 취함으로써, 이러한 고유 진동수의 차이에 의해, 리가춰에서의 진동이 증폭되고 진동수가 커지게 되어 음색이 개선된다.
둘째,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발생되는 공명 현상으로 인하여 소리의 직진성이 개선되며, 특히 800 헤르츠 이상의 고음대 주파수 영역에서의 직진성과 진폭이 개선된다.
셋째,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하게 됨으로써, 울림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이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적은 압력으로도 리드의 진동을 쉽게 이끌어낼 수 있다.
다섯째, 제 2 패널이 마우스 피스 및 리드와 결합시 결합점이 4포인트로 되어 안정적인 결합 및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와 관악기의 마우스 피스 및 리드가 조립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마우스 피스의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목관악기용 리가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마우스 피스의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마우스 피스의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의 제 2 패널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의 용어는 구성요소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지 구성요소간의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리가춰를 사용하는 색소폰, 클라리넷 등의 악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색소폰에 사용되는 리가춰의 경우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와 관악기의 마우스 피스 및 리드가 조립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리가춰(1000)는 색소폰의 마우스피스(M)에 리드(R)를 고정하는 색소폰 발성부의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마우스피스(M)은 리드가 안착되는 테이블(M1) 및 공기의 통로가 되는 개구(M2)를 구비하는 본체로 구성된다. 마우스피스(M)의 테이블(M1)에 놓여서 리가춰(1000)에 의해 고정되되 목재 재질의 리드(R)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톡부(R1)과 스톡부로부터 경사지게 얇아지는 하트부(R2)를 구비한다. 상기 하트부(R2)는 마우스피스(M)의 개구(M2)의 커버하되 팁 오프닝 부분만을 개방시켜 두게 된다.
상기 리드(R)는 상기 마우스피스(M)의 테이블(M1)에 정렬되어 안착되어 리가춰(1000)에 의해 고정된다.
리가춰(1000)는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마우스피스(M)와 리드(R)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이 개방된 타측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를 마우스 피스의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관악기용 리가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1000)는 만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제 1 삽입공(110)을 형성하되, 원주방향 양측 단부에 조임부(120a, 120b)를 각각 구비하는 금속 재질의 제 1 패널(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1000)는, 상기 제 1 패널에 대하여 별개의 부재이며, 상기 제 1 패널의 제 1 삽입공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목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배치될 제 2 삽입공(210)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220a, 220b, 220c, 220d)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제 2 패널(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00)과 상기 제 2 패널(200)은 원래 평판이던 금속 재질의 판을 만곡시켜 가공하여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패널(100)은 마우스피스(M)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W3)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2 패널(200)은 마우스피스(M)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르는 폭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상기 제 2 패널(200)은 완만하게 만곡된 표면을 가지는데, 제 2 패널(200)이 만곡되기 전 평면 패널 형태에서 양측 단부는 만곡 작업 후에는 원주방향 단부(230a, 230b)가 되는데, 상기 원주 방향 단부의 폭(w1)은 제 2 패널의 최대 폭(w2)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 패널(200)의 최대폭(w2)은 제 2 패널의 원주방향의 중간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널은 평면 패널 형태의 금속 재질을 완만하게 만곡시켜서 형성되되, 상기 제 2 패널이 상기 제 1 패널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이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널은 제 1 패널의 내부보다 더 큰 형태로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 2 패널이 상기 제 1 패널 내부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제 2 패널의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력이 상기 제 2 패널을 제 1 패널의 내측벽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1000)는 상기 제 1 패널(100)의 조임부(120)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조임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00)도 금속 평판을 만곡 및 절곡시켜서 형성되되, 상기 조임 부재에 없다면 더 펼쳐지는 탄성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조임부재(300)는 상기 제 1 패널의 조임부(120)가 서로 멀어지려고 하는 기본적인 탄성력을 제어하여 조임부(120) 간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 1 패널(100)은 서로 각을 이루어 연결된 인접하는 예를 들어 5개의 평면 표면부(130a, 130b, 130c, 130d, 130e)를 포함한다. 따라서, 5개의 평면 표면부(130a, 130b, 130c, 130d, 130e)는 제 1 삽입공을 대략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패널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평면 표면부(130a, 130b, 130c, 130d, 130e)는 두개의 평면 표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132a, 132b, 132c, 132d)를 기준으로 서로 구분된다. 즉 상기 절곡부는 원재료가 평판인 금속재의 제 1 패널을 절곡시키는 기준 라인이 된다.
구체적으로, 절곡부(132a)에 의해 평면 표면부(130a)와 평면 표면부(130b)가 구분되고, 절곡부(132b)에 의해 평면 표면부(130b)와 평면 표면부(130c)가 구분되며, 절곡부(132c)에 의해 평면 표면부(130c)와 평면 표면부(130d)가 구분되며, 절곡부(132d)에 의해 평면 표면부(130d)와 평면 표면부(130e)가 구분된다.
상기 제 1 패널(100)에서 상기 제 1 패널(100)의 각각의 평면 표면부(130a, 130b, 130c, 130d, 130e)가 서로 만나는 절곡부(132a, 132b, 132c, 132d)에는 평면 표면부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의 만입홈(13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입홈(134)는 마우스피스(M)가 수용되는 개방면 쪽이나 그 반대쪽 모두에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입홈(134)은 상기 제 1 패널(1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 제 2 패널(200)의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에서 보여지는 수준으로 형성된다. 상기 만입홈(134)은 제 1 패널(100)의 제조 과정에서 절곡부에서 꺾여서 평면 표면부를 형성하는 기준점 역할을 하게 되며, 절곡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각각의 절곡부(132a, 132b, 132c, 132d)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지 않고, 마우스피스가 수용되는 개방면 쪽이 그 반대편보다 더 큰 직경이 되도록 서로 경사지게(나란하지 않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패널(100)과 상기 제 2 패널(20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이격 공간(220a, 220b, 220c, 220d)은 제 1 패널(100)의 인접하는 평면 표면부(130a, 130b, 130c, 130d, 130e)들 간의 절곡부(132a, 132b, 132c, 132d)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패널(100)의 평면 표면부(130a)와 평면 표면부(130b)를 구분하는 절곡부(132a)에 대응하여,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200) 사이에 이격 공간(220a)이 형성된다. 평면 표면부(130b)와 평면 표면부(130c)를 구분하는 절곡부(132b)에 대응하여,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200) 사이에 이격 공간(220b)이 형성된다. 또한, 평면 표면부(130c)와 평면 표면부(130d)를 구분하는 절곡부(132c)에 대응하여,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200) 사이에 이격 공간(220c)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평면 표면부(130d)와 평면 표면부(130e)를 구분하는 절곡부(132d)에 대응하여,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200) 사이에 이격 공간(220d)이 형성된다. 이격 공간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패널의 절곡부의 개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각각의 이격 공간(220a, 220b, 220c, 220d)는 서로 각을 이루는 제 1 패널의 2개의 평면 표면부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제 2 패널에 의해 경계 지워진다.
상기 이격 공간(220a, 220b, 220c, 220d)은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가진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20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제 1 패널과 제 2 패널간의 고유진동수의 차이에 따른 진동의 증폭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 공간에 의해 리드의 떨림으로 나타나게 되는 소리의 진폭은 커져서 볼륨이 증대되고, 리드가 떨리는 진동수가 커져서, 즉 리드가 더 빨리 진동하게 되어서 진동이 오래 유지되도록 한다.
제 1 패널(100)에 형성되는 상기 만입홈(134)의 만입되는 정도는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20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220a, 220b, 220c, 220d) 의 공명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각각의 이격 공간은 제 1 패널(100)과 제 2 패널(200) 사이에서 터널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고유 진동수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패널(100)의 두께(t1)와 상기 제 2 패널(200)의 두께(t2)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되,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t1)는 상기 제 2 패널의 두께(t2)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패널(100)는 상기 제 2 패널(200)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230a, 230b)를 고정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제 2 패널(200)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230a, 230b)의 내측면(232a, 232b)과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면(112)을 동시에 커버하여 고정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에서 돌출된 융착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00)의 조임부(120a, 120b)는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마주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임부(120a, 120b)를 관통하여 쓰레드 결합되는 조임부재(300)는 상기 조임부(120a, 120b)간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조임부재(300)는 상기 조임부(120a, 120b)에 쓰레드 가공되어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는 쓰레드부(320)와, 일측 단부에 배치된 헤드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310)는 사용자가 손으로 돌리기에 용이하도록 넓은 면적의 평평부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310)에는 상기 조임부 중 일측을 밀어주는 어깨부(312: 도 6)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부(310)를 회전시키면, 헤드부(310)에 연결된 쓰레드부(320)가 회전하면서 마주보면서 이격된 조임부(120a, 12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결국 리가춰(1000)에 삽입된 마우스피스(M)와 리드(R)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마우스 피스의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대응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패널(100)는 상기 제 2 패널(200)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230a, 230b)를 고정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제 2 패널(200)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230a, 230b)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단부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체결홈부(144)를 포함한다.
따라서,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된 제 2 패널(200)은 제 1 패널(100) 내부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로 원상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 2 패널(200)의 원주방향 단부(230a, 230b)는 제 1 패널(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패널(100)의 내부 표면을 푸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패널(100)에는 제 2 패널(200)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230a, 230b)를 수용하도록 상보적인 형성을 가진 체결홈부(14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200)은 상기 제 1 패널(100) 내에서 마우스피스의 삽입 방향 축을 따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널(100)은 상기 체결홈부(14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패널(200)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230a, 230b)에 대응되는 부분은 그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마우스 피스의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목관악기용 리가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대응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는 상기 제 1 패널의 마주하여 이격된 각 조임부(120a, 120b)의 사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2 패널(200)의 제 2 삽입공(210)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패널(400)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 패널(400)는 상기 제 2 삽입공(210)의 일측면으로부터 마주하는 타측면으로 연장되는 지지 패널 본체(410), 상기 지지 패널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패널의 마주하는 조임부(120)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 패널 연장부(420), 상기 지지 패널 연장부를 상기 조임부(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패널(400)의 연결부재(430)는 상기 조임부(120a, 120b)에 형성된 관통공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지지 패널 본체(410)는 상기 제 2 패널(200) 내부에 마우스피스(M)이 삽입되어 마우스피스(M)가 상기 지지 패널(400)에 안착시에 마우스피스의 움직임을 수용하면서 마우스피스가 지지 패널(4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관악기용 리가춰의 제 2 패널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 2 패널(200)은 평판 구조의 금속 판재를 완만하게 만곡시켜 제 1 패널(100)에 내부에 삽입시킨 구조임에 비하여,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 2 패널의 표면은 웨이브 표면(240)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2 패널의 경우, 제 2 패널을 둘러싸고 있는 제 1 패널의 평면 표면부 전체에서 마우스피스 및 리드의 조립체에 선접촉하게 된다. 즉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조립체는 제 1 패널을 기준으로 5지점에서 제 1 패널 내에 제 2 패널이 위치된 리가춰와 선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패널(200)의 표면을 웨이브 표면(240)으로 구성할 경우, 마우스피스 및 리드 조립체와 제 2 패널(200) 사이에 사이 웨이브 표면의 개수 만큼의 공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 패널의 내측면 중 조임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제 2 패널의 내측면을 향하여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실리콘, 경화재 및 에보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는 제 1 패널의 조임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 1 패널 110: 제 1 삽입공
112: 제 1 패널의 내측면 120a, 120b: 조임부
130a, 130b, 130c, 130d, 130e: 평면 표면부
132a, 132b, 132c, 132d: 절곡부 134: 만입홈
140: 고정부 142: 융착부
144: 체결홈부 200: 제 2 패널
210: 제 2 삽입공
220a, 220b, 220c, 220d: 이격 공간 230a, 230b: 원주방향 단부
232a, 232b: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의 내측면
240: 웨이브 표면
300: 조임부재 310: 헤드부
320: 쓰레드부
400: 지지 패널 410: 지지 패널 본체
420: 지지 패널 연장부 430: 연결부재

Claims (13)

  1. 만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제 1 삽입공을 형성하되, 원주방향 양측 단부에 조임부를 각각 구비하는 금속재의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에 대하여 별개의 부재이며, 상기 제 1 패널의 제 1 삽입공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목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배치될 제 2 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재의 제 2 패널; 및
    상기 제 1 패널의 조임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패널은 서로 각을 이루어 연결된 인접하는 다수의 평면 표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제 1 패널의 인접하는 평면 표면부들 간의 절곡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과 상기 제 2 패널의 외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와 상기 제 2 패널의 두께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는 상기 제 2 패널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면을 동시에 커버하여 고정하되,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표면에서 돌출된 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단부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체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의 폭은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의 폭은 원주방향을 따라 그 폭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의 표면은 웨이브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의 마주하는 조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2 패널의 제 2 삽입공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은 상기 제 2 삽입공의 일측면으로부터 마주하는 타측면으로 연장되는 지지 패널 본체, 상기 지지 패널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패널의 마주하는 조임부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 패널 연장부, 상기 지지 패널 연장부를 상기 조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
KR1020190092010A 2019-07-29 2019-07-29 목관악기용 리가춰 KR10210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10A KR102100507B1 (ko) 2019-07-29 2019-07-29 목관악기용 리가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10A KR102100507B1 (ko) 2019-07-29 2019-07-29 목관악기용 리가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507B1 true KR102100507B1 (ko) 2020-04-13

Family

ID=7022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010A KR102100507B1 (ko) 2019-07-29 2019-07-29 목관악기용 리가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14B1 (ko) * 2020-11-18 2021-12-22 김학석 관악기용 리가춰
KR20240003675A (ko) 2022-07-01 2024-01-09 최호식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715A (en) * 1997-08-27 1999-12-07 Rovner; Philip L. Multi-tonal ligature
US20120266736A1 (en) * 2008-03-03 2012-10-25 Philip Lee Rovner Reed warp mouthpiece system
JP2014109685A (ja) * 2012-12-01 2014-06-12 Fukuya Sotozaki リード固定装置
US9934763B1 (en) * 2017-04-27 2018-04-03 Robert Vanacore Reson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715A (en) * 1997-08-27 1999-12-07 Rovner; Philip L. Multi-tonal ligature
US20120266736A1 (en) * 2008-03-03 2012-10-25 Philip Lee Rovner Reed warp mouthpiece system
JP2014109685A (ja) * 2012-12-01 2014-06-12 Fukuya Sotozaki リード固定装置
US9934763B1 (en) * 2017-04-27 2018-04-03 Robert Vanacore Resonat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14B1 (ko) * 2020-11-18 2021-12-22 김학석 관악기용 리가춰
KR20240003675A (ko) 2022-07-01 2024-01-09 최호식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4985B2 (ja) 弦楽器用ナット及び弦楽器
US7335831B2 (en) Brass instrument
KR102100507B1 (ko) 목관악기용 리가춰
US20080115651A1 (en) Internally-mounted soundhole interfacing device
KR102063190B1 (ko) 악기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음향 보드로부터 음향을 생성하기 위한 현악기 및 제작 방법
GB2334366A (en) Drum
JP6485131B2 (ja) 楽器
US10803838B2 (en) Body of electric guitar and electric guitar
US10079007B2 (en) Woodwind mouthpiece with V-notch table and tone chamber insert
KR101693218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WO2017046843A1 (ja) ピックアップ及びピックアップを備えた弦楽器
KR101572762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KR101252434B1 (ko) 보조 음향기가 장착된 관악기용 리드
US20030200856A1 (en) Drum pillow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903041B2 (ja) 音響孔を有する弦楽器
JP4356630B2 (ja) 撥弦楽器および撥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
KR200173865Y1 (ko) 기타의 공명상자
JPH03172898A (ja) 打撃用隆起部付きカウベル
KR200497968Y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JP6183937B1 (ja) ワイヤーリガチャー
JP5582431B1 (ja) アコースティックギター
WO2003094146A1 (en) String instrument with sound enhancing channel extending in the neck
JP3235029U (ja) 表板裏面にトリオバーを設置したバイオリン類。
KR102329433B1 (ko)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KR102342614B1 (ko) 관악기용 리가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