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433B1 -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 Google Patents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433B1
KR102329433B1 KR1020200090317A KR20200090317A KR102329433B1 KR 102329433 B1 KR102329433 B1 KR 102329433B1 KR 1020200090317 A KR1020200090317 A KR 1020200090317A KR 20200090317 A KR20200090317 A KR 20200090317A KR 102329433 B1 KR102329433 B1 KR 10232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xophone
booster
weight
ne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정
Original Assignee
김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정 filed Critical 김남정
Priority to KR102020009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Abstract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색소폰의 형태와 무관하게 넥과 본관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을 제시한다. 그 색소폰은 넥과 본관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링밴드에 체결되는 부스터를 포함하고, 부스터는 원호 형상이며 본관에 비접촉 상태로 고정되는 웨이트 및 웨이트에 존재하는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링밴드에 체결되는 연결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Saxophone having booster}
본 발명은 색소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넥(neck)과 본관(body)이 결합되는 부위에 위치하여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넥(neck)과 본관(body)의 결합이 자유로운 부스터(booster)가 장착된 색소폰에 관한 것이다.
색소폰은 갈대로 만들어진 리드(reed)가 리가추어(ligature)에 의해 넥(neck)에 고정되고, 마우스피스를 물고 불면 리드의 떨림이 넥을 거쳐 본관에 공명되어 소리가 발생되도록 한다. 색소폰의 본관에 배열된 키(key)를 누르면, 본관의 공명의 길이가 달라져서 소리의 음정이 조정된다. 상기 색소폰은 음역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바리톤과 같은 5가지 색소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색소폰은 본관의 형상이 거의 U자형이므로, 저음, 특히 알토 이하에서는 1층 저음이 잘 나오지 않다. 또한, 본관 전체에서 소리가 나오므로, 선택된 소리뿐만 아니라 배음들이 발생하여 소리의 확산이 일어난다. 소리의 확산이 일어나면, 지향성이 없으며 원하는 소리를 내기 어려워서 소리의 명확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넥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본등록특허 제6,617,366호는 리드에 결합되고 마우스피스의 공명 진동을 감쇠 억압하고 쌍방의 진동이 간섭, 중첩하지 않도록 하는 조절용 추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상기 조절용 추는 마우스피스에 장착된 리드의 진동을 조절하여 음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앞에서 제시한 음향 문제를 개선할 수 없다. 미국공개특허 제2015-0269918호 등과 같이 색소폰의 넥과 본관은 나사로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색소폰의 형태에 따라, 넥과 본관이 연결되는 부위의 형태가 다르므로, 결합하는 구조 및 방식이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관에서의 음향 품질을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색소폰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넥과 본관의 결합을 쉽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관에서의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색소폰의 형태와 무관하게 넥과 본관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은 넥과 본관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링밴드에 체결되는 부스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스터는 원호 형상이며 상기 본관에 비접촉 상태로 고정되는 웨이트 및 상기 웨이트에 존재하는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링밴드에 체결되는 연결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색소폰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는 상기 웨이트에서의 날개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연결핀은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링밴드의 체결부에 체결된다. 상기 연결핀은 상기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연결홀이 있는 핀헤드 및 상기 핀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는 핀지주를 포함한다. 상기 핀지주의 단부에는 상기 웨이트에서의 날개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핀을 상기 날개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핀지주에는 너트가 채용되어, 상기 너트를 조이면 상기 밀착부가 상기 날개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폰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웨이트는 제1 및 제2 부분으로 구분되며,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황동과 같은 구리, 은, 금 및 그들의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에 의하면,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넥과 본관의 결합이 자유로운 부스터를 활용함으로써, 본관에서의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색소폰의 형태와 무관하게 넥과 본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색소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링밴드 및 부스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부스터를 링밴드에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색소폰은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색소폰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결합이 자유로운 부스터를 활용함으로써,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색소폰의 형태와 무관하게 넥과 본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색소폰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부스터에 의해 본관에 관련된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색소폰의 종류, 제품 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넥과 본관을 쉽게 결합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색소폰은 마우스피스를 물고 불면 리드의 떨림이 넥을 거쳐 본관에 공명되어 소리가 발생되는 악기로써, 음역대에 따라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바리톤과 같은 5가지 색소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색소폰(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색소폰(100)은 넥(neck, 10), 링밴드(20), 부스터(30) 및 본관(40)을 포함한다. 넥(10)은 마우스피스(11)와 본관(40)을 연결해주는 부분으로써, 통상적 굽어진 형태의 금속제를 사용한다. 넥(10)에는 마우스피스(11)가 연결되고, 리드(12)가 리가추어(13)에 의해 마우스피스(11)에 고정된다. 마우스피스(11)는 연주자의 입술이 닿는 부분으로, 색소폰(100)의 종류, 제품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리가추어(13)는 원통형의 몸체 및 조임나사 등을 이용하여 리드(12)를 고정하며, 상기 원통형은 마우스피스(11)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리가추어(13)는 강성을 유지하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나, 음의 진동이 고른 황동과 같은 금속이 보다 바람직하다. 리가추어(12)의 표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 등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 마우스피스(11)는 연결튜브(14)에 삽입되어 넥(10)에 연결된다.
리드(12)는 울림을 만드는 얇은 떨림판으로, 마우스피스(11)에 결합되어 소리를 내는 발음체의 역할을 한다. 리드(12)는 주로 갈대의 일종인 물대(giant reed)로 제작된 나무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드(12)는 나무의 결이나 사용기간, 커팅방법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소리를 낸다. 나무재질의 리드(12)는 나무의 결에 의해 풍부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나무재질의 리드(12)는 충격이나 습도 등 외부환경에 따른 제약이 많고 관리하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소리가 풍부하지 못한 점이 있지만 합성수지재의 리드(12)를 사용하기도 한다.
본관(40)은 넥(10)에 연결되고, 색소폰(10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다루기가 힘들기 때문에, 알토 색소폰, 테너 색소폰, 바리톤 색소폰, 베이스 색소폰 등 낮은 음역의 색소폰들은 관의 아래쪽을 U자 모양으로 구부린다. 특히, 상기 바리톤 색소폰과 베이스 색소폰은 악기의 길이를 더 줄이기 위해 관의 윗부분을 두 번 더 감는다. 키워크(keywork, 41)는 복수개의 톤홀을 포함하고, 상기 톤홀은 막거나 열어서 음높이를 조절하는 구멍이다. 키워크(41)의 키는 음높이를 바꾸게 한다. 본관(40)의 끝부분에는 둥근 나팔 모양의 구멍인 벨(42)이 존재한다. 넥(10), 마우스피스(11), 리드(12), 리가추어(13), 연결튜브(14) 및 본관(40)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공지된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넥(10)과 본관(40)은 링(ring) 형태의 링밴드(20)를 이용하여 고정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링밴드(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30)가 결합된다. 부스터(30)는 본관(40)에서의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색소폰(100)의 형태와 무관하게 넥(10)과 본관(40)을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링밴드(20) 및 부스터(3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링밴드(20) 및 부스터(3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스터(3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30)를 링밴드(20)에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때, 색소폰(100)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링밴드(20)의 양끝에는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21)가 존재한다. 체결부(21)에 부스터(30)의 체결나사(37)를 조이거나 풀면, 링밴드(20)는 넥(10)과 본관(40)에 밀착되거나 떨어진다. 다시 말해, 체결나사(37)를 조이거나 풀어서, 넥(10)과 본관(4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킨다. 여기서는. 체결부(21)의 형상이나 체결나사(37)에 의한 체결방법은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링밴드(20)의 구조 등에 따라 다른 형태의 체결부(21) 및 체결나사(37)가 채용될 수 있다.
부스터(30)는 웨이트(31), 연결핀(35) 및 체결나사(37)를 포함한다. 웨이트(31)는 원호 형상으로 본관(4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진 채로 링밴드(2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웨이트(31)는 본관(40)에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상태이다. 웨이트(31)는 기저부(31a), 측벽(31b) 및 날개(31c)로 구분된다. 기저부(31a), 측벽(31b) 및 날개(31c)는 일체를 이루며, 웨이트(31)의 내부는 연결핀(35)이 움직일 수 있는 이동로(32)가 존재한다. 날개(31c) 사이에는 틈새(D)를 이루고, 틈새(D)는 웨이트(3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하며, 연결핀(35)이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한다. 웨이트(31)는 본관(40)의 음향이 제대로 전도되어 음향을 개선하는 재질인 황동과 같은 구리, 은, 금 및 그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다.
연결핀(35)은 내부에 연결홀(35b)이 있는 핀헤드(35a) 및 핀지주(35c)로 이루어진다. 연결홀(35b)에는 체결나사(37)가 삽입되고, 내부에는 체결나사(37)가 끼워지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홀(35b)에 체결나사(37)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37)가 체결부(21)에 체결되면, 연결핀(35)은 링밴드(20)에 고정된다. 이때, 연결핀(35)는 체결부(21)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지주(35c)는 핀헤드(35a)로부터 연장되어 틈새(D)로 삽입되고, 단부에는 밀착부(36)를 포함한다. 밀착부(36)는 핀지주(35c)와 일체형이 바람직하다. 밀착부(36)는 웨이트(31)의 날개(31c)에 밀착되어, 연결핀(35)을 날개(31c)에 물리적으로 고정시킨다. 핀지주(35c)에는 너트(33) 및 와셔(34)가 채용되어, 밀착부(36)에 웨이트(31)에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너트(33)를 조이면 밀착부(36)는 날개(31c)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밀착부(36)에 의해 웨이트(31)와 링밴드(20)가 연결되면, 웨이트(31)는 밀착부(36)를 중심으로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으로 구분된다. 웨이트(31)를 포함하는 부스터(30)는 소리 확산, 음량 감소 등으로 발생하는 음향 문제를 개선한다. 부스터(30)는 넥(10)과 본관(40)에서 나오는 소리 중에서 배음이 지워져, 소리의 명확성이 높아진다. 소리의 명확성이 높아지면, 음량 감소 및 소리 확산을 해소하여 음향 개선을 이룰 수 있다. 색소폰(100)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음향 개선의 양상은 다르기 때문에, 부스터(30)를 이루는 웨이트(31), 연결링(35)의 길이 및 형태 등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부분(P1, P2)의 크기를 달리하면, 음향 개선을 보다 미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P1, P2)의 크기가 달라지면,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진동의 양상이 변환된다. 진동의 양상이 변환되면, 미세한 음향 개선이 가능하다.
연결핀(35)은 웨이트(31) 내부의 이동로(32)를 따라 움직인다. 색소폰(100)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링밴드(20)에 부합하도록, 이동로(32)에서의 연결핀(3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색소폰(100)은 크게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바리톤과 같은 5가지의 종류로 구분되며, 색소폰(100)의 종류에 따라 링밴드(20)의 직경, 형상 등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30)는 링밴드(20)의 직경, 형상 등이 변화되더라도, 이동로(32)에서의 연결핀(3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결핀(35)의 위치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부분(P1, P2)의 크기가 고려될 수 있다. 연결핀(35)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면, 부스터(30)의 목적의 훼손이 없이 넥(10)과 본관(40)이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넥 11; 마우스피스
12; 리드 13; 리가추어
20; 링밴드 21; 체결부
30; 부스터 31; 웨이트
32; 이동로 33; 너트
35; 연결핀 36; 밀착부
37; 체결나사 40; 본관

Claims (8)

  1. 넥과 본관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링밴드에 체결되는 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는,
    원호 형상이며 상기 본관에 비접촉 상태로 고정되는 웨이트; 및
    상기 웨이트에 존재하는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링밴드에 체결되는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링밴드의 체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연결홀이 있는 핀헤드 및 상기 핀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는 핀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핀지주의 단부에는 상기 웨이트에서의 날개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핀을 상기 날개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는 상기 웨이트에서의 날개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지주에는 너트가 채용되어, 상기 너트를 조이면 상기 밀착부가 상기 날개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웨이트는 제1 및 제2 부분으로 구분되며,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황동과 같은 구리, 은, 금 및 그들의 합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KR1020200090317A 2020-07-21 2020-07-21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KR102329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17A KR102329433B1 (ko) 2020-07-21 2020-07-21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17A KR102329433B1 (ko) 2020-07-21 2020-07-21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433B1 true KR102329433B1 (ko) 2021-11-22

Family

ID=7871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317A KR102329433B1 (ko) 2020-07-21 2020-07-21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433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EDGEEK "Klangbogen Bore & Reed stabilizer" 상품 소개 사이트* *
Zach Sollitto, 「Can the ReedGeek "Klangbogen" Bore & Reed Stabilizer Instantly Improve Your Sound?」, 2016.04.12.* *
유투브 동영상, "Jeff Kashiwa compares 3 different Reed Geek Klangbogen devices", 2019.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71958A1 (en) Slanted bore mouthpiece
US20090199695A1 (en) Internally-Mounted Soundhole Interfacing Device
US6673992B1 (en) Saxophone mouthpiece
US4449439A (en) Mouthpiece for woodwind instruments
US8841529B2 (en) Clarinet mouthpiece and barrel system
GB2334366A (en) Drum
KR102329433B1 (ko) 부스터가 장착된 색소폰
KR102100507B1 (ko) 목관악기용 리가춰
KR101693218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KR101572762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US4212223A (en) Mouthpiece for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KR101252434B1 (ko) 보조 음향기가 장착된 관악기용 리드
JP6126296B1 (ja) レゾナンスブリッヂ
JP6573350B1 (ja) 楽器用共鳴補助具及び楽器
US8940988B1 (en) Single reed woodwind ligature system adjusts to fit most mouthpiece sizes with excellent responsiveness through isolation of ligature from reed and mouthpiece vibrations
JP2903041B2 (ja) 音響孔を有する弦楽器
KR102342614B1 (ko) 관악기용 리가춰
US10522119B2 (en) Detachable wind guard for flute embouchure hole
JP6183937B1 (ja) ワイヤーリガチャー
WO2020022183A1 (ja) 楽器
US11568842B2 (en) Drumstick
JP7304026B1 (ja) 木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向け音質改善部または音質改善体
KR20130124720A (ko) 색소폰 톤 공명기
KR101407344B1 (ko)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KR102642453B1 (ko)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