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344B1 -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344B1
KR101407344B1 KR1020120130666A KR20120130666A KR101407344B1 KR 101407344 B1 KR101407344 B1 KR 101407344B1 KR 1020120130666 A KR1020120130666 A KR 1020120130666A KR 20120130666 A KR20120130666 A KR 20120130666A KR 101407344 B1 KR101407344 B1 KR 101407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instrument
roughness
tone
waveguid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940A (ko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102012013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3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1Tu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파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여 상기 도파관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하모닉스(Harmonics) 주파수를 증강시키고 주파수 포만트(Formant)를 유효한 형태로 유지하면서 관악기의 음색을 중후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연주자가 부는 경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도파관을 따라 음파가 진행되며 공명되는 관악기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되도록 상기 도파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거칠기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TONE CONTROL METHOD FOR 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파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여 상기 도파관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하모닉스(Harmonics) 주파수를 증강시키고 주파수 포만트(Formant)를 유효한 형태로 유지하면서 관악기의 음색을 중후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악기는 금속·나무·대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를 말하는 것으로 취주악기(吹奏樂器)라고도 하는데, 크게 금관악기와 목관악기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금관악기는 관이 주로 황동으로 만들어지며 연주자의 입술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관악기 군을 총칭하는 것으로, 악기로는 트럼펫, 트럼본, 호른, 튜바, 유포늄, 수자폰, 코넷, 프렌치호른, 플루겔호른(Flugelhorn), 바리톤 등이 있고, 진동의 근원은 연주자의 입술이며, 금관악기는 연주자의 입술과 합체해서야 비로소 악기로서 완성된다.
목관악기는 목재를 기초로 하여 만든 관악기를 총칭하는 것으로, 오늘날에는 나무 이외에 금속이나 플라스틱, 그 밖의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양음악에서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색소폰 등이, 한국 악기로는 대금, 중금, 소금, 피리, 퉁소, 단소 등이 이에 속한다. 색소폰은 모두 금속제이지만 구조상 목관악기로 분류된다.
목관악기에는 리드가 없는 것(플루트, 대금 등)과, 한 장의 리드가 있는 것(클라리넷, 색소폰 등), 두 장의 리드가 있는 것(오보에, 바순 등) 등의 구별이 있다.
도 1에는 목관악기의 대표적인 예로 색소폰을 도시하였는데, 도 1을 살펴보면 색소폰은 통상 마우스피스(1)와, 넥(2)과, 바디(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우스피스(1)는 연주가 입에 물고 부는 부분으로 메탈 재질과 고무 재질로 나눌 수 있다.
메탈 재질의 마우스피스는 재질에서도 음색차이가 나지만 그 속을 어떤 모양으로 깎았는가에 따라 음색의 차이가 많이 나고, 고무 재질의 마우스피스는 소프라노, 알토 색소폰 등에 많이 사용하며 일명 뿔피스라고도 한다.
한편, 상기 마우스피스(1)의 밑부분에는 리드(reed)라고 하는 갈대나무 재질의 울림판이 붙어 있다.
상기 넥(2)은 상기 마우스피스(1)와 바디(3)를 연결해 주는 부분으로 통상 아취형의 금속제를 사용한다.
상기 넥(2)에는 옥타브 소리 구멍이 옥타브 키(21)로 닫혀 있으며, 상기 옥타브 키(21)를 누르면 높은 음이 나오게 된다.
상기 바디(3)는 일자형의 튜브로 모델에 따라 20~25개의 음공이 뚫려 있고 그 위에는 레버(32)에 의해 동작되는 키(31)로 덮여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보우(4)와 상기 벨(5)을 포함하여 상기 바디(3)라고도 한다.
상기 보우(4)는 상기 바디(3)와 상기 벨(4)을 연결하는 U자형의 튜브로 울림의 반사판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고, 상기 벨(5)은 소리가 발산되는 부분이다.
한편, 색소폰의 음색은 색소폰의 제조 과정과 관련하여 악기마다 각각 고유의 특성을 갖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연주자가 통상 중후한 음색을 선호하지만 제조 과정에서 이미 정하여진 색소폰의 음색을 조절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2-0075699호(공개일자:2012.07.09) 및 등록특허 제1057277호(등록일자: 2011.08.09)에는 악기의 공명을 강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고, 등록특허 제1118544호(등록일자: 2012.02.14)에는 색소폰의 음정을 가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공명을 강화하는 기술 및 음정을 가변하는 기술은 종래기술로 제안된 바 있지만, 색소폰의 음색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은 제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악기의 도파관의 내면에 거칠기를 형성하여 도파관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관악기의 음색을 중후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연주자가 부는 경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도파관을 따라 음파가 진행되며 공명되는 관악기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되도록 상기 도파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거칠기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상기 거칠기형성공정은, 상기 도파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모래를 분사 또는 마찰시켜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상기 거칠기형성공정 이후에 상기 도파관의 내면을 도금 처리하는 도금처리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상기 관악기는, 연주자가 입으로 물고 부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된 넥과, 상기 넥에 연결된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 색소폰이고, 상기 거칠기형성공정은, 상기 색소폰의 넥 또는 바디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도파관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비교적 심플한 방법으로 관악기의 음색을 중후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색소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에서 도파관 내면의 거칠기와 음색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패드 및 레조네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패드 및 레조네이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색소폰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에서 도파관 내면의 거칠기와 음색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연주자가 부는 경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도파관(100)을 따라 음파가 진행되며 공명되는 관악기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거칠기형성공정(S10)과, 도금처리공정(S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관악기의 일예로 연주자가 입으로 물고 부는 마우스피스(1)와, 상기 마우스피스(1)에 연결된 넥(2)과, 상기 넥(2)에 연결된 바디(3)를 포함하여 구성된 색소폰을 예로 들었지만, 음파가 진행되는 중공형의 도파관(100)을 갖는 관악기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할 것이다.
상기 거칠기형성공정(S10)은 상기 도파관(100)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110) 즉,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색소폰의 넥(2) 또는 바디(3)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110)를 형성하는데, 거칠기 형성방법으로는 모래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도파관(100)의 내면에 분사 하는 방법(샌드 블라스트법) 또는 텀블러를 이용하여 모래를 도파관(100)의 내면에 마찰시키는 방법(텀블러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파관(100)의 내면에 거칠기(11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파관(100)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되고, 그로 인해 공명상태가 지속되는 효과가 발현됨은 물론 음파의 진행경로가 길어짐으로써 하모닉스 주파수는 유형이 바람직한 모양을 형성하며, 주파수 상호간의 간섭 하모닉스는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그 에너지가 강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인간의 가청주파수(20Hz ~ 20,000Hz) 영역에서 1,000Hz 미만의 주파수 세력의 에너지가 증가할 때 중후한(Darkness) 음색을 느끼게 되어 악기의 울림이 좋은 악기로 평가받는다.
도 4에는 상기 도파관(100) 내면의 거칠기(110)와 음색의 상관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하였는데,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도파관(100)의 내면이 매끈한 경우(0.5Ra) 주파수 세력의 에너지가 1,000Hz 이상으로 분포하여 가벼운(Light) 음색을 갖게 되는데, 상기 도파관(100) 내면에 거칠기(110)가 형성된 경우 주파수 세력의 에너지가 1,000Hz 이하로 분포되며 중후한(Darkness) 음색을 갖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파관(100) 내면의 거칠기(110)가 필요 이상으로 거칠게 형성된다면 상기 도파관(100)으로 흐르는 공기의 마찰이 매끈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악기를 입으로 불기가 힘들어질 수도 있으므로 상기 도판관(100) 내면의 거칠기(110)는 추구하는 음색 및 공기의 마찰을 고려하여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도파관(100) 내면의 거칠기(110) 조절은 분사 또는 마찰되는 모래의 굵기 및 작업시간으로 조절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도금처리공정(S20)은 상기 거칠기형성공정(S10) 이후에 상기 도파관(100)의 내면을 도금(120) 처리하는 공정이다.
상기 도금(120)은 금도금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은 도금(120)을 통하여 거칠기(110)가 형성된 상기 도파관(100)의 내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공명과 울림을 보다 강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인 색소폰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도파관(100)의 내면을 가공하는 방법을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색소폰의 음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패드(210) 및 레조네이터(220)를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소폰의 키컵(200)에는 통상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패드(210) 및 레조네이터(220)가 일체로 부착되는데, 상기 패드(210)는 펠트(211)에 가죽커버(212)가 둘러져 구성되고, 상기 레조네이터(220)는 상기 패드(210)의 중심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레조네이터(220)는 공명기라고 하는데, 리드의 진동이 관을 타고 내려오면서 진동이 악기의 바디에 전달되게 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통상 금속으로 제작되고, 직경이 클수록 음의 뻗어나감(프로젝션)은 커지고 저항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음색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레조네이터(220)의 표면에도 상기 도파관(100)과 마찬가지로 거칠기형성공정(S10)을 통해 거칠기(221)를 형성하고, 도금처리공정(S20)을 통해 도금층(222)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패드(210)에 상기 레조네이터(220)를 리벳 형태로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레조네이터(220) 만의 교체가 불가능하였던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조네이터(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고정구(230)를 구비하여 상기 패드(210)에서 상기 레조네이터(22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마우스피스
2 넥
21 옥타브 키
3 바디
31 키
32 레버
4 보우
5 벨
S10 거칠기형성공정
S20 도금처리공정
100 도파관
110 거칠기(요철)
120 도금
200 키컵
210 패드
211 펠트
212 가죽커버
220 레조네이터
221 거칠기
222 도금층
230 착탈고정구

Claims (4)

  1. 연주자가 부는 경우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도파관을 따라 음파가 진행되며 공명되는 관악기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을 따라 진행되는 음파에서 난반사가 발생되도록 상기 도파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거칠기형성공정과;
    상기 거칠기형성공정 이후에 상기 도파관의 내면을 도금 처리하는 도금처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칠기형성공정은, 상기 도파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내면에 모래를 분사 또는 마찰시켜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악기는, 연주자가 입으로 물고 부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된 넥과, 상기 넥에 연결된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 색소폰이고,
    상기 거칠기형성공정은, 상기 색소폰의 넥 또는 바디의 내면에 일정 거칠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KR1020120130666A 2012-11-19 2012-11-19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KR10140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666A KR101407344B1 (ko) 2012-11-19 2012-11-19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666A KR101407344B1 (ko) 2012-11-19 2012-11-19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940A KR20140063940A (ko) 2014-05-28
KR101407344B1 true KR101407344B1 (ko) 2014-06-16

Family

ID=5089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666A KR101407344B1 (ko) 2012-11-19 2012-11-19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4887B2 (ja) * 2015-10-27 2018-12-05 株式会社yoj企画 木管楽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8118A (ja) * 1994-01-10 1996-08-27 オニバ・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 管楽器の改善およびこの管楽器の部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5796022A (en) * 1996-12-31 1998-08-18 Miller; Robert W. Helical air path induction in wind instruments
JP2004061573A (ja) * 2002-07-25 2004-02-26 Michihiko Inoue 金管楽器のマウスピース
US20120174728A1 (en) 2009-07-16 2012-07-12 Hyeon Su Oh Method for increasing resonance of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8118A (ja) * 1994-01-10 1996-08-27 オニバ・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 管楽器の改善およびこの管楽器の部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5796022A (en) * 1996-12-31 1998-08-18 Miller; Robert W. Helical air path induction in wind instruments
JP2004061573A (ja) * 2002-07-25 2004-02-26 Michihiko Inoue 金管楽器のマウスピース
US20120174728A1 (en) 2009-07-16 2012-07-12 Hyeon Su Oh Method for increasing resonance of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940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970B2 (en) Woodwind instrument
CN107424593B (zh) 一种区域划动触控式曲面立体扬声器阵列的数码乐器
US7335831B2 (en) Brass instrument
US7579532B2 (en) String musical instrument
US9966049B2 (en) Musical instrument for preventing player's body from damping vibrations
US7439429B2 (en) Wind instrument having a modified tone-rich surface
US6673992B1 (en) Saxophone mouthpiece
US20060123973A1 (en) Mouthpiece for musical instruments
MXPA04012172A (es) Instrumento musical que tiene componentes intercambiables.
US8841529B2 (en) Clarinet mouthpiece and barrel system
US8569602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US4212223A (en) Mouthpiece for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KR101407344B1 (ko) 관악기의 음색 조절 방법
US20170206866A1 (en) Guitar bridge with tonal enhancement
JP2010503036A (ja) 楽器の音響を改善する方法
US20080250910A1 (en) Machine for making music
US4345503A (en) Interchangeable tone chamber
JP2010503037A (ja) 楽器の音響を改善する方法
JP6126296B1 (ja) レゾナンスブリッヂ
KR102439317B1 (ko) 음향판에 홈을 가진 악기
US6759581B2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relief cut
JP2020181145A (ja) 楽器用共鳴補助具及び楽器
KR101381411B1 (ko) 관악기용 에지링
WO2017148049A1 (zh) 弦鸣乐器的复共鸣器及弦鸣乐器
Thompson A study of french horn harm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