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453B1 -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 Google Patents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453B1
KR102642453B1 KR1020220017663A KR20220017663A KR102642453B1 KR 102642453 B1 KR102642453 B1 KR 102642453B1 KR 1020220017663 A KR1020220017663 A KR 1020220017663A KR 20220017663 A KR20220017663 A KR 20220017663A KR 102642453 B1 KR102642453 B1 KR 10264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hole
tone
finishing
hole structure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879A (ko
Inventor
김남정
Original Assignee
김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정 filed Critical 김남정
Priority to KR102022001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음색이 풍부하고 부드러우며, 키패드가 달라붙지 않고 끼이지 않으며, 충격에 강하며, 간단한 방법으로 균일한 형태를 얻을 수 있는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를 제시한다. 그 관악기는 마우스피스를 결합하고 진동체로 공기를 사용하는 관악기에서의 톤홀구조체를 포함하고, 톤홀구조체는 패드덮개, 키패드, 톤홀관 및 마감부를 포함하고, 패드덮개는 키패드를 수용하고, 키패드는 톤홀관을 개폐하며, 마감부는 톤홀관의 단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부착된다.

Description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Wind instruments mounting tone hole structure having finishing structure}
본 발명은 관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톤홀구조체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에 의해 패드덮개가 톤홀을 안정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관악기는 마우스피스와 결합되어 연주자가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대고 불어서 소리를 내고, 소리를 내기 위한 진동체는 공기를 사용하는 악기이다. 관악기는 전통적으로 목관인 클라리넷, 플루트, 색소폰 등인 금관인 트럼펫, 트롬본, 프렌치호른, 튜바 등으로 나누고 있다. 관악기의 본관에는 많은 톤홀(tone hole)이 있고, 상기 톤홀은 키버튼을 포함하는 키워크에 의하여 개폐됨에 따라 각각의 화음이 연주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톤홀은 키패드이 접촉되는 음공이다. 색소폰의 경우, 보통 25개의 톤홀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롯은 보통 9개의 톤홀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톤홀의 개수 및 크기 등은 관악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국내등록특허 제10-2220038호는 측벽이 그대로 연장되어 단부를 이루는 직선형 톤홀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직선형 톤홀은 음색이 풍부하지 않고 부드럽지 않으며, 키패드가 달라붙고, 충격을 받으면 톤홀의 단부 형상이 변화되기도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톤홀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동그랗게 구부리거나(P100), 톤홀 측벽까지 구부리기도 하였다(P200).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톤홀의 단부를 구부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어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톤홀로 가공하는 중에 균일한 형태의 단부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색이 풍부하고 부드러우며, 키패드가 달라붙지 않고 끼이지 않으며, 충격에 강하며, 간단한 방법으로 균일한 형태를 얻을 수 있는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는 마우스피스를 결합하고 진동체로 공기를 사용하는 관악기에서의 톤홀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톤홀구조체는 패드덮개, 키패드, 톤홀관 및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덮개는 상기 키패드를 수용하고, 상기 키패드는 상기 톤홀관을 개폐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톤홀관의 단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부착된다.
본 발명의 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마감체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체는 상기 단부의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를 가진다. 상기 마감부는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마감체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부는 중심부가 가장 많이 돌출된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마감체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체는 융착 또는 접착으로 상기 톤홀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감체는 속이 빈 형태 또는 충만한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에 의하면, 부착식 마감부를 가진 톤홀구조체를 활용함으로써, 음색이 풍부하고 부드러우며, 키패드가 달라붙지 않고, 충격에 강하며, 간단한 방법으로 균일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톤홀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색소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톤홀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톤홀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톤홀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관악기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관악기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착식 마감부를 가진 톤홀구조체를 활용함으로써, 음색이 풍부하고 부드러우며, 키패드가 달라붙지 않고, 충격에 강하며, 간단한 방법으로 균일한 형태를 얻을 수 있는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부착식 마감부를 가진 톤홀구조체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톤홀구조체의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톤홀구조체는 관악기에 적용되며, 상기 관악기는 마우스피스와 결합되어 연주자가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대고 불어서 소리를 내고, 소리를 내기 위한 진동체로 공기를 사용하는 악기이다. 상기 관악기는 전통적으로 목관인 클라리넷, 플루트, 색소폰 등인 금관인 트럼펫, 트롬본, 프렌치호른, 튜바 등으로 나뉜다.
여기서는, 상기 관악기 중에 색소폰을 사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색소폰은 갈대로 만들어진 리드(reed)가 리가추어(ligature)에 의해 넥(neck)에 고정되고, 마우스피스를 물고 불면 리드의 떨림이 넥을 거쳐 본관에 공명되어 소리가 발생되도록 한다. 색소폰의 본관에 배열된 키(key)를 누르면, 본관의 공명의 길이가 달라져서 소리의 음정이 조정된다. 상기 색소폰은 음역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바리톤과 같은 5가지 색소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색소폰의 본관에는 많은 톤홀이 있고, 톤홀은 키패드에 의한 개폐에 따라 각각의 화음이 연주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색소폰(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색소폰(100)은 넥(neck, 10), 링밴드(20), 부스터(30) 및 본관(40)을 포함한다. 넥(10)은 마우스피스(11)와 본관(40)을 연결해주는 부분으로써, 통상적 굽어진 형태의 금속제를 사용한다. 넥(10)에는 마우스피스(11)가 연결되고, 리드(12)가 리가추어(13)에 의해 마우스피스(11)에 고정된다. 마우스피스(11)는 연주자의 입술이 닿는 부분으로, 색소폰(100)의 종류, 제품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리가추어(13)는 원통형의 몸체 및 조임나사 등을 이용하여 리드(12)를 고정하며, 상기 원통형은 마우스피스(11)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리가추어(13)는 강성을 유지하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나, 음의 진동이 고른 황동과 같은 금속이 보다 바람직하다. 리가추어(13)의 표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 등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 마우스피스(11)는 연결튜브(14)에 삽입되어 넥(10)에 연결된다.
리드(12)는 울림을 만드는 얇은 떨림판으로, 마우스피스(11)에 결합되어 소리를 내는 발음체의 역할을 한다. 리드(12)는 주로 갈대의 일종인 물대(giant reed)로 제작된 나무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드(12)는 나무의 결이나 사용기간, 커팅방법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소리를 낸다. 나무재질의 리드(12)는 나무의 결에 의해 풍부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나무재질의 리드(12)는 충격이나 습도 등 외부환경에 따른 제약이 많고 관리하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소리가 풍부하지 못한 점이 있지만 합성수지재의 리드(12)를 사용하기도 한다. 넥(10)과 본관(40)은 링(ring) 형태의 링밴드(20)를 이용하여 고정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링밴드(20)에는 부스터(30)가 결합된다. 부스터(30)는 본관(40)에서의 음향 품질을 개선하고 색소폰(100)의 형태와 무관하게 넥(10)과 본관(40)을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관(40)은 넥(10)에 연결되고, 색소폰(10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다루기가 힘들기 때문에, 알토 색소폰, 테너 색소폰, 바리톤 색소폰, 베이스 색소폰 등 낮은 음역의 색소폰들은 관의 아래쪽을 U자 모양으로 구부린다. 특히, 상기 바리톤 색소폰과 베이스 색소폰은 악기의 길이를 더 줄이기 위해 관의 윗부분을 두 번 더 감는다. 키워크(keywork, 50)는 각각 복수개의 제1 톤홀구조체(60)와 연결되고, 제1 톤홀구조체(60)는 막거나 열리면서 음높이를 조절하는 구멍이다. 키워크(50)는 연주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키버튼(51) 및 키버튼(51)과 제1 톤홀구조체(60)를 연결시키는 키로드(52)를 포함한다. 본관(40)의 끝부분에는 둥근 나팔 모양의 구멍인 벨(41)이 존재한다. 이때, 제1 톤홀구조체(60)를 제외하고, 넥(10), 마우스피스(11), 리드(12), 리가추어(13), 연결튜브(14), 링밴드(20), 부스터(30), 본관(40), 키워크(50) 등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공지된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톤홀구조체(6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색소폰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제1 톤홀구조체(60)는 본관(40)에 장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톤홀구조체(60)는 키로드(52)에 의해 키워크(50)에 연결된다. 제1 톤홀구조체(60)는 패드덮개(61), 키패드(62), 톤홀관(63) 및 제1 마감부(64)를 포함한다. 패드덮개(61)는 키패드(62)를 수용된다. 연주자의 손가락이 키버튼(51)을 누르면, 패드덮개(61) 및 키패드(62)를 당겨서 톤홀관(63)이 개방된다. 연주자의 손가락이 키버튼(51)에서 떨어지면, 패드덮개(61) 및 키패드(62)는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서 톤홀관(63)을 덮어서 폐쇄시킨다. 즉, 패드덮개 및 키패드(62)는 키워크(50)와 함께 톤홀관(63)을 개폐한다.
톤홀관(63)의 단부에는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띠 형태의 제1 마감부(64)가 존재한다. 제1 마감부(64)는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1 마감체(65)가 톤홀관(63)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마감체(65)는 상기 단부의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를 가진 구조이다. 제1 마감체(65)의 양끝은 제1 및 제2 고정부(64a, 64b)에 의해 톤홀관(63)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고정부(64a, 64b)는 제1 마감체(65) 및 톤홀관(63)을 융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마감체(65)는 톤홀관(63)에 융착 또는 접착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융착은 용접, 레이저 융착, 고주파 융착 등과 같이 제1 마감체(65)의 일부를 국부적으로 용해되므로 가압해서 부착시킨다. 상기 접착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접착시켜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마감체(65)는 톤홀관(63)의 단부를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부착되므로, 음색이 풍부하고 부드러워지며 외부의 충격에 강하다. 또한, 제1 마감체(65)는 상기 단부의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를 가진 구조를 가지므로, 키패드(62)는 톤홀관(63)의 단부에 달라붙거나 끼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개폐된다. 제1 마감체(65)는 융착 또는 접착으로 톤홀관(63)에 부착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제1 마감부(64)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융착을 하는 경우, 용해되는 정도 및 융착온도를 조절하면, 제1 마감부(64)의 열변형이 없이 균일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접착을 하는 경우, 열변형이 야기되지 않으므로, 균일한 형태의 제1 마감부(64)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톤홀구조체(7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색소폰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2 톤홀구조체(70)는 제2 마감부(74)를 제외하고, 제1 톤홀구조체(60)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제2 톤홀구조체(70)는 패드덮개(61), 키패드(62), 톤홀관(63) 및 제2 마감부(74)를 포함한다. 패드덮개(61), 키패드(62) 및 톤홀관(63)은 제1 톤홀구조체(60)과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제2 마감부(74)는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2 마감체(75)가 톤홀관(63)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제2 마감체(75)의 양끝은 제3 및 제4 고정부(74a, 74b)에 의해 톤홀관(63)에 부착된다. 제3 및 제4 고정부(74a, 74b)는 제1 및 제2 고정부(64a, 64b)와 마찬가지로,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톤홀구조체(8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색소폰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3 톤홀구조체(80)는 제3 마감부(84)를 제외하고, 제1 톤홀구조체(60)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제3 톤홀구조체(80)는 패드덮개(61), 키패드(62), 톤홀관(63) 및 제3 마감부(84)를 포함한다. 패드덮개(61), 키패드(62) 및 톤홀관(63)은 제1 톤홀구조체(60)과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제3 마감부(34)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3 마감체(85)가 톤홀관(63)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제3 마감체(8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가장 많이 돌출되고, 양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작아진다. 제3 마감체(85)의 양끝은 제5 및 제6 고정부(84a, 84b)에 의해 톤홀관(63)에 부착된다. 제5 및 제6 고정부(84a, 84b)는 제1 및 제2 고정부(64a, 64b)와 마찬가지로,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마감체(65, 75)는 빈 공간이 없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약간이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10; 넥 11; 마우스피스
12; 리드 13; 리가추어
14; 연결튜브 20; 링밴드
30; 부스터 40; 본관
41; 벨 50; 키워크
51; 키버튼 52; 키로드
60, 70; 제1 및 제2 톤홀구조체
61; 패드덮개 62; 키패드
63; 톤홀관
64, 74, 84; 제1 내지 제3 마감부
64a, 64b, 74a, 74b, 84a, 84b 제1 내지 제6고정부
65, 75, 85; 제1 내지 제3 마감체

Claims (6)

  1. 마우스피스를 결합하고 진동체로 공기를 사용하는 관악기에서의 톤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톤홀구조체는 패드덮개, 키패드, 톤홀관 및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덮개는 상기 키패드를 수용하고, 상기 키패드는 상기 톤홀관을 개폐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톤홀관의 단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부착되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단부의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를 가지는 삼각 형태, 반원 형태 또는 중심부가 가장 많이 돌출된 삼각형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마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는 융착 또는 접착으로 상기 톤홀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는 속이 빈 형태 또는 충만한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KR1020220017663A 2022-02-10 2022-02-10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KR10264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63A KR102642453B1 (ko) 2022-02-10 2022-02-10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63A KR102642453B1 (ko) 2022-02-10 2022-02-10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79A KR20230120879A (ko) 2023-08-17
KR102642453B1 true KR102642453B1 (ko) 2024-02-28

Family

ID=8780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663A KR102642453B1 (ko) 2022-02-10 2022-02-10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1003107U1 (de) * 2011-02-24 2011-05-12 Beckenbach, Klaus Verschlusselement zum Verschließen eines Blasinstrumententonloch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1003107U1 (de) * 2011-02-24 2011-05-12 Beckenbach, Klaus Verschlusselement zum Verschließen eines Blasinstrumententonloc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79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970B2 (en) Woodwind instrument
US20060272473A1 (en) Mouthpiece for a wind instrument
US7439429B2 (en) Wind instrument having a modified tone-rich surface
US20060196342A1 (en) Brass instrument
KR20060029220A (ko) 악기용 액세서리, 구성요소, 및 작동부품
US4449439A (en) Mouthpiece for woodwind instruments
US6696629B1 (en) Keyless plastic saxophone
US4206680A (en) Keying improvement for clarinets
US20070044634A1 (en) Instrument
KR102642453B1 (ko) 마감부가 포함된 톤홀구조체가 장착된 관악기
US5241890A (en) Speaker vent
US4212223A (en) Mouthpiece for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US5796022A (en) Helical air path induction in wind instruments
CN217847424U (zh) 双簧管哨片稳定器
JP3355608B2 (ja) 木管楽器の音孔構造
JP2007530994A (ja) オーボエとオーボエヘッド
JP2545159Y2 (ja) ソプラノサクソフォン
KR102671686B1 (ko) 하드우드 키버튼이 장착된 관악기
JP6434887B2 (ja) 木管楽器
US11769474B2 (en) Flute head joint, method of producing a flute head joint and flute
JP6799866B2 (ja) ファゴット
US20230317036A1 (en) Instrument with interior body walls having airflow disruption apparatus
TW201331928A (zh) 修正樂器振動能量的設備與系統
US20050045022A1 (en) Single-reed wind instrument
KR20120121600A (ko) 관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