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614B1 - 관악기용 리가춰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리가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614B1
KR102342614B1 KR1020200154788A KR20200154788A KR102342614B1 KR 102342614 B1 KR102342614 B1 KR 102342614B1 KR 1020200154788 A KR1020200154788 A KR 1020200154788A KR 20200154788 A KR20200154788 A KR 20200154788A KR 102342614 B1 KR102342614 B1 KR 102342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wood body
ligature
brass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석
Original Assignee
김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석 filed Critical 김학석
Priority to KR102020015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외부를 둘러싸 고정하기 위한 리가춰에 관한 것으로, 목재 재질이고, 양 단부 사이가 벌어진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드본체; 구리 재질이고, 상기 우드본체의 내면 둘레를 따라 부착된 구리판; 황동 재질이고, 상기 우드본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며, 양 단부가 절곡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절곡부가 구비된 황동판; 및 양쪽 절곡부의 관통홀에 관통 체결된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어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리가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의 우드본체와 그 내외에 각각 부착된 구리판과 황동판으로 이루어진 공명 구조로 인하여 관악기의 울림이 풍부해지고, 아름다운 선율과 부드럽고 깊은 음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리 전달력이 우수하고, 음이 명료하면서도 풍성하게 들리며, 리가춰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악기용 리가춰{LIGATURE FOR 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외부를 둘러싸 고정하여 관악기의 부드럽고 깊은 음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소폰, 클라리넷, 오보에 등과 같은 관악기는 마우스피스를 결합하여 연주자가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대고 불어서 소리를 내게 되고, 소리를 내기 위한 진동체로 공기를 사용하는 악기이다.
관악기는 마우스피스에 리드(reed)를 체결하여 악기의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데, 리드의 떨림이 발생하여 소리가 발생하고, 재질, 두께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그에 따라 리드가 낼 수 있는 음색도 다양하고, 클래식, 팝, 재즈 등 연주곡 분야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리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연주자가 관악기에 결합된 마우스피스를 입술에 대고 불때 마우스피스의 표면에 대하여 리드가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외부 둘레를 둘러싸 고정하고 리드의 떨림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리가춰가 사용되며, 리가춰의 구조와 형상 및 재질은 악기의 음색에 영향을 주게 된다.
종래의 리가춰는 특허문헌 1에 공개된 것으로, 얇은 단일 금속재 패널을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둘러쌀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하고, 양단부에 결합체를 용접결합하거나 절곡시켜 제작하며,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결합한 후 리가춰가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한 다음 조임부재를 사용하여 리가춰를 조여서 고정하였다. 또한, 요즘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리가춰도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단일 금속재 패널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종래의 리가춰는 단순히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고정하고 조임 정도에 따라 리드의 떨림의 진동수를 제어하는 단순한 작용만 하며, 울림이 적어서 관악기의 부드럽고 깊은 음색을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1345호(2013.03.1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목재의 우드본체와 그 내외에 각각 부착된 구리판과 황동판으로 이루어진 공명 구조로 인하여 관악기의 울림이 풍부해지고, 아름다운 선율과 부드럽고 깊은 음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리 전달력이 우수하고, 음이 명료하면서도 풍성하게 들리며, 리가춰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관악기용 리가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외부를 둘러싸 고정하기 위한 리가춰에 있어서, 목재 재질이고, 양 단부 사이가 벌어진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드본체; 구리 재질이고, 상기 우드본체의 내면 둘레를 따라 부착된 구리판; 황동 재질이고, 상기 우드본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며, 양 단부가 절곡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절곡부가 구비된 황동판; 및 양쪽 절곡부의 관통홀에 관통 체결된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어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리가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의 우드본체와 그 내외에 각각 부착된 구리판과 황동판으로 이루어진 공명 구조로 인하여 관악기의 울림이 풍부해지고, 아름다운 선율과 부드럽고 깊은 음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리 전달력이 우수하며, 음이 명료하면서도 풍성하게 들리며, 리가춰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1)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외부를 둘러싸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우드본체(10), 구리판(20), 황동판(30) 및 조임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우드본체(10)는 단풍나무, 밤나무, 박달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등과 같은 목재 재질이고, 양 단부 사이가 벌어진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본적으로 양 단부가 서로 멀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을 갖고 있다.
목재는 금속에 비하여 가볍고 탄성이 있으며 진동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바, 리가춰(1)를 목재로 제작하게 되면 리드의 작은 진동을 크게 증폭시켜 공기 중으로 울려 퍼지게 하여 울림이 풍부해지고, 우드본체(10)가 진동하면 음으로 방출되는 에너지는 크고 손실되는 에너지는 작게 되어 울림이 계속되며, 목재는 저음역 소리를 반사하고 고음역은 흡수하기 때문에 귀에 거슬리는 고주파수의 음을 억제시켜 아름다운 선율과 부드럽고 깊은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우드본체(10)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구리판(20)과 황동판(30)이 부착되면 우드본체(10)의 쪼개짐을 방지하고, 구리판(20)과 황동판(30)의 고유진동수의 차이에 따른 진동의 증폭 작용이 발생하여 소리의 진폭은 더욱 커져서 볼륨이 증대되어 소리 전달력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리판(20)은 전성과 연성이 좋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고, 우드본체(1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되며, 상기 조임부재(40)의 조임을 통해 황동판(30)에 의해 우드본체(10)와 함께 가압 변형된다.
구리는 울림성이 좋아 예로부터 종의 소재로 사용되어 왔던 것으로, 우드본체(10)의 내면에 부착된 구리판(20)이 공명되면서 소리를 직진시켜 전달력이 증가된다. 또한, 음의 잔향시간이 너무 길면 음들의 구분이 힘들어져 음의 명확성이 저하되는 바, 우드본체(10)는 목재로 이루어져 잔향이 길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에 각각 구리판(20)과 황동판(30)을 부착하여 음이 명료하면서도 풍성하게 들리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황동판(30)은 황동 재질로 이루어지고 우드본체(10)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되며, 양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절곡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31)가 조임부재(40)에 의해 조임되는 바, 이와 같이 조임부재에 의해 우드본체(10)가 직접 조임되는 것이 아니라 외측의 황동판(30)을 통해 우드본체(10)가 가압되어 리가춰(1)가 마우스피스(2)와 리드(3)를 간접적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황동판(30)의 힘에 의해 그 고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관악기 연주 중에 리드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음이탈 등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정상적인 연주가 가능하게 된다.
황동은 구리에 아연을 첨가하여 만든 합금으로 구리에 비해 경도와 강도가 강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황동판(30)은 우드본체(10)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고, 조임부재(40)에 의해 조임시 우드본체(10)를 가압하여 우드본체(10)에 부족한 고정력을 증대시킨다.
더불어, 상기 우드본체(10)는 양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링돌부(11)가 형성되고, 양측 링돌부(11) 사이에 요입된 링홈부(12)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황동판(30)은 양측 링돌부(11) 사이에 형성된 링홈부(12)를 따라 부착되어 조임부재(40)에 의한 조임시 우드본체(10) 전체가 아닌 링홈부(12)를 집중적으로 가압함으로써, 황동판(30)의 가압력 및 고정력이 증가하고, 황동판(30)의 견고한 부착이 유지되며, 반복되는 조임 조절 등 사용에 따른 황동판(3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조임부재(40)는 양쪽 절곡부(31)의 관통홀에 관통 체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볼트(41)와, 양쪽 절곡부(31)에 관통 체결된 조임볼트(41)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42)를 포함하여 리드의 진동 정도를 조절한다. 이때,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기 황동판(30)의 양쪽 절곡부(31)는 조임부재(40)에 의해 조임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양쪽 절곡부(3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마우스피스(2)와 리드(3)를 가압 고정하고 리드(3)의 진동을 조절하여 악기의 음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40)는 상기 황동판(30)과 동일한 황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황동판(30)의 절곡부(31) 주변에 관통되어 상기 우드본체(1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더 포함하여 황동판(30)의 우드본체(10)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의 우드본체와 그 내외에 각각 부착된 구리판과 황동판으로 이루어진 공명 구조로 인하여 관악기의 울림이 풍부해지고, 아름다운 선율과 부드럽고 깊은 음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리 전달력이 우수하고, 음이 명료하면서도 풍성하게 들리며, 리가춰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리가춰
2. 마우스피스
3. 리드
10. 우드본체
11. 링돌부
12. 링홈부
20. 구리판
30. 황동판
31. 절곡부
40. 조임부재
41. 조임볼트
42. 조절너트
50. 고정부재

Claims (3)

  1.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외부를 둘러싸 고정하기 위한 리가춰에 있어서,
    목재 재질이고, 양 단부 사이가 벌어진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드본체;
    구리 재질이고, 상기 우드본체의 내면 둘레를 따라 부착된 구리판;
    황동 재질이고, 상기 우드본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며, 양 단부가 절곡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절곡부가 구비된 황동판; 및
    양쪽 절곡부의 관통홀에 관통 체결된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어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리가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본체는 양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링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황동판은 양쪽 링돌부 사이에 형성된 링홈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동판의 절곡부 주변에 관통되어 상기 우드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관악기용 리가춰.
KR1020200154788A 2020-11-18 2020-11-18 관악기용 리가춰 KR102342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88A KR102342614B1 (ko) 2020-11-18 2020-11-18 관악기용 리가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88A KR102342614B1 (ko) 2020-11-18 2020-11-18 관악기용 리가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614B1 true KR102342614B1 (ko) 2021-12-22

Family

ID=7916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788A KR102342614B1 (ko) 2020-11-18 2020-11-18 관악기용 리가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66U (ko) * 2022-09-01 2024-03-08 김학석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2584A (en) * 1940-12-04 1942-08-11 Herman O Tafarella Ligature
US20050061136A1 (en) * 2003-09-22 2005-03-24 Rovner Philip L. Multi-tonal ligature
KR101241345B1 (ko) 2011-04-06 2013-03-11 김일로 양수 체결형 리가춰
KR20130138524A (ko) * 2012-06-11 2013-12-19 승 섭 고 리드몸체진동부를 형성한 리가츄어
US9934763B1 (en) * 2017-04-27 2018-04-03 Robert Vanacore Resonating system
KR102100507B1 (ko) * 2019-07-29 2020-04-13 이봉학 목관악기용 리가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2584A (en) * 1940-12-04 1942-08-11 Herman O Tafarella Ligature
US20050061136A1 (en) * 2003-09-22 2005-03-24 Rovner Philip L. Multi-tonal ligature
KR101241345B1 (ko) 2011-04-06 2013-03-11 김일로 양수 체결형 리가춰
KR20130138524A (ko) * 2012-06-11 2013-12-19 승 섭 고 리드몸체진동부를 형성한 리가츄어
US9934763B1 (en) * 2017-04-27 2018-04-03 Robert Vanacore Resonating system
KR102100507B1 (ko) * 2019-07-29 2020-04-13 이봉학 목관악기용 리가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66U (ko) * 2022-09-01 2024-03-08 김학석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KR200497968Y1 (ko) 2022-09-01 2024-04-29 김학석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2639B2 (ja) エレキ式とアコースティック式の複合打楽器
US7582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of a bass drum
US4026181A (en) Tension rod
KR102342614B1 (ko) 관악기용 리가춰
US8766072B2 (en) Reed for a saxophone
JP2020502594A (ja) 木管楽器用リガチャー
US20120085218A1 (en) Ligature for the mouthpieces of single-reed wind instruments
KR102100507B1 (ko) 목관악기용 리가춰
US20080250910A1 (en) Machine for making music
KR101252434B1 (ko) 보조 음향기가 장착된 관악기용 리드
KR101693218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US4212223A (en) Mouthpiece for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US7737350B2 (en) Universal ligature suitable for many instruments
US7459615B2 (en) Musical ton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 altering musical tone apparatus
KR200497968Y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WO2018168690A1 (ja) 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のボディおよび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
JP2903041B2 (ja) 音響孔を有する弦楽器
US9183817B2 (en) Reed affixing device for wind instruments
JP2018077444A (ja) レゾナンスブリッヂ
JP7084070B1 (ja) 管楽器用リガチャーカバー
JP2006501519A (ja) レリーフカットを備えたアコースティック弦楽器のボディー
KR200173865Y1 (ko) 기타의 공명상자
JP6960647B1 (ja) 振動増幅器
US11094300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optimized energy capture
JP7304026B1 (ja) 木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向け音質改善部または音質改善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