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45B1 - 양수 체결형 리가춰 - Google Patents

양수 체결형 리가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45B1
KR101241345B1 KR1020110031836A KR20110031836A KR101241345B1 KR 101241345 B1 KR101241345 B1 KR 101241345B1 KR 1020110031836 A KR1020110031836 A KR 1020110031836A KR 20110031836 A KR20110031836 A KR 20110031836A KR 101241345 B1 KR101241345 B1 KR 10124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ial
female
fastening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079A (ko
Inventor
김일로
Original Assignee
김일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로 filed Critical 김일로
Priority to KR102011003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4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접하는 방향으로만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결합된 상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 잡이의 어느 연주자이든 양손을 이용하여 리가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리가춰를 선택할 때에도 어느 쪽에 손잡이가 있는지 주의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리가춰의 조임 조절도 용이하도록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외부를 두르는 고정두름체와, 고정두름체의 일측에서 나사결합으로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작동부가 구비된 리가춰에 있어서, 고정작동부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좌우 양쪽에서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양수 체결형으로 구비되며, 고정두름체는, 고정두름체 일측으로 고정작동부와 나사결합되는 두름결합홀이 형성된 두름평부가 구비되어지되, 두름결합홀의 중심축이 고정두름체 내의 마우스피스로 향하도록 구비된 평판형고정두름체로 구비되고, 고정작동부는, 두름평부의 두름결합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 상측으로 사용자가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다이얼부가 형성되는 다이얼형고정작동부로 구비되며, 다이얼부 상부에는 리가춰가압부와 결합되는 가압고정체가 위치되는 다이얼공간이 형성되고, 다이얼공간에 위치된 가압고정체가 평판형고정두름체 내에 위치된 리가춰가압부와 결합되어, 리가춰가압부가 가압고정체에 의하여 다이얼형고정작동부와의 분리됨을 방지하며, 다이얼부의 고정나사부와 두름평부의 두름결합홀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나사부 아래 부분이 리가춰가압부 상부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리가춰가압부와 평판형고정두름체 반대측 사이에 있는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수 체결형 리가춰{LIGATURE FOR TWO-HANDED OPERATION}
본 발명은 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접하는 방향으로만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결합된 상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 잡이의 어느 연주자이든 양손을 이용하여 리가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리가춰를 선택할 때에도 어느 쪽에 손잡이가 있는지 주의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리가춰의 조임 조절도 용이하도록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래의 리가춰는 마우스피스를 접촉하여 전체를 감싸면서 조이도록 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 리드 등이 틀어질 수 있어 음을 맞추기 쉽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는 마우스피스의 한 부분(일정한 부분)만 접촉하고, 마우스피스 나머지 부분(특히 첨부 도면의 측면 등)은 간격이 벌어져 중공형태를 갖으면서 조이기 때문에, 마우스피스, 리드 등이 틀어지지 않아, 마우스피스 고유의 특성이 외부의 리가춰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중공형태의 설계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리가춰를 조절하는 부분이 종래의 리가춰에서는 한 쪽 방향에서만 가능하여, 반대쪽 손으로는 조작하기가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에 의하면 양 손 중 어느 손을 사용하여도 가능한 양방향조작(좌우방향조작)이 가능하고, 아울러 장착도 2방향장착(상하방향 장착)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한 쪽 방향으로만 조작되는 것으로, 상향 장착 시 오른쪽에 조절손잡이가 있는 경우에는 오른손잡이 연주자만 사용가능하고, 왼손잡이는 하향으로 돌려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나, 본 발명의 리가춰는 상향이든 하향이든 원하는 위치로 장착할 수 있고, 연주자 자신이 아무 손이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가춰(Ligature)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Mouthpiece)와 리드(reed)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음이 잘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아름다운 음악 연주가 이루어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주자들은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고정 상태에 주의를 하는 것으로,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서로 자신의 취향과 다르게 되어 있으면 자신이 원하는 음을 얻을 수 없고, 이에 맘이 걸려 연주도 잘 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처럼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잘 결합된 상태를 갖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 다양한 형태의 리가춰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리가춰는 마우스피스, 리드를 감싸는 띠 형상의 가압부분과, 이러한 띠 형상의 가압부분이 조여지거나 풀어지도록 하는 조이는 수단 등이 구성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조이는 수단으로는, 대체로 볼트 형상으로 되고, 볼트 형상의 머리 부분에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측 수나사부분이 띠 형상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분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리가춰는, 관악기의 일측으로만 손잡이가 있기 때문에 한 쪽 손으로만 돌릴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왼손잡이용으로 나오는 리가춰보다는 오른손 잡이용 리가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왼손 잡이의 연주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리가춰의 손잡이 부분은 연주자의 개인 취향에 따라, 관악기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사람도 있고, 반대로 악기의 아래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연주자도 있다. 하지만 오른손 잡이용으로 단일하게 제작되는 종래의 리가춰의 경우에는, 상부에서 오른손 잡이용이었으면 아래로 위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른손 잡이 연주자라 하여도 왼편으로 가있는 손잡이를 사용하기가 불편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악기의 아래에 손잡이가 오른 쪽에 위치되는 종래의 리가춰일 경우에, 구매한 연주자의 취향이 관악기 상부로 리가춰 손잡이가 위치도록 하는 취향일 경우에는 손잡이가 왼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비록 오른손 잡이의 연주자라 하여도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리가춰를 이용하여 연주자 자신의 사용하던 방식이 아닌 리가춰일 경우에는, 연주를 중단하고, 입에서 악기를 뗀 후, 악기를 돌리고 리가춰의 조임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는 중에 조임상태가 변한 리가춰에 의하여 마우스피스, 리드 등에 의한 음이 변하였는지, 자신이 원하는 음인지 여부를 알 수 없게 되고, 자신이 원하는 음이 아닐 경우에는 다시 몇 번이고 조절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접하는 방향으로만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결합된 상태가 틀어지지 않아 음 발생이 양호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 잡이의 어느 연주자이든 양손을 이용하여 리가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리가춰를 선택할 때에도 어느 쪽에 손잡이가 있는지 주의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리가춰의 조임 조절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주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을 내기 위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 중에 조절 부분이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 분실 염려가 없어지게 되고 다수 곳에 보석이 결합되도록 하여, 디자인적인 고급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외부를 두르는 고정두름체(20)와, 상기 고정두름체(20)의 일측에서 나사결합으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작동부(30)가 구비된 리가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좌우 양쪽에서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양수 체결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두름체(20)는, 상기 고정두름체(20) 일측으로 고정작동부(30)와 나사결합되는 두름결합홀(211)이 형성된 두름평부(21)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두름결합홀(211)의 중심축이 고정두름체(20) 내의 마우스피스(11)로 향하도록 구비된 평판형고정두름체(201)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상기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311) 상측으로 사용자가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다이얼부(31)가 형성되는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로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부(31) 상부에는 리가춰가압부(40)와 결합되는 가압고정체(33)가 위치되는 다이얼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공간(32)에 위치된 가압고정체(33)가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내에 위치된 리가춰가압부(40)와 결합되어, 리가춰가압부(40)가 가압고정체(33)에 의하여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와의 분리됨을 방지하며, 상기 다이얼부(31)의 고정나사부(311)와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나사부(311) 아래 부분이 리가춰가압부(40) 상부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리가춰가압부(40)와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반대측 사이에 있는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의 다이얼공간(32)은, 가압고정체(33)의 고정상부(331)가 위치되고 바닥면이 고정상부(331)의 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고정체내재공간(321)과, 상기 고정체내재공간(321)의 바닥에서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리가춰가압부(40)의 일측이 삽입되어 자유회전되도록 하는 가압부회전공간(322)이 포함되어 구비되어,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가 회전되어도 가압고정체(33)와 결합된 리가춰가압부(40)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가압고정체(33)의 고정상부(331)에 의하여 다이얼고정작동부(301)와 리가춰가압부(40)가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부(31)의 다이얼공간(32)에 결합되는 다이얼캡(34)이 구비되고, 상기 다이얼캡(34) 상측 부분, 상기 평판형고정두름체(201) 측면 부분, 저면 부분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다이아몬드, 큐빅, 진주, 사파이어, 유리구슬, 금장식, 캐릭터장식물, 유리, 옥수, 비취, 에머랄드, 루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포함된 리가춰보석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 반대측의 평판형고정두름체(201)에 결합되는 두름가압부(23)가 구비되고, 상기 두름가압부(23)는, 상기 평판형고정두름체(201)의 두름통공(22)에 결합되어 나사머리가 마우스피스(11) 또는 리드(12)와 접하도록 구비된 장식볼트(231)와, 상기 평판형고정두름체(201) 외부에 위치되어 장식볼트(231)와 나사결합되는 장식너트(232)와, 상기 장식볼트(231)의 나사머리와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장식패킹(233)과, 상기 장식너트(232)의 외향면에 결합된 장식보석부(234)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외부를 두르는 고정두름체(20)와, 상기 고정두름체(20)의 일측에서 나사결합으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작동부(30)가 구비된 리가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좌우 양쪽에서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양수 체결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두름체(20)는, 상기 고정두름체(20) 일측이 절결되어 절결된 양측 끝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된 암체결편(51)과 수체결편(52)이 포함된 암수고정두름체(205)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상기 암체결편(51)의 암체결공(511)에 결합되는 암체결조절부(60)와, 상기 수체결편(52)의 수체결공(521)에 결합되는 수체결조절부(70)가 포함된 암수고정작동부(305)로 구비되며, 상기 암체결조절부(60)는 외측으로 넓은 면으로 납작하게 된 암손잡이(61)가 형성되고, 반대측은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결합부(62)가 구비되며, 상기 수체결조절부(70)는 외측으로 넓은 면으로 납작하게 된 수손잡이(71)가 형성되고, 반대측은 봉형상을 이루되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결합부(72)가 구비되어, 상기 암체결조절부(60)의 암손잡이(61) 또는 수체결조절부(70)의 수손잡이(71)의 회전으로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와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가 나사결합되어, 암결합부(62)와 수결합부(72)가 체결방향으로 회전되면 암수고정두름체(205)에 의해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조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두르며 파인 홈인 암링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암링홈(63)에 결합되는 암링(64)이 구비되어, 암체결조절부(60)가 암체결편(51)의 암체결공(5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링홈(63)에 결합된 암링(64)에 의하여 암체결조절부(60)가 암체결편(51)으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두르며 파인 홈인 수링홈(73)이 형성되고, 상기 수링홈(73)에 결합되는 수링(74)이 구비되어, 수체결조절부(70)가 수체결편(52)의 수체결공(5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링홈(73)에 결합된 수링(74)에 의하여 수체결조절부(70)가 수체결편(52)으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접하는 방향으로만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결합된 상태가 틀어지지 않아 음 발생이 양호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 잡이의 어느 연주자이든 양손을 이용하여 리가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리가춰를 선택할 때에도 어느 쪽에 손잡이가 있는지 주의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리가춰의 조임 조절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주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을 내기 위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등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 중에 조절 부분이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 분실 염려가 없어지게 되고 다수 곳에 보석이 결합되도록 하여, 디자인적인 고급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특수도료 세라믹 코팅 도료를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화려한 광택 유지, 도금 표면의 변색 방지, 부식방지, 내마모성향상, 세균번식방지 및 멸균, 인장강도 및 탄성 강화향상과 유지, 피스표면과 리가춰 자체의 기스, 상처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종래의 리가춰는 마우스피스를 접촉하여 전체를 감싸면서 조이도록 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 또는 리드 등이 틀어질 수 있어 음을 맞추기 쉽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는 마우스피스의 한 부분(일정한 부분)만 접촉하고, 마우스피스 나머지 부분(특히 첨부 도면의 측면 등)은 간격이 벌어져 중공형태를 갖으면서 조이기 때문에, 마우스피스, 리드 등이 틀어지지 않아, 마우스피스 고유의 특성이 외부의 리가춰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중공형태의 설계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리가춰를 조절하는 부분이 종래의 리가춰에서는 한 쪽 방향에서만 가능하여, 반대쪽 손으로는 조작하기가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에 의하면 양 손 중 어느 손을 사용하여도 가능한 양방향조작(좌우방향조작)이 가능하고, 아울러 장착도 2방향장착(상하방향 장착)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한 쪽 방향으로만 조작되는 것으로, 상향 장착 시 오른쪽에 조절손잡이가 있는 경우에는 오른손잡이 연주자만 사용가능하고, 왼손잡이는 하향으로 돌려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나, 본 발명의 리가춰는 상향이든 하향이든 원하는 위치로 장착할 수 있고, 연주자 자신이 아무 손이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선단부분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후단부분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예시로 결합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에 대한 측방향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의 다이얼형고정작동부의 절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의 다이얼형고정작동부에서 가압작용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의 다이얼형고정작동부에 대한 확대된 상태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형 리가춰가 마우스피스, 리드에 결합된 상태의 절단면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체결형 리가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체결형 리가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체결형 리가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체결형 리가춰가 가압된 상태에 대한 절단면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체결형 리가춰가 풀어진 상태에 대한 절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수 체결형 리가춰(10, Ligature)는 도 1 내지 도 1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1, Mouthpiece)와 리드(12, Reed)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에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가 되어야, 연주자인 사용자가 입으로 불면서 연주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리가춰(10)의 체결을 풀어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를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청소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리가춰(10)는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체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이도록 하는 수단(예, 고정작동부로, 다이얼형고정작동부, 암수고정작동부 등)과, 조이는 수단에 의해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 등을 감싸면서 가압하게 되는 수단(예, 고정두름체로, 평판형고정두름체, 암수고정두름체 등)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부분의 종래 리가춰는 사용자의 한 쪽 손만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인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양수 체결형 리가춰(10)는 사용자의 어느 손을 사용하여도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수 체결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수 체결형 리가춰(10, Ligature)에 의하여, 양손 중 어느 손을 사용하여도 안정되게 조임 정도를 조절하거나 풀 수 있기 때문에, 조임 조작이 쉽고, 리가춰(10)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면서, 아울러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 모두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주자가 입으로 불면서 조작이 가능하여 안정된 조작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불면서 자신이 원하는 소리의 안정된 음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더욱 아름다운 음악연주가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특수도료 세라믹 코팅 도료를 리가춰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화려한 광택 유지, 도금 표면의 변색 방지, 부식방지, 내마모성향상, 세균번식방지 및 멸균, 인장강도 및 탄성 강화향상과 유지, 피스표면과 리가춰 자체의 기스, 상처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우선 도 1 내지 도 13 등에서와 같이, 다이얼 형태로 이루어진 조이는 수단이 구비된 <다이얼체결방식>이 마련된 예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즉 이러한 다이얼체결방식의 양수 체결형 리가춰(10)를 살펴보면, 우선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외부를 두르는 고정두름체(20)인 감싸면서 가압하는 수단과, 상기 고정두름체(20)의 일측에서 나사결합으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작동부(30)의 조이는 수단 등이 구비된 것이다.
이에 조이는 수단인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좌우 양쪽에서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양수 체결형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세구성으로 감싸며 가압하는 수단인 상기 고정두름체(20)는, 상기 고정두름체(20) 일측으로 고정작동부(30)와 나사결합되는 두름결합홀(211)이 형성된 두름평부(21)가 구비된 것이다. 즉 상기 두름결합홀(211)의 중심축이 고정두름체(20) 내의 마우스피스(11)로 향하도록 구비된 평판형고정두름체(201)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조이는 수단인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상기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311) 상측으로 사용자가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다이얼부(31, Dial)가 형성되는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이얼부(31)는 눈금이라던가 지시표시부가 함께 마련될 수도 있어, 회전되는 정도를 알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단순히 돌리기 쉽도록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다수의 줄 홈이나 줄 돌기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고정두름체(20)가 평판형고정두름체(201)로 이루어지고, 고정작동부(30)가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로 이루어진 양수 체결형의 리가춰(10)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도 1 내지 도 13 등의 예시에서와 같이 리가춰(10)의 상향(반대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하향)으로 마련된 고정작동부(30), 즉 다이얼고정작동부(301)의 다이얼부(31)를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돌려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다이얼부(31)를 조작하기 위하여 연주자의 입에 물고 있던 마우스피스(11), 리드(12)를 입에서 떼지 않고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소리를 계속 내면서 조절할 수도 있어서 소리가 알맞게 나고 있는지 수시로 살피면서 조이기 때문에 연주자 자신이 원하는 안정된 음으로 연주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양손 중에서 연주자가 원하는 손을 이용하여 조절하기 때문에, 왼손잡이든 오른손 잡이든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리가춰(10)를 제조할 경우에도 왼손잡이용과 오른손잡이용 등 특별히 서로 다른 종류의 것을 별도로 만들지 않기 때문에 제작의 균일로 하여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주자도 오른손 잡이, 왼손 잡이에 제한받지 않고 제품 선택 및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다이얼체결방식의 양수 체결형 리가춰(10)에 대해 좀더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 등에서와 같이, 상기 다이얼부(31) 상부에는 다이얼공간(32)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다이얼공간(32)에는 리가춰가압부(40)와 결합되는 가압고정체(33)가 위치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다이얼공간(32)에 위치된 가압고정체(33)가 고정두름체(20) 내에 위치된 리가춰가압부(40)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리가춰가압부(40)가 가압고정체(33)에 의하여 고정작동부(30)와의 분리됨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7, 도 11, 도 13 등의 예시에서와 같이, 평판형고정두름체(201) 형식의 고정두름체(20) 내에 마우스피스(11), 리드(12)가 내재된 상태이고, 고정두름체(20) 내의 리가춰가압부(40)와 다이얼공간(32)을 통해 가압고정체(33)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이얼부(31)를 회전하게 되면, 다이얼부(31) 아래의 고정나사부(311)가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다이얼부(31)의 고정나사부(311)와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나사부(311) 아래 부분이 리가춰가압부(40) 상부를 내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나사부(311)와 두름결합홀(211)의 나사결합에 의해 리가춰가압부(40)와 고정두름체(20) 반대측 사이에 있는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다이얼체결방식 양수 체결형 리가춰(10)에 의하면, 마우스피스(11), 리드(12) 등에 대해서, 일측의 리가춰가압부(40), 타측인 고정두름체(20)의 반대편측 등, 대향되는 양측에서 조임힘이 작용됨으로써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접하는 부분에 대해서 조이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조임상태가 양호하게 되고, 이러한 조임상태에 의해 음 발생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즉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접하는 방향 이외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조이는 방향에 대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음이 좋게 되는 것이다.
이에 다시 살펴보면, 다이얼부(31)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이얼부(31)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나사부(311)의 수나사산과,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에 형성된 암나사산 등에 의한 나사결합에 의해 다이얼부(31)를 비롯하여 고정작동부(30)( 즉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가 고정두름체(20)의 두름평부(21)에 대해 하향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다이얼형고정장동부(301)의 아래에는 리가춰가압부(40)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리가춰가압부(40)도 하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를 중심에 두고, 상측에서는 리가춰가압부(40)가 하향으로 가압하고, 원형의 고정두름체(20) 반대측은 그대로 있기 때문에, 결국 고정두름체(20)와 리가춰가압부(40) 등에 의하여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에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다이얼부(31)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이얼부(31)의 고정나사부(311)가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에 대해서 상향으로 이동되는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나사부(311)의 풀림 작동으로 인하여 고정두름체(20) 아래 부분과 리가춰가압부(40)에 의한 가압이 풀리면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를 조였던 힘도 제거되는 것이다. 이로써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작동부(30)의 다이얼공간(32)에 대해서 살펴보면, 가압고정체(33)의 고정상부(331)가 위치되고 바닥면이 고정상부(331)의 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고정체내재공간(321)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내재공간(321)의 바닥에서 고정두름체(20)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리가춰가압부(40)의 일측인 가압회전부(41)가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한 가압부회전공간(322)이 마련된다.
이에 가압고정체(33)의 고정상부(331) 아래로 나사산이 형성된 가압부결합나사(332)가 아래의 리가춰가압부(40)의 가압회전부(41) 내의 암나사산과 결합되어, 리가춰가압부(40)와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와 리가춰가압부(40)는 결합된 상태를 갖으나,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가 회전되어도 리가춰가압부(40)는 회전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가 회전되어도 가압고정체(33)와 결합된 리가춰가압부(40)의 가압회전부(41)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압고정체(33)의 고정상부(331)에 의하여 다이얼고정작동부(301)와 리가춰가압부(40)가 분리됨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 리가춰가압부(40)는 일측으로 마우스피스(11), 리드(12)를 가압하게 되는 가압부(42)가 형성되고, 이러한 가압부(42) 상부로는 가압고정체(33)와 결합되는 가압회전부(41)가 마련된다. 이에 가압회전부(41)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어, 조작이 간단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소형의 관악기, 또는 작은 크기의 마우스피스, 작은 크기의 리드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가압부(42)가 길게 형성되고 가압부(42) 상부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가압회전부(41)가 마련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복수 개의 가압회전부(41)로 마련되고 가압부(42)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관악기가 대형으로 되는 경우, 또는 마우스피스, 리드 등이 큰 크기로 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두 개의 가압회전부(41)로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크기의 마우스피스, 리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타 가압회전부(41)의 수 및 가압부(42)의 길이 등은 적용되는 관악기, 마우스피스, 리드 등, 적용 환경, 또는 연주자의 기호에 따라 알맞게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압부(42)의 아래면의 형상은 마우스피스, 리드 등의 외부와 안정되게 접하도록 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대체로 원호, 타원호 등으로 될 수도 있고, 아치형, 삼각형, 또는 일부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등 기능과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갖출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다이얼부(31)의 다이얼공간(32)을 통하여, 가압고정체(33)와 리가춰가압부(40)가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로써 다이얼부(31)와 리가춰가압부(40)는 고정두름체(20)의 두름평부(21)의 내외측에 결합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다이얼부(31)와 리가춰가압부(4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이얼부(31)의 고정작동부(30)와 고정두름체(20)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다이얼부(31)의 조작으로 다이얼부(31)의 고정나사부(311)가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에서 혹여 완전히 풀어진다 해도, 다이얼부(31)와 리가춰가압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다이얼부(31)가 두름평부(2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다이얼부(31)를 비롯한 고정작동부(30)가 고정두름체(20) 또는 리가춰(10)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분실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다이얼부(31)의 다이얼공간(32)에 결합되는 다이얼캡(34)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이얼캡(34, Dial Cap)은 다이얼공간(32)에 결합되어, 다이얼공간(32)이 가려지도록 하면서 다이얼공간(32) 내의 가압고정체(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혹여 작동 중에 가압고정체(33)와 리가춰가압부(40)의 결합상태가 풀리게 될 경우, 다이얼캡(34)이 없으면 가압고정체(33)가 외부로 이탈될 우려도 있으나, 이런 경우라도 다이얼캡(34)에 의해 가압고정체(33)가 외부로 분실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다이얼캡(34)의 외면에도 지시부, 표시사항이 있음으로 인해서 회전되는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실시될 수도 있으며, 또는 첨부 도면에서와 같이 단순히 줄홈이나 줄돌기 등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다이얼캡(34) 상측 부분, 상기 고정두름체(20) 측면 부분, 저면 부분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다이아몬드, 큐빅, 진주, 사파이어, 유리구슬, 금장식, 캐릭터장식물, 유리, 옥수, 비취, 에머랄드, 루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포함된 리가춰보석부재(35)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리가춰보석부재(35)로 되는 보석 류 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10)가 더욱 고급스럽게 되어 가치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 도 4 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10)의 측면에는 다수의 리가춰보석부재(35)가 마련될 수 있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통공을 통하여 결합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상태를 살필 수도 있고, 또한 리가춰보석부재(35)와 통공의 형상에 의해 심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체결방식의 양수 체결형 리가춰(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부(30) 반대측의 고정두름체(20)에 결합되는 두름가압부(23)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두름가압부(23)는, 상기 고정두름체(20)의 두름통공(22)에 결합되어 나사머리가 마우스피스(11) 또는 리드(12)와 접하도록 구비된 장식볼트(231)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반대측에 있는 고정작동부(30)의 작동으로 리가춰가압부(40)와 대응되어, 리가춰가압부(40)와 장식볼트(231) 사이의 마우스피스(11), 리드(12) 등이 가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두름체(20) 외부에 위치되어 장식볼트(231)와 나사결합되는 장식너트(232)가 마련되어, 장식볼트(231)가 고정두름체(2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볼트(231)의 나사머리와 고정두름체(20)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장식패킹(233)이 마련되어, 장식볼트(231)에 의해 고정두름체(20)의 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마우스피스(11), 리드(12)에 대한 가압시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가압시 쿠션 역할을 이루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장식너트(232)의 외향면에 결합된 장식보석부(234)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부의 다이얼캡(34), 측면의 보석에 더하여, 리가춰(10) 아래의 장식보석부(234)의 보석 등에 의해 더욱 리가춰(10)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양수 체결형 리가춰(10)의 다른 실시예인 <암수체결방식>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암수체결방식> 리가춰의 기본구성으로, 도 14 내지 도 1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외부를 두르는 고정두름체(20)와, 상기 고정두름체(20)의 일측에서 나사결합으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작동부(30)가 구비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좌우 양쪽에서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양수 체결형으로 구비될 것이다.
이에 <암수체결방식>에서의 상기 고정두름체(20)는, 상기 고정두름체(20) 일측이 절결되어 절결된 양측 끝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된 암체결편(51)과 수체결편(52)이 포함된 암수고정두름체(205)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상기 암체결편(51)의 암체결공(511)에 결합되는 암체결조절부(60)와, 상기 수체결편(52)의 수체결공(521)에 결합되는 수체결조절부(70)가 포함된 암수고정작동부(305)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암체결조절부(60)는 외측으로 넓은 면으로 납작하게 된 암손잡이(61)가 형성되고, 반대측은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결합부(62)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체결조절부(70)는 외측으로 넓은 면으로 납작하게 된 수손잡이(71)가 형성되고, 반대측은 봉형상을 이루되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결합부(72)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암체결조절부(60)의 암손잡이(61) 또는 수체결조절부(70)의 수손잡이(71)의 회전으로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와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가 나사결합되어, 암결합부(62)와 수결합부(72)가 체결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두름체(20)에 의해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조여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암체결편(51)의 암체결공(511)에는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가 끼워지게 되고, 수체결편(52)의 수체결공(521)에는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가 구비되는 것이고, 수결합부(72)가 암결합부(62) 내로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암결합부(62)의 외주 지름이 수결합부(72)의 지름보다 크게 될 것이다.
따라서 수결합부(72)보다 큰 지름의 암결합부(62)가 삽입되는 암체결공(511)이 수체결공(521)보다 크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암수체결방식의 양수 체결형 리가춰(10)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두르며 파인 홈인 암링홈(63)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암링홈(63)에 결합되는 암링(64)이 구비되어, 암체결조절부(60)가 암체결편(51)의 암체결공(5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링홈(63)에 결합된 암링(64)에 의하여 암체결조절부(60)가 암체결편(51)으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두르며 파인 홈인 수링홈(73)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수링홈(73)에 결합되는 수링(74)이 구비되어, 수체결조절부(70)가 수체결편(52)의 수체결공(5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링홈(73)에 결합된 수링(74)에 의하여 수체결조절부(70)가 수체결편(52)으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암체결조절부(60) 또는 수체결조절부(70) 등은 서로 나사결합되지 않고 풀어져 있는 경우라도, 암체결조절부(60)에 결합된 암링(64)에 의하여 암체결조절부(60)가 암체결편(51)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수체결조절부(70)에 결합된 수링(74)에 의하여 수체결조절부(70)가 수체결편(52)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암체결조절부(60)와 수체결조절부(70)가 체결상태가 풀려있는 경우라도 암체결조절부(60) 또는 수체결조절부(70) 등이 리가춰(10)와 분리되지 않아 분실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체결방식의 양수 체결형 리가춰(10)의 사용을 보면,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에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가 살짝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암체결조절부(60)와 수체결조절부(70)가 살짝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암수고정두름체(205)의 절결된 부분인 암체결편(51)과 수체결편(52) 사이가 벌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암수고정두름체(205)의 원 안으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자유로이 출입이 가능하게 되어, 우선 암수고정두름체(205) 내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를 알맞게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암체결조절부(60)의 암손잡이(61), 수체결조절부(70)의 수손잡이(71)를 돌리면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와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가 서로 나사결합되어, 이들과 각각 결합된 암체결편(51)과 수체결편(52) 사이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암체결조절부(60)와 수체결조절부(70)를 더욱 조임으로써, 양측 암체결편(51)과 수체결편(52) 등이 더욱 가까워지게 되어, 암체결편(51)과 수체결편(52)이 이어지는 원형의 암수고정두름체(205)가 조여져서, 내부에 있는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가압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견고하게 조여진 상태가 되어, 이들에 의하여 안정된 음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리가춰 11 : 마우스피스
12 : 리드
20 : 고정두름체 21 : 두름평부
22 : 두름통공 23 : 두름가압부
30 : 고정작동부 31 : 다이얼부
32 : 다이얼공간 33 : 가압고정체
34 : 다이얼캡 35 : 리가춰보석부재
40 : 리가춰가압부 41 : 가압회전부
42 : 가압부
51 : 암체결편 52 : 수체결편
60 : 암체결조절부 61 : 암손잡이
62 : 암결합부 63 : 암링홈
64 : 암링 70 : 수체결조절부
71 : 수손잡이 72 : 수결합부
73 : 수링홈 74 : 수링

Claims (6)

  1.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외부를 두르는 고정두름체(20)와, 상기 고정두름체(20)의 일측에서 나사결합으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작동부(30)가 구비된 리가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좌우 양쪽에서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양수 체결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두름체(20)는, 상기 고정두름체(20) 일측으로 고정작동부(30)와 나사결합되는 두름결합홀(211)이 형성된 두름평부(21)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두름결합홀(211)의 중심축이 고정두름체(20) 내의 마우스피스(11)로 향하도록 구비된 평판형고정두름체(201)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상기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311) 상측으로 사용자가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다이얼부(31)가 형성되는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로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부(31) 상부에는 리가춰가압부(40)와 결합되는 가압고정체(33)가 위치되는 다이얼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공간(32)에 위치된 가압고정체(33)가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내에 위치된 리가춰가압부(40)와 결합되어, 리가춰가압부(40)가 가압고정체(33)에 의하여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와의 분리됨을 방지하며,
    상기 다이얼부(31)의 고정나사부(311)와 두름평부(21)의 두름결합홀(211)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나사부(311) 아래 부분이 리가춰가압부(40) 상부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리가춰가압부(40)와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반대측 사이에 있는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의 다이얼공간(32)은, 가압고정체(33)의 고정상부(331)가 위치되고 바닥면이 고정상부(331)의 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고정체내재공간(321)과,
    상기 고정체내재공간(321)의 바닥에서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리가춰가압부(40)의 일측이 삽입되어 자유회전되도록 하는 가압부회전공간(322)이 포함되어 구비되어,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가 회전되어도 가압고정체(33)와 결합된 리가춰가압부(40)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가압고정체(33)의 고정상부(331)에 의하여 다이얼고정작동부(301)와 리가춰가압부(40)가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31)의 다이얼공간(32)에 결합되는 다이얼캡(34)이 구비되고,
    상기 다이얼캡(34) 상측 부분, 상기 평판형고정두름체(201) 측면 부분, 저면 부분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다이아몬드, 큐빅, 진주, 사파이어, 유리구슬, 금장식, 캐릭터장식물, 유리, 옥수, 비취, 에머랄드, 루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포함된 리가춰보석부재(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형고정작동부(301) 반대측의 평판형고정두름체(201)에 결합되는 두름가압부(23)가 구비되고,
    상기 두름가압부(23)는,
    상기 평판형고정두름체(201)의 두름통공(22)에 결합되어 나사머리가 마우스피스(11) 또는 리드(12)와 접하도록 구비된 장식볼트(231)와,
    상기 평판형고정두름체(201) 외부에 위치되어 장식볼트(231)와 나사결합되는 장식너트(232)와,
    상기 장식볼트(231)의 나사머리와 평판형고정두름체(201)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장식패킹(233)과,
    상기 장식너트(232)의 외향면에 결합된 장식보석부(234)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
  5. 관악기용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의 외부를 두르는 고정두름체(20)와, 상기 고정두름체(20)의 일측에서 나사결합으로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작동부(30)가 구비된 리가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좌우 양쪽에서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양수 체결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두름체(20)는, 상기 고정두름체(20) 일측이 절결되어 절결된 양측 끝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된 암체결편(51)과 수체결편(52)이 포함된 암수고정두름체(205)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작동부(30)는, 상기 암체결편(51)의 암체결공(511)에 결합되는 암체결조절부(60)와, 상기 수체결편(52)의 수체결공(521)에 결합되는 수체결조절부(70)가 포함된 암수고정작동부(305)로 구비되며,
    상기 암체결조절부(60)는 외측으로 넓은 면으로 납작하게 된 암손잡이(61)가 형성되고, 반대측은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결합부(62)가 구비되며,
    상기 수체결조절부(70)는 외측으로 넓은 면으로 납작하게 된 수손잡이(71)가 형성되고, 반대측은 봉형상을 이루되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결합부(72)가 구비되어,
    상기 암체결조절부(60)의 암손잡이(61) 또는 수체결조절부(70)의 수손잡이(71)의 회전으로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와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가 나사결합되어, 암결합부(62)와 수결합부(72)가 체결방향으로 회전되면 암수고정두름체(205)에 의해 마우스피스(11)와 리드(12)가 조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조절부(60)의 암결합부(62)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두르며 파인 홈인 암링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암링홈(63)에 결합되는 암링(64)이 구비되어, 암체결조절부(60)가 암체결편(51)의 암체결공(5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링홈(63)에 결합된 암링(64)에 의하여 암체결조절부(60)가 암체결편(51)으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체결조절부(70)의 수결합부(72)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두르며 파인 홈인 수링홈(73)이 형성되고,
    상기 수링홈(73)에 결합되는 수링(74)이 구비되어, 수체결조절부(70)가 수체결편(52)의 수체결공(5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링홈(73)에 결합된 수링(74)에 의하여 수체결조절부(70)가 수체결편(52)으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 체결형 리가춰.
KR1020110031836A 2011-04-06 2011-04-06 양수 체결형 리가춰 KR10124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36A KR101241345B1 (ko) 2011-04-06 2011-04-06 양수 체결형 리가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36A KR101241345B1 (ko) 2011-04-06 2011-04-06 양수 체결형 리가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79A KR20120114079A (ko) 2012-10-16
KR101241345B1 true KR101241345B1 (ko) 2013-03-11

Family

ID=4728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836A KR101241345B1 (ko) 2011-04-06 2011-04-06 양수 체결형 리가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14B1 (ko) 2020-11-18 2021-12-22 김학석 관악기용 리가춰
KR102377210B1 (ko) 2021-11-10 2022-03-23 유성호 목관악기용 리가춰
KR20240000466U (ko) 2022-09-01 2024-03-08 김학석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93Y1 (ko) * 2016-06-17 2017-02-23 손병조 섹소폰 마우스피스의 리드 누름 보조기구
WO2022234329A1 (en) * 2021-05-04 2022-11-10 Vento Sas Di Compagnin Enrico & C. Ligature for single-beating reeds
KR102663697B1 (ko) * 2022-06-17 2024-05-03 이영성 관악기용 리가추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959A (ko) * 1992-12-24 1994-07-22 빠뜨릭 쉐이데케르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사용되는 결속 부재
KR19980032833A (ko) * 1996-10-16 1998-07-25 슈데켈빠뜨릭 관악기 취부에 리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물
JP2006163382A (ja) * 2004-11-11 2006-06-22 Ishimori Kangatsuki:Kk リガチャ
KR20080094993A (ko) * 2007-04-23 2008-10-28 이승윤 리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리가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959A (ko) * 1992-12-24 1994-07-22 빠뜨릭 쉐이데케르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사용되는 결속 부재
KR19980032833A (ko) * 1996-10-16 1998-07-25 슈데켈빠뜨릭 관악기 취부에 리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물
JP2006163382A (ja) * 2004-11-11 2006-06-22 Ishimori Kangatsuki:Kk リガチャ
KR20080094993A (ko) * 2007-04-23 2008-10-28 이승윤 리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리가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14B1 (ko) 2020-11-18 2021-12-22 김학석 관악기용 리가춰
KR102377210B1 (ko) 2021-11-10 2022-03-23 유성호 목관악기용 리가춰
KR20240000466U (ko) 2022-09-01 2024-03-08 김학석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79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345B1 (ko) 양수 체결형 리가춰
US7655852B2 (en) Single reed woodwind musical instrument mouthpiece apparatus and method
US11103034B2 (en) Adjustable finger ring
JP2007000601A (ja) 腕時計のバンド
US20200402486A1 (en) Super strap button
KR100392287B1 (ko) 플루트의 음 조절 장치
US10410613B2 (en) Flute with enhanced flute-finger connection
JP2000502272A (ja) 杖取っ手
JP4401573B2 (ja) 一体化装飾エレメントを有する装飾真珠
US8973399B2 (en) Latch mechanism for a timepiece
US7371955B2 (en) Drum tuning key
EP1878006B1 (en) Shoulder rest for a violin and a viola
US4208942A (en) Combination drum tuning key and cymbal holder
US20090044684A1 (en) Drum band
CA2415663A1 (en) Stabilizing device for small brass musical instruments
US7923618B2 (en) “Eclipse ligature” for single reed musical instruments
US20110107793A1 (en) X-Earring expandable opening
KR200491479Y1 (ko) 색소폰 넥 스트랩용 슬라이더 잠금기구
CN208192389U (zh) 苗族侗族舞蹈头饰固定装置
JPH08196313A (ja) 耳飾り
US95303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lding an instrument pick
GB2462625A (en) Microphone stands
US200200385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strings on a musical instrument
JP3111946U (ja) リング径調節機構を備えた装身具
USD491827S1 (en) Crown for wrist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