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697B1 - 관악기용 리가추어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리가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697B1
KR102663697B1 KR1020220074058A KR20220074058A KR102663697B1 KR 102663697 B1 KR102663697 B1 KR 102663697B1 KR 1020220074058 A KR1020220074058 A KR 1020220074058A KR 20220074058 A KR20220074058 A KR 20220074058A KR 102663697 B1 KR102663697 B1 KR 10266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guide
ligature
re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3376A (ko
Inventor
이영성
Original Assignee
이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성 filed Critical 이영성
Priority to KR102022007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697B1/ko
Priority to PCT/KR2023/008244 priority patent/WO2023244021A1/ko
Publication of KR2023017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용 리가추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피스와 마우스피스에 재치된 리드를 수용하여 결합시키는 몸체고정부와; 상기 몸체고정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마우스피스의 위치 조정시 유동을 방지하는 텐션가이드부와; 몸체고정부와 이어져 상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하 이동 공간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와; 회전에 의해 이동가이드부의 공간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축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축가이드부와; 상기 상하이동축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을 좌우 유동 없이 상하 이동하는 상하가이드부재와; 상하가이드부재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압착 결합시키는 누름패드부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가 제시된다.

Description

관악기용 리가추어{Ligature 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관악기용 리가추어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섹소폰과 같은 관악기의 소리를 관장하는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유동이 없는 상태로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리가추어에 관한 것이다.
섹소폰과 같은 관악기는 마우스피스 부분에 진동에 의해 소리를 내는 예를 들면 나무 재질의 리드(reed)가 결합된다. 상기 리드는 관악기의 종류에 따라서, 마우스피스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리드는 리가추어를 이용하여 악기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된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1572762호(등록일:2015년11월23일)에 관악기용 리가추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리드가 안착된 마우스피스가 인입되는 몸체; 및 상기 리드 상에 부착되어, 상기 리드의 불규칙한 떨림을 방지하는 보조 음향기;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에 보조 음향기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임쇠의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부착되며 상기 보조 음향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가이드 또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보조 음향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는 상기 보조 음향기가 결합되어 고착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이 움직이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보조 음향기와 함께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구성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1693218호(등록일:2016년12월30일)에 관악기용 리가추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마우스피스 및 리드가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보조 음향기를 상기 리드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리드를 덮어 상기 리드를 고정시키는 보조 음향기; 상기 보조 음향기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조 음향기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레버;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이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에는 상기 보조 음향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구성이다.
상기 특허발명들의 리가추어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상의 리드의 상측에 위치시킨 보조음향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되는 리드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리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없고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되는 리드를 유동이 없이 고정시킴은 물론 그 결합이 용이한 단순 구조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1572762호(등록일:2015년11월23일)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1693218호(등록일:2016년12월30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의 표면과 리드의 내면의 결합이 밀접하고 견고하게 하여 음의 소실이 없도록 하고, 마우스피스에 대한 리드의 정확한 직각도 및 좌우 조정이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에 대한 전후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리드가 좌우로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과제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소정 폭의 상측개방부와 전후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소정 길이의 통 형상이고, 내부에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의 몸체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몸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갖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몸체고정부와; 상기 몸체고정부의 상기 상측개방부에 인접한 위치의 좌우 양측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마우스피스의 삽입시 마우스피스의 좌우측 외주면에 각각 텐션을 갖고 접촉되어 가이드 및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텐션가이드부와; 상기 몸체고정부의 상측개방부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부에 이동축 가이드 수단을 결합시키는 가이드결합부를 갖고 내부에 이동중공부를 갖는 이동가이드부와;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상단부의 가이드결합부에 고정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나사홀이 상하로 통하도록 형성된 축가이드부와; 상기 축가이드부의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단부가 상기 축가이드부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이동중공부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의 상하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된 손잡이 또는 레버 기능을 하는 헤드부와; 상기 상하이동축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마우스피스상에 위치한 리드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해제하는 수단을 결합시키는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내부 폭에 대응하는 폭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저면이 리드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상하이동축가 상기 이동가이드부 내에서 상하 이동을 할 때에 유동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부재와; 상기 상하가이드부재의 저면의 폭과 길이 및 형상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 및 형상을 갖고 상기 마우스피스상에 리드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의 하강에 의해 리드를 압착시켜 마우스피스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누름패드부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가추어의 유동이 없이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의 채택으로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의 표면과 리드의 내면의 결합이 밀접하고 견고하게 하고 또한 탄성을 갖는 누름패드부가 리드를 압착하게 되어 음의 소실이 없고, 마우스피스에 대한 리드의 정확한 직각도 및 좌우 조정이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에 대한 전후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리드가 좌우로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한 발명의 구성 및 구성요소에 관한 명칭 또는 표현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된 명칭 및 표현에 한정되어 본 발명의 구성을 해석하면 안되고, 또한, 사용된 명칭 또는 표현의 적합성 등에 대한 문제 제기는 그 의미가 없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100)는,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소정 폭의 상측개방부(111)와 전후에 형성된 개구부(112)를 갖는 소정 길이의 통 형상이고, 내부에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의 몸체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몸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갖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몸체고정부(110)와;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상기 상측개방부(111)에 인접한 위치의 좌우 양측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마우스피스의 삽입시 마우스피스의 좌우측 외주면에 각각 텐션을 갖고 접촉되어 가이드 및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텐션가이드부(120a)(120b)와;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상측개방부(111)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부에 이동축 가이드 수단을 결합시키는 가이드결합부(131)를 갖고 내부에 이동중공부(132)를 갖는 이동가이드부(130)와; 상기 이동가이드부(130)의 상단부의 가이드결합부(131)에 고정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나사홀이 상하로 통하도록 형성된 축가이드부(140)와; 상기 축가이드부(140)의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단부가 상기 축가이드부(140)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가이드부(130)의 이동중공부(132)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의 상하이동축(150)과; 상기 상하이동축(150)의 상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된 손잡이 또는 레버 기능을 하는 헤드부(160)와; 상기 상하이동축(150)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마우스피스상에 위치한 리드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해제하는 수단을 결합시키는 결합단부(170)와; 상기 결합단부(170)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130)의 내부 폭에 대응하는 폭과 상기 이동가이드부(1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저면이 리드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상하이동축(150)가 상기 이동가이드부(130) 내에서 상하 이동을 할 때에 유동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부재(180)와; 상기 상하가이드부재(180)의 저면의 폭과 길이 및 형상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 및 형상을 갖고 상기 마우스피스상에 리드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축(150)의 하강에 의해 리드를 압착시켜 마우스피스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누름패드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100)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고정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의 전체 길이 중 바이트플레이트(bite plate)부와 생크(shank)부의 중간 부위인 몸체(body)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조여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박형의 금속 판재로서 마우스피스 몸체부를 둘러싸는 적어도 2개의 타이부(tie)(113)가 형성된 구조를 위해 상기 몸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원통의 중간 부위가 절개된 절개부(114)를 갖는 구성이다. 또한, 마우스피스가 삽입되어 체결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우시피스의 바이트플레이트부 측의 개구부(112) 지름이 생크부 측의 개구부(112) 지름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우스피스 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텐션가이드부(120a)(120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상측개방부(111)에 근접한 위치의 양측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전후방의 개구부(112)를 향해 전단과 후단이 위치하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노치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텐션가이드부의 일단이 노치부(115)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고 타단은 노치부(115)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성이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노치부(115)에 일단부(121)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123)가 노치부(115)의 공간에 분리되어 있고, 일단부(121)와 타단부(123)의 사이에 내부를 향한 절곡부(122)가 형성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텐션가이드부(120a)(120b)는 몸체고정부(110)의 상부 양측에서 텐션부재를 절개하여 절개된 노치부(115) 내에 텐션부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텐션부재의 일단은 몸체고정부에 결합(연결)된 상태고 텐션부재의 타단은 절개된 공간부에 분리되어 위치하고, 테션부재를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절곡시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텐션부재의 분리된 타단이 상기 전후방의 개구부(112) 중 마우스피스가 진입 시작하는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의 테이블부를 상방으로 위치시키고 바이트플레이트 부분을 좌측 개구부(112)로부터 우측 개구부(112)를 향해 삽입하면 상기 텐션가이드부(120a)(120b)가 마우스피스의 몸체를 양측에서 압착하면서 삽입을 가이드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를 양측에서 압착하여 움직임을 제어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와 리가추어의 정확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가이드부(130)는 소정의 높이와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몸체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상측개방부(111)로부터 상기 축가이드부(140)의 저부까지의 공간인 이동중공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가이드부(140)가 상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하이동축(150)은 상기 축가이드부(140)에 형성된 예를 들면,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60)는 상기 축가이드부(1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축가이드부(140)의 상방에 위치하고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헤드부(160)가 리가추어의 상방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오른손 잡이 또는 왼손 잡이를 불문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결합단부(170)는 상기 축가이드부(1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축가이드부(14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하가이드부재(180)를 상기 이동중공부(132)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가이드부재(180)는 기본적으로 상기 이동가이드부(130)의 내부 폭에 근접한 폭을 가지고 있어 상하 이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좌우 유동이 제한되는 사이즈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하가이드부재(180)의 저면은 마우스피스의 테이블부에 재치된 리드를 압착하여 서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리드의 상면 형상(평면, 곡면 또는 만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누름패드부(190)는 상기 이동가이드부(130) 내에서 상기 결합단부(17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부재(180)의 저면에 결합되어 마우스피스의 테이블부에 재치된 리드를 압착하여 고정시킬 때, 탄성을 갖고 압착하도록, 직물, 합성수지, 고무 또는 가죽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누름패드부(19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마우스피스의 테이블부에 리드가 재치되고 상기 상하가이드부재가 하방 이동하여 상하가이드부재의 저면에 결합된 누름패드부가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결합시켰을 때, 관악기의 사용시 리드가 진동에 의해 음의 소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합한 탄성을 갖는 재질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누름패드부(190)는 1매의 탄성재질 또는 복수 매가 겹쳐져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겹의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리드의 진동에 의한 음의 소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100)의 실시예로 결합되는 마우스피스(200)는 관악기의 연주시에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바이트플레이트부(210)와, 상면에 평평하게 이루어져 리드(reed)를 재치시키는 테이블부(240)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200)의 몸체고정부(110)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body)부(220)와, 관악기에 결합되는 생크(shank)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200)의 테이블부(240)에 재치되어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100)로 결합되는 리드(reed)(200)는 상기 마우스피스(200)의 밧플 부분을 커버하여 진동에 의해 음을 생성시키는 뱀프(vamp)부(310)와 마우스피스의 테이블부(240)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결합되는 스톡(stock)부(320)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100)의 실시예는 마우스피스(200)의 몸체부(220)를 삽입시켜 테이블부(240)에 리드(300)를 재치시켜 조임으로써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상기 몸체고정부(110)의 구조는 마우스피스의 바이트플레이트(210) 방향의 직경이 상기 생크부(230) 방향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가이드부(130), 축가이드부(140), 상하이동축(150) 및 누름패드부(190)가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경사 각도는 마우스피스(200)의 테이블부(240)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와 대응하는 것이 좋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몸체가이드부(110)의 직경이 큰 개구부(112)로부터 직경이 작은 개구부(112)의 방향으로 마우스피스(200)와 마우스피스의 테이블부에 재치된 리드(300)를 삽입시키면, 몸체가이드부(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텐션가이드부(120a)(120b)가 마우스피스(200)의 몸체부(220)늬 양측 외주면을 누르면서 삽입 및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 그러므로 리드가 재치된 마우스피스 또는 마우스피스를 본 발명의 리가추어에 삽입하여 결합할 경우 결합위치를 조정할 때 삽입과 동시에 상기 텐션가이드부(120a)(120b)의 텐션 및 가이드 작용으로 마우스피스 및 리드가 위치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압착에 의해 마우스피스가 유동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관악기용 리가추어에 있어서, 마우스피스와 마우스피스에 재치된 리드를 수용하여 결합시키는 몸체고정부와; 상기 몸체고정부의 상측 좌우에 내측을 향해 텐션을 갖고 삽입되는 마우스피스의 유동을 방지시키는 텐션가이드부와; 몸체고정부와 이어져 상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하 이동 공간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와; 회전에 의해 이동가이드부의 공간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축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축가이드부와; 상기 상하이동축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을 좌우 유동 없이 상하 이동하는 상하가이드부재와; 상하가이드부재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압착 결합시키는 누름패드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관악기용 리가추어
110: 몸체고정부
120a, 120b: 텐션가이드부
130: 이동가이드부
140: 축가이드부
150: 상하이동축
160: 헤드부
170: 결합단부
180: 상하가이드부재
190: 누름패드부

Claims (7)

  1.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결합시키는 리가추어에 있어서,
    마우스피스와 마우스피스에 재치된 리드를 수용하여 결합시키는 몸체고정부와; 상기 몸체고정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마우스피스의 위치 조정시 유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텐션가이드부와; 몸체고정부와 이어져 상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하 이동 공간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와; 회전에 의해 이동가이드부의 공간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축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축가이드부와; 상기 상하이동축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을 좌우 유동 없이 상하 이동하는 상하가이드부재와; 상기 상하이동축의 하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이동축의 하방 이동에 따라서 마우스피스상의 리드를 압착시키는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단부와; 상하가이드부재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압착 결합시키는 누름패드부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부는 마우스피스 및 리드가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전후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의 개구부와 후방의 개구부의 직경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가이드부는 몸체고정부의 상부 양측에서 텐션부재를 절개하여 절개된 노치부 내에 텐션부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텐션부재의 일단은 몸체고정부에 결합(연결)된 상태고 텐션부재의 타단은 절개된 공간부에 분리되어 위치하고, 텐션부재를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절곡시킨 구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가이드부재가 상기 결합단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패드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상에 위치한 리드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름패드부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추어.
KR1020220074058A 2022-06-17 2022-06-17 관악기용 리가추어 KR10266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58A KR102663697B1 (ko) 2022-06-17 2022-06-17 관악기용 리가추어
PCT/KR2023/008244 WO2023244021A1 (ko) 2022-06-17 2023-06-15 관악기용 리가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58A KR102663697B1 (ko) 2022-06-17 2022-06-17 관악기용 리가추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376A KR20230173376A (ko) 2023-12-27
KR102663697B1 true KR102663697B1 (ko) 2024-05-03

Family

ID=8919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58A KR102663697B1 (ko) 2022-06-17 2022-06-17 관악기용 리가추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3697B1 (ko)
WO (1) WO20232440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250A (ja) * 2007-03-16 2008-10-02 Junichi Onozawa 木管楽器用リガチャ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45B1 (ko) * 2011-04-06 2013-03-11 김일로 양수 체결형 리가춰
KR101572762B1 (ko) 2014-06-25 2015-11-27 김현선 관악기용 리가추어
KR101693218B1 (ko) 2015-03-25 2017-01-05 김현선 관악기용 리가추어
KR20200122095A (ko) * 2019-04-17 2020-10-27 윤여명 리드의 안정 체결구조를 갖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KR20200137463A (ko) * 2019-05-30 2020-12-09 윤여명 2중 조립구조를 갖는 섹소폰 마우스피스용 리드 조임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250A (ja) * 2007-03-16 2008-10-02 Junichi Onozawa 木管楽器用リガチャ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4021A1 (ko) 2023-12-21
KR20230173376A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2355B2 (en) Snare strainer
KR102663697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US3592097A (en)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KR101572762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US5565637A (en) Foot pedal for a drum
US6765141B2 (en) Foot pedal for drum
US20090193956A1 (en) Wind instrument ligature
US4343220A (en) Vibrato attachment for stringed instruments
JPH08509919A (ja) 鋸フレーム
KR101693218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US7923618B2 (en) “Eclipse ligature” for single reed musical instruments
JP4620377B2 (ja) サーベル型鋸装置
US6316709B1 (en) Adaptable percussion accessory for a percussion tool
US5000452A (en) Tennis racket, handle cap, and handle grip wrapping
EP2600338A2 (en) Adjuster for string instruments
US7396986B2 (en) Pedal for playing an instrument and pedal components
KR102503764B1 (ko)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US7135632B2 (en) Drum accessory for imparting flipping motion to a drum stick
US9990908B2 (en) Percussion instrument strainer and tuning system
US9396709B2 (en) Headstock for stringed instrument
JP2716394B2 (ja) ドラム用ビータおよびドラムペダル
US4637290A (en) Variable pitch harp
US3911784A (en) Valve assembly of valved wind musical instrument
KR20230109279A (ko) 관악기용 리가춰
KR20170042002A (ko) 마우스피스용 리가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