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675A -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 Google Patents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675A
KR20240003675A KR1020220081792A KR20220081792A KR20240003675A KR 20240003675 A KR20240003675 A KR 20240003675A KR 1020220081792 A KR1020220081792 A KR 1020220081792A KR 20220081792 A KR20220081792 A KR 20220081792A KR 20240003675 A KR20240003675 A KR 20240003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uchure
ligature
present
saxophone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식
Original Assignee
최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식 filed Critical 최호식
Priority to KR102022008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675A/ko
Publication of KR2024000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6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시키는 리가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가춰로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여 고음의 연주와 안정적인 음정을 쉽게 얻기 위한 방법과 함께 본 발명의 앙부쉬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입술의 통증과 상처가 없이 연주를 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편의를 제공하여 색소폰을 보다 대중적인 악기로 자리 잡게 하고 저변확대에 의한 관련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Ligature assist to saxophone embouchure}
본 발명은, 목관악기 중에서 단일리드를 사용하는 원추관 악기인 색소폰족의 소프라노(Bb), 알토(Eb), 테너 색소폰(Bb) 등에서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결합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철재, 가죽,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는 리가춰를 통해서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케스트라, 재즈, 팝, 트롯 등 다양한 음악장르에서 연주되는 색소폰의 리가춰와 앙부쉬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목관악기이며 단일리드를 사용하는 색소폰은 연주를 위한 앙부쉬르와 운지법을 익히는 것이 어려운 악기이다.
또한, 마우스피스 밑에 리가춰로 고정되는 색소폰 리드는 아룬도 도낙스라는 원통형 나무를 가공해서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플라스틱이나 카본 등을 재료로 하는 합성리드도 많이 사용된다.
색소폰 리드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질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치수)로 복구되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색소폰 리드는, 두께에 해당하는 탄성의 강, 약함이 호수로 표시되고 있으며 리드의 호수가 높으면 탄성이 강해져서 높은 진동수의 고음을 내기가 쉬워진다.
또한, 마우스피스와 리드 사이로 적당한 압력의 공기를 불어넣으면 리드의 탄성이 만드는 떨림에 의해 고유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정상파가 만들어진다.
그리면, 공진현상이 관내에서 기주진동으로 소리를 증폭시키고 기본주파수에 더해진 배음주파수가 색소폰 특유의 음색을 만든다.
또한, 색소폰은 지공을 개폐하는 키가 열리면 그 위치에 정상파의 배가 만들어지며 리드를 향해 가까이 있는 키를 열수록 관의 길이가 짧아지는(공진음의 파장이 짧아져 공진주파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나 고음이 발생하는 구조이다.
알토 색소폰을 일례로 하는 음역대(알티시모 테크닉 제외)는, 4옥타브의 C# ~ 6옥타브 A 까지이며 음파의 진동수(Hz)는 227.1826(Hz) ~ 1760.000(Hz)의 넓은 범위를 갖는다.
그러므로, 색소폰 연주에서는 폭넓은 음높이에 해당하는 진동수(Hz)를 빠르게 대응하기 위하여 연주자의 날숨을 보완하는 앙부쉬르를 사용하고 있다
색소폰 연주에 필요한 입모양 즉, 앙부쉬르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팻립 앙부쉬르는, 아랫입술과 입 주변 근육으로 리드를 물어서 풍성한 소리를 내기위한 앙부쉬르이다.
더블립 앙부쉬르는, 치아가 마우스피스와 리드에 닿지 않도록 윗입술과 아랫입술로 치아를 말고 리드를 물어서 부드러운 소리를 내기위한 앙부쉬르이다.
싱글립 앙부쉬르는, 윗니를 마우스피스 1.5cm 정도의 깊이에 고정하고 아랫니 위에 아랫입술을 살짝 덮어서 리드를 무는데 정확한 음정을 내기에 적합한 앙부쉬르이다.
상기한 3가지 앙부쉬르의 공통점은 아랫입술이나 아랫입술 밑의 아랫니에 힘을 주어 리드를 위로 누르기에 적당한 입모양을 갖추는 것이며, 이것이 색소폰 연주에 필요한 앙부쉬르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앙부쉬르의 구조와 단점을 보완하는 리가춰의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색소폰을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선된 본 발명의 앙부쉬르를 제공한다.
공고일자 : 2020년04월13일 등록번호 : 10-2100507 등록일자 : 2020년04월07일 발명의 명칭 : 목관악기용 리가춰 상기와 같이, 목관악기용 리가춰로 등록특허공보에 개재된 유용한 발명의 경우에는, 목관악기에서 리가춰가 음색과 울림을 개선하도록 이중의 공명 구조를 가지도록 한 것이며, 이중패널 구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유 진동수의 차이를 증폭시켜서 리가춰가 음색과 울림을 개선하는 목적을 제공하고 있다.
색소폰은 대중적인 악기이면서도 연주의 활성화와 보급이 어렵고 연주와 연습을 위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한 악기다.
때문에, 초보자가 연주보다 올바른 음정을 유지하기 위한 앙부쉬르와 함께 롱톤 연습에도 많은 시간을 보내는 악기이다.
특히, 초보자에게 롱톤 연습이 필요한 이유는 아랫입술이나 아랫입술 밑의 아랫니에 힘을 주어 리드를 위로 눌러서 만들어지는 즉, 종래의 앙부쉬르가 만드는 음정의 변화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알토(Eb) 색소폰과 종래의 싱글립 앙부쉬르를 일례로, 앙부쉬르의 중요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1 ~ 도면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앙부쉬르에서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의 안쪽에서 리드(102)를 위로 누르는 힘이 중요한 이유는 리드(102)의 탄성을 줄여서 떨림을 쉽게 하고 팁 오프닝(303) 간격을 좁혀서 마우스피스(101)로 유입되는 연주자의 날숨(302) 속도를 빠르게 하여 챔버(301) 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그러나, 종래의 싱글립 앙부쉬르를 사용하여 장시간 연주, 연습을 하거나 고음을 연주하는 빈도가 높아지면 진동하는 리드(102)와 접촉하는 아랫입술(202) 안쪽의 아랫니(204)가 닿는 부위에 통증과 함께 상처가 생기기도 한다.
아랫입술(202) 안쪽은 굳은살이 생기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이 통증과 상처는 연주, 연습 시에 반복해서 나타나는 만성적인 통증과 상처가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앙부쉬르가 나타내는 부작용은 노약자와 여성, 어린이가 색소폰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고 연주자의 수를 늘리는 저변확대와 관련업의 활성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고 말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를 통하여 종래의 앙부쉬르가 지닌 단점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변형된 앙부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색소폰 연주의 편의를 제공하여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첨부한 도면 1 ~ 도면 9를 참조하여, 일례로 싱글립 앙부쉬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주자에 따라 다르지만, 마우스피스(101)를 입에 물고 종래의 앙부쉬르 위치(이하 : 종래의 앙부쉬르에서 윗니(203)를 마우스피스(101)의 1.5cm 정도의 깊이에 고정하고 아랫니(204) 위에 아랫입술(202)을 살짝 덮어서 리드(102)를 무는 위치를 "종래의 앙부쉬르 위치"라 하며,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에 의해 구성되는 앙부쉬르의 위치를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라 한다.)에서 윗입술(201)과 아랫입술(202)로 기밀을 유지한다.
그리고, 연주자는 자신의 연주습관에 의한 종래의 앙부쉬르 세기(이하 : 연주자가 마우스피스(101)를 입에 물고 종래의 앙부쉬르 위치에서 아랫니(204) 위에 아랫입술(202)을 살짝 덮어서 리드(102)를 무는 힘의 크기를 "종래의 앙부쉬르 세기"라 하며,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에 의해 구성되는 앙부쉬르의 세기를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라 한다.)를 갖추고 연주를 위한 준비를 한다.
종래의 앙부쉬르에서 윗니(203)와 아랫니(204)의 위치는 연주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음정이 높아지면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서 고음 방향(307)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며 앙부쉬르의 세기를 높인다.
음정의 변화에 따라 아랫니(204)가 누르는 위치(305)에서 고음 방향(307)으로 움직이는 이유는, 리드(102)의 탄성을 줄여서 리드(102)의 떨림을 쉽게 하고 팁 오프닝(303)의 간격을 좁혀서 마우스피스(101)의 챔버(301) 내로 유입되는 연주자의 날숨(302) 속도를 빠르게 하여 챕버(301) 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따라서, 팁 오프닝(303)의 간격을 좁히는 것은 리드(102)의 변위 폭 즉, 음파의 진폭(401)을 줄이고 챔버(301) 내의 공진음 압력을 높여서 음정이 빠르게 바뀌도록 하기 위한 동작이며 앙부쉬르의 목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음정이 높아지는 정도에 따라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서 리드(102)를 위로 누르며 고음 방향(307)으로 이동하면 높아지는 종래의 앙부쉬르 세기가 아랫입술(202) 안쪽에 동일하게 작용하여 통증과 상처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알티시모와 같은 고음 테크닉에서는 강한 탄성의 리드(102)를 사용하기 때문에 앙부쉬르의 세기를 더욱 강하게 해서 팁 오프닝(303) 간격을 좁혀야 한다.
그래서, 전문연주자도 아랫입술(202) 안쪽의 통증과 불안정한 음정 때문에 알티시모 테크닉의 사용을 꺼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앙부쉬르에 의해 아랫입술(202) 안쪽에 생기는 통증은 색소폰 연주가 가지는 어려움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앙부쉬르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종래의 앙부쉬르를 보조하기 위한 리가춰의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는 일례로 하는 종래의 싱글립 앙부쉬르와 동일하게 앙부쉬르의 위치를 설정하고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우선, 박판스프링(512)의 일단에 부착시킨 아랫입술(202)과 유사한 탄성을 지닌 합성고무패드(513)를 종래의 앙부쉬르 위치에 해당하는 즉, 아랫입술(202)이 리드(102)에 닿는 위치에 배치하여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합성고무패드(513)를 누르는 박판스프링(512)의 탄성이 종래의 앙부쉬르 세기에 해당하는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서 리드(102)를 무는 힘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조절하여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조절한다.
이때, 리드(102)를 누르는 합성고무패드(513)의 길이와 면적은 종래의 앙부쉬르 위치에서 리드(102)에 닿는 아랫입술(202)의 면적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는 연주자 개인의 취향에 맞도록 합성고무패드(513)를 중심볼트(507a)의 이동간격(531) 내에서 고음 방향(534)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박판스프링(512)의 탄성을 이용하여 연주자가 원하는 세기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앙부쉬르는, 아랫입술(202)과 윗입술(201)이 마우스피스(101)에 결합된 리드(102)와 합성고무패드(513)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만 하는 팻립 앙부쉬르와 유사한 모습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앙부쉬르는 종래의 앙부쉬르와 다음과 같이 다르다.
본 발명에 의한 앙부쉬르에서는 아랫입술(202)이 합성고무패드(513)의 밑에 놓여서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만 한다.
또한, 종래의 앙부쉬르와 같이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서 리드(102)를 위로 무는 힘은 박판스프링(512)의 탄성이 합성고무패드(513)를 통해 리드(102)를 위로 누르는 힘으로 바뀌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 설정과 세기 조절이 합성고무패드(513)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음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나 입술통증 없이 색소폰 연주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목관악기이며 단일리드를 사용하는 색소폰은 구조에 의한 앙부쉬르의 특성 때문에 연주와 연습이 어려운 악기로 대중에게 알려져 있다.
때문에, 노약자와 여성, 어린이가 배우기 힘든 악기라는 일반적인 인식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는 종래의 싱글립 앙부쉬르의 위치 설정과 세기 조절을 연주자 개인에 취향에 맞게 인위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즉, 종래의 앙부쉬르와 같이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서 리드(102)를 위로 무는 힘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고음을 불기 위해서 아랫니(204)가 고음 방향(534)으로 이동하며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높여도 아랫니(204)가 합성고무패드(513)를 누르며 이동하기 때문에 아랫입술(202) 안쪽에 압박이나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된다.
즉, 알티시모 테크닉과 같은 고음 연주에서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 통증을 주지 않고 합성고무패드(513)에서 고음 방향(534)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리드(102)를 강하게 누르고 압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는, 색소폰의 고음 연주와 음정 변화에 도움을 주고 스퀵을 방지하는 등의 편의를 제공하여 심리적 부담이 없는 편안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색소폰을 보다 대중적인 악기로 자리 잡게 하고 저변확대에 의한 관련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색소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마우스피스 측면과 구강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음파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하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1 ~ 도면 9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의 구조, 기능과 함께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 설정과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재, 가죽,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어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바디(500)는, 마우스피스(101)와 리드(102)가 고정되는 리가춰 상부(501)의 저면에 스프링부(510)를 배치하기 위해 이동홈(506a, 506b)을 형성하고 있는 리가춰 하부(505)가 용접, 리벳 또는 접합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종래와 같이 리가춰 상부(501)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101)와 리드(102)는 관통홈(502a, 502b)을 통해서 볼트홈(503a, 503b)에 삽입되는 고정볼트(504a, 504b)를 회전방향(521a, 521b)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또한, 리가춰 하부(505)에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와 세기를 인위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일단에 아랫입술(202)과 유사한 탄성을 지닌 합성고무패드(513)를 부착시킨 박판스프링(512)을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에 배치한다.
그리고, 박판스프링(512)의 관통홈(512a, 512b)과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의 볼트홈(511b, 511c)에 고정볼트(514a, 514b)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박판 스프링(512)의 일단에 합성고무패드(513)가 부착된 스프링부(510)를 리가춰 하부(505)의 이동홈(506a, 506b)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이동홈(506a)과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의 관통홈(511a)을 통해 이동홈(506b)으로 삽입한 중심볼트(507a)에 고정너트(507b)를 회전방향(521c)으로 체결하여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박판스프링(512)에 부착된 합성고무패드(513)는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볼트(507a)를 중심축으로 하여 작용하는 방향(532b)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합성고무패드(513)가 리드(102)의 저면에 놓이는 위치는 연주자가 종래의 리가춰(103)를 사용하여 종래의 앙부쉬르를 구성할 때, 리드(102)에 아랫입술(202)이 닿는 위치와 일치시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 즉, 리드(102)의 저면에 닿는 합성고무패드(513)의 위치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중심볼트(507a)를 리가춰 하부(505)에 형성시킨 이동간격(531)의 범위 내에서 고음 방향(534)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에 배치된 합성고무패드(513)는 리드(102)를 위로 누르는 힘 즉, 작용하는 방향(532b)의 힘이 0인 상태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조절볼트(515)를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의 볼트홈(511d)에 삽입한다.
그리고,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의 볼트홈(511d)에 삽입한 조절볼트(515)를 회전방향(521d)으로 회전시켜서 조절볼트(515)가 리가춰 하부(505)에 닿으면 박판스프링 지지대(511)가 중심볼트(507a)를 중심축으로 하여 탄성이 가해지는 방향(532a)으로 움직인다.
동시에, 지랫대의 원리에 의한 박판스프링(512)의 탄성이 합성고무패드(513)를 작용하는 방향(532b)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조절볼트(515)를 회전방향(521d)으로 회전시키면 합성고무패드(513)가 리드(102)를 누르는 힘이 0에서부터 점차 강해지게 된다.
그리고, 조절볼트(515)를 회전방향(521d)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합성고무패드(513)가 리드(102)를 누르는 힘이 점차 약해져서 0이 된다.
따라서, 조절볼트(515)를 회전방향(521d)으로 회전시키면 종래의 앙부쉬르에서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서 리드(102)를 위로 무는 즉, 종래의 앙부쉬르 세기를 점차 강하게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즉,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에 의해 앙부쉬르의 위치 설정과 세기의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앙부쉬르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앙부쉬르(팻립, 더블립, 싱글립 앙부쉬어)가 가지는 공통점은 아랫입술(202)이나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 안쪽에서 리드(102)를 위로 누르는 힘을 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구성한 앙부쉬르의 위치에서 아랫입술(202)은 합성고무패드(513) 밑에 놓여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앙부쉬르의 세기는 박판스프링(512)의 탄성을 이용하여 리드(102)를 위로 누르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는, 연주에 의한 음정의 변화에 따라서 아랫니(204)가 합성고무패드(5013)의 누르는 위치(533)에서 고음 방향(534)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본 발명의 앙부쉬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높게 조절하면 종래의 앙부쉬르에서는 아랫입술(202) 안쪽의 통증과 상처 때문에 불기 어려웠던 높은 호수의 탄성이 강한 리드(102)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높고 시원한 음정을 쉽게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알티시모 테크닉과 같은 고음 연주에서 아랫니(204)가 아랫입술(202)에 통증을 주지 않고 합성고무패드(513) 밑에서 고음 방향(534)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리드(102)를 강하게 누르고 압박하기 때문에 고음 연주와 음정 변화에 유리하고 스퀵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 앙부쉬르를 제공한다.
즉, 합성고무패드(513)가 리드(102)의 밑에 닿는 정도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약하게 설정하고 본 발명의 앙부쉬르를 사용하면 아랫입술(202)에 통증과 상처가 없이 서브톤에서 알티시모 테크닉까지로 연주범위가 넓어진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가 제공하는 본 발명의 앙부쉬르와 편의는 색소폰 연주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줄여서 대중화는 물론 저변확대와 관련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설명과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500)는, 단일리드를 사용하는 원추관 악기인 색소폰족의 소프릴로(Bb), 알토(Eb), 베이스(Bb) 색소폰과 원통관 악기인 클라리넷족의 피콜로(Ab), 알토(Eb), 콘트라베이스(Bb) 클라리넷 등의 악기에 공통적인 구조로 적용시킬 수 있다.
101 : 마우스피스 102 : 리드
103 : 종래의 리가춰 104 : 넥
105 : 바디 106 : 벨
107 : 키 201 : 윗입술
202 : 아랫입술 203 : 윗니
204 : 아랫니 205 : 윗잇몸
206 : 아랫잇몸 207 : 혀
301 : 챔버 302 : 연주자의 날숨
303 : 팁 오프닝 304 : 페이싱
305, 533 : 누르는 위치 306 : 사이드 레일
307, 534 : 고음 방향 401 : 음파의 진폭
402 : 시간 500 : 리가춰 바디
501 : 리가춰 상부 502a, 502b, 511a, 512a, 512b : 관통홈
503a, 503b, 511b, 511c, 511d : 볼트홈 504a, 504b, 514a, 514b : 고정볼트
505 : 리가춰 하부 506a, 506b : 이동홈
507a : 중심볼트 507b : 고정너트
510 : 스프링부 511 : 박판스프링 지지대
512 : 박판스프링 513 : 합성고무패드
515 : 조절볼트 521a, 521b, 521c, 521d : 회전방향
531 : 이동간격 532a : 가해지는 방향
532b : 작용하는 방향

Claims (4)

  1. 마우스피스(101)와 리드(102)가 관통홈(502a, 502b)을 통해서 볼트홈(503a, 503b)에 삽입되는 고정볼트(504a, 504b)를 체결하여 고정되는 리가춰 상부(501)와 저면에 스프링부(510)를 배치하기 위하여 이동홈(506a, 506b)을 형성하고 있는 리가춰 하부(505)가 용접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는 리가춰 바디(500)와;
    일단에 합성고무패드(513)가 부착된 박판 스프링(512)을 관통홈(512a, 512b)을 통해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의 볼트홈(511b, 511c)에 고정볼트(514a, 514b)로 체결한 후, 볼트홈(511d)에 조절볼트(515)를 삽입한 스프링부(510)를 리가춰 바디(50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이동홈(506a)과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의 관통홈(511a)을 통해 이동홈(506b)으로 삽입한 중심볼트(507a)를 고정너트(507b)로 체결하여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와 세기가 나타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2. 제 1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리가춰 하부(505)의 이동홈(506a, 506b)에 중심볼트(507a)와 고정너트(507b)를 체결하여 배치된 스프링부(510)를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이동간격(531)의 범위 내에서 고음 방향(534)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본 발명의 앙부쉬르 위치 즉, 리드(102)의 밑에 닿는 합성고무패드(513)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3. 제 1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리가춰 하부(505)의 이동홈(506a, 506b)에 중심볼트(507a)와 고정너트(507b)를 체결하여 배치된 박판스프링 지지대(511)의 볼트홈(511d)에 삽입된 조절볼트(515)를 회전방향(521d)이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합성고무패드(513)가 리드(102)를 누르는 힘이 점차 강해지거나 약해지게 하는 즉,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4. 제 3항에 있어서,
    합성고무패드(513)가 리드(102)의 밑에 닿는 정도로 본 발명의 앙부쉬르 세기를 약하게 설정하고 본 발명의 앙부쉬르를 사용하면 아랫입술(202)에 통증과 상처가 없이 서브톤에서 알티시모 테크닉까지로 연주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KR1020220081792A 2022-07-01 2022-07-01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KR20240003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792A KR20240003675A (ko) 2022-07-01 2022-07-01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792A KR20240003675A (ko) 2022-07-01 2022-07-01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675A true KR20240003675A (ko) 2024-01-09

Family

ID=8953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792A KR20240003675A (ko) 2022-07-01 2022-07-01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6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507B1 (ko) 2019-07-29 2020-04-13 이봉학 목관악기용 리가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507B1 (ko) 2019-07-29 2020-04-13 이봉학 목관악기용 리가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letcher The nonlinear physics of musical instruments
US7470844B2 (en) Mouthpiece for musical instruments
Halmrast et al. Gesture and timbre
US3433113A (en) Ligatures or reed-holders for single-reed musical wind instruments
Raasakka Exploring the Clarinet: A guide to clarinet technique and Finnish clarinet music
US4856403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6617366B1 (ja) 管楽器の音響改善装置
KR20240003675A (ko) 색소폰의 앙부쉬르를 보조하는 리가춰
US20120174728A1 (en) Method for increasing resonance of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Stanley Your voice: Applied science of vocal art
Fletcher The physiological demands of wind instrument performance
US10529305B2 (en) Key height adjuster for a brass instrument
US6156960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combination
Smith et al. Recent work on musical acoustics
US11538447B2 (en) Instrument mouthpiece with air flow disruption apparatus
Streitová Quarter-tones, Glissandi and their Benefits in Flute Embouchure and Tuning
David Jazz Arranging
JPH0667649A (ja) 切り込み弁式竹製打楽器
US20230317036A1 (en) Instrument with interior body walls having airflow disruption apparatus
CN200959216Y (zh) 一种双手弹拨的民族乐器
Campbell et al. The Musician’s experience of brass instruments
KR20230109279A (ko) 관악기용 리가춰
WO2023214261A1 (en) Sound dampener/mute for stringed instruments and associated kit
Guettler On playing ‘harmonics’(flageolet tones)
KORDOWSKI Instrumentation and Types of Polish Wind Orchest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