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520B1 -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9520B1 KR102099520B1 KR1020187008496A KR20187008496A KR102099520B1 KR 102099520 B1 KR102099520 B1 KR 102099520B1 KR 1020187008496 A KR1020187008496 A KR 1020187008496A KR 20187008496 A KR20187008496 A KR 20187008496A KR 102099520 B1 KR102099520 B1 KR 1020995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hinese medicine
- medicine composition
- ginse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4—Orobanchaceae (Broom-rape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은 하기의 중량의 원료로 조제되는 바, 황기 10 내지 80, 태자삼 5 내지 30, 계지 3 내지 25, 당귀 8 내지 60, 삼칠 2 내지 15, 산약 10 내지 80, 단삼 10 내지 80, 지룡 2 내지 15, 지황 8 내지 60, 백출 8 내지 60이다. 상기 중의약 조성물은 황반 부종을 치료하거나 경감시켜 환자의 시력, 시야를 향상시키고 안저 병변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중의약 분야에 속한다.
당뇨병은 현재 세계에서 인류 건강에 막대한 위협을 가하는 중대 질병 중의 하나로서, 발병률은 10%에 달하고 약 50 내지 60%의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의 대, 소혈관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당뇨병성 망막증(DR)은 당뇨병 모세관 합병증 중의 가장 큰 병변 중의 하나로서, 현재 실명과 시력 장애는 1위를 차지하고 있다. DR의 발병과 발전을 어떻게 지연할 것인가 하는 것은 이미 현재 의학계에서 주목하고 또한 연구하는 중점이다. DR의 중요 발병 매커니즘 중의 하나는 미세 순환계 외란이다. 당뇨병성 망막 병변 전과정 제어 각도에서 보면, 약물, 레이저, 수술 등 종합적인 수단은 그 치료 과정이다. 초기 당뇨병성 망막 병변은 중의약이 간섭하는 중요한 일환이며 특히 황반 부종을 동반하여 종신 시력이 하강하는 것을 초래하여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하는 고통은 질병 자체에 비해 더욱 크다. 중의약을 합리하게 응용하여 당뇨병성 망막증 발전 속도를 지연시키고 초기 황반 부종을 차단하는 것은 시력 보호에 매우 큰 우세를 갖고 있다. 비록 당뇨병성 황반 부종은 줄곧 안과 치료의 난제였지만, 중의약이 이에 대해 발휘한 막대한 작용은 무시할 수 없다. 임상 관찰과 실험 연구를 거쳐, “전이 플랫폼”을 충분히 이용하고 중의약 작용 매커니즘을 임상 약으로 하고 객관적인 근거를 보급하는 것을 심도 깊게 탐구해야 한다.
소갈증의 발병 과정을 말하자면, 중의학에서 인정하는 발병 원인은 “본허표실(deficiency in origin and excess in superficiality)”인데, “본허”는 당뇨병 환자가 대다수 조기 음기가 허하고 건조 열이 있고 중기에는 기와 음기가 전부 허하며 말기에는 음기와 양기가 모두 허한 단계를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표실”은 “기체혈어(기가 정체되고 어혈이 생김)”을 야기시켜 모세관 병변의 시작 및 종말과 함께 한다. 당뇨병성 망막 병변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20년 사이에 발생하고 기음양허, 기체혈어는 그 주요한 병기(病機)이다. 병기를 에워싸고 “치표(治標)”를 위주로 하는데 안저 미세혈관 종양, 미세 출혈 병소, 경성삼출, 부종 등 증상을 잡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는 것에 중점을 두고 치료하며, 전신에 기음부족한 증상이 있는 자는 지엽적인 것과 근본적인 것을 함께 다스리고 기를 보태고 음을 더하며 활혈화어에 집중한다. 위의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증상 패턴의 비교 및 망막 미세 혈관 병증에 대한 다양한 치료 원리의 효과를 실험하는 것을 포함하여 당뇨병성 망막증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표준화되거나 체계화되지 않은 폐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중의약 조성물이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 약물의 제조에서의 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중의약 조성물이 황반 부종 치료 약물의 제조에서의 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실현된다.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태자삼, 계지, 당귀, 삼칠, 산약, 단삼, 지룡, 지황, 백출로 조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10 내지 80 중량부, 태자삼 5 내지 30 중량부, 계지 3 내지 25 중량부, 당귀 8 내지 60 중량부, 삼칠 2 내지 15 중량부, 산약 10 내지 80 중량부, 단삼 10 내지 80 중량부, 지룡 2 내지 15 중량부, 지황 8 내지 60 중량부, 백출 8 내지 60 중량부로 조성된다.
더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15 내지 60 중량부, 태자삼 6 내지 25 중량부, 계지 5 내지 20 중량부, 당귀 10 내지 50 중량부, 삼칠 3 내지 12 중량부, 산약 15 내지 60 중량부, 단삼 15 내지 60 중량부, 지룡 3 내지 12 중량부, 지황 10 내지 50 중량부, 백출 10 내지 50 중량부로 조성된다.
더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20 내지 50 중량부, 태자삼 8 내지 20 중량부, 계지 8 내지 18 중량부, 당귀 12 내지 40 중량부, 삼칠 4 내지 10 중량부, 산약 20 내지 50 중량부, 단삼 20 내지 50 중량부, 지룡 4 내지 10 중량부, 지황 12 내지 40 중량부, 백출 12 내지 40 중량부로 조성된다.
더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25 내지 40 중량부, 태자삼 10 내지 18 중량부, 계지 9 내지 15 중량부, 당귀 15 내지 30 중량부, 삼칠 5 내지 8 중량부, 산약 25 내지 40 중량부, 단삼 25 내지 40 중량부, 지룡 5 내지 8 중량부, 지황 15 내지 30 중량부, 백출 15 내지 30 중량부로 조성된다.
더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30 중량부, 태자삼 12 중량부, 계지 10 중량부, 당귀 20 중량부, 삼칠 6 중량부, 산약 30 중량부, 단삼 30 중량부, 지룡 6 중량부, 지황 20 중량부, 백출 20 중량부로 조성되고,
또는, 황기 28 중량부, 태자삼 16 중량부, 계지 9 중량부, 당귀 28 중량부, 삼칠 5 중량부, 산약 35 중량부, 단삼 28 중량부, 지룡 7 중량부, 지황 16 중량부, 백출 28 중량부로 조성되며;
또는, 황기 38 중량부, 태자삼 11 중량부, 계지 14 중량부, 당귀 16 중량부, 삼칠 7 중량부, 산약 28 중량부, 단삼 35 중량부, 지룡 5 중량부, 지황 28 중량부, 백출 16 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 태자삼은 인삼, 서양삼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백출은 바람직하게 볶은 백출이고; 상기 지황은 바람직하게 생지황이다.
본 발명의 상기 중의약 조성물은 상기 원료약을 혼합한 후 직접 분쇄하여 획득된 조성물일 수 있고, 원료약을 혼합한 후 통상적인 추출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획득한 추출물이거나, 또는 추출물 부가적으로 정제 정화 공정을 거쳐 획득한 유효 부위이거나, 또는 부가적으로 통상적인 제제 공정을 따라 제조 획득한 통상적인 복용 제형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통상적인 추출 방법은 침적 추출, 달임 추출, 환류 추출, 침투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을 포함하며; 추출 용제는 물, 20 내지 95% 에탄올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정제 정화 공정은 에탄올 침전, 추출 용제, 실리카 칼럼 분리, 미세 다공성 수지 칼럼 분리 등을 포함하며; 상기 통상적인 복용 제형은 분말, 정제, 캡슐제, 과립제, 드링크제, 환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비율에 따라 각 원료약을 취하고, 물 또는 유기용제로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통해 추출하며, 통상적인 제제 공정에 따라 통상적인 복용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통상적인 추출 방법은 달임 추출, 환류 추출, 침적 추출, 초음파 추출또는 침투 추출 등 통상적인 추출 방법 중의 임의의 한가지 방식, 또는 상이한 추출 방법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제는 20 내지 95%인 에탄올 용액이다. 상기 통상적인 복용 제형은 과립제, 정제, 분말, 캡슐제, 드링크제, 환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형을 실현하기 위해, 이러한 제형을 제조할 경우 하기와 같은 약물학적으로 용인 가능한 보조제를 첨가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충전제, 붕괴제, 윤활제, 서스펜션화제, 결합제, 감미제, 교정약, 방부제, 기저물질 등이다. 충전제는 녹말, 전호화분 녹말, 유당, 마니톨, 키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자당 등을 포함하고; 붕괴제는 녹말, 전호화분 녹말,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 메틸 녹말,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등을 포함하며; 윤활제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도데실황산나트륨, 탤컴파우더, 이산화 규소 등을 포함하고; 서스펜션화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자당, 한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며; 결합제는 녹말풀,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고; 감미제는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르테임, 자당, 시클람산 나트륨, 글리시레틴산 등을 포함하며; 교정약은 감미제 및 각종 에센스를 포함하고; 방부제는 니파긴, 벤조산, 벤조산 나트륨, 소르브산 및 그 소르베이트, 벤잘코늄 브로마이드, 초산클로르헥시딘, 유칼리 기름 등을 포함하며; 기저물질은 PEG6000, PEG4000, 백랍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형이 중의약 조제학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제형을 제조할 시 약물학적으로 용인 가능한 기타 보조제(판비팅 《중의약 조제학》, 상하이 과학출판사 1997년 12월 제1 판 중 각 제형 기재된 보조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은 황기, 태자삼, 계지, 당귀, 삼칠, 산약, 단삼, 지룡, 지황, 백출 원재료 투입의 형식외에도, 상기 원재료의 추출물(유효 부위) 재료를 투입하는 형식을 사용할 수도 있기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을 부가적으로 공개하였다.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상기 중의약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원료약, 황기 추출물 10 내지 80 중량부, 태자삼 추출물 5 내지 30 중량부, 계지 추출물 3 내지 25 중량부, 당귀 추출물 8 내지 60 중량부, 삼칠 추출물 2 내지 15 중량부, 산약 추출물 10 내지 80 중량부, 단삼 추출물 10 내지 80 중량부, 지룡 추출물 2 내지 15 중량부, 지황 추출물 8 내지 60 중량부, 백출 추출물 8 내지 60 중량부로 조성된다.
더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추출물 15 내지 60 중량부, 태자삼 추출물 6 내지 25 중량부, 계지 추출물 5 내지 2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 삼칠 추출물 3 내지 12 중량부, 산약 추출물 15 내지 60 중량부, 단삼 추출물 15 내지 60 중량부, 지룡 추출물 3 내지 12 중량부, 지황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 백출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로 조성된다.
더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추출물 25 내지 40 중량부, 태자삼 추출물 10 내지 18 중량부, 계지 추출물 9 내지 15 중량부, 당귀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부, 삼칠 추출물 5 내지 8 중량부, 산약 추출물 25 내지 40 중량부, 단삼 추출물 25 내지 40 중량부, 지룡 추출물 5 내지 8 중량부, 지황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부, 백출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부로 조성된다.
더 부가적으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추출물 30 중량부, 태자삼 추출물 12 중량부, 계지 추출물 10 중량부, 당귀 추출물 20 중량부, 삼칠 추출물 6 중량부, 산약 추출물 30 중량부, 단삼 추출물 30 중량부, 지룡 추출물 6 중량부, 지황 추출물 20 중량부, 백출 추출물 20 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 원료약 추출물은 각 원료약의 수용 추출액이거나, 또는 유기용제 추출물, 또는 수용 추출액/유기용제 추출물이 부가적인 정제 정화 공정을 거쳐 획득한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20 내지 95%인 에탄올 용액이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추출 방법은 달임 추출, 환류 추출, 침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침투 추출 등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 중의 임의의 한가지 방식, 또는 상이한 추출 방법의 조합을 사용한다. 상기 정제 정화 공정은 에탄올 침전, 추출 용제, 실리카 칼럼 분리, 미세 다공성 수지 칼럼 분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은 주요하게 황기, 인삼, 계지, 삼칠, 단삼, 지룡 등 약물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황기, 인삼, 계지는 양을 북돋아주고 비장을 강하게 하며 이기승양하는 작용을 갖고 혈류 속도와 혈액의 질을 향상시키며, 삼칠, 단삼, 지룡은 지혈하기도 하고 혈액을 순환시키며, 통락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동시에 혈소판의 집합을 감소하고 혈액 점도를 낮추며 라디칼을 제거하고 혈액 결핍성 손상을 경감시키며 혈액 순환을 개선함으로써 유기체가 산소 결핍에 대한 내성을 향상하고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량을 증가하며 혈액 결핍 상태를 개선하고 혈액 응고를 억제하며 혈액 유변특성을 개선한다. 혈장 점도를 감소하고 혈소판 집합을 감소시키며 혈전의 형성을 억제한다. 미세순환을 개선하고, 장애가 발생한 미세순환 혈류 속도를 가속화하는 작용을 갖는다. 전체적으로 한의학의 기를 돕고 양을 온화하게 하며 혈액 순환을 돕고 통락하는 치료 원칙에 부합된다. 임상 실험은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이 황반 부종 환자에 대한 치료가 정확하고 시력, 시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안저 병변을 완화하여 황반 부종을 경감시키는 데 긍정적인 작용을 일으키고 그 효과는 복방혈전통캡슐(Compound Xueshuantong Capsules)에 비해 훌륭하다.
도 1은 망막 소화 제제 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도 2는 망막 파라벤 절편 광 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도 3은 망막 파라벤 절편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결과이다.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도 4는 망막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도 2는 망막 파라벤 절편 광 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도 3은 망막 파라벤 절편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결과이다.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도 4는 망막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 정상군; b. 모델군; c. 실험군; d. 대조군
실험예1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임상 실험
1.자료 및 방법
1.1일반 자료: 연구 대상은 모두 2014년 1월부터 2015년 7월까지 당뇨병 황반 부종(DME)으로 확진된 환자 80명(128개의 눈)이다. 여기서 치료군은 49개(80개의 눈)이고, 대조군은 31개(48개의 눈)이다. 치료군 남성 18명(29개의 눈)이고 여성은 31명(51개의 눈)이며, 평균 연령이 59.80±10.21세이고, 병의 경과는 7.41±4.62년이며, 대조군 남성 11명(17개의 눈)이고 여성 20명(31개의 눈)이며, 평균 연령이 57.63±12.12세이고, 병의 경과는 8.17±5.34년이다.
1.2진단 기준: 《DME국제임상분류》, 《미국 DR 조기치료 연구팀 ETDRS》, 《중의약 신약 임상연구 지도원칙》“당뇨병성 망막 병변을 치료하는 임상연구 지도원칙”의 제정을 참조 바란다.
임상 진단:
(1)병력: 당뇨병성 망막증 병력이 있다.
(2)증상: 조기 안부에 경미하게 시력이 몽롱한 자각 증상이 있고, 병이 지속되면 상이한 정도의 시력 감퇴가 있을 수 있으며 눈 앞에서 검은 그림자가 움직이거나 또는 사물이 변형되는 것으로 보이며 심지어 실명한다.
(3)병증: 당뇨병 황반 부종: 《당뇨병 황반 부종 국제 임상 분류 기준》를 참조하면, 가벼운 정도, 중간 정도 및 극심한 정도로 분류되고: 가벼운 정도DME: 후부 망막에 일정한 정도로 두꺼워지고 경성 백반되지만 황반 중심과는 비교적 멀다. 중간 정도 DME: 후부 망막에 일정한 정도로 두꺼워지고 경성 백반되며 황반 중심과 근접하지만 중심에 끌어들이진 않는다. 극심한 정도DME: 망막이 두꺼워지고 경성 백반되지만 황반 중심에 끌어들여 진다.
(4)형광안저조영술(FFA): 《미국 DR조기 치료 연구팀 기준 ETDRS》을 참조하면, 부분 부종형, 확산 부종형 및 포낭 부종형(확산 부종형으로 귀속됨)으로 분류한다. 부분 부종형: 황반은 부분성 부종을 띄고, 황반 모세혈관 확장 및 미세동맥 종양 누출 형광을 보여준다. 확산 부종형: 범위≥2PD이고, 황반중심무혈관부위를 포함한다. 상, 하 혈흉으로 확산되어 막대한 모세 혈관 누출이 있을 수 있다. 포낭 부종형: 부분성 부종이 엄중한 자는 비록 모세혈관이 상, 하 혈흉으로 확산되지 않지만 FFA 말기에는 플루오르세틴 누출이 원형 링의 주변부에 분포하여 페탈 로이드 또는 원형과 형광이 나타난다.
1.3납입 기준.
(1)형광안저조영술(FFA)을 거쳐 I-III기 당뇨병성 망막 병변과 황반 부종이 동반된 병례를 선택한다.
(2)서양학 황반 부종 진단 기준에 부합된다.
(3)연령은 18 내지 70세이다.
(4)2주 내에 기타 임상실험에 참가하지 않은 자;
(5)2주 내에 본 병과 관련된 치료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자;
(6)동의서에 사인한다.
1.4치료 방법
치료군 환자는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실시예1의 방법으로 제조)을 매일 2회, 매 회100ml씩 3개월동안 내복한다.
대조군 환자는 복방혈전통캡슐을 1회 3알씩, 하루에 세번 내복한다. 복방혈전통캡슐은 《중국약전》(2015판)에 수록되어 있고, 그 원료는 삼칠, 황기, 단삼, 현삼(玄蔘)으로 구성되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고 기를 보강하고 음을 돕는 효능을 구비한다. 망막 정맥 폐쇄는 망막 정맥 폐쇄로 인한 혈액 침체와 기와의 결핍으로 인한 시력 상실이나 시각 장애, 안저 혈류 정체 및 기타 질병으로 나타난다.
1.5관찰 방법
(1)치료 전후 최상의 교정 시력(국제표준시력표);
(2)OCT황반의 중심부 중심 두께 측정(TOPCON3DOCT-1000).
(3)안저 채색 카메라로 미세혈관 종양수를 산출한다(Topcon TRC-50DX)
(4)안저 형광 조영으로 누출 면적을 측정한다(Topcon Corp)
시력 치료 효과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이 제정된다. 국제표준시력표로써 최상의 교정시력은 1주내에 안정된다. 무 편광인지로부터 편광인지까지 2줄로 계산되며, 가벼운 지각, 손 움직임, 지수 및 0.02, 0.04, 0.06, 0.08, 0.1 간격은 각각 1 줄로 계산된다. 시력 치료 후 개선이 ≥2 라인으로 효과적이라고 간주된다. 시력이 1줄 개선되거나 또는 시력이 변화되지 않는 자는 병세가 일부 개선된 것을 안정되었다고 간주하고 시력이 감퇴된 자들은 무효한 것으로 간주한다.
1.6통계학적 방법
SPSS19.0소프트웨어를 운용하여 통계학 처리를 진행하고, 치료하기 전후의 정태 분포 데이터는 페어 샘플 t로 점검하며 비정태 분포 데이터는 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점검하고 결과는 평균값 ±표준차 로 표시하며, P<0.05를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2결과
2.1시력
치료전 환자 시력 분포 상황은 표 1과 같다. 1개월 치료한 후 시력 변화 상황은 표 2와 같고, 군내에서 비교하며, t로 점검하고, 치료전과 비교하면 치료군과 대조군 시력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고(P<0.05), 군 사이에서 비교하며, 로 점검하고, 치료군과 대조군을 비교하면 시력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P>0.05). 3개월 치료한 후 시력 변화 상황은 표 3과 같고, 군내에서 비교하며, t로 점검하고, 치료전과 비교하면 치료군과 대조 군시력이 모두 뚜렷하게 향상되었으며,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고(P<0.05), 군 사이에서 비교하며, 로 점검하고, 두 군의 시력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P>0.05). 치료군와 대조군이 모두 DME환자 시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지만, 양자의 시력 개선 정도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다.
2.2황반 중심 오목 두께
모든 환자에 대해 치료 전후에 OCT의 검사를 진행하였고, 황반 중심 오목 두께 변화 상황은 표 4와 같으며, 비 파라미터 점검으로 통계 결과를 표시하며, 1개월 치료한 후, 치료군 황반 중심 오목하게 하강한 폭도는 대조군보다 크고,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P<0.05). 치료 3개월과 대조군을 비교하면, 치료군 황반 중심 오목 두께는 뚜렷하게 하강되었고,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P<0.05). 치료군 황반 부종 감퇴 상황은 대조군보다 훌륭하고, 치료 효과는 안정적이다.
2.3미세혈관 종양수
치료 전후 채색 안저 촬영으로 망막 미세혈관 종양 갯수를 관찰하고, 구체적인 상황은 표 5와 같다. 비 파라미터로 점검하고, 1개월 치료한 후, 치료군 미세혈관 종양 갯수 변화 상황은 대조군과 비교하면 뚜렷한 차이가 없고(P>0.05), 3개월 치료한 후, 미세혈관 종양 갯수의 감소 추세는 치료군이 뚜렷하게 대조군보다 훌륭하며,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P<0.05).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 연합 레이저로 DR을 치료하고, 미세혈관 종양의 변화는 3개월이 지나야 우세를 발휘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2.4누출 면적
치료 전후 안저 플루오레세인 조영을 통해 망막 누출 면적 변화 상황을 산출하고, 구체적으로 표 6을 참조 바란다. 비 파라미터로 점검하고, 1개월 치료한 후, 치료군 누출 면적 축소 정도는 대조군보다 훌륭하고,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으며(P<0.05), 3개월 치료한 후, 두 개 군은 치료군과 비교하면 누출 면적 축소 정도는 뚜렷하고,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P<0.05). 치료군은 더욱 훌륭하게 누출 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치료 효과도 안정적이다.
3결론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은 황반 부종 환자에 대해 치료 효과가 확실하고, 환자 시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황반 중심 오목 두께를 감소시키며, 누출 면적을 축소하여, 미세혈관 종양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험예2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로 당뇨병 쥐 망막 혈관 병변을 치료하는 실험 연구
(가)
1실험 방법
1.1모델링 및 군별: VAF급 수컷 SD쥐를 선택하고, 체중은 140-160그램이며, Vital River Laboratory Animal Technology Co., Ltd.에서 구입하였고 중일우호병원 임상의학 연구소 실험동물 센터(the laboratory animal center of the Clinical Medicine Institute, China-Japan Friendship Hospital)에서 사육한다. 실험 기간 쥐는 자유롭게 섭식하고 물을 마셨다. 표준 쥐 사료는 Beijing Jiujiang Pellet Feed Factory에서 구매하였고, 쥐 케이지 및 패드는 Beijing Kelin Laboratory Animal Services Center에서 구입하였다. 쥐를 일주일 적응성 사육한 후, 체중은 180-200그램으로 모두 70마리이고, 정상군 외에도, 기타 모델링 전의 쥐들은 12시간동안 금식하였고, 스트렙토조토신(STZ)을 복강에 주사하며, STZ는 사용하기에 앞서 무균인 0.1mmol/L을 사용하였고, pH4.4인 구연산나트의 완충용액을 1% STZ 용액으로 배합하며, 65mg/Kg 쥐 체중에 따라, 좌측 하복강에 주사하고, 정상 대조군은 동등한 체적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한다. 72시간 후 미정맥(尾靜脈) 혈액을 취하고, 신속 혈당 측정기(Roche혈당 측정기, Roche ACCU-CHEK Active test strips)로써 혈당을 측정한다. 비 공복 혈당이 ≥16.7mmol/L인 쥐는 당뇨병 쥐로 모델링한다.
모델링 성공 후 당뇨병 쥐은 랜덤으로 모델군 10마리, 실험군 10마리(실시예1에 따라 제조한 중의약 조성물), 정상군 쥐 10마리로 분류한다. 실험 주기는 300일이다.
1.2관측 방법 및 방안: 동물을 죽인 뒤 쥐의 안구를 4%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에 고정하여, 망막 소화 제제 표본을 제조하고, PAS-H로 염색하며, 혈관 내피세포(E), 혈액 주위세포(P)를 계산 및 E/P 비교한다.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세포 간 부착 분자 -1 (ICAM-1), 색소 상피 유도 인자(PEDF) 및 당화 산물(AGEs)의 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파라핀 망막 절편을 준비 한다. 신선한 안구 페이스트는 RT-PCR로 이루어지고 VEGFmRNA, PEDFmRNA, ICAM-1mRNA 및 RAGE의 mRNA 수준을 검출한다. 이미지 어날라이저로 면역 조직 화학의 색 강도를 측정하고 정량 분석을 진행한다. SPSS13.0 통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처리한다.
2실험 결과
2.1망막 소화 제제 내피세포(E), 혈액 주위세포(P) 계산 및 E/P 비교 결과는 표 7을 참조 바란다.
상기 결과는 모델군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내비세표의 증식이 비교적 뚜렷하고, 주위세표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1). 그러나 실험군, 정상군은 모델군과 비교하면 이러한 변화는 현저하게 경감되었고(P<0.01), E/P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연구 의학이 내피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혈액 주위세포의 선택적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 망막 병증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2.2작용 매커니즘 연구
연구가 표명하기를,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은 당뇨병 쥐 망막 AGEs와 RAGE mRNA의 발현을 감소하고, AGEs가 내피세포, 혈액 주위세포 및 기저막 침적을 경감하여 내피세표에 대한 자극을 감소함으로써 VEGF의 발생을 감소하여 관 벽의 기능성 장애를 경감한다. 망막 모세혈관 ICAM-1과 망막 ICAM-1mRNA의 발현을 감소하는 것을 통해, 백혈구와 혈관 내피세포의 접착을 경감한다. 망막, 모세혈관 VEGF와 망막 VEGFmRNA의 발현을 감소하여 혈관의 투수성을 경감하고 ICAM-1의 발현을 아래로 조절한다. 망막 PEDF와 망막 PEDFmRNA의 발현을 증가함으로써 신생 혈관의 형성을 억제한다.
실험예3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로 당뇨병 쥐 망막 혈관 병변을 치료하는 실험 연구
(나)
1 재료와 방법
1.1 실험 동물과 군별
SPF급 6세 연령의 SD쥐 48마리, 수컷, 체중(220±20)g을 선택하고, Huafukang Biotechnology Co., Ltd에서 구매하였다. 쥐를 1주일 적응성 사육한 후, 랜덤으로 모델링군 36마리, 정상군 12마리로 분류한다. 모델링전에 12시간 금식하고, 1%STZ용액을 60mg/kg체중으로 일차적으로 복강에 주사하며, 실험성 당뇨병 쥐 모델을 유발한다. 정상군 쥐는 동일한 체적인 생리식염수를 주사한다. 72시간 후 혈당을 측정하고, 미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며, 연속 3일 혈당≥16.7mmol/L으로 하여 모델링 성공하고, 다시 모델링 성공한 쥐를 랜덤으로 모델군 12마리, 중의약 조성물 실험군 12마리(약칭 실험군), Doxium 대조군(약칭 대조군) 12마리로 분류한다. 실험군과 대조군 쥐는 모델링 성공한 후 다음 날부터 실험군 쥐의 투여 량은 10 ml / (kg·d)이고 대조군 쥐의 투여 량은 250 mg / (kg·d)이고, Doxium 분말은 증류수 2 mL에 용해시킨다. 정상군과 모델군 쥐에는 위장관 내 증류수 2 mL를 투여한다. 실험 기간 동안 매일 모든 쥐에게 규칙적인 시간에 식량과 식수를 제공한다. 쥐의 체중과 혈당의 변화를 매월 모니터링했다. 그리고 샘플링은 9 개월 후 수행한다.
1.2망막 소화 제제
랜덤으로 각 군의 6마리 쥐의 한쪽 안구를 취하여 망막 소화 제제 표본을 제조하고,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안구를 4%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에 48시간동안 고정시킨 후, 흐르는 물에 가볍게 5분정도 헹구고, 톱니 링형 망막 거상연을 열고 눈의 앞부분을 제거한다. 시신경 유두를 중심으로 후방 안배를 주황색 꽃잎 모양으로 3 개로 자르고, 망막을 부드럽게 격리시킨다. 10 분 동안 PBS (0.01mol/L pH7.4)로 망막을 헹구고 37℃ 인큐베이터에서 3 시간 동안 3 % 트립신으로 망막을 소화시키고; 소화된 망막을 증류수로 옮기고 여러 번 씻어서 다음 층의 투명 망막 혈관 망만을 남겨 둔다. 줄에 PAS 염색을 실시하고 슬라이드를 Olympus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1.3망막 파라벤 절편 광 현미경 표본 제조
나머지 6마리 쥐의 양쪽 안구를 적출하여 파라벤 절편을 제조한다. 안구와 시신경을 4%의 파라포름알데히드(4℃, 48h)에 고정하고, 각막연을 따라 안구벽을 절개하여 각막, 수정체, 유리체를 제거하고 구배 알콜로 탈수하며, 크실렌으로 투명하게 만들고 파라핀에 끼워 넣고 10 μm 두께로 연속 절편하고 HE 염색 및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고 Olympus 광 현미경으로 절편을 관찰한다.
1.4망막 전자 현미경 관찰
각 그룹의 첫 6 마리 쥐의 또 다른 안구를 취하여 2.5 % 글루타르알데히드(4 ℃)에서 72 시간 동안 고정시킨 후, 2mm x 2mm의 조직을 망막 중심부에서 해부시킨다. 조직을 1 % 오스뮴산으로 고정시키고, 아세톤급으로 탈수시키며, Epon812 에폭시 수지에 끼워 넣고, 광학 현미경 포지셔닝을 위해 1μm 세미 틴 단면으로 절단한다. 그런 다음 초박막을 만들어 아세트산 우라늄으로 이중 염색하고 히타치 H-600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1.5통계학 분석
실험에서 수집된 모든 데이터는 SPSS19.0 통계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되고, t로 점검하며, 분산 분석 또는 파라미터 점검법을 사용하여 분석되고 처리되며, 통계적 결과는 평균값을 ± 표준 편차로 표시하고, α = 0.05는 점검 기준으로 사용되며, 즉 P≤0.05일 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다고 간주된다.
2 결과
2.1 체중과 혈당
결과는 표 8을 참조 바란다. 실험 기간에 관찰된 바와 같이, 정상군의 쥐와 비교하여 모델군의 쥐는 체중 증가가 완만하며 털이 마르고 체형이 쇠약 해지며, 소변량이 증가하고, 대변이 묽어 졌다. 모델링 이전에는 각 군의 쥐 혈당 수치에 뚜렷한 차이(P> 0.05)가 없다. 정상군과 비교하면, 모델링한 후의 쥐는 다른 시간대에 모두 혈당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P <0.01).
2.2망막 소화 제제
현미경으로 망막 소화 제제를 관찰하면: 정상 쥐 망막 모세혈관 분포는 규칙적이고, 곧게 펴졌으며, 직경과 두께가 일치했다. 내피 세포는 일반적으로 모세 혈관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핵이 비교적 크고 가볍게 염색되었고,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모세 혈관과 평행 장축을 갖는다. 혈액 주위세포는 모세혈관의 루멘 바깥에 위치하고 있으며, 핵이 비교적 작고, 깊게 염색되며 구형 또는 삼각형이다(도면 1a 참조). 모델군의 쥐의 경우 망막 모세혈관 망이 무질서하게 배열되고, 지름이나 두께가 균일하지 않고, 여러 개의 모세혈관은 왜곡되어, 마디가 팽창하였으며, 혈액 주위세포는 핵농축되고, 내피세포 및 세포 밖의 기저물질은 뚜렷하게 증식하였으며, 무세포 모세혈관, 껍질 혈액 주위세포 및 내피세포의 자살 등 당노병 막막의 특징적인 변화를 보아낼 수 있다(도면 1b 참조). 실험군(도면 1c 참조)과 대조군(도면 1d 참조)이 간섭받은 후, 망막 모세관 병변은 뚜렷한 보호 또는 지연을 받는다. 무세표모세혈관, 껍질 혈액 주위세포 등 조기 DR 전형적인 병변을 보아내지 못했고, 모세혈관 분포는 비교적 규칙적이고, 굵기도 비교적 균일하며 뚜렷하게 왜곡 확장되지 않았다.
2.3망막 파라벤 절편 HE염색
광 현미경하에 망막 파라벤 절편 HE 염색을 관찰한다. 정상군 쥐의 망막 각 층의 조직 층차는 분명하고, 가지런하게 배열되었다(도면 2a 참조). 모델군 쥐의 망막 각 층의 조직 배열은 극도로 무질서하고, 모세혈관 확장이 선명하며, 신경 섬유층 부종이 두꺼워 지고, 망막 신경절세포의 개수가 감소되며, 액포 변성하고, 세포핵이 응축되며, 염색질 변두리가 응집되고, 일부 망막 신경 절세포가 괴사되며, 핵이 용해되고, 이너 총상층 부종, 속핵층 액포 변성(도면 2b 참조)이 관찰된다. 실험군 쥐 망막 간질에 가벼운 정도의 부종이 생기고, 세포 배열은 기본상 가지런하다(도면 2c 참조). 대조군 쥐 망막 망상 구조는 느슨해지고, 내, 외 과립층 배열은 무질서하며, 모세혈관 확장, 간질 부종이 발생한다(도면 2d 참조).
2.4망막 파라벤 절편 면역 조직 화학
면역 조직 화학법으로 염색된 혈관내피증식인자(VEFG)가 쥐 망막에서 광범하게 발현되고, 양성 발현 부위는 황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 VEGF는 각 군의 망막에서 발현되는 그레이스케일 값과 비교하면, 모델군(도면 3a 참조)은 정상군(도면 3b 참조)(P<0.01)보다 뚜렷하게 높고, 실험군(도면 3c)과 대조군(도면 3d) VEGF 발현은 모델군(P<0.01)보다 뚜렷하게 낮으며, 통계학적 의미가 있지만,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다(표 9 참조).
2.5망막 전자 현미경
망막 초미세 구조 관찰: 정상적인 쥐 망막 내피세포 형태는 정상이고, 방추형이며, 세포 사이의 연결이 완전하고, 기저막은 연속적이고, 두껍지 않다. 신경 섬유층 미세 소관과 미토콘드리아는 선명하고, 신경절세포 세포체는 난원형(卵圓形)이며, 핵이 크고 뚜렷하고, 세포질에는 비교적 많은 조면 소포체, 폴리리보솜, 미토콘드리아가 있으며, 세포 표면에 비교적 많은 돌기가 있다(도면 4a 참조). 모델군 쥐의 망막 모세혈관 내피세포는 분명하게 부어 오르고, 세포체는 둥글게 되며, 관내강을 향해 돌출되고, 미토콘드리아는 부어 오르고, 액포화되고, 기저막이 두꺼워지며, 신경절세포 세포체가 변형되고, 세포핵은 뚜렷하게 응축되며, 핵 막은 소실되고, 세포질 내부에 크기가 상이한 액포가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부어 오르고, 세포 표면의 돌기는 선명하게 감소되며, 폴리리보솜 및 조면 소포체는 선명하게 감소된다(도면 4b 참조). 실험군 쥐의 망막 모세혈관 관내강 내벽은 매끄럽고, 기저막은 가벼운 정도로 두꺼워지며, 소수의 혈액 주위세포는 부어 오르고, 일부 내피세포는 가벼운 정도로 증식하며, 신경절세포 세포체는 변형되고, 미토콘드리아는 가벼운 정도로 부오 오르며, 구조는 약간 불명확하다(도면 4c 참조). 대조군 쥐의 망막 모세혈관 관내강 내벽은 매끄럽고, 기저막은 두꺼워지며, 소수 혈관 주위세포는 부종되며, 일부 내피세포는 부어 오르며, 일부 미토콘드리아에서 액포화를 볼 수 있고, 신경절세포 세포체는 변형되며, 미토콘드리아는 가벼운 정도로 붓고, 염색질은 용해되며, 능간 사이는 더욱 확장되거나 심지어 소실된다(도면 4d 참조).
3결론
실험성 당뇨병 쥐의 망막 혈관에 선명한 병리적인 손상이 발생하였고,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은 당뇨병 쥐의 망막 혈관에 일정한 보호 작용을 가지며, 당뇨병 쥐 망막 VEGF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고, 망막 혈관의 파손을 경감하는 데 유리하다.
실험예4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이 당뇨병 쥐 시신경 전도 병변의 치료 실험 연구
1 실험 방법
1.1 모델링과 군별
모델링 방법은 실험예2와 같다.
모델링 성공한 후 당뇨병 쥐를 랜덤으로 모델군 5마리, 실험군 5마리(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중의약 조성물), 정상군 쥐 5마리로 나뉜다. 실험 주기는 300일이다.
1.2관측 방법 및 방안: 동물을 죽인 후 망막 조직 절편을 제조하여 형태학 검사를 진행한다. 전자 현미경으로 망막 신경 세포 초미세 구조를 관찰하고; RT-PCR법으로 망막 교질 섬유질 산성 단백질(GFAP)mRNA 발현 수준을 관찰하며; TUNEL법을 이용하여 망막 신경절세포(RGCs) 및 속핵층 세포의 자살을 관찰하여 세포 자살의 개수를 기록하고; 면역 조직 화학 기술 LSAB법을 이용하여 GFAP, 글루탐산 운반체 (GLAST), 글루타민합성효소(GS), 신경 영양 인자 -3(NT-3)가 망막에서의 발현을 감지하며, RGCs 및 속핵층 세포 기능의 변화를 관찰한다. 데이터 분석 방법은 실험예2와 같다.
2 실험 결과
2.1 RGCs의 세포 자살 연구:
양성 자살 RGCs세포의 판정: 세포핵을 황갈(갈)색으로 염색된 것을 양성 세포라고 한다. 양성 자살 RGCs세포의 집계 방법은, 하이 파워 (10×40배)쌍안 현미경 하에, 시신경 원판 일측을 따라 망막 톱니굴레를 향해, 연속으로 5개의 시야가 있는데, 그 평균치를 취해 자살 RGCs세포/하이 파워 시야로 하고, 연속적인 3장의 절편을 일으며, 그 RGCs 세포 평균수를 상기 샘플의 RGCs세포 자살수로 한다. 본 실험 결과는 TUNEL법으로, 쥐 망막 자살 양성 세포는 단지 RGCs층과 속핵층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각 군이 RGCs자살에 대한 영향은 표 10을 참조한다.
상기 결과가 표명하기를, 정상적인 쥐와 비교하면, 모델군 쥐 RGCs자살 개수는 현저하게 증가되고(P<0.01); 모델군과 비교하면, 실험군RGCs자살 개수는 뚜렷하게 감소되며(P<0.05),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델링 쥐 RGCs의 자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신경 보호 작용을 갖는 다는 것을 나타낸다.
2.2작용 매커니즘 연구
연구가 표명하기를,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은 세포 GFAP의 과도한 발현을 억제하고, 교질 세포 반응성 증식을 억제하며, DM이 세포에 대한 기능의 영향을 경감시키고, 망막 신경원의 파손을 경감하며; 세포 GLAST 및 GS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고, 제때에 세포외의 과량의 글루탐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고농도의 글루탐산의 흥분성 독성 작용을 감소시켜; 신경 영양 인자 NT-3의 발현을 촉진하여, 신경 세포의 자살을 감소한다.
실험예5
본 발명의 중의약 조성물로 당뇨병 쥐 홍채 미세 순환 병변의 치료 실험 연구
1 실험 방법
1.1 모델링 및 군별:
모델링은 실험예2와 같다.
모델링 성공 후 당뇨병 쥐는 랜덤으로 모델군 20마리, 실험군 30마리(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중의약 조성물), 대조군 20마리(독시움군), 정상군 쥐 12마리로 나뉜다. 실험 주기는 300일이다.
1.2관측 방법 및 방안: 홍채 혈관 혈류 관류 스캔 및 홍채 형광 혈관 조영을 이용하여 홍채 혈류 속도, 홍채 혈관 직경, 홍채 모세관 밀도, 홍채 모세관 내피 구조, 홍채 모세관 통기성 및 홍채 단위 면적 혈류 관류량을 관찰한다.
2실험 결과
2.1홍채 혈류 속도: 결과 표 11을 참조한다. 결과 표명하기를, 정상군 홍채 혈류 속도는 안정적이고, 모델군 홍채 혈류 속도는 뚜렷하게 감소되며, 실험군은 모델군에 비해 뚜렷하게 빨라지고(P<0.01), 독시움군은 모델군과 비교하면 통계한적 차이가 없다.
2.2홍채 혈관 직경: 결과는 표 12를 참조한다. 결과 표명하기를, 정상군 홍채 혈관 직경은 균일하고, 모델군은 정상군 혈관 직경에 비해 뚜렷하게 확장되며, 실험군은 모델군에 비해 뚜렷하게 감소되고(P<0.01), 독시움군과 모델군은 통계적 차이가 없다.
2.3홍채 혈류 관류량: 결과는 표 13을 참조한다. 결과 표명하기를, 스캐닝 레이저 도플러 이미징은 정상군 홍채 단위 면적 혈류 관류량이 충족한 것으로 표시하고, 스캔 이미징은 균일하며, 모델군 홍채 혈류 관류량은 정상군과 비교하면 뚜렷하게 감소되고(P<0.01), 치료군 혈류 관류량은 모델군에 비해 증가되며(P<0.05), 대조군과 모델군은 통계학적 차이가 없다.
상기 결과가 표명하기를 본 발명의 실험 조성물은 홍채 혈류의 가속화를 촉진하고, 혈관의 이상 확장을 억제하며 홍채 모세관의 통기성 이상 증가 상태를 개선하고 또한 단위면 혈류 관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빈혈 상태를 완화한다.
실시예1
원료약: 황기 30g, 태자삼 12g, 계지 10g, 당귀 20g, 삼칠 6g, 산약 30g, 단삼 30g, 지룡 6g, 지황 20g, 볶은 백출 20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물을 넣고 매번 1.5시간씩 두 번 달이며, 전액을 합하고, 여과하며, 200ml으로 농축한다;
사용법 및 사용량: 매일 아침 저녁으로 두 번, 매번 100ml.
실시예2
원료약: 황기 28g, 태자삼 16g, 계지 9g, 당귀 28g, 삼칠 5g, 산약 35g, 단삼 28g, 지룡 7g, 지황 16g, 볶은 백출 28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70% 에탄올 초음파 추출을 2회 진행하며, 첫회에는 1시간, 제2 회는 0.5시간하고, 추출액을 합하며, 여과하고, 압축 해제하여 농축시키며, 추출물은 덱스트린을 부형제로서, 3:1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키며,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3
원료약: 황기 38g, 태자삼 11g, 계지 14g, 당귀 16g, 삼칠 7g, 산약 28g, 단삼 35g, 지룡 5g, 지황 28g, 볶은 백출 16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물을 넣고 두 번 달이며, 매번 1.5시간이고, 전액을 합하며, 여과하고, 통상적인 공정으로 드링크제를 얻는다.
실시예4
원료약: 황기 22g, 인삼 18g, 계지 9g, 당귀 35g, 삼칠 5g, 산약 45g, 단삼 22g, 지룡 8g, 지황 15g, 백출 35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물을 넣고 환류 추출을 매번 1.5시간씩 2회 진행하며, 전액을 합하고, 여과하며, 농축하고, 60% 에탄올 용액을 넣어 에탄올 침전하며, 정치시키고, 여과하며, 농축하고, 감압 건조시키며, 덱스트린을 부형제로서, 3:1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키며,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5
원료약: 황기 45g, 인삼 10g, 계지 15g, 당귀 13g, 삼칠 8g, 산약 22g, 단삼 48g, 지룡 5g, 지황 38g, 백출 15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혼합하며, 60 내지 80 메쉬 스크린을 통과시키고, 분말을 얻는다.
실시예6
원료약: 황기 16g, 서양삼 24g, 계지 6g, 당귀 45g, 삼칠 4g, 산약 55g, 단삼 16g, 지룡 10g, 지황 12g, 백출 45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물을 넣고 매번 1.5시간씩 두 번 달이며, 전액을 합하고, 여과하며, 통상적인 공정으로 드링크제를 얻는다.
실시예7
원료약: 황기 55g, 태자삼 7g, 계지 18g, 당귀 12g, 삼칠 11g, 산약 18g, 단삼 55g, 지룡 4g, 지황 45g, 볶은 백출 12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70% 에탄올 초음파 추출을 2회 진행하며, 첫회에는 1시간이고, 제2 회는 0.5시간이며, 추출액을 합하고, 여과하며, 감압 농축하고, D101 메크로다공성 수지 칼럼에서 농축액을 정제하며, 우선 2BV 물로 용리(洗脫)하고, 다시 5BV 50% 에탄올 용액으로 용리하며, 50% 에탄올 용리액을 수집하고, 에탄올을 회수하며, 추출물은 통상적인 공정을 통해, 통상적인 보조제를 넣어, 정제를 얻는다.
실시예8
원료약: 황기 12g, 태자삼 28g, 계지 4g, 당귀 55g, 삼칠 3g, 산약 75g, 단삼 12g, 지룡 14g, 지황 9g, 볶은 백출 55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물을 넣고 매번 1.5시간씩 두 번 달이며, 전액을 합하고, 여과하며, 농축하며, 감압 건조시키고, 덱스트린을 부형제로서, 3:1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키며,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9
원료약: 황기 75g, 태자삼 6g, 계지 24g, 당귀 8g, 삼칠 14g, 산약 12g, 단삼 75g, 지룡 3g, 지황 55g, 볶은 백출 10g;
제조 방법: 비율에 따라 원료약을 취하고, 6배의 75% 에탄올을 넣어 매번 1.5시간씩 환류 추출을 2회 진행하며, 추출액을 합하고, 여과하며, 통상적인 보조제를 넣어 드링크제를 얻는다.
실시예10
원료약: 황기 추출물 30g, 태자삼 추출물 12g, 계지 추출물 10g, 당귀 추출물 20g, 삼칠 추출물 6g, 산약 추출물 30g, 단삼 추출물 30g, 지룡 추출물 6g, 지황 추출물 20g, 백출 추출물 20g;
상기 각 원료약 추출물은, 원료약에 물을 넣고 달여서 획득한 수용 추출액으로서, 각 원료약 수용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하며, 통상적인 공정으로 드링크제를 얻는다.
실시예11
원료약: 황기 추출물 28g, 인삼 추출물 16g, 계지 추출물 9g, 당귀 추출물 28g, 삼칠 추출물 5g, 산약 추출물 35g, 단삼 추출물 28g, 지룡 추출물 7g, 지황 추출물 16g, 볶은 백출 추출물 28g;
상기 각 원료약 추출물은 원료약에 70% 에탄올 용액을 넣고 환류 추출하여 얻은 알콜 추출물로서, 각 원료약 알콜 추출물을 농축하고, 감압 건조시킨 후 균일하게 혼합하며, 덱스트린을 부형제로서, 3:1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키며,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12
원료약: 황기 추출물 38g, 서양삼 추출물 11g, 계지 추출물 14g, 당귀 추출물 16g, 삼칠 추출물 7g, 산약 추출물 28g, 단삼 추출물 35g, 지룡 추출물 5g, 지황 추출물 28g, 볶은 백출 추출물 16g;
상기 각 원료약 추출물은 원료약물을 넣고 달여서 얻은 수용 추출물이다. 각 원료약수용 추출액을 농축하고, 감압 건조시킨 후 균일하게 혼합하며, 덱스트린을 부형제로서, 3:1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키며, 과립제를 얻는다.
Claims (10)
-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태자삼, 계지, 당귀, 삼칠, 산약(山藥), 단삼, 지룡, 지황, 백출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10 내지 80 중량부, 태자삼 5 내지 30 중량부, 계지 3 내지 25 중량부, 당귀 8 내지 60 중량부, 삼칠 2 내지 15 중량부, 산약 10 내지 80 중량부, 단삼 10 내지 80 중량부, 지룡 2 내지 15 중량부, 지황 8 내지 60 중량부, 백출 8 내지 60 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15 내지 60 중량부, 태자삼 6 내지 25 중량부, 계지 5 내지 20 중량부, 당귀 10 내지 50 중량부, 삼칠 3 내지 12 중량부, 산약 15 내지 60 중량부, 단삼 15 내지 60 중량부, 지룡 3 내지 12 중량부, 지황 10 내지 50 중량부, 백출 10 내지 50 중량부로 조성되고;
또는,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20 내지 50 중량부, 태자삼 8 내지 20 중량부, 계지 8 내지 18 중량부, 당귀 12 내지 40 중량부, 삼칠 4 내지 10 중량부, 산약 20 내지 50 중량부, 단삼 20 내지 50 중량부, 지룡 4 내지 10 중량부, 지황 12 내지 40 중량부, 백출 12 내지 40 중량부로 조성되며;
또는,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25 내지 40 중량부, 태자삼 10 내지 18 중량부, 계지 9 내지 15 중량부, 당귀 15 내지 30 중량부, 삼칠 5 내지 8 중량부, 산약 25 내지 40 중량부, 단삼 25 내지 40 중량부, 지룡 5 내지 8 중량부, 지황 15 내지 30 중량부, 백출 1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의 원료약은, 황기 30 중량부, 태자삼 12 중량부, 계지 10 중량부, 당귀 20 중량부, 삼칠 6 중량부, 산약 30 중량부, 단삼 30 중량부, 지룡 6 중량부, 지황 20 중량부, 백출 20 중량부로 조성되고;
또는, 황기 28 중량부, 태자삼 16 중량부, 계지 9 중량부, 당귀 28 중량부, 삼칠 5 중량부, 산약 35 중량부, 단삼 28 중량부, 지룡 7 중량부, 지황 16 중량부, 백출 28 중량부로 조성되며;
또는, 황기 38 중량부, 태자삼 11 중량부, 계지 14 중량부, 당귀 16 중량부, 삼칠 7 중량부, 산약 28 중량부, 단삼 35 중량부, 지룡 5 중량부, 지황 28 중량부, 백출 16 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자삼은 인삼 또는 서양삼으로 대체할 수 있고; 상기 백출은 볶은 백출이며; 상기 지황은 생지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정 비율에 따라 각 원료약을 준비하는 단계;
물 또는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상기 각 원료약으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복용가능한 제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가능한 제형은 과립제, 정제, 산제(散劑), 캡슐제, 드링크제 또는 환제(丸劑)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의약 조성물은, 황기 추출물 15 내지 60 중량부, 태자삼 추출물 6 내지 25 중량부, 계지 추출물 5 내지 2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 삼칠 추출물 3 내지 12 중량부, 산약 추출물 15 내지 60 중량부, 단삼 추출물 15 내지 60 중량부, 지룡 추출물 3 내지 12 중량부, 지황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 백출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의 원료약으로 조성되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5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용 약물.
- 제 1항 내지 제 5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황반 부종 치료용 약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573355.4 | 2015-09-10 | ||
CN201510573355.4A CN105055785B (zh) | 2015-09-10 | 2015-09-10 | 一种治疗糖尿病视网膜病变的中药组合物 |
PCT/CN2016/098510 WO2017041734A1 (zh) | 2015-09-10 | 2016-09-09 | 一种治疗糖尿病视网膜病变的中药组合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1232A KR20180041232A (ko) | 2018-04-23 |
KR102099520B1 true KR102099520B1 (ko) | 2020-04-09 |
Family
ID=5448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8496A KR102099520B1 (ko) | 2015-09-10 | 2016-09-09 |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420810B2 (ko) |
JP (1) | JP6663018B2 (ko) |
KR (1) | KR102099520B1 (ko) |
CN (1) | CN105055785B (ko) |
WO (1) | WO201704173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55785B (zh) | 2015-09-10 | 2019-05-07 | 金明 | 一种治疗糖尿病视网膜病变的中药组合物 |
CN111643591A (zh) * | 2020-07-29 | 2020-09-11 | 汕头市中医医院 | 一种健脾益肾中药组合物及其应用 |
CN114209761B (zh) * | 2021-10-12 | 2023-03-17 | 中日友好医院 | 一种治疗视网膜色素变性的中药组合物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93895A (zh) | 2011-08-17 | 2011-12-28 | 张子桂 | 一种用于治疗ⅱ型糖尿病的中药组合药物 |
CN103961626A (zh) | 2014-03-28 | 2014-08-06 | 南阳医学高等专科学校 | 治疗眼底出血的中草药丸 |
CN104587257A (zh) | 2015-01-25 | 2015-05-06 | 邹洪胜 | 一种治疗糖尿病性黄斑水肿的中药组合物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398C (zh) | 2001-04-29 | 2004-02-25 | 刘杰 | 一种治疗糖尿病性神经病变的中药 |
JP2009051740A (ja) * | 2007-08-23 | 2009-03-12 | Kao Corp | Nfatシグナル阻害剤及びnfatシグナル阻害方法 |
CN101843802A (zh) | 2009-10-16 | 2010-09-29 | 北京绿源求证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 一种治疗糖尿病肢端坏死的中药 |
CN103385968A (zh) * | 2013-07-19 | 2013-11-13 |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 一种包含三七粉的中药及其制备方法 |
CN105055785B (zh) | 2015-09-10 | 2019-05-07 | 金明 | 一种治疗糖尿病视网膜病变的中药组合物 |
-
2015
- 2015-09-10 CN CN201510573355.4A patent/CN105055785B/zh active Active
-
2016
- 2016-09-09 JP JP2018532497A patent/JP6663018B2/ja active Active
- 2016-09-09 KR KR1020187008496A patent/KR1020995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9 US US15/759,052 patent/US10420810B2/en active Active
- 2016-09-09 WO PCT/CN2016/098510 patent/WO2017041734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93895A (zh) | 2011-08-17 | 2011-12-28 | 张子桂 | 一种用于治疗ⅱ型糖尿病的中药组合药物 |
CN103961626A (zh) | 2014-03-28 | 2014-08-06 | 南阳医学高等专科学校 | 治疗眼底出血的中草药丸 |
CN104587257A (zh) | 2015-01-25 | 2015-05-06 | 邹洪胜 | 一种治疗糖尿病性黄斑水肿的中药组合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526456A (ja) | 2018-09-13 |
WO2017041734A1 (zh) | 2017-03-16 |
CN105055785A (zh) | 2015-11-18 |
US10420810B2 (en) | 2019-09-24 |
KR20180041232A (ko) | 2018-04-23 |
JP6663018B2 (ja) | 2020-03-11 |
US20190038695A1 (en) | 2019-02-07 |
CN105055785B (zh) | 201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Vats et al. | Anti-cataract activity of Pterocarpus marsupium bark and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extract in alloxan diabetic rats | |
KR102099520B1 (ko) |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하는 중의약 조성물 | |
CN103845418B (zh) | 一种治疗眼底出血的中药组合物及其用途 | |
WO2012079419A1 (zh) | 一种治疗黄斑变性的药物组合物 | |
CN103211869B (zh) | 一种用于急性结膜炎的中药滴眼剂及其制备方法 | |
CN101361892B (zh) | 一种用于治疗白内障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
CN104906220B (zh) | 一种治疗带状疱疹及单纯疱疹病毒性角膜炎的中药 | |
Du et al. | Evaluations of the Chuanqi Ophthalmic Microemulsion In Situ Gel on Dry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reatment | |
CN109260397A (zh) | 一种治疗眼底血管性疾病的中药组合物 | |
CN102293847B (zh) | 一种用于治疗便秘、痤疮及高血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12294963B (zh) | 一种治疗年龄相关性黄斑变性的药物组合物 | |
CN106214692A (zh) | 芍药苷‑6‑o′‑苯磺酸酯治疗肝纤维化的应用及验证实验方法 | |
CN104306546B (zh) | 一种用于治疗视神经萎缩的中药组合物及其汤剂、丸剂和散剂 | |
Wang et al. | Bull's-eye maculopathy secondary to herbal toxicity from uva ursi | |
CN102716260B (zh) | 一种快速提高精子质量与性功能的药物 | |
CN102078509A (zh) | 一种治疗眼部出血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
CN107213426A (zh) | 治疗乳腺疾病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 |
CN106581221A (zh) | 一种治疗玻璃体混浊的药物组合物 | |
CN106038653A (zh) | 防治结肠癌的药物组合物 | |
CN109394838A (zh) | 一种治疗老年性黄斑变性的药物组合物 | |
CN103845524A (zh) | 一种治疗肿瘤放疗、化疗后肾精不足证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和用途 | |
CN106474191A (zh) | 肉桂提取物及制备方法及其在帕金森病治疗中的应用 | |
CN103211979A (zh) | 铁皮石斛防治糖尿病并发症的新用途 | |
CN106692502A (zh) | 一种防治视神经萎缩的药物组合物 | |
CN103705662A (zh) | 治疗糖尿病视网膜病变的口服药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